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카페 공간의 문화가치 탐색을 위한 의미생성행로적 연구 : 소비자행동, 소비자태도, 공간컨셉에 대한 문화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전형연,김화영 한국소비문화학회 2010 소비문화연구 Vol.13 No.3

        This study has highlighted a pattern pertinent to the popular sector as branded cafe which was considered as not only a functional space but also a new cultural spa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qualitative insight into contemporary issues of consumption culture and associated cultural values within the branded cafe sector in Korea. Therefore, the semiotic approach has provided a consumer-based focus via the use of the “generative trajectory of signification model” which have helped to build pictures on routine aspects of this spatial culture phenomenon for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concept of cultural values by analyzing consumer behaviors, consumer attitudes and space concepts in the three stages : discursive dimension, semio-narrative dimension and valuable dimension. These three stage research process were composed by the observation methodology, the questionnaire methodology and the cultural semiotics to achieve to find the cultural core values of this space. Actually, the consumer behaviors observed could be interpreted with the /isolating/ values and /communicative/ values and the survey-analysis of the consumer attitudes could be defined by the /professional/ values and /social/ values in the semantic dimension. This study shows therefore that the operation of the semiotic square is a useful model, while adapting it to the exploration of the space concept of the branded cafe such as practical value, utopian value, critical value and ludic value. 본 연구는 오늘날의 커피전문점이 커피만을 소비하는 기능적 소비공간이라기 보다는 브랜드카페라는 문화 자체를 소비하는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카페라는 문화공간의 문화가치를 탐색하는 데는 기존의 정량적인 연구방법론보다는 정성적인 연구방법론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문화기호학적 분석 방법론을 차용하고자 하였으며, 브랜드카페 공간에 대한 의미생 성행로적 분석을 시도하게 되었다. 즉, 담화층위, 기호-서사층위, 가치론적 층위라는 의미생성행로모델의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브랜드카페에서의 소비자행동, 소비자태도, 공간컨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3단계의 프로세스는 현장관찰법, 설문조사법, 문화기호학적 문화가치추출법 등의 분석방식을 통해 브랜드카페의 문화가치가 의미론적 일관성을 유지하는지를 검증할 수 있었다. 실제로, 현장관찰된 브랜드카페 소비자행동은‘단절성’과‘소통성’이라는 가치 대립쌍으로 해석되었으며, 설문을 통해 조사된 소비자 태도는 일관된 의미론적 차원에서‘전문적인’태도유형과‘사교적인’태도유형이라는 대립쌍을 통해 설명될 수 있었다. 또한, 브랜드카페의 공간컨셉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소비가치사각형 모델이 실제적 가치, 유토피아적 가치, 비판적 가치,유희적 가치라는 네 가지의 핵심적인 문화가치를 추출하는데 공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파리시의 도시 문화이미지 마케팅 전략 사례연구

        전형연 프랑스학회 2007 프랑스학연구 Vol.41 No.-

        Étude des stratégies de “Marketing des Images culturelles” de Paris JEON, Hyeong-Yeon Cette étude vise à analyser les stratégies de Marketing des Images culturelles de Paris en tant qu'une ville, puis à voir comment des villes de Corée pourraient en tirer bