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행정기본법」에 따른 자기완결적 신고와 수리를 요하는 신고의 재검토

        정관선,박균성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3

        ‘A report requiring acceptance’ emerged as a new type of regulation to relax regulation, and it is positioned between permission and a report. Both academia and courts set a report requiring acceptance from a self-satisfying report(a report as an original meaning) and legal theories were sharply opposed regard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m. On 23 March 2021 was enacted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hereinafter, ‘General Act’), which stipulates the principles of enforcement and basic matters regarding administrative legislation. Article 34 of the General Act reads that ‘a report requiring acceptance’ is the one in a case where a statute expressly provides that such report requires acceptance excluding cases where acceptance is provided as an internal affairs process of an administrative agency.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have the individual act specify the need for acceptance in the case of a report that requires accep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substantive nature of the reports stipulated in various ways in different acts. As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premised on clearly defining the nature of the report under an act, this paper reviews the criteria to distinguish reports requiring acceptance from self-satisfying reports viet interpretation theories, on the one hand, and discusses the legislative standards to set reports requiring acceptance apart from self-satisfying reports in the light of the substance and nature of reports requiring acceptance in each act, on the other hand. Clear-cut interpretation standards is required to reason whether an act clearly states the need of acceptance of a report. This paper suggests a way to provide phrases such as ‘acceptance is in need’, ‘... is the report that requires acceptance’, or ‘... shall be accepted for it to take effect.’ The legislative standards for self-satisfying reports and reports requiring acceptance, furthermore, need be based on whether substantive review is essential when revising or newly drafting individual reporting regulations. When a substantive review is necessary for matters that may affect people’s life and safety, or matters related to business that requir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nd etc., there should be no provision for deeming reports to be accepted, however. The General Act turned the matter of distinction between a self-satisfying report and a report requiring acceptance into a matter of legislative standards. When the legislative intent to view as a report requiring acceptance is still ambiguous or when the legislation does not conform to the nature of the substantive acceptance, however, based on the nature of the report requirements and the review for the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heories, a report with only a formal requirement is considered as a self-satisfying report in principle, and when both the formal and substantive requirements are reporting requirements but only a formal review of the substantive requirements is possible, it is regarded as a self-satisfying report, and in cases where it is reasonable to decide whether to acceptance or not after a substantive examination, it shall be regarded as a report requiring acceptance. 규제완화를 위해 허가와 신고(본래 의미의 신고) 사이에 수리를 요하는 신고라는 새로운 형태의 규제가 등장한 이래 본래의 신고(자기완결적 신고)와 수리를 요하는 신고의 구별을 학설과 판례가 인정함으로써 수리를 요하는 신고와 자기완결적 신고의 구별에 관하여 해석론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었다. 2021년 3월 23일행정법 분야의 집행 원칙과 기본사항을 규정한 「행정기본법」」을 제정하였다. 신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개별법만으로는 명확하지 않았던 것을 「행정기본법」 제34조를 통해 행정기관의 내부 업무 처리 절차로서 수리를 규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법률에 신고의 수리가 필요하다고 명시되어 있는 경우를 수리를 요하는 신고로 규정하였다. 동 규정의 입법취지는 개별법상 다양하게 규정되어 있는 신고를 그 실질적 성격을 고려하여 수리를 요하는 신고의 경우 수리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개별법으로 명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행정기본법」 제34조의 입법취지가 개별법상 신고의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을 전제함에 따라, 본 논문은 한편으로는 해석론으로 자기완결적 신고와 수리를 요하는 신고의 구별기준을 재검토하고, 다른 한편으로 개별법령에서 수리를 요하는 신고의 본질이나 성질을 고려하여 자기완결적 신고와 수리를 요하는 신고를 구별하여 규정하는 방식에 대한 입법기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법률에 신고의 수리가 필요하다고 명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해석기준을 보다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수리가 필요하다’, ‘수리를 요하는 신고다’, 또는 ‘수리되어야 효력이 발생한다’와 같은 문언을 규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개별 신고규정을 정비하거나 새로 입안할 때에 자기완결적 신고와 수리를 요하는 신고의 입법기준은 실질 심사가 필요한지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신고 수리 간주 규정을 둘 때에는 국민의 생명이나 안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이나 전문자격에 따른 영업에 관한 사항 등 실질적인 심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신고 수리간주 규정을 두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행정기본법」이 제정됨에 따라 자기완결적 신고와 수리를 요하는 신고의 구별이 입법기준의 문제로 옮겨 왔지만 여전히 수리를 요하는 신고로 보려는 입법의사가 애매한 경우, 또는 입법이 실질적인 수리의 성격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래의 해석론에 따라 신고요건의 성질 및 신고요건에 대한 심사방식을 기준으로 신고요건이 형식적 요건만인 신고는 원칙상 자기완결적 신고로 보고, 형식적 요건뿐만 아니라 실체적 요건이 신고요건이지만, 실체적 요건에 대해 형식적 심사만 가능한 경우에는 자기완결적 신고로, 실질적 심사를 거쳐 수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타당한 경우에는 수리를 요하는 신고로 보아야 한다.

