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특별보충과정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 -CIPP 평가모형의 적용-

        전화춘 ( Hwa Chun Jeon ),김석우 ( Suk Woo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특별보충과정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척도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평가영역 및 평가문항을 선정하고 2차례의 문항 평가를 통하여 예비검사 문항을 선정하였다.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실시한 후 검사도구의 양호도를 검증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7개 평가영역, 36문항이 개발되었다. 상황평가를 위하여 2개의 평가영역을 설정하였다. 평가영역으로는 요구의 진단 및 목표의 설정, 사전준비이다. 투입평가를 위하여 2개의 평가영역을 설정하였다. 평가영역으로는 프로그램 예산, 프로그램 운영계획이다. 과정평가를 위하여 2개의 평가영역을 설정하였다. 평가영역으로는 프로그램 활동,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이다. 산출평가를 위하여 1개의 평가영역을 선정하였다. 평가영역으로는 결과평가이다. 개발된 7개 평가영역, 36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양호한 모형이었다. 최악의 모형(36문항이 독립적이라고 가정하는 모형)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양호할 뿐만 아니라, 최적의 모형을 기준으로 봤을 때도 기준치 이상이거나 기준치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pecial supplemental program. To achieve the purpose, apply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items for the special supplemental program were selected, and then an evaluation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pecial supplemental program was developed. Subjects were six teachers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the special supplemental course program, five specialists in the field of educ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236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rea, and 409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ities nation w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First, 7 criteria and 36 items were found by the results of the second research problem. In context evaluation, 2 criteria and 10 items such as needs assessment & objectives creation(7 items) and previously readiness(3 items) were used. In input evaluation, 2 criteria and 10 items such as program budget(2 items) and program management schedule(8 items) were used. In process evaluation, 2 criteria and 6 items such as program activity(3 items) and program satisfactory survey(3 items) were used. In product evaluation, 1 criterion and 10 items such as result evaluation(10 items) were used. Second, the validation of the newly developed evaluation scale was conduct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The measurement model offered an acceptable fit to the data (χ2=1261.665, df=572, χ2/df=2.20, GFI=.852, NFI=.869, TLI=.916, CFI=.924, RMSEA=.054).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수준별 교육과정의 학생평가실태분석 -부산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석우,백영옥,조영기,박동성,전화춘 한국교육방법학회 2005 교육방법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s and the problems of student assessment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a at the elementary school. For that purpose, this study had the focus-group interviews and conducted a survey. The survey items that were developed through focus-group interviews consisted of the four main parts: questions about the level courses, the enriched․supplementary courses,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and the support sys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 First, in the level courses assessment such as mathematics assessment, teachers depended heavily on a paper-and-pencil test, performance assessment and differentiated test were not adapted fully. Second, in the enriched․supplementary cours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the evaluation in general includes the contents of the enriched․supplementary courses as well as those of the basic courses, and that the formative evaluation is usually used for classifying the level. The feedbacks for all students were the most in the class. Third, in selecting the students for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both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and norm-referenced assessment were considered. After finishing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additional tests were usually taken. A follow-up guidances were the most through the classroom teachers' individual guidances. Finally,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do not have enough training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in a differentiated curricula and that they want to have trainings about the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feedback methods and then item building method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준별 교육과정의 학생평가 실태를 진단하고 그 문제점을 명확히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생평가 실태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심화보충형 교육과정, 특별보충과정, 지원체제의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질문지 조사방법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분석하였다.연구 결과, 단계형 교과에서의 학생평가는 지필평가에 편중되어 있으며,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단계형 교과가 동일 단계에서는 심화보충형으로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화과정이나 보충과정에 대한 평가는 소홀하였다. 심화보충형 교육과정에서는 기본과정 뿐만 아니라 심화보충 과정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수준은 학업성취정도에 의해 구분되는 경향을 보였다. 평가에 대한 피드백은 전체피드백이 가장 많았으며, 교사들은 수준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형성평가 결과를 주로 활용하고 있었다. 특별보충과정의 대상자를 선정할 때는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기준을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과정을 이수한 후 별도의 평가를 실시하는 비율이 높았다. 추후지도는 담임교사의 개별지도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지원체제와 관련하여서는 평가와 관련한 교사들의 연수 경험이 부족하였고,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에 대한 연수의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