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숙자를 위한 만다라 미술치료 체험연구

        정경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숙자가 만다라 미술치료를 통해 체험하는 본질과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체험의 본질에 집중’, ‘체험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의 글쓰기’의 4단계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체험의 본질에 집중’하는 단계에서 연구자는 노숙자들이 만다라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들을 하였으며, 만다라 미술치료가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에 대한 현상학적 질문을 형성하였다. ‘체험탐구’ 단계에서는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서울 송파구 ‘H 무료급식소’를 이용하는 노숙자들에게 만다라 미술치료를 소개한 후 2회의 프로그램을 먼저경험토록 하였다. 이후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2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논문에 관련된 연구자료 사용에 동의하였다. 미술치료는 2006년 8월 중순부터 10월 초까지 7회기로 진행되었고, 개별 인터뷰는 모든 회기가 종료된 다음에 참여자의 상황에 맞추어 이루어졌다. 녹음된 진술 내용은 자료 분석 시 참고자료로 사용되었으며, 그 외에도 참여자들의 작품과 회기 중 관찰된 내용들이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 단계에서는 참여자들의 진술을 분석하여 <인정하고 싶지 않은 현재의 나를 바라봄>, <노숙과정의 경험을 만다라 그림으로 풀어냄>, <즐겁고 마음 편한 만다라 그리기>, <삶에 대한 기대감>의 4개의 대 주제와 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해석학적 현상학의 글쓰기’단계에서는 참여자의 일인칭 서술 방식으로 만다라 미술치료 체험에 대한 글쓰기를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이상의 본질적 주제와 하위주제들을 바탕으로 하여 노숙자가 만다라 미술치료를 통해 체험한 것이 무엇인지 또 만다라 미술치료가 노숙자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에 대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료급식소를 이용하고 있는 노숙자의 만다라 미술치료는 만다라 속에 비쳐진 자신의 내면의 갈등을 스스로 읽게 하고 이를 안전하고 자연스럽게 드러내 표출하도록 이끌어 주므로 해서 창조적인 시각으로 자신을 바라 볼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경험이다. 둘째, 무료급식소를 이용하는 노숙자에게 만다라 미술치료는 과거를 회상하게 하며 미해결된 감정의 갈등과 상처들을 현재에 가져와 재 경험할 수 있게 하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노숙자에게 만다라 미술치료는 자신의 잠재된 내면의 에너지를 스스로 발견하여 삶의 의지를 확인하게 하고 미래를 소망할 수 있는 체험이다. 마지막으로 삶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인 의식주조차 해결되지 않는 노숙자에게도 만다라 미술치료는 창조의 즐거움과 표현의 만족감을 통해 내적인 풍요로움을 경험하게 해주는 시간이다. 이러한 결론에 근거하여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하여 논의 할 수 있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숙자의 연령·성별·노숙경위·노숙형태 등이 고려된 다각도의 연구가 행해져야 한다고 본다. 특히 여성 노숙자는 노숙자 사이에서도 소수자로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러한 소수자 속의 소수자를 위한 접근이 이루어 질 때 좀 더 효과적인 치료적 환경으로 미술치료가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둘째, 노숙은 만성 상태가 되면 이미 여러 정신질환과 신체질환으로 건강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역할하기가 불가능하므로, 노숙초기 무렵부터 예방적 차원의 미술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본 연구에서처럼 급식소 이용 노숙자의 경우 개개인의 여건에 따라 시설이용여부가 달라지므로 미술치료를 소개하고 지속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 시 에는 이러한 환경적 여건을 고려한 시도가 요구된다. 넷째, 신뢰 형성에 어려움이 있는 노숙자에게 본 연구의 짧은 치료기간은 더욱 심도 있는 체험의 장으로 역할을 하기에 제한 사항이 될 수 있음을 고려해 볼 때 좀 더 장기간에 걸친 안정적인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Homeless' experiences from Mandala art therap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was process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urning to the nature of lived experience', 'investigating experience as we live it',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so on by applying the research method of Max van Manen, which are one of the quality research methods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On the stage of the 'turning to the nature of lived experience', the phenomenological question, 'how are the experiences of the Homeless from mandala art therapy and what do they to them?' is made. On the stage of the 'investigating experience as we live it', various kinds of materials are collected. The participants were tow Homeless from 'H soup kitchen in Songpa-gu , Seoul. The participants agreed that the individual interview can be recorded and their drawing from Mandala art therapy can use for the study. To collect the research information, 7 times of mandala art therapy carried out from August 2006 to October 2006. The individual interview about discussing the each therapy session conducted separately.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written down exactly what the Homeless said and it used as a major data for this study.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participants' statements at the reflection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four main subjects were revealed as following; <To look upon Current Myself >, <To Come out the Homeless experience in the Mandala>, <A Happy and Peaceful Mandala painting>, <The Expectance of My Life>.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made for the meaning of mandala art therapy that the Homeless experienced based on the main subject and their subordinate subjects. First, mandala art therapy is an experience of symbolic communication that allows a person to express their inner-self freely and disclose their mental conflict. Second, mandala art therapy is an experience to manage the personal conflict totally. Third, mandala art therapy is an experience to find potentiality. The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works as guidelines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Homelessness and finds out hope.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made for the meaning of mandala art therapy that the Homeless experienced based on the main subjects and their subordinate subjects. First, Not only the age, the sex but also the personal specific issues could be considered in various aspects. More meaningful therapy could be possible when we consider the Women Homeless to be minority groups. Second, the early intervention that has happen before settle down is important to take precaution and keep their mental health. Third, the success of mandala art therapy depends on attempt at considering art therapy's introduction and sustainability. Finally, it is expected that art therapy over the long-term lasting sessions should be able to provide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Considering that the Homeless are in unstable attitude mental status, it was founded during the research that it took more time in the beginning stages for they to feel intimacy.