      • KCI등재

        프랑스 원자력 가속화에 관한 법률의 시사점

        정관선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4 동북아법연구 Vol.17 No.4

        The IPCC's assessment reports serve as a reminder of the urgency with which we must take swift, comprehensive, long-term, and massive action to keep global warming to 2°C. In order to leave future generations with a habitable Earth, we must make this climate endeavor. It necessitates actions tailored to the problem. The necessity of drastically cutting our greenhouse gas emissions reinforces one another and serves as a timely reminder that action must be taken to begin the process of decarbonization. Thanks to historic energy policy decisions, France will be well ahead of its European neighbors in 2022 when it comes to the decarbonization of its economy. It also has to do with bringing nuclear energy back to life. In this regard, France established the "Act relating to the acceleration of procedures linked to the construction of new nuclear installations near existing nuclear sites and the operation of existing installations(n° 2023-491, 22 June 2023)". Energy planning is updated by the Act. It streamlines the administrative processes involved in building new nuclear reactors. It also covers nuclear security and safety as well as the expansion of outdated power facilities. It is challenging to continue with a nuclear phase-out approach while dealing with the climate catastrophe. Then, as France's legislative example suggests, it need to legislatively review measures to simplify procedures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new nuclear power plants on the one hand, and extend the lifespan of existing nuclear reactors while controlling nuclear safety on the other.

      • KCI등재

        프랑스 식품안전 분야에서 사전배려의 원칙에 따른 국가배상책임

        정관선 대한변호사협회 2015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52

        . 위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후감독뿐만 아니라 예방적 접근이 중요하며, 특히 식품위험의 경우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중대한 손해가 있은 후에는 돌이킬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사전예방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 더욱이 유전자변형식품, 광우병, 방사능오염 식품 등 잠재적 위험에대한 예방조치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사전배려의 원칙은 식품안전관리의 일반원칙으로서 고려되어 지고 있다. 사전배려원칙의 실행은 결정 절차의 준수 및 의무를 산출하며, 한편으로 법적인 힘의 실행은항상 그 자체로 책임을 수반한다. 사전배려의 불충분과 마찬가지로 사전배려의 남용도 행정의 과실을구성할 수 있다. 국가배상책임에 있어 사전배려의 원칙이 전통적인 책임제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문제에 대하여 프랑스의 논의 및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프랑스행정법에서 행정배상책임은 과실책임(responsabilité pour faute), 위험책임(responsabilité pour risque) 및 협의의 무과실책임(responsabilité sans faute)을 논하고, 통상 공토목공사(travaux publics)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은 별도로 논해지고 있다. 국가의 사전배려의 원칙 위반에 따른 행정배상책임은 위의 틀 속에서 크게 두 가지로 유형화 할 수 있다. 첫째, 국가, 식품위험을 야기하는 자, 식품위험의 피해자 즉 소비자로 구성된 삼면관계에서 국가가사전배려의 원칙을 위반하여 불충분한 조치를 취했거나 예방적 조치를 해태함으로써 야기된 손해에 대한 과실책임과 둘째, 공적부담 앞의 평등원칙(l'égalité devant les charges publiques)이 무너진 경우, 구체적으로 기업들이 시장에서 제품을 회수하거나 도살하는 내용의 법규명령을 따름에 따라 일부 기업들만 다른 기업들에 비해 중대한 불평등 상황 속에 놓이게 되는 경우의 무과실책임이 그것이다. 위 두 경우 공권력의 책임은 시장경제와 소비자의 안전의 균형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프랑스에서는 위험책임이론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시작하여 사전배려 개념 하에 책임론을 재정립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과실책임을 확대하고자 하는 견해는 사전배려의 원칙이 위험평가와 같은 필수적인절차와 불확실한 위험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의무를 증대시키는 것을 지향함에도 불구하고 사전배려 결여에 대한 과실 성립의 어려움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사전배려의 소급의무를 거부하는 프랑스 판례에 의하여 설정된 과실성립의 시점 및 입증책임 완화의 필요성에대하여 논의하였다.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작금의 상황에서 사전배려조치 해태에 대한 행정상배상책임을 묻고 있는 프랑스 판례는 우리에게 국가의 예방적 조치를 통한 안전의무의 이행을 촉구하는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프랑스 사이버안보 입법동향과 시사점

        정관선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東亞法學 Vol.- No.82

        New destructive practices are developing in cyber space, including criminal use of the Internet (cyber crime), including for terrorist purposes; large-scale propagation of false information; espionage for political or economic ends; and attacks on critical infrastructure (transport, energy, communication, etc.) for the purposes of sabotage. Cyber security covers the entirety of security measures that could be taken to defend against these attacks. The spectacular increase in the sophistication and intensity of cyber attacks has, in recent years, led most developed countries to toughen their resilience and adopt national cyber security strategies. France’s national cyber security policy is based on two essential texts: The 2013 White Paper on national security and defence and the 2015 National Strategy for Digital Security. With the National Cyber Security Strategy, the French State is working to ensure the security of IT systems to move towards a collective response, towards the digital trust required for the stability of the State,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protection of citizens. Many players contribute to the efficacy of this strategy from technical and operational standpoints. Created in 2009, the French Network and Information Security Agency (ANSSI) is the French national authority on cyber security. The authority is a genuine “firefighter” of French cyberspace, it is responsible for preventing (including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and reacting to IT incidents regarding sensitive institutions. It also organizes crisis management exercises on a national level. ANSSI currently has over 500 staff members and continues to grow. The French Ministry of Defence has a dual mission to ensure the protection of the networks which underpin its action and to integrate digital warfare into military operations. In order to consolidate the Ministry’s work in this field, a cyber defence operational chain of command (COMCYBER), placed under the orders of the Armed Forces Chief of Staff, was created in early 2017. The French Ministry of the Interior aims to fight against all forms of cybercrime, aimed at national institutions and interests, economic stakeholders and government authorities, and individuals. It therefore involves specialised central services and the territorial networks of the general directorates of the national police, French gendarmerie and national security. They are responsible for leading investigations aimed at identifying those responsible for acts of cyber crime and handing them over to the authorities. These services also help to carry out prevention and awareness-raising activities with the relevant audiences. It should be noted that France establishes the above-mentioned organization and imposes its duties in order to guarantee cyber security, and at the same time, stipulates that the authority granted for guaranteeing cyber security should be used within the scope of the law. It is the “loi n°2015-912 du 24 juillet 2015 relative au renseignement”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짐에 따라 국가정보통신망을 불법침입․교란․마비․파괴하거나 정보를 절취․훼손하는 등의 사이버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공격으로부터 국가정보통신망을 보호함으로써 국가정보통신망과 정보의 기밀성․무결성․가용성 등 안전성을 유지하여야 할 필요성이 더욱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이버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통령 훈령인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를 통하여 국정원 소속의 ‘국가사이버안전센터’의 설립 및 임무에 관하여 규정하였다. 이에 비하여 프랑스는 수상 직속의 국가방위․안보사무처(SGDSN) 산하에 국가정보시스템안전원(ANSSI)을 두고 있다. 국가정보시스템안전원의 조직 및 임무에 대하여는 2009년 7월 7일 데크레 제2009-834호로 규정하였다. 또한 프랑스는 국가정보시스템안전원(ANSSI) 외에도 각 부처별 소관 사무와 관련된 사이버안보를 담당하는 기관이 존재한다. 사이버안보 조직의 설치 및 임무를 법령차원으로 규정한다는 것은 많은 것을 함의한다. 특히 범부처 차원의 기관인 경우에는 더욱 기관 간의 협력에 대한 규정 등 매우 실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프랑스는 사이버안보를 보장하기 위하여 조직을 설치하고 임무를 부과함과 동시에 사이버안보의 보장을 위하여 부여된 권한을 법률이 정한 범위 내에서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2015년 7월 24일 정보에 관한 법률(loi n° 2015-912 du 24 juillet 2015 relative au renseignement)’이 그 대표적인 입법례이다. 프랑스 ‘정보에 관한 법률’은 사이버안보를 포함한 국가안보와 관련된 목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 목적과 사용하고자 하는 기술장치, 기한 등을 명시하여 외부의 독립된 기관인 국가정보기술감독위원회(CNCTR)의 의견을 거쳐, 수상이 사전 허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불법적인 감시를 받거나 받았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은 국가정보기술감독위원회에 이의신청을 거쳐 국사원에 제소할 수 있고 국가정보기술감독위원회도 그의 의견 또는 권고가 관철되지 않았거나 그의 의견에 따른 후속조치가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 위원회 또는 세 명의 위원들이 국사원에 제소할 수 있다고 규정함으로써 이중통제에 따르도록 하였다. 프랑스 헌법재판소(Conseil constitutionnel)는 차후에 개입할 수 없는 임박한 위험 및 매우 높은 정도의 리스크가 예견되는 경우에 의견 청취 절차 및 사전 통보를 규정하지 않는 조항(안보법전 제L.821-6조)을 사생활 존중 및 통신비밀권의 명백한 침해라고 보았다. 정보에 대한 공공정책은 한편으로는 국가안보전략, 방위, 국가의 중요한 이익의 향상에 기여하여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생활의 존중 특히 통신의 비밀을 보장하여야 한다. 공공기관은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익에 대한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만 법률에서 정한 제한 내에서 비례의 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 KCI등재

        프랑스 원격의료 법제에 관한 고찰

        정관선 대한의료법학회 2022 의료법학 Vol.23 No.2

        Article 34 of ‘Medical Service Act’ of Korea provides telemedicine service between medical personnel. Telemedicine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therefor, in principle, is not recongnized. Increasing demand for telemedicine fueled by COVID-19 pandemic and accumulation of telemedicine experience lead a change in stubborn opposition of the medical community, tenuous though it may b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elemedicine legislation in France, which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telemedicine legislation premised on telemedicine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The legislation stipulates the concept, types, and conditions of telemedicine performance through ‘Code de la santé publique’. The principle that telemedicine shall be performed alternately with direct medical treatment to a patient and details relating to such telemedicine performance as telemedicine costs, medical fees, and telemedicine equipment support are stipulated through an agreement between the medical community and health insurance organizations. From this point, the implications for our legal system were presented. 우리나라는 의료법 제34조에서 의료인 간 원격의료를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원격의료는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원격의료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고, 다른 한편으로 원격의료의 경험이 축적되면서 의료계의 강경한 반대입장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의료인-환자 간 원격의료를 전제로 한 원격의료법제에 참고가 될 수 있는 프랑스의 원격의료법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프랑스는 「공중보건법전(Code de la santé publique)」을 통해 원격의료의 개념, 유형 및 원격의료 수행 조건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원격의료는 대면진료와 번갈아 가며 수행되어야 한다는 원칙 및 원격의료 비용과 의료수가, 원격의료장비 지원 등 원격의료 수행에 관한 세부내용을 의료계와 건강보험기구가 체결한 협약을 통해 규정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우리법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가공무원법 제33조 제6의4호 임용 결격사유 개선방향 - 헌재 2022. 11. 24.선고 2020헌마1181결정을 중심으로 -

