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입장에서 본 초등 교과교육과정의 내용 구조

        김세영 ( Se Young Kim ),정광순 ( Gwang Soon J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국가교육과정 주요 사용자인 교사의 입장, 특히 교육과정을 기초로 수업을 설계하는 관점에서 2009 개정 초등 11개 교과교육과정의 내용구조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교과교육과정은 3개의 수준(영역/내용 및 내용성취기준/요소 및 성취기준)으로 구별할 수 이었고, 이에 첫째, 교과별로 영역의 성격은 영역 간 독립형과 연계형이 있었다. 둘째, 교과의 교육과정 내용은 주로 단원 중심과 학습꺼리 중심으로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학습꺼리 중심이 내용 간 연계 운영에 더 유용했다. 셋째, 어떤 교과는 내용 수준에서, 어떤 교과는 요소 수준에서 성취기준을 진술하고 있었고, 진술 방식도 서로 상이했다. 이 연구 결과는 여러 교과를 다루는 초등교사의 입장에서 불편하였다. 그래서 교육과정 중심의 수업설계를 해야 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좀 더 용이한 초등 교과 교육과정의 구조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재검토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2009 revised subjects curriculum, in view of teacher as curriculum user, that work in design of unit or lesson. When teacher plan the unit or lesson based on curriculum, three elements of subject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domain, content, standard. So, I use this elements as criteria of analysis to explore the structure of subject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irstly, the nature of domain of subjects curriculum is classified as content-based or competence-based. Secondly, the characteristic of contents is fall into two categories: unit-oriented, something to cover lesson(eg, activity, scale of learning etc). Finally, the standards is stated at different levels: content level, content element level. This study found what the structure of subjects curriculum is useful for designing unit or lesson by teacher.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이야기

        김세영 ( Se Young Kim ),정광순 ( Gwang Soon J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2

        교사의 교육과정 가능성 영역은 ‘수업→교육과정 자료(교과서)→교육과정→학문 자료’로, 교사는 이 영역들을 넓혀가면서 교육과정을 경험하고, 이 경험 과정에서 교육과정 가능성을 발휘한다. 이 연구는 한 교사의 교육과정 이야기를 통해서 교사가 실감하는 교육과정, 교사가 발휘하는 교육과정 가능성의 실체가 무엇인지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김 교사가 교육과정을 경험한 것을 3개의 장면(교사로서 경험한 교육과정, 교과서 개발자로서 경험한 교육과정, 예비교사를 가르치는 강사로서 경험한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김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각 장면서 김교사가 실감한 교육과정이 무엇이었는지, 김교사가 발휘한 교육과정 가능성이 무엇인지 서술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교육과정 이야기는 교사의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가능성, 교육과정 문해력에 필요한 요소를 이해하는데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eachers` curriculum potential ranges from instruction (e.g., from textbooks), curriculum to scholarly materials. A teacher should extend this range while experiencing the curriculum, then the teacher can maximize the curriculum potential. This study aim to discover the curriculum potential that teachers can develop via storytelling about curricula, as well as what the true nature of curriculum is, based on a teacher`s own experience. For this purpose, I reconstructed Kim`s storytelling in three parts: as a teacher, as a textbook developer, and as a lecturer. In each part, I described what the curriculum Kim experienced was and what the curriculum potential was that Kim practiced. (What is the teacher`s story about curriculum?). A teacher`s curriculum story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eacher`s curriculum awareness, curriculum potential, and the elements of curriculum literacy.

      • KCI등재

        제4차 교육과정 시기의 초등학교 통합교과 생성 과정 고찰

        조상연 ( Sang Yean Jo ),정광순 ( Gwang Soon J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제 4차 국가교육과정 개정 당시의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 생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교육과정 개정 과정을 설명.분석하는 체제를 제시한 Thomas(1968)의 준거에 따라 제4차 국가교육과정을 개정하면서 초등학교에 통합교과를 도입한 과정을 고찰하고, 당시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아이디어는 인간중심 교육에 대한 방향을 구체화한다는 의미에서 교과서의 모습으로 구체화되었다. 둘째, 제4차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주체는 국보위, 문교부, 개발원을 중심으로 한 참여자들이었다. 우선 국보위는 초법적인 위치에서 국가교육과정 개정을 통해서 과열과외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집권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리고 문교부는 시행 기구로서 자신이 가진 법적 권한을 행사하여 국가교육과정 개정을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원은 교육과정 및 교과서 연구 개발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국가 수준교육과정 연구 기관(CDC)으로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개발원 내의 연구체제를 정비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은 첫째, 학생의 학습을 배려하려는 의도로 둘째, 정책적으로 도입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ss of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in terms of that the revision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quite political. For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n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criteria of Thomas(1968). Because of his criteria offer the system that is explain and analyze the revision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the fourth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developed for the leading of three units they were the National Emergency Response Committe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is process,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ould be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various interactions of the three units

      • KCI등재

        교과서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초등 통합교과를 중심으로

        조상연 ( Sang Yean Jo ),김세영 ( Se Young Kim ),정광순 ( Gwang Soon J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3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편찬 과정을 분석하여 현행 초등 통합교과(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교과서 개발과정에서 주어진 교육과정을 어떻게 편성하였는지를 분석하였고, 이 분석 결과에 기초해서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대주제, 소주제, 활동주제 및 성취기준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과서의 교육과정 편성은 분책계획 단계에서 대주제를 기준으로 16책을 개발하였다. 이에 현 8개의 대주제가 적절한지, 16개로 확장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논증하고 실증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각 책의 단원은 교육과정 소주제를 기준으로 편성하고 있었다. 이에 각 대주제를 구성하는 4개의 소주제 조직의 원리를 탐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주제별 교과서 차시의 내용 및 활동 선정의 기준은 교과별 활동주제와 성취기준이었다. 이에 총 99개(바른 생활, 33개, 슬기로운 생활 33개, 즐거운 생활33개)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을 교과서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성취기준이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광범위하거나, 협소하여 개선이 필요한것이 13개였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potential improvements or the Korean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for Grade 1 (G1) and Grade 2 (G2), by examining approaches to compiling national textbook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process by which textbooks organize the given curriculum, providing suggestions for main-themes, sub-themes, and activity-theme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irstly, sixteen national textbooks have been organized according to the main-them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se themes have been bound into plans, represented by fascicle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research be undertaken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themes should be expanded from eight to sixteen. Secondly, each lesson in the textbooks has been organized according to sub-them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principle of organizing each main theme into four sub-themes should be investigated. Finally, the standards of the content and activity-selection lessons focus on activity-themes and academic achievements; as a result, all ninety-nine academic achievements for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were analyzed. This study found that thirteen of these academic achievements are inordinately abstract, lacking in comprehensiveness, or are exceedingly narrow. Improvement plans for these academic achievements are suggested.

      • KCI등재

        교사의 교육과정 분석 현상 탐구

        유성열(Yoo Sung-yeol),이찬희(Lee Chan-hee),남승종(Nam Seung-jong),김상헌(Kim Sang-heon),정광순(Jung Gwa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교사가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현상을 드러내기 위해 2020년 10월 12일 부터 2020년 12월 20일까지 12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델파이 연구를 통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1차 델파이에서는 ‘교육과정을 분석할 때, 무엇을 어떻게 분석하는가’를 개방형으로 설문하여, 총 127문항(무엇을 69개, 어떻게 58개) 을 얻었다. 둘째, 2차 델파이는 1차의 결과를 3개의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총 62개의 문항을 얻었다. 셋째, 3차 델파이는 내용타당도(CVR)를 통해서 45개, 다시 합의도를 고려해서 최종 28개 문항을 확정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가 교육과정을 분석 하는 현상을 세 가지로 논의하였다. 첫째, 교사가 분석하는 대상은 다양했다. 즉 교사는 교육과정 실행의 장에 존재하는 국가교육과정, 지역교육과정, 학교교육과정, 교실교육과정 등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있었다. 둘째, 각 교육과정에서 교사가 분석하는 것은 각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기준과 내용이었다. 셋째, 교사가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목적(이유)은 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Delphi study targeting a group of 12 experts to reveal the phenomenon that teachers analyze the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first Delphi what and how to analyze when analyzing the curriculum, a total of 127 questions (69 what, 58 how) were obtaine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Second, in the second Delphi, the results of the first order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and a total of 62 items were obtained. Third, in the 3rd Delphi, 45 items were determined through the content validity (CVR), and the final 28 items were confirmed by considering the degree of agreement. Based on this result, three phenomena in which teachers analyze the curriculum were discussed. First, the subjects analyzed by teachers were diverse. In other words, the teacher was analyzing the curriculum targeting the national curriculum, regional curriculum, school curriculum, and classroom curriculum that exist in the field of curriculum execution. Second, what teachers analyzed in each curriculum were the standards and contents presented in each curriculum. Third, the purpose (reason) for the teacher to analyze the curriculum was for the teacher to develop th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