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독일의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사례 및 시사점 (Unterstützungsmaßnahmen zum Schulabsentismus in Deutschland und ihre Bedeutung für präventive Maßnahmen in Korea)

        정기섭(Chung Kiseob)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3

        이 연구는 독일의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사례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하여 독일 학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학교부적응 개념, 학교부적응 현황과 원인, 학교부적응 학생 지원사례를 살펴보았다. 주제와 관련하여 독일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PISA 2000의 결과에 따른 쇼크이후 진행된 중등교육 단계의 학교구조개혁을 통하여 경제적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의 교육격차를 줄이려는 노력을 계속하였고, 그 결과 어느 정도 성과를 내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과 치료 중심의 학교부적응 학생 지원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공동체 삶에서 요구되는 사회적 역량을 기를수 있도록 학교차원에서의 변화도 함께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전문 인력의 사례관리를 통한 학생맞춤형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 인력과 학교교사의 협력적 관계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교부적응 학생이 학교 밖 기관에 위탁되어 가질 수 있는 소외감과 고립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협력학교 모델 개발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Das Grundanliegen dieser Arbeit liegt darin, Unterstützungsmaßnahmen zum Schulabsentismus in Deutschland zu betrachten und daraus die Punkte, die für die Maßnahmen zum Schulbsentismus in Korea bedeutend sind, herauszustellen. In dieser Arbeit umreißt der Begriff ‘Schulabsentismus’ alle Verhaltensmuster, bei denen Schüler ohne ausreichende Berechtigung der Schule fernbleiben. Gemäß dem Grundanliegen handelte diese Arbeit zunüchst über den Begriff ‘Schulabsentismus’, der im deutschen akademischen Bereich verwendet wird; anschließend über die Situation des Schulabsentismuses in Deutschland und seine Ursachen; dann über Maßnahmen zum Schulabsentismus. Schlißlich stellte diese Arbeit die folgenden Punkte heraus, die für Maßnahmen zum Schulabsentismus in Korea bedeutend sein können. Erstens, Unterstützungsmaßnahmen zum Schulabsentismus sollen sich nicht nur auf psychosoziale Beratungen und Heilungen von Einzelnen beschränken, als auch die änderung der Schule zum Erwerb der sozialen Kompetenz begleiten. Zweitens, Unterstützung von Einzelnen durch Case Management soll verstärkt werden. Dafür soll das Verhältnis zwischen Lehrern und anderen Fachleuten in Schule kooperativ sein. Drittens, die Entwicklung der kooperativen Schule soll als ein Modell betrachtet werden, das zur überwindung der Isolierung der Schüler, die der Schule fernbleiben, dient.

      • KCI등재

        교육복지사의 경험에서 본 교육소외계층 지원사업의 개선과제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정기섭 ( Chung Kiseob ),손미란 ( Son Miran ),윤혜성 ( Yun Hyes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1990년대 말 외환위기(IMF) 이후 계층 간 교육격차 해소는 한국사회의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 연구는 교육소외계층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복지정책 중 성공적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천시의 초등학교에 배치되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육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육복지사들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복지에 대한 인식, 소통의 어려움, 교육복지사업 운영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언급하였고, 이것은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3개의 상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교육소외계층 지원사업의 개선점으로 다음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교육복지사의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다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멘토링, 슈퍼비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복지에 대한 관련 당사자들의 이해가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기관 복지담당자 간의 교육복지의 개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법 규정에 의한 지원대상의 사각지대에 있는 교육소외계층 학생 발굴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At the end of 1990s, which was the age of financial crisis, education gap among classes became a salient issue of Korean society.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and solutions of national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for marginalized class, which was evaluated as a successful project among national welfare policies. This study conducted FGI (focus group interview) of five school social workers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 who are working on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As a result, the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positively. In spite of this positive evaluation, there were three problems such as `awareness of educational welfare`,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 To solve the problems, solutions can be suggested. First, standard curriculum for educating educational worker and mentoring and supervision for developing them are needed. Second, they need to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welfare and develop their compet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of educational welfare among teachers, parents and social workers. Fourth, welfare system has to focus on educationally alienated class in the blind spot and develop personal competencies of school social worker.