        정관선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論叢 Vol.57 No.-

        「국가공무원법」 제33조는 공직을 수행하기에 명백히 부적격한 사람이 공직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무원의 직무수행에 대한 국민 신뢰를 확보하기 위하여 공무원 임용 결격사유를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2019년 아동에게 메시지를 보내 성희롱 등 성적 학대를 했다는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벌금 400만 원을 선고받은 공무원준비생 A가 미성년자 대상 성범죄자에 대하여 영구히 임용을 제한하는 동조 제6의4호가 자신의 공무담임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며 헌법소원을 청구한 사건에서, 헌법재판소가 심판대상조항에 대해 미성년자 대상 성범죄자의 공직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고자 한 입법목적과 수단의 적합성은 인정되지만, 임용예정 직무와 상관 없이 그리고 형의 경중에 관계없이 영구히 임용을 제한하는 것이 과잉금지의 원칙에 위배된다고 하여 헌법불합치결정(2020헌마1181)을 내리면서 법적 공백을 방지하기 위하여 2024년 5월 31일까지 현행 규정의 계속적용을 선언하였다. 이에 따라 「국가공무원법」 제33조를 정비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동 규정의 개정 방향과 관련하여 헌법재판소가 제시한 위헌성을 해소하는 문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첫째 임용예정 직무 관련성에 관하여, 미성년자 대상 성범죄자를 아동 관련 직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형의 경중에 따라 임용결격 사유를 정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확정된 형벌에 따라 결격사유를 규정하면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벌금 이상의 형” 또는 “100만 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형이 확정된 사람에 대하여 임용을 제한하도록 규정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셋째, 개정안의 주요 쟁점인 임용 결격기간에 대해서는 인사혁신처가 제시한 20년 또는 문진석의원이 제시한 15년 모두 형의 경중에 따른 제한이 아니라는 점에서 헌법재판소가 지적한 위헌성이 완전히 해소되었다고 볼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헌법재판소 결정 취지에 부합하는 대안으로서,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45조에서 신상정보의 등록 기간을 형의 경중에 따라 차등화하고 있는 것처럼 10년 초과의 징역・금고형을 선고받은 사람, 3년 초과 10년 이하의 징역・금고형을 선고받은 사람, 3년 이하의 징역・금고형을 선고받은 사람, 벌금형을 선고받은 사람을 구분하여 각각의 결격기간을 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누범의 경우에는 그 결격기간을 두 배로 연장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직 임용을 영구히 제한하던 현행 규정을 일정 기간 동안 제한하는 것으로 개정할 때에는 결격기간의 기산점을 명확히 규정하여야 한다는 점도 분명히 하였다. Article 33 of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stipulates the grounds for disqualification from appointing public officials.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nonconforming to the constitution against No. 6-4 of the same article (2020Hun-Ma1181), which permanently restricts the appointment of sex offenders for children or youth, and declared the continued application of the current regulations until May 31, 2024. Accordingly, it became necessary to reorganize Article 33 of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This paper reviews the issue of resolving the unconstitutionality propos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the Act. First, regarding the relevance of his or her duty to be appointe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necessary to limit sex offenders targeting children or youth to child-related duties. Second, for the issue of determining the grounds for dis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sentence, the grounds for disqualification may be defined according to the confirmed punishment. Specifically, it was proposed to stipulate that the appointment be restricted to those who were sentenced to “a sentence of more than a fine” or “a fine of 1 million won or more” and whose sentence was confirmed. Thir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unconstitutionality pointed out by the Constitutional Court cannot be completely resolved in that neither the 20 year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Personnel Management nor the 15 years proposed by Rep. Moon Jin-seok are restrictions on the severity of the sentence. With reference to Article 45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in which the registration period of personal information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sentence, t wa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o define each disqualification period by dividing a person sentenced to capital punishment, imprisonment with labor for an indefinite term, imprisonment without labor for an indefinite term, or imprisonment with or without labor for more than 10 years, person sentenced to imprisonment with or without labor for more than three years but not more than 10 years for a sex crime which causes the registr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 person sentenced to imprisonment with or without labor for not more than three years, and a person subject to a fine. In addition, in the case of repeated crimes, it is proposed to double the disqualification period. Finally, it is also clear that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qualification period should be clearly defined when the current regulations, which permanently restricted the appointment of public officials, are revised to be restri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KCI우수등재

