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一部都市 地域住民의 寄生蟲感染 實態에 關한 調査 硏究 : 大邱市 西區管內 地域住民을 對象으로 For the People Living in the Western Area, Taegu

        鄭文淑 최신의학사 1973 最新醫學 Vol.16 No.8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being infected by parasite of urban inhabitants (especially western area: 1 gu dong Bisan, 5 gu dong Bisan, and 5 gu and 6 gu dong Wondae), I collected 1,833 men's excretions (including 813 women's) and gained the results following: 1. The percentage of being infected by parasite is 62.6 percent. 2. The kinds of parasite are following: 62.6% roundworm 60. 1% whipworm 1.3 % pinworm 0.6 liver fluke 1.6 trichostrongylus orientalis 1.7 ancyostoma duodenale 0.3 tapeworm 3. It is found out that through the three parts of the city the infected by roundworm is the highest percentage. 4. The infected percentage by sex shows that women are higher than men. 5.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 of being infected by parasite comes from the short of public health knowledge and education.

      • 일부지역 산모의 위험요인 및 산전관리수혜

        정문숙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5 慶北醫大誌 Vol.26 No.4

        1984년 7월 1일부터 1985년 6월 30일까지 경상북도내 2개 모자보건센타와 7개 보건진료소에 등록 분만한 유배우 모성 405명의 임신부 등록부와 분만대장을 근거로 지역사회 의료전문인에 의해 정상질식 분만한 산모의 일반적 상태와 산전관리 수혜상태 및 위험징후별 위험평점 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연령은 25세에서 29세가 52.3%로 가장 많았고, 평균 26.9세이었다. 교육정도는 국졸이 58.0%로, 경제상태는 "하"가 51.6% 그리고 분만장소는 모자보건센타가 6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존자녀수는 1∼4명이 50.9%, 인공유산과 자연유산 그리고 주산기 사망경험이 없는 경우가 각각 79.3%, 91.1% 및 9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산이 63.5%, 임신전반기에 등록한 모성이 31.2%, 혈압이 정상범위인 경우가 95.0%, 그리고 모성상태가 정상인 경우가 50.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분만시 모성상태도 90.4% 이상이 정상적이었다. 산전관리 수혜유무에 따른 모성의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를 나타낸 항목은 경제상태이었고, 임신력에 있어서는 자녀수, 인공유산수 및 주산기 사망경험 항목이었고, 분만시에는 분만장소, 모성상태 및 분만시간이었다. 위험징후별 평균 위험점수의 총계는 3.42점이었고 순위별로는 자녀수가 0.98점(28.6%)로 가장 높았고 산전관리수혜, 출산회수, 연령, 혈압, 산과력 및 교육정도의 순이었다. 위험수준별로는 "하위"가 63.2%, "중위"가 23.2% 및 "상위"가 13.6%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tatus of pregnant and delivery records on 405 delivered women normally registered at 2 MCH centers and 7 CHP posts of Kyungpook rural area from First July, 1984 to 30th June, 198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age, 52.3% of subjects was from 25 to 29 years and average of age was 26.9 years old. In pregnant history, out of 405 deliveries experiency rte of previous induced abortion, spontaneous abortion and perinatal death turned out to be 20.7%, 8.9% and 3.5% and parity was multi in 63.5%. Delivery place was MCH center in 69.4% out of subjects. Normal progress rate of this pregnancy turned out to be 31.2% in first period registration, 95.0% in normal range of blood pressure, 50.6% in maternal status on pregnancy and 90.4% in delivery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tatus and risk factors of mother and antenatal care receiv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conomic status, no. of children, experienced abortion, perinatal death, delivery palce, maternal status and delivery time. Total score of mean risk score of subjects by risk factors was 3.42 point and there was first ranking of mean score in no. of children.

      • 産前 分娩에 對한 敎育이 分娩經過에 미치는 影響

        정문숙,여옥남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9 慶北醫大誌 Vol.30 No.2

        본 연구는 대구시내 2개 조산소와 1개 모자보건센터에서 1988년 7월 4일부터 9월 3일 2개월동안 정상분만을 위해 등록한 초산모 100명을 대상으로 출산 전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분만시 산모의 반응을 통해 교육의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하여 실험군(교육 그로그램 실시집단)과 대조군(교육 프로그램 미실시 집단) 각 50명씩을 선정하고 면적과 관찰을 통하여 분만경과시간, 생리적 변화 및 행위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만경과의 추정시간은 실험군이 분만 제 1 기와 분만 제 2 기 모두 대조군보다 짧았으며 분만 제 2 기에 있어서는 양군간 유의한 차가 있었다. 분만시 호소하는 동통양을 강도, 척도 및 행위적 반응으로 비교해 보면 전 항목에 있어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평균점수가 약간 낮았으나 몇 항목을 제외하고는 양 군간 유의한 차는 없었다. 동통의 생리적 반응으로 분만시 동통양을 측정해 본 결과 신체 활력증후인 혈압과 맥박 모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정상범위에 더 가까왔으며 자궁경관 10㎝ 개대시 수축기 혈압과 분만 각기에 있어 이완기 혈압 및 맥박수에 있어서 양 군간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 정서적 반응 정도(평온상태)는 실험군이 대조군의 평균치보다 낮아 더 평온한 상태로 분만을 경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만 제 1 기에 있어 분만중 산모의 협조 정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평균 점수가 낮아 더 협조적이었으며, 자궁경관 4㎝ 개대시와 자궁경관 7㎝ 개대시에는 유의한 차를 나타냈으나 분만 제 2 기는 실험군이 더 높았으며 양 군간 유의한 차는 없었다. 호흡법 수행 정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더 높아 수행 정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궁경관 4㎝ 개대시와 자궁경관 7㎝ 개대시는 양군간 유의한 차가 있었다. 힘주기 수행 정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약간 높아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분만 제 2 기에 있어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의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힘주기 수행 정도가 더 양호한 것을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childbirth education for expectant mothers on reduction of labor pain, shortness of birth period, safty delivery and mother's participation during birth period. One hundred primigravidas who visided antenatal chinic of two midwifery clinics and one HCH center in Taegu from July 4 to September 3, 1988, were devided into 2 halves. One half were taught childbirth education by midwife in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and the other half were left alone for contr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an time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 of labor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rter than that for control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 timne of second stage of labor in experimental group and mean time in control group. The mean scores of degree of labor pain namely intensity, scale of pain and physical rsponses of mother in experimental group, were less than that of control,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n scores of degree of labor pa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vital signs as physiological responses of labor pain,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of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closed on normal range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P and pulse rate of every stages of deliver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mean scores of degree of emotional response(stability) and cooperation on delivery in experimental group were less than that in control group during every stages of deliver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core of degree of mother's cooperation during the first stage of deliver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core of degree of applying on breathing technique during the first stage of labor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bearing down, mean score of practical degree in experimental group during second stage of labor was high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자녀관계 및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정문숙,조규판 한국취업진로학회 2023 취업진로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부모-자녀관계 및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A 고등학교와 경상남도 소재 B 고등학교 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program으로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 타났다. 셋째,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부모- 자녀관계는 진로성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후 진로성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교사지지는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진로성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은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 기효능감이 핵심요인임을 알았다. 이를 위하여 교육현장의 적극적인 개입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54 students from high school A in Busan and high school B in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o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7.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econd, self-efficac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areer maturity. Third, self-efficac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upport and career maturity. This means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not only 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but also in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after affecting self-efficacy. Teacher support in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through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and self-efficacy are key factors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implications of active interven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 계획된 보건의료정보가 주민의 건강과 질병행위에 미치는 영향 : 산전교육을 중심으로 Mainly for Expectant Mothers