      • KCI등재

        ‘Idee der Nachhaltigkeit’ und Aufgabe der Erziehung fur die Zukunft

        Kiseob Chung(정기섭) 한독교육학회 201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3

        Das Grundanliegen dieser Arbeit liegt darin, aus der Idee der Nachhaltigkeit die Aufgabe der Erziehung für die Zukunft herauszuziehen. Dafür versucht diese Arbeit, zuerst den Bgriff der ‘Nachhaltigkeit’ und der ‘nachhaltigen Entwicklung’ klarzumachen, dann die Idee der Nachhaltigkeit in den UN-Dokumenten zu finden, und schließlich daraus die Aufgabe der Erziehung für die Zukunft herauszuziehen. Der Begriff der ‘Nachhaltigkeit’ wird als das Ziel der weltweiten Entwicklung, und der Begriff der ‘nachhaltigen Entwicklung’ als ein Prozeß zu desem Ziel verstanden. Idee der Nachhaltikeit funktioniert als die normativen Werte, womit uber die Handlungen des gegenwärtigen Menschen reflektiert werden soll. Aus diesem Verstandnis fordert die Idee der Nachhaltikeit auf die gemeinsame Verantwortung fur die Zukunft der Menschheit. Aus dieser Betrachtung folgt, daß die Aufgabe der Erziehung für die Zukunft die ‘Erziehung zur Verantwortung’ sein soll.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의 이념을 통하여 미래를 위한 교육의 과제를 찾고자 하였다. UN의 문헌들에서 지속가능성은 인류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하여 도달하여야 할 목표로서 이해된다. 지속가능발전은 도달된 상태가 아니라, 이상적인 사회를 향하여 노력해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과정에 자발적으로 함께 참여할 인간육성의 필요성에서 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로 인식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인간 스스로가 지속가능한 발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이행하지 않는 이상 지속가능성의 실현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지속가능성은 현 인류의 발전이 나아가야할 길잡이면서, 동시에 교육이 나가야할 방향이기도 한 것이다. 이상적인 미래 사회는 인간들이 공동의 가치를 생활의 규범적 토대로서 수용하고 실천함으로서 도달되고 유지될 수 있음으로 교육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적인 수단이다. UNESCO는 미래사회의 인간이 생활 속에서 실천하여야 할 규범적 가치로, 동시에 교육을 통하여 형성되어야 할 가치로 ‘모든 사람의 인권 존중’, ‘사회적․경제적 공정성을 위한 헌신’, ‘세대 간의 책임’, ‘지구 생태계의 보호’, ‘생명공동체의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배려’, ‘문화적 다양성의 존중’, ‘관용, 비폭력, 평화의 문화 형성에 헌신’을 제시하고 있다(UNESCO, 2005: 14). 이러한 가치들은 생태적, 사회적, 경제적 차원에서의 인간의 기본적인 요구들을 포괄하고 있는 지속가능성의 이념으로 현재 인간의 생활방식을 미래의 시점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할수 있는 규범적 준거가 되어 행위의 주체자인 인간에게 미래에 대한 책임윤리를 요청한다. 이러한 논의로부터 미래를 위한 교육의 과제는 자신의 행위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인간을 기르는 교육이 되어야한다. 책임을 지는 인간을 기르는 교육의 원리로서는 적어도 ‘관계망적 사고능력을 함양하는 교육’, ‘세 차원(개인, 사회, 인간)에서의 책임의식을 형성하는 교육’, ‘공동체에서의 실천적 행위를 통한 교육’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기섭(Chung, Kiseo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 지 꽤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에서는 여전히 다른 교육과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 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고유성을 탐구하고, 그것을 준거로 지속가능발전 교육프로 그램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고유성은 규범적 차원과 관계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해로부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특성은 ‘연관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둘째, 학교현장에서 실행되는 지속가능 발전 교육프로그램에서는 ‘연관적 사고’능력 형성이라는 관점보다는 실천적 역량습득이라는 관점이 더 우선적인 것처럼 보였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고유한 특 성이 프로그램을 통해 구체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지속가능발전의 규범적 차원과 실 천적 차원의 연관관계를 분명하게 드러내려는 시도가 우선되기보다는 어떻게 실행 할 것인가에 더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되었다. 넷째, ‘연관적 사고’능 력이 고려되지 않고 영역별로 요구되는 실천역량을 기르는 교육에 초점을 맞출 때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고유성은 여전히 모호해질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the debat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has been going on for some time, but it still raises questions ab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examine the program of ESD based on i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niqueness of ESD is related to the normative dimension. From thi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ESD is to develop interlinked thinking ability. Second, in the program of ESD implemented at the school site, it seemed that the view of acquiring practical capacity rather than the viewpoint of interlinked thinking capacity building seemed to be a priority. Third,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ESD can not be materialized through the program because more emphasis is placed on how to implement rather than prioritize the link between the normative dimension and the practical dimens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urth, the uniqueness of ESD may still be ambiguous when focusing on education that fosters the capacity for action that is required in each area rather than interlinked thinking .

