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자유탐구 보고서의 시각화 자료 활용 실태 분석 -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

        정경두,강훈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80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자유탐구 보고서에 포함된 시각화 자료의 활용 실태를 인포그래픽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1개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4∼6학년 학생 78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학생들의 자유탐구 보고서 60개에 포함된 시각화 자료를 인포그래픽 활용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화 자료는 대부분 일반삽화였으며, 인포그래픽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 또한 인포그래픽을 구성하는 것보다 기존 인포그래픽을 그대로 인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탐구단계별로 살펴보면 일반삽화나 학생이 구성한 인포그래픽은 탐구 방법이나 탐구 결과 부분에서 많이 나타났으나, 기존 인포그래픽을 인용한 경우는 이론적 배경에서 많이 나타났다. ‘시각화 표현 방법’에 따른 인포그래픽 유형 중에서는 ‘구조형’과 ‘프로세스형’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으며, 이보다는 적지만 ‘통계형’과 ‘비교·분석형’도 적지 않게 나타났다. ‘구성 수준’에 따른 인포그래픽 유형 중에서는 ‘단순재구성’,‘단순배치’,‘재구성’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 KCI등재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자유탐구 보고서의 시각화 자료 활용 실태 분석 -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

        정경두 ( Jeong Kyeong Du ),강훈식 ( Kang Hunsik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초등과학교육 Vol.40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자유탐구 보고서에 포함된 시각화 자료의 활용 실태를 인포그래픽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1개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4-6학년 학생 78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학생들의 자유탐구 보고서 60개에 포함된 시각화 자료를 인포그래픽 활용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화 자료는 대부분 일반삽화였으며, 인포그래픽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 또한 인포그래픽을 구성하는 것보다 기존 인포그래픽을 그대로 인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탐구단계’별로 살펴보면 일반삽화나 학생이 구성한 인포그래픽은 ‘탐구 방법’이나 ‘탐구결과’ 부분에서 많이 나타났으나, 기존 인포그래픽을 인용한 경우는 ‘이론적 배경’에서 많이 나타났다. ‘시각화 표현 방법’에 따른 인포그래픽 유형 중에서는 ‘구조형’과 ‘프로세스형’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으며, 이보다는 적지만 ‘통계형’과 ‘비교·분석형’도 적지 않게 나타났다. ‘구성 수준’에 따른 인포그래픽유형 중에서는 ‘단순재구성’, ‘단순배치’, ‘재구성’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use of visualization materials in “free inquiry” reports for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infographics. From 2017 to 2019, 78 students in grades 4∼6 at a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were selected. The visualization materials in the reports (n=60) of “free inquiry” submitted by the students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using infographic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sualization materials were mostly general illustrations, and infographics were very few. In addition, there were more cases of citing the existing infographics tha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infographic. Looking at each stage of inquiry, general illustrations or infographics composed by the students appeared in ‘inquiry method’ or ‘inquiry result’ stage, but the existing infographics appeared in ‘theoretical background’ stage. Among the infographic types by ‘expression type’, ‘structural type’ and ‘process type’ were the most frequent and ‘statistical type’ or ‘comparative/analytic type’ was used frequently. Among the infographic types by ‘construction level’, ‘simple reorganization’, ‘simple layout’, and ‘reorganization’ appeared relatively mor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 탈냉전기 미국의 한반도 내 전술핵무기 철수결정 연구

        정경두 ( Jung Kyung-du ) 한국군사학회 2018 군사논단 Vol.93 No.-

        This study hightlights the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factors that affected the process in which the U.S. tactical nuclear weapons decided to withdraw from the Korean Peninsula. Previous studies show that the U.S. hegemonic and coercive nuclear policies have raised the possibility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y have limited analysis to reveal that nuclear weapons were ineffective in suppressing North Korea. Furthermore, these studies have largely ruled out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United States` nuclear policy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was covered the policy considerations of the United States to the withdrawal of tactical nuclear weapons. Tactical nuclear weapons, which have been deployed and operated on the Korean peninsula for 33 years, have been completely withdrawn because of US threat management and nuclear nonproliferation. After the detente, the United States maintained a similar level of detente as China and North Korea, while the Soviet Union threatened to decline as the Soviet Union expressed its defensive strategy and the disarmament negotiations proceeded.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United States continued to deteriorate, requiring a reduction in arms costs, resulting in active bilateral nuclear disarmament and arms control negotiations. In particular, in terms of multilateral nonproliferation policies and the management of new threats to nuclear proliferation, the United States declared the withdrawal of unilateral tactical nuclear weapons.