      • 초등교육과정 예술교육으로서의 교육연극 통합수업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경림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교육과정 예술교육으로서 교육연극 통합수업 연구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사회와 학문 그리고 과학이 발달하면서 교육계에서 인식하게 된 것은 개별적으로 발달해오던 학문은 점점 더 학문 간의 벽을 낮추고 통합해야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는 점과 계별 교과 수업으로 전달되던 정보는 학습자에게 낱개의 지식이 추상적으로 남아 종합적이고 확산적인 사고를 신장시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통합교육은 학습자들이 개별교과 지식을 여러 교과의 시각과 연계하여 바라보도록 하며, 편견과 왜곡됨 없이 학습 대상을 여러 교과의 특수성을 살린 시각으로 확산적이고 종합적으로 사고하도록 돕는다. 통합교육의 이러한 특성은 바로 전인교육을 달성하는데 매우 적절한 교육 방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전인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과거와 별 다름없이 주지교과에 더 많은 시간과 비중을 두고 있는 실태이다. 이러한 현실에 맞추어서 주지교과에 예술교육인 교육연극의 요소를 도입한 통합교육 과정을 적용한다면 학습효과 면에서 현재보다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교육연극은 창의성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를 산출하도록 하는 것으로, 교육연극 통합수업은 감성과 이성을 모두 활용하는 학습방법이다. 그로인해 교육연극 통합수업은 단지 지식 습득을 주목적으로 하지 않고 예술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학습목표와 연관하여 통합적으로 교수-학습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합교육 측면에서는 학습자들이 무엇을 알아야 하는 것 보다 어떤 방법으로 배우는가가 중요하다. 초등교육과정의 학습자들은 놀이를 통해 성장하며 놀이를 통해 배운다. 이 시기 학습자가 지닌 놀이적 특성은 연극의 본질과 맞닿아 있으며, 따라서 학습자에게 놀이성이 살아있는 연극적인 방법과 타 교과간의 통합 교수-학습은 학습자들에게 지식과 감성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보다 더 많이 제공할 수 있다. 연극과 타 교과간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은 학습자의 성장은 분리되어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미적 체험활동의 기회가 확대되고 타 교과의 지식 습득을 돕는다는 교육과정 운영 면에서도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타 교과와 연극과 통합교육 방안 모색을 위하여 먼저 문헌을 통하여 통합 교육의 이론을 고찰해 보고 타 교과와 연극과의 내용을 분석한 후 통합 적용되는 교수-학습 활동을 통하여 통합 교육의 실효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도록 한다. 본 연구의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방법을 소개했고, 2장에서는 통합교육과 교육과정의 의미 및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연극의 교육적 가치와 통합교육으로서의 기능을 일람하였으며, 4장에서는 교육연극의 통합 지도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5장에서는 교육연극과 초등학교 6학년 교과 간 연계통합수업 과정을 교육연극과 국어, 사회, 도덕에 따른 수업 모형과 결과를 다루었다. 연극과 타 교과와의 부분적 통합을 시도함으로써 연극만의 독자성을 살리면서 다양한 상황 속에 연극적인 방법을 응용하여 각 교과에 기여적인 성격을 가지도록 통합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지금까지 연극교육 경험을 통하여 연극과 타 교과와의 통합수업 활동 적용 시 어떠한 발전과 효과가 있는지 면밀히 확인 보완하면서 가장 근접한 통합적 수업 모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결과 교육연극 통합수업은 주변 현상의 관련된 이해와 구체적인 경험을 통하여 다양한 학습 경험을 하게 되었다.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즐겁고 쉽게 타 교과에 접근했으며 학업 성취도도 높았다. 특히 학습자들은 연극에 대한 특수성을 인식하면서 동시에 통합한 교과의 상관성을 의식 하였다. 또한 연극과 타 교과간의 통합교육은 연극이 인간에게 주는 유용성을 극대화 하면서 다른 사회적 경험이나 활동과 통합하여 교육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학습자들에게 통합적이고 본질적인 경험과 인식을 제공할 수 있었다.

