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항정신병약물로 인한 QTc 지연과 5-HTTLPR의 연관성

        서범주,이정구,박성우,공보금,정도운,김영훈,Seo, Beom-Joo,Rhee, Jung-Goo,Park, Sung-Woo,Kong, Bo-Geum,Chung, Do-Oun,Kim, Young-Hoo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4 생물정신의학 Vol.11 No.1

        Objective:A Comparison of QTc prolongation for various antipsychotics and an analysis of QTc prolongation for the various types of serotonin transporter polymorphism were performed. Method:EKG was checked, followed by QTc measurement as Bazett's correction, and the serotonin transporter polymorphism was examined in 110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were performed EKG before 24 weeks ago. We defiened QTc prolongation as over 450ms. The risk factor of sudden cardiac death were defiend as QTc prolongation and or 60ms in delta value. Result:The prevalence of QTc prolongation in this study was 7.3%, and the prevalence of over 60ms was 4.5%. Patients who had the risk factors were 10(9.1%). 6/52 who prescribed atypical antipsychotics and 2/58 who prescribed haloperidol showed QTc prolongation. The prevalence who had the risk factor of sudden cardiac death were 16% in atypical antipsychotics group, 3.4% in haloperidol group. QTc prolongation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l/l type than s/s type. l allele frequency were 50% in QTc prolongated group, 19% in not prolongated group. l allele had an association with QTc prolongation(p<0.01). Conclusion:The prevalence of QTc prolongatin was frequent in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atypical antipsychotics. It has strong association with l allele of 5-HTTLPR.

      • KCI등재

        혈관성 치매의 약물치료

        김영훈(Young Hoon Kim),김록우(Luck Woo Kim),정도운(Do Oun Chung)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9 노인정신의학 Vol.3 No.2

        혈관성 치매의 치료제로 공인된 약물은 없다. 일차적 치료는 기저의 혈관성 장애를 관리하고 그 위험인자들을 조절하는 것이다. 항혈소판제/항응고제, 항고혈압제, 항콜레스테롤제 등이 위험인자를 조절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기타 금연, 운동, 당뇨 조절, 재활 및 물리치료 등이 권유된다. 혈관성 장애 이후 치매로 발전되는 것을 막기 위한 개념으로 혈관성 인지기능장애(VCI)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에는 현재 치매의 기준에는 부합되지 않으나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는 혈관성 인지기능장애, 비치매(VCIND)가 포함된다. 혈관성 치매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를 염두에 둔 새로운 개념이다. 최근 알츠하이머 치매에서 많은 혈관성 위험인자가 발견되고, 알츠하이머씨 병의 원인적 가설로 신경염증가설이 부각되면서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의 연관이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는 직접 다루지 않았지만 치매의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약물치료에 있어서 혈관성 치매와 알츠하이머 치매간에 현재로서는 큰 차이가 없다. 치매의 핵심증상인 인지기능저하에 대해 혈관성 치매에서 현재까지 사용되어 오던 약물들의 효과는 매우 미흡했다. 알츠하이머 치매에 사용되는 아세틸콜린계 약물들의 효과에 대해서는 좀더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현재로선 신중한 시도를 해 볼 수 밖에 없다. 최근 면역-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약물들인 propentofyline이 현재 알츠하이머 치매는 물론 혈관성 치매에서도 시도되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기타 현재 알츠하이머 치료에 사용되기 시작한 항산화제들이 향후 혈관성 치매에서도 사용될 전망이다. Although many drugs are currently available in the treatment of vascular dementia, there are no licensed drugs for it with proven efficacy. The major treatment efforts are therefore focused on the management of the underlying causes and control of risk factors. Antiplatelet agents or anticoagulants such as a low dose of aspirin or warfarin should be used in all patients where there is no contraindication. Hypertension should be properly controlled not to make the patient hypotensive. Bloo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especially LDL cholesterol, should be assessed and, if raised, treated using diet or drugs. And if the patient is diabetic, it should be controlled also. If the patient is a smoker,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stop smoking. Supportive measures such as gait retraining, prophylaxis against limb contractures, and speech therapy are indicated in selected patients.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common to both vascular dementia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may include microglial activation, increased production of cytokines, free radicals and glutamate. Propentofylline, a neuroprotective glial cell modulator,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management of the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or vascular dementia. Other therapies such as estrogen,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s and anti-oxidants such as vitamin E/selegiline (MAO-B inhibitor), Gingko biloba are sometimes used and show promise in delaying the progression of dementia. But several further clinical trial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new therapies can be successfully used in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or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KCI등재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지연성 운동장애와 음성증상 및 인지기능 장애와의 연관성

        심주철,반철식,성기수,이정구,정도운,정청,윤진상,김영훈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연구목적: 정신과 전문병원에 입원해 있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첫째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병율과 위험인자들을 조사하고, 둘째 지연성 운동장애와 정신분열병의 음성증상 및 인지기능 장애와의 상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마산동서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 중 DSM-IV의 정신분열별 진단기준에 부합하며, 최근 3개월 이상 동일 용량의 항정신병약물 복용한 271명(남자 174명, 여자 97명)의 환자들이었다. 지연성 운동장애에 대한 평가는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을 이용하였고, DSM-IV와 Sc-hooler와 Kane(1982)의 진단기준 양자에 부합하는 환자들만을 지연성 운동장애군으로 분류하였다, 정신 분열병 정신병리에 대한 평가는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와 Schedule for the Deficit Syndrome(SDS)을 이용하였고, 인지기능에 대한 평가는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MMSE)을 이용하였다. 결과: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병율은 50.9%이었고, 50세 이상, 남자에서 높았다. 그러나 입원기간과 항정신병 약물의 일일 사용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지연성 운동장애의 호발부위는 혀, 상지, 입술과 입 주위의 순이었다. BPRS 총점 및 소항목 척도점수와 SDS 척도점수는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MMSE 총점 및 소항목 점수도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결론: 평균입원기간이 9년 이상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서의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병율은 50.5%이었고, 연령이 가장 의미있는 위험인자임을 확인했다.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이 주 대상인 본 연구에서는 지연성 운동장애와 정신분열병의 음성증상 및 인지기능 장애와의 상관성은 입증하지 못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rate of tardive dyskinesia and to search for its risk factors in chronically institutionalized schizophrenic subjects. We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rdive dyskinesia and both negative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s in the same subjects. Methods: Subjects were 271 in-patients(174 males, 97 females) at Masan Dongsuh Hospital. They met DSM-IV criteria for schizophrenia and had been taking fixed doses of antipsychotics for at least 3 months. Tardive dyskinesia was assessed by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Cases of tardive dyskinesia were ascertained by the criteria of Schooler and Kane (1982) and DSM-IV. The rating of psychopathology was acquired using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and Schedule for the Deficit Syndrome(SDS) and the assessment of cognitive function using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Results: The prevalence of tardive dyskinesia is 50.9% and the frequency of tardive dyskinesia was high est in male above the age of fift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tardive dyskinesia and both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and the daily dose of antipsychotics. The frequency order of abnormal movement in the patients with tardive dyskinesia was as follows : tongue, upper extremities, lips and perioral area. We couldn'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and subscale scores of BPRS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tardive dyskinesi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MSE scores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tardive dyskinesia. Conclusion: This study gave us that the prevalence of tardive dyskinesia was high in chronically institutionalized schizophrenic inpatients and that age wa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of tardive dyskinesia. The relationship between tardive dyskinesia and both negative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 however, was not revea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