        약제 요양급여의 공법적 검토

        정관선,박균성 한국공법학회 2023 공법연구 Vol.52 No.1

        2019년 4월 보건복지부는 「국민건강보험법」 제3조의2에 근거한 ‘제1차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2019~2023)’을 발표하였다. 동 계획은 다음 두 가지내용을 담고 있다. 하나는 비급여의 급여화를 통해 건강보험 보장성을 강화하는 계획이고 다른 하나는 보험급여 재평가를 통한 급여체계 정비하는 것이다. 약제의 경우 동 계획에 따라‘급여 적정성 재평가’를 실시하고 재평가 결과를 기초로 약가 및 급여기준을 조정하거나 건강보험 급여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등 후속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요양급여의 결정(통상의 요양급여의 결정 및 선별급여의 결정) 및 조정과 통상의 요양급여를 선별급여로 변경하는 과정이 법령에 따라 적법한 절차에 따라 행해지지 않아, 이와 관련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는 요양급여 관련 법령이 복잡한데다 요양급여 결정이 단계적으로 고시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법률-명령-고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야 하고, 선별급여와 통상의 요양급여의 차이를 구별하여야 하는데, 이에 관한 고려가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요양급여 관련 법령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제기되는 문제점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약제 요양급여와 선별급여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요양급여 및 선별급여 결정절차와 법적 성질 및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통상의 요양급여를 선별급여로 변경하는 것과 같이 요양급여 조정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약제 요양급여 관련 문제를 연구하였다. In April 2019,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the ‘1st Comprehensive National Health Insurance Plan (2019-2023)’ based on Article 3-2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This plan contains the following two contents: One is a plan to exp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by changing non-benefits into benefits, and the other is to reorganize the benefit system through reassessment of insurance benefits. In the case of medicines, ‘Benefits Appropriateness Reassessment’ is being conducted according to the plan, and follow-up measures are being taken, such as adjusting medicine prices and benefits standar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assessment, or deciding whether to maintain health insurance coverage. However, problems were raised because the process of determining and adjusting medical care benefits (determination of regular health care benefits and selective benefits) and changing regular medical care benefits to selective benefits was not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procedures stipulated by laws. This problem is caused by not considering, first, the complexity of laws related to medical care benefits, second, the legal structure of determining medical care benefits, which requir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aws, orders, and notices, and third, the need to distinguish between selective benefits and regular medical care benefits. Therefore, this paper systematically analyzes laws related to medical care benefits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problems raised and seek solutions. To this end, we first clarified the concepts of medical care benefits and selective benefits, and reviewed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medical care benefits and selective benefits, as well as their legal nature and effects. In addition, we studied issues related to medical care benefits that occur during the medical care benefits adjustment process, such as changing regular care benefits to selective benefits.

      • KCI등재

        한국과 프랑스의 연안침식 대응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정관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3 Ocean and Polar Research Vol.45 No.4

        One reason for the constant change of coastlines is related to natural factors such as waves, tides, changes in ocean currents, and sea level rise, and another reason is with regard to artificial factors such as man-made structures in coastal areas. The recent intensification of climate change is accelerating common efforts around the world to cope with the phenomenon of beach regression. Korea designates Coastal Erosion Management Zones under the 'Coast Management Act' to mitigate its coastal erosion. France, on the other hand, enacted the 2021 Climate Act that promotes adaptation to territory due to beach regression, while gradually limiting development activities at the urban planning level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coastline through Loi Littoral (The French Coastal Law). This paper reviews the coastal erosion management legislation of both countries, derives implications for legislation in Korea based on an assessment ofFrench legislation, and presents an improvement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