      •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의 치매과정 경험: 질적메타합성 연구

        정경림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매노인과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돌봄제공자의 치매과정 경험에 대한 총제적 이해를 돕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수행된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에 관한 질적연구를 메타합성하였다. 이를 통해 치매를 둘러싼 질병당사자인 치매노인과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돌봄제공자의 상호관계적 맥락의 의미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상담 중재 및 개입에 대한 근거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었다. 더불어 치매노인 당사자 경험의 이해를 바탕으로 초기치매노인의 사고, 정서변화 및 욕구를 파악하고 가족돌봄제공자의 재가 돌봄으로부터 시설 돌봄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경험의 이해를 통해 치매인과 치매가족지원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도 목적을 두었다. 질적메타합성을 위해 본 연구는 치매노인 관련 4편과 가족돌봄제공자 관련 28편의 질적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질적연구를 메타합성하기 위해 Noblit & Hare(1988)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단계적으로 연구를 종합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의 경험은 ‘혼돈속의 나’, ‘존재감 없는 나’, ‘다시 연결되는 나’ 등 3개의 주제 범주로 분류되었고, 9개의 기술적 주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기술적 주제는 ‘애써 부정하고 싶은 나의 치매’, ‘변해가는 내 모습에 복잡한 마음이 올라옴’, ‘기억을 붙잡기 위해 부단히 노력함’, ‘사람다움을 잃어버릴 것에 대한 두려움’, ‘일상에서 점점 사라지는 내 자리’, ‘믿는 구석이면서 감독자 같은 가족’, ‘짐이 되지 않고 싶지 않은 마음에 홀로 미래를 계획함’, ‘기억증진에 도움되는 학습공간과 바보들이 모인 곳’, ‘타인을 보며 안도감과 동시에 장래의 내 모습을 비춰봄’ 등이다. 기술적 주제를 통해 최종적으로 생성한 종합적 주제는 ‘낯선 나와 다시 살아가기’이다. 둘째,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돌봄제공자의 경험은 ‘돌봄 직면’, ‘실존적 고통’, ‘대처’, ‘상황 재조정’, ‘실존적 성장’ 등의 5개 주제 범주로 분류되었고, 13개의 기술적 주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기술적 주제는 ‘초기진단을 놓친 자책과 후회’, ‘준비 없이 시작된 돌봄’, ‘돌봄이라는 그 끝없는 부담’, ‘내가 없는 나의 일상’, ‘돌봄의 고됨에 더해진 가족 갈등의 이중고’, ‘나만의 돌봄 노하우 체득’, ‘버티고 견디게 하는 열쇠’, ‘돌봄에 대한 가치와 의미 부여하기’, ‘공적시스템이라는 새로운 돌파구’, ‘한계 수용을 통해시설입소 결정하기’, ‘간접돌봄제공으로 역할전환하기’, ‘지금 이 순간 그리고 더 깊어진 인간애’, ‘삶과 죽음, 인생에 대한 조망’ 등이다. 기술적 주제를 통해 최종적으로 생성된 종합적 주제는 ‘충격과 혼란 속에서 돌봄제공자되기’, ‘돌봄이라는 팽팽한 줄다리기’, ‘치매노인 돌봄 균형잡기’, ‘어두운 터널 끝에 비친 여명’ 등이다. 셋째,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의 치매과정 경험에 대한 각각의 질적메타합성의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주제가 부합하는 것을 확인하는 호혜적인 전환분석(reciprocal translational analysis)을 사용하여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의 상호관계적 맥락의 의미를 합성한 결과 세 가지 수준의 다차원적인 개념이 확인되었다.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의 상호관계적 맥락은 ‘역할전환 차원: 정체성 이동’, ‘감정교류 차원: 관계의 교량’, ‘자원 탐색 및 활용 차원: 돌봄의 확장’ 등으로 나타나 이를 상호관계적 맥락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가 치매 진단을 통해 돌봄의존자와 돌봄책임자라는 역할로 전환되면서 기존의 역할을 상실 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치매진단과 역할전환으로 인해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 모두 부정적인 복합감정을 경험하지만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 사이의 의미 있는 정서적 소통이 양자의 관계 결속을 공고히 한다는 것도 보여주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치매로 인한 각자의 역할전환에서의 부담을 덜어주고 변화된 정체성을 더욱 잘 수용하게끔 하는 기제가 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의 주변자원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 사이에 긍정적 감정교류가 향상되고, 돌봄으로 인해 새롭게 부여된 역할과 원래의 자신과의 균형감을 유지하면서 치매의 과정을 경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상호관계적 맥락에서의 3가지 수준의 차원이 모두 적응적으로 연결될 때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는 서로에게 감사와 애정을 느끼고 표현하며, 상호간에 인정과 존중을 가지고 치매의 과정을 이어나간다는 것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의 치매과정 경험을 질적메타합성하여 도출된 각각의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 간에 상호관계적 맥락의 의미를 3차 수준에서 메타합성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가족돌봄제공자 뿐 아니라 치매 당사자인 치매노인 역시 돌봄의 당사자로 보고 돌봄에 관한 균형 있는 시선을 제안한 것에도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치매가족지원정책과 관련하여 당사자 중심의 중재안 제공을 위한 근거기반이 되는 상호관계적 모형을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함의가 있다. This study meta-synthesized the existing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family caregivers conducted in various field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knowledge on this topic.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empirical evidence for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 by investigating the context in which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 family caregiver interact as a family unit. In addition, this study aim to provide useful policy implication on support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ies as this qualitative meta-synthesis study figures out thoughts, emotional change and desi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and through understanding the entire process from home care to facility care of family caregivers. For meta-synthesis, this study has identified 4 qualitative papers relat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28 qualitative papers related to family care providers. Using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approach, the included qualitative studies were synthes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Noblit & Hare’s(1988) procedure. The research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ere classified into three thematic categories: ‘I in chaos’, ‘I do not exist’, and ‘I am reconnected’, and 9 technical themes were derived. The technical topics derived are ‘My dementia that I want to deny’, ‘Mixed feelings rise when I face my changing appearance’, ‘I constantly strive to capture memories’, ‘Fear of losing humanity’, ‘Family whom I trust, but also I am supervised by’, ‘Planning the future alone wishing I don't want to be a burden’. It is ‘A learning spaces to help improve memory and a place where fools gather’, and ‘Looking at others, I feel relieved and reflect on myself in the future’. The final comprehensive theme created is ‘Living Again with a unfamiliar myself’. Second, the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was classified into five subject categories: ‘facing care', ‘existential pain', ‘handing', ‘readjustment of situation', and ‘existential growth', and derived 13 technical topics. The derived technical themes were ‘self-accusation and regret for missing the initial diagnosis', ‘care that started without preparation', ‘the endless burden of caring', ‘my daily life without me', ‘acquisition of my own care know-how', ‘key to endure and bear', ‘Giving value and meaning to care', ‘Double hardship of family conflict added to the hardship of caring', ‘A new breakthrough of the public system', ‘Determining facility admission through limit acceptance', ‘Role shift by providing indirect care', ‘The present moment and deeper human love', and ‘Life, death, and outlook on life'. The finally created comprehensive themes are ‘Being a caregiver in shock and confusion’, ‘A tight tug-of-war of caring’, ‘Balance of car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Dawn at the end of a dark tunnel’. Third, three levels of multidimensional interaction context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interaction contexts between the dementia elderly and family caregiver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qualitative meta-synthesis of the experienc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family caregivers. An interaction model was presented in three levels: ‘emotional exchange dimension: bridge of relationship', ‘role change dimension: identity movement', and ‘resource search and utilization dimension: care expan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family caregivers lose their existing roles and acquire new identities as their roles change to the roles of dependent and caregivers through the diagnosis of dementia. Due to diagnosis of dementia and role change, both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 family caregiver experienced negative complex emotions, but it was shown that meaningful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ementia elderly and the family caregiver solidifies the bond between the two. It was found that this interaction relieved the burden of the role transition due to dementia and made them more receptive to their changed identities. In addition, when the surrounding resourc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y caregivers are organic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 positive emotional exchange between them is improved, and the new role assigned by caring and a sense of balance with the original self are maintained while they experience the process of dementia.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when all three levels of dimensions are adaptively connected,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y caregivers feel and express gratitude and affection for each other, and continue the process of dementia with mutual recognition and respect.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synthesis the empirical evidence on the experienc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family caregivers interaction contexts context. Building on the synthesis finding, the current qualitative meta-synthesis study proposed a comprehensive grounded interaction contexts model regarding elderly care by including both voic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family caregivers which can be a basis for providing party-centered intervention concerning dementia family support pol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