      • KCI등재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념에서 본 다문화교육의 과제

        정기섭(Chung Kiseo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이 연구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념에서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살펴보면서 다문화교육 논의 및 연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배경은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연구에서 사회적 차원을 주제로 한 연구가 거의 없고, 다문화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논의될 수 있다는 관점이 자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먼저 지속가능성을 실천적 차원의 지속가능발전 과정을 규제하는 이념으로 파악하고, 지속가능성의 한 부분인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틀 에서 다문화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계를 규정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 연구가 현상적인 문제에만 관심을 가짐으로써 방향을 상실한 채 그때그때의 땜질식 처방을 하는 것은 아닌지에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교육 논의에서 사회통합은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구성원 모두의 능력습득을 요구한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통하여 습득해야 하는 능력에는 사회적 결속과 상호작용을 위해 필요한 능력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 의 물질적 욕구를 스스로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도 포함되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debate and research by examining the iss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idea of social sustainability. The background is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social dimension in the research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the view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discussed a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is study first identifies sustainability as idea that regulates the proc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amines social sustainability as a part of sustainability. This study denn defines in the framework of social sustainability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d multicultural education.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is concerned only with phenomenal problems, so that it will lose its direction and make a tinkering prescription at that time. Second, in the debate on multicultural education, social integration requires the ability of all members to adapt to changing society. Third, the ability to acquire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ability to procure the material demands of the individual level

      • KCI등재

        독일 기술교육 지원의 교육사적 의의: 인천 한독실업학교 설립과 의미를 중심으로(1960-1970)

        유진영 ( Jinyoung Yu ),정기섭 ( Kiseob Chung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2

        1961년 ``대한민국 정부와 독일연방공화국 정부 간의 경제 및 기술협조에 관한 의정서``체결이후 공공차관과 상업차관 형태의 자본과 기술원조가 시작되었다. 독일정부와의 기술협정을 통하여 독일식 기술교육이 한국에서 실현되었는데 그 첫 사례가 인천의 한독 실업학교에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독 실업학교의 설립배경과 학교의 교육내용, 독일식 직업기술교육의 정착과 영향 등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한독기술원조협정으로 탄생한 이 학교는 독일식 직업교육의 산 표본으로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1차 협정, 2차 협정, 3차 협정, 이렇게 10년의 협정기간 동안 독일정부는 약 483,000 달러를 지원하였으며 한독실업학교는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교사의 파독 연수, 졸업생들의 독일 유학, 고문관의 초빙, 실습용기자재의 도입, 교사 신축 등 많은 사업을 펼쳤다. 그러나 한독 실업학교가 운영되는 동안에 한국의 전통적인 사상과 문화의 토대위에 독일식 교육제도가 접목되어 다양한 접목과 상이함, 문제점들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오늘날 직업교육의 개혁과 더불어 독일식 기술교육의 도입, 정착, 이후의 발전에 대해 고찰하며 의미를 되짚어 본다.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expose the transnational exchange in the field of technical educa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Vocational School in Incheon.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is school could be found from economic supporting the 1960s after Korean War. According to "AGREEMENTCONCERNING JOINT ESTABLISHMENT OF A SKILLED WORKERS SCHOOL BETWEEN THE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FEDERALREPUBLIC OF GERMANY" on March 1961, the Korean-German vocational school in Incheon was promoted with high sums of money. Korean technicians came to West Germany for training purposes and vice versa as Economic Advisor to Korea. According to the above AGREEMENT on March 18, 1961 it has been the concern of the Governmen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they should jointly establish a Skilled Workers`` Schools part of the Vocational Training Center at Incheon. In addition to that, the Skilled Workers`` School should serve to train Korean skilled workers and technical teachers according to German professional standards and should be under the directorship of the "German Department".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it was a basic part of the Vocational Training Center.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is center, over 10 Korean teachers have been sent to Germany to learn German language and German culture and to visit technical school. In this Center at Incheon theoretical instruction comprised at the subjects in technology, technical drawing, technical mathematics and the German language. In addi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eceived loans amounting to DM 150 million. The loans wer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few major factories in1962. Such further technic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consisted primarily of dispatching of German technicians to Koreans well as the training of Korean technicians. Both aspects were from the beginning a central part of technical cooperation. We can still find the German education way affecting Korean education in technical fiel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educational exchange like pioneer educators, teacher``s exchange, educ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between two countries hadan impact on the early technical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재정착 난민 아동의 학교 부적응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이정민 ( Lee Jeongmin ),정기섭 ( Chung Kiseob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재정착 난민 아동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서 재정착 난민 아동 학부모가 경험한 재정착 난민 아동의 학교 부적응의 원인과 현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재정착 난민 아동 학부모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정착 난민 아동의 학부모는 첫째, 재정착 난민아동의 미숙한 한국어 실력을 자녀가 교과 과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보았고 자녀의 학습 의욕상실을 가져온다고 생각했다. 둘째, 재정착 난민 아동의 대부분은 출신국에서 공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어서 한국학교에 입학한 후에도 학교 규칙을 이해하고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많은 시간과 연습이 필요하다고 했다. 셋째, 사교육 참여가 어려운 경제 사정으로 자녀의 부족한 학습에 대한 마땅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자녀의 낮은 학업 성과는 점차 자녀가 학교 교육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넷째, 자녀들의 불완전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차이로 다양한 한국 친구들과 학교생활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생각했다. 마지막으로 재정착난민 아동 학부모의 학교 교육 경험 부재와 미숙한 한국어 실력은 학교 담당자와 소통하고 재정착 난민 자녀의 학교생활을 파악하는 것을 어렵게 했고 가정에서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를 제공하지 못하여 자녀의 학습 동기 부여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 재정착 난민 아동의 학교 부적응 현상을 이해하고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착 난민 학부모와 재정착 난민 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학교생활 적응 교육, 또래난민 아동의 한국 친구들과 대학생 멘토가 참여하는 소통 프로그램, 교과 보충 수업 및 난민 아동 각자의 개성과 장점을 진로로 연계할 수 있는 맞춤형 적성 개발 진로 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auses and phenomena of school maladjustment of resettled refugee children experienced by parents of resettled refugee children through interviews with parents of resettled refugee children in Korea. To this e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parents of resettled refugee childre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arents of resettled refugee children first thought that the resettled refugee child's poor Korean language skills were the biggest reason for their children's inability to understand the curriculum and that it caused their children to lose their will to learn. Second, most of the resettled refugee children said that they needed a lot of time and practice to understand school rules and adapt to school life even after entering school in Korea because they had no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ublic education in their country of origin. Third, due to economic circumstances where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is difficult, they are unable to find a suitable solution for their children's lack of learning, and they expect that their children will gradually move away from school education. Fourth, it was assumed that children's incomplete Korean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differences would make it difficult for their children to have a school life with various Korean friends. Lastly, parents' lack of school education experience and poor Korean language skills made it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school officials and understand their children's school life, and did not provide active parental interest and support at home, which did not help motivate their children to lear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as a way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school maladjustment of refugee children resettled in Korea and to help them adapt to schoo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ontinuously operate education for adapting to school life in which parents of resettled refugees and resettled refugee children participate, communication programs in which Korean friends and college student mentors of refugee children participate, supplementary classes, and customized aptitude development career support programs that can link the individuality and strengths of each refugee child to their career paths.

      • KCI등재

        어린이집에서 긍정적 행동지원(Class-wide PBS)이 일반유아와 장애위험유아의 문제행동, 사회·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강혜원(Kang. Hyewon),홍성호(Hong. Seongho),정기섭(Chung. Kiseo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긍정적인 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 : PBS)이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 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천의 어린이집에 소속된 일반학급 만 4세 일반유아 17명과 장애위험유아 1 명, 총 18명이며 일반유아를 대상으로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 설계를 장애위험유아를 대상으로는 중다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2016년 10월부터 2017년 8월까지 PBS팀 구성 및 팀 교육을 실시하였고, 관찰을 통해 문제행동 발생빈도가 높은 대집단 활동, 소집단 활동, 자유선택 활동의 시간을 선정한 후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조작적 정의에 의한 문제행동에 PBS를 실시하였다. 문제행동 발생빈도를 측정하여 사전· 사후로 비교하였고 사회·정서적 유능감의 사전· 사후검사결과도 SPSS 21.0을 사용하여 M, SD 를 산출하고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일반유아와 장애위험유아의 문제행동을 급격히 감소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행동 지원은 일반유아와 장애위험유아의 사회· 정서적 유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PBS중재는 일반유아와 장애위험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 정서적 유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thus administered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to reduce young children s problematic behavior effectively and examine its desirable effects on their problematic behavior and the entire class. The subjects include 17 four-year-olds, include 1 four-year-olds from a general class at Daycare Center in Incheon. A single-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test its effects on selective social-emotional competence. The investigators formed a team, From October 2016 to August 2017 provided PBS education in three sessions, made observations in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and free choice activities, made a class-wide PBS plan, measured the frequency of frequent problematic behavior, and compared it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The effects of selective social-emotional competence on young children s problematic behavior in a general class were treated with the SPSS 21.0 program to obtain M and SD results. A t-test followed to present the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lass-wide PBS reduced young children s problematic behavior rapidly and increased their participating behavior in all situations. Secondly, it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ir social-emotional competence in a positive direction.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class-wide PBS reduced the problematic behavior of all young children in the class,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ocial-emotional competence.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문화강사양성과정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전경미(Chun, Kyungmi),공수연(Kong, Suyoun),정기섭(Chung, Kiseob)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인적ㆍ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취업지원책의 일환인 다문화강사양성을 심층 분석하여 다문화강사양성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강사 양성 수료자 8명, 과정생 3명, 담당실무자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은 문헌연구를 토대로 질문내용을 반구조화 하여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질적연구의 방법 중 사례연구방법을 선정하였다. 면접은 1회시 평균 2시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4차 면접까지 진행하였다. 각각의 면접은 모두 녹음되었고, 전사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 및 연구윤리규정을 따랐다. 연구결과 26개의 의미단위를 거쳐 9개의 하위범주를 통합하여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경제적 자립과 자기성취를 위해 다문화강사에 도전하고, 강사활동과 양성과정에 참여하면서 성취감을 느끼지만 내적갈등을 경험하는 양가적 감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양성과정 교육경험에 대하여 긍정적 만족감을 표현하지만, 개인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들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다문화강사양성과정의 개선방안으로 다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양성과정 수료 후의 안정적인 일자리 발굴이 필요하다. 둘째, 체계적인 다문화강사 양성과정의 구축을 위해 중장기 지원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이중구조와 다발적 지원 사업을 방지하기 위해 공통 프로그램과 특성화된 프로그램의 조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would deduct improvement plan for multicultural training courses by doing an in-depth analysis of multicultural teachers training courses which is a part of support measures to get a job by using human and cultural resources targeting marriage immigrant women.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8 women who completed the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courses, three trainees and four hands-on staff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mi-structuring contents of questions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ase study method was selected among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interview took about average two hours once and the fourth interviews were conducted. Each interview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In addition, it was followed agreement for research participation and code of research ethics. As results of research, three themes were deducted by integrating 9 subcategories by passing through 26 meaningful units. Concretely, research participants challenge to multicultural teachers for economic independent and self-achievement and feel sense of accomplishment during teaching activities and training courses but experience inner conflicts and have ambivalent feelings. They express positive feeling of satisfaction for the educational experience during training courses, but appeal for difficulties due to individual, economical and political factors. Taken together, as an improvement plan for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cours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t was deducted as follows: First, a steady support method is required through fixed pay. Seco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mediumand long-term support to establish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courses systematically. Third, it is required specialized program to prevent dual structure and multiple support proj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