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온지속시간이 차나무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심두보(Doobo Shim),권미진(Mi Jin Kwon),황정규(Jung Gyu Hwang),강은주(Eun-Ju Kang),송성화(Seong-Hwa Song),손용휘(Yong-Hwi Son),김종철(Jong Cheol Kim),조경환(Kyung Hwan Cho),임현정(Hyeon Jeong Im),심상인(Sangin Shim),전승호(Seung Ho Je 한국차학회 2020 한국차학회지 Vol.26 No.3

        이상기후에 따른 차나무의 저온피해가 증가하고 고급 차 수확시기에 서리 등의 냉상해 증가 등으로 농가소득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저온처리 시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진단하고 저온피해를 지수화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참녹의 동일한 품종을 대상으로 영하 10℃에서 0, 1, 3, 6, 9, 12, 24, 72시간처리하고 다시 4℃ 순화처리, 10℃ 회복처리를 통한 차나무의 광합성능력, 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저온처리 전 차나무의 경우 0.7 이상의 Fv/Fm값(최대 양자수득율)을 보였으며, -10℃에서 1시간 처리 시, 0.530 에서 72시간 처리했을 때 0.147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Fv/Fm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열로 인한 에너지 소실(DIo/RC)는 반응 중심비(ABS/RC)에서 흡수한 광자의 고정효율(ETo/RC)을 뺀 값으로 ABS/RC와DIo/RC는 정의상관을 보인다. 저온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ABS/RC와 DIo/RC 값은 증가하였다. 회복 후 찻잎과 지상부(줄기)의 수분함량은 무처리에서 찻잎 57.9%, 줄기 32.9%, 평균(찻잎과 줄기 수분함량) 45.4%로 6시간 이상 저온에 처리 했을때 평균 수분함량이 30.0% 미만으로 감소하였으며, 줄기의 수분함량은 12시간 이상저온처리 시 20% 미만으로 감소하고, 찻잎의 수분함량은 24시간 이상 저온처리 시 30%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카테킨 함량은 무처리 2.4%에서 저온처리 1시간 후 5.1%로 증가하였으며 이후 감소하였다. 9시간 이상 저온처리하였을 때 무처리 보다 낮은 카테킨 함량을 보였다. 카페인 함량은 저온처리 3시간에서 가장 높이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저온(-10℃)에서 9시간 이후 처리 했을 때 찻잎의 회복이 불가능한 것으로 사려된다. The low temperature damage of tea trees due to the abnormal climate and the increase in cold weather such as frost at the time of harvesting high-quality tea are decreasing farm household in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ethod for diagnosing the degree of stress according to the time of low-temperature exposure and indexing the low-temperature damage. The varieties of tea tree (Chamnok) were exposed to 0, 1, 3, 6, 9, 12, 24, and 72 hours at -10°C, followed by a 4°C acclimation stage and a 10°C recovery stage. The photosynthetic ability, catechin·caffeine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tea trees were investigated at each stage. Fv/Fm of tea leaves before cold treatment was 0.7 or higher, 0.530 for 1-hour exposure, and 0.147 for 72-hour exposure. As the exposure time increased, the Fv/Fm value tended to decrease. The energy dissipation due to heat (DIo/RC) is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xed efficiency (ETo/RC) of photons absorbed from the reaction center ratio (ABS/RC). ABS/RC and DIo/RC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ABS/RC and DIo/RC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When exposed to low temperatures for more than 6 hours,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decreased to less than 30.0%. Catechin content increased to 5.1% after 1 hour of low temperature exposure and decreased from 3 hours of exposure. When exposed to low temperature for more than 9 hours, it showed a lower catechin content than no treatment. Caffeine content peaked at 3 hours of low temperature exposure and then decreased.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recovery of tea leaves is impossible when exposed after 9 hours at low temperature (-10℃).

      • KCI등재

        순차적 2중차광에 따른 차나무의 생육변화

        심두보(Doobo Shim),권미진(Mi Jin Kwon),강은주(Eun-Ju Kang),조경환(Kyung Hwan Cho),손용휘(Yong-Hwi Son),송성화(Seong-Hwa Song),정광희(Gwang Hui Jeong),김종철(Jong Cheol Kim),황정규(Jung Gyu Hwang) 한국차학회 2020 한국차학회지 Vol.26 No.1

        말차는 차광하여 재배한 찻잎을 비비지 않고 건조한 것을 덴차라고 하며 이를 분말기기로 갈아 미분상으로 제조한 것을 의미하는데 차광기간, 형태 등의 재배기술에 따라 품질에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본 연구는 순차적 2중차광에 따른 찻잎의 생육과 생리적 변화가 고품질 말차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찻잎 수확 전 엽록소함량은 순차적 2중차광(52.7) > 1중차광(49.9) > 비차광(40.2) 순으로 높았으며, 엽록소형광(Fv/Fm)은 순차적 2중차광(0.73) > 1일차광(0.67), 비차광(0.53) 순으로 측정되었다. 정규식생지수(NDVI)는 순차적 2중차광(0.72) > 1중차광(0.70) > 비차광(0.65) 순이 였으며, 단순식생지수(SR)는 순차적 2중차광(3.04) > 1중차광(2.82) > 비차광(2.30) 순으로 조사되었다. 엽장, 엽폭 및 엽면적은 1중차광 > 순차적 2중차광 > 비차광 순으로 생육이 높았으며, 절간길이는 비차광 > 순차적 2중차광 > 1중차광 순으로 조사되었다. 잎 표면의 녹색도(G-value)는 순차적 2중차광(62.9) > 1중차광(56.4) > 비차광(51.9)로 측정되었다. 전체적인 생리 및 생육상태를 보면 순차적 2중차광이 1중차광보다 찻잎의 색도를 증가시켜주고 차나무의 차광 스트레스 경감에도 효율적으로 판단된다. The term “matcha” means that tea leaves cultivated by shading are prepared by pulverizing the leaves with a grinding machine (such as using a stone mill or a ball mill) and this makes the tea leaves into a fine powder.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quality depending on cultivation techniques such as the shading period and the type of shad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tea leaves on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green tea according to the use of sequential double shading. As a result, the chlorophyll content before harvesting of tea leaves was higher in order of sequential double shading (52.7) > single shading (49.9) > non-shading (40.2),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Fv/Fm) was measured in the order of sequential double shielding (0.73) > single shielding (0.67) > non-shielding (0.53). The order of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was sequential double shading (0.72) > single shading (0.70) > non-shading (0.65), and the simple ration index (SR) was in the order of sequential double shading (3.04) > single shading (2.82) > non-shading (2.30). The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area were higher in order of single shading > sequential double shading > non-shading, and the internode length was in the order of non-shading > sequential double shading > single shading. The G-value of the leaf surface was in the order of sequential double shading (62.9) > single shading (56.4) > non-shading (51.9). The overall physiological and growth status shows that the sequential double shading increases the color of the tea leaves better than does single shading, and sequential double shading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shading stress of tea pl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