        정문숙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4 慶北醫大誌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분만 중에 있는 산모가 경험하는 동통을 완화하여 안정상태를 유지하고 정서적으로 평온하며 분만기전에 따르는 산모의 행위의 수행정도와 협조정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산전교육을 초산모와 그 배우자에게 실시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려는 것이었다. 1988년 8월 1일부터 동년 10월 5일까지 경상북도내 조산소와 모자보건센타에 분만을 위해 임신 38주 이후에 등록한 정상분만이 예상되는 초산모 100명이었으며 산전교육을 실시한 50명을 실험군으로 산전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5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면접과 관찰방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얻었고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을 거친 후 사용했다. 즉 행위로서 나타난 반응, 산모의 분만기전에 대한 협조정도와 호흡법 및 힘주기 수행정도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또 산모의 분만에 대한 지식, 초산모의 제 특성, 분만시 신생아의 상태 측정에 대한 도구 및 산전교육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평균치를 중심으로 동통의 정도 행위적 반응 정서적 반응은 안정상태와 불안정상태로 나누었고, 호흡법과 힘주기 정도는 양호의 불량 상태로 나누었다. 그리고 산모의 협조도는 협조와 비협조로 나누어 실험군 대조군간의 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 효과지수를 계산하였으며, 산전교육을 독립변수로 하고 종속변수와 일원 본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산전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여 본 결과 남편을 동석시켜 전달한 계획된 산전교육은 산모가 분만시 경험하는 동통을 어느정도 완화시켜 안정상태로 분만을 경험하도록 하였으며, 분만기전에 협조하여 안전하고 쉽게 경과하도록 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분만제1기중 자궁경관 3cm 및 6cm개대시 산전교육에 의해 동통이 중추통제조직(central control system)에서 통제가 가능했기 때문에 안정상태로 분만을 경과할 수 있었으므로 산전교육의 효과지수가 높았다. 이것은 사모가 중추통제과정중의 인지평가과정에서 산전교육을 받았으므로 동통이 완만하게 진행될 때는 규칙적이고 간헐적인 동통을 산모 스스로 이해하고 판단하여 동통을 적게 느끼려고 노력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습득된 산전운동 효과에 의해 복부근육의 강화와 회음근육의 이완운동을 적절히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완전호흡법과 힘주기 수행상태가 양호했으며 분만에 자가협조가 잘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겠다. 그러나 자궁경관 10cm개대시와 분만제2기에 있어서의 동통은 중추조절조직의 통제 영역에서 벗어나 자가통제나 협조정도에서 산전교육을 전달받은대로 수행할수 없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자궁경관 10cm개대지와 분만제2기 동통은 강하고 급격하며 간격이 짧고 지속시간이 길기 때문에 중추조절조직에서 조절할 수 있는 시간이 적게 된다. 그래서 전달받은 산전교육을 이해하고 판단하며 적응하려는 노력은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산전교육의 효과지수가 비교적 낮았다. 동시에 정서적 안정상태의 유지, 완전호흡법 및 힘주기 수행정도가 자구경관 3cm와 6cm개대시에 비해 낮았으며, 안정상태에 있는 산모의 분포가 대조군중 안정상태에 있는 산모와 비교하여 많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고 본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모성건강관리 사업을 활성화하고, 모성과 그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하여는 산전교육프로그램이 계속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In this study, programmed health information was given to expectant mothers to test its effects such as reduction in labor pain, a more successful delivery, better emotional stability and improved cooper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One hundred expectant primiparous mothers who registered after 38 weeks of the onset of pregnancy at the midwifery clinic and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 in Gyung-buk Province were chosen for this study. These mot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50 each with one as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given the programmed health information and the other as the control group.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collecting data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 from August 1 to October, 1983.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were employ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co their behavioural responses which were measured by instruments obtained from a review of references. Responses measured included cooperation of expectant mothers in the delivery process and completf respiration and bearing down during delivery. Also included in the instrument were questions regarding a mother's knowledge about deliver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imapara, the newborn's conduction at birth and the delivery of programmed health educations to the mother before delivery. The averages of the analyzed data on the range of the labor pain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responses were classified respectively into stability and unstability, those on complete respiration and bearing down into satisfactory and unsatisfactory, and those on cooperation into cooperative and noncooperative. The analyzed data of the two groups was examined by x^2-test to calculate the effectiveness indexes and then with prepar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subsidiary variab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A for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and emotional stability on the range of labor pain, more stable mothers who suffered milder pain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deliver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wed a higher effectiveness index of prenatal education. 2. Physically stabl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ositive behavioral responses except perspiration. 3. Stabl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ponded more emotionally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tages. 4. Statistics revealed that moth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more complete respiration and bearing down, especially in the second stage. 5. Closer cooperation was achieved by 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ir effectiveness index ran much higher in the second stage. 6.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ensoro, emotional and self-evaluative expressions proved nonsignificant.

      • KCI등재

        산전교육이 초산모의 지식, 불안, 분만 통증과 자가 협조정도에 미치는 영향

        정문숙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3 경북간호과학지 Vol.7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 of childbirth education before delivery on knowledge concerning delivery process of primipara, anxiety, labor pain and self-cooperation in bearing down with husbands.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1 2001 to Feb 28 2002, with both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35 primiparae and her husbands having had antepartum examination and education before delivery in an obstetric and gynecological hospital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Control Group consisting of 35 primiparae and her husbands having had antepartum examination but no education before delivery in one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mean score of knowledge on delivery proc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childbirth education on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the analysis of covariance was performed after the period of this study but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mean score of anxiety level after childbirth education for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01) in delivery time. During the first stage of delivery, the degree of labor pain for both latent and transitional phases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for the control group(p<0.05), when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oth groups for the period of activity(p<0.01). The action response during the first stage of deliver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ial motion for the transitional phase, in the degree of perspiration for both active and transitional phases and in physical posture and vocal change for the latent, active and transitional phas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05, p<0.01). In the degree of breathing method performance, self-cooperation with husbands and bearing dow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all areas except for self-cooperation degree with husbands for the latent phase(p<0.01).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