      • 트럼프 행정부의 제 3차 상쇄전략 조정분석: 4차 산업혁명과 전략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정경두 ( Jung Kyungdu ) 한국군사학회 2019 군사논단 Vol.100 No.-

        The third offset strategy is being implemented in the form of improving future war performance by accommodating changes in the political, soci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In particular, organizational and operational innovation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military are also being carried out to overcome the technical determinism that national defense innovation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ministry is also simplifying the defense acquisition process to introduce civilian-level technology into the military more efficiently. The strategic environment that differs the most from the offset strategy of the past is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today we are undergoing an overall change in industry and society, referred to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can be seen through new operational concepts presented in the third offset strategy that the U.S. is taking advant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n opportunity to make a more military-style change in its war practice.

      • KCI등재

        합동성 제고를 위한 6·25전쟁 초기 미 해군의 지상군 화력지원 실태 분석

        최용희,정경두 육군군사연구소 2018 군사연구 Vol.- No.145

        This article analyzes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ground force's fire support at a tactical level by the US navy during the Korean War. It gives us an opportunity for thorough evaluation of the joint operations conducted by the US Navy. To do so, I introduced the theoretical approaches of the ground force's fire support and analyzed the fire support system of the US Navy during the Korean War and operational procedure based on the naval gunfire support and CAS(Close Air Support) conducted by the US Navy. Through this research, I discovered that the US naval fire suppor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ground operation by adding firepower needed by the ground forces. However, I identified many problems concerning coordination issues with other services. The SFCP(Short Fire Control Party) did not function effectively when coordinating between warships and ground forces during the naval gunfire support. Additionally, ANGLICO (Air and Naval Gunfire Liaison Company) was not utilized properly. The CAS by the US Navy also played a key role in the ground operations as a supplementary fire power, but the US Navy implemented operations under the Air Force operations system which led to a poor outcome considering the amount of input. It turned out, however, that the US Navy showed relatively better performance when they conducted the CAS under the Navy operation system. This led to the US Navy's bias that CAS might not be effective if coordination was not established. This raised many questions about changes needed to improve the coordination and doctrine of the US Navy CAS, but with few results.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research emphasizing the positive outcomes of the US Navy during the Korean War. However, this article seeks to present a more complete picture by reviewing subcategories of the operations system. I hope to draw attention to the inefficiencies of the system due to lack of coordin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realities of the war. 본고는 6·25전쟁 초기 미 해군이 수행한 지상군 화력지원의 작전수행 및 협조체계의 실행을 분석하였다. 6·25전쟁 당시 미 해군이 화력지원을 통해 지상의 전황 개선에 기여하였다는 기존의 인식을 배제하고, 미 해군이 지상군을 화력지원하기 위해 구성한 각 군간 작전협조체계를 면밀히 고찰하였다. 6·25전쟁 당시 미 해군이 수행하였던 함포지원사격과 근접항공지원을 중심으로 지상군 화력지원의 협조체계를 고찰해 본 결과, 미 해군의 지상군 화력지원은 작전수행체계상에서 군간 협조와 관련된 다수의 문제를 드러냈다. 함포지원사격의 작전수행간 해안사격통제반은 함정과 지상군 간 협조에서 한계를 드러냈으며, 항공함포연락중대는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였다. 미 해군이 수행한 근접항공지원 역시 미 공군의 근접항공지원 수행체계로 작전을 수행하는 가운데, 투입된 전력에 비해서 많은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반면에 인천상륙작전에서는 미 해군이 독자적 수행체계로 지상군을 효과적으로 화력지원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미 해군에게 미 공군의 근접항공지원 수행체계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지금까지 6·25전쟁 당시 미 해군에 대한 긍정적 평가만 부각되었던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본고는 지상군 화력지원 작전수행의 하부요소까지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협조체계 및 작전수행체계의 문제를 확인하였다. 한반도에서 수행된 6·25전쟁에서 미 해군의 표적처리를 비롯한 지휘·협조체계와 각 군의 합동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평가함으로써 과거와 우리 군의 현 실태를 비교·진단하고, 향후 합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러시아 대 우크라이나 사이버 전쟁의 교훈과 시사점

        이용석,정경두 한국국방연구원 2022 국방정책연구 Vol.38 No.3

        Wars between Russia and Ukraine use a variety of cyber means. This war is a fusion war between hacktivists and big tech companies. Reflecting on and applying our present in this war is an important task. To this en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public data such as case analysis, reports. 2022년 2월 24일에 발발한 러시아 vs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다양한 사이버수단을사용하고 있다. 이 전쟁은 양 국가에 더하여 사이버공간을 공유하는 핵티비스트와 빅테크 기업이 융합된 새로운 전쟁이다. 따라서 이 전쟁을 분석하고 교훈을 도출하는 것은 현시점의 우리를 반성하고 적용할 것을 찾기 위한 필수 작업이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과거 사례에 대한 분석, 이 전쟁에 대한 언론 보도와 분석보고서 등 공개자료를 기반으로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우리나라가 강력한 사이버 대비태세를 구축하여 미래전을 위한 동력을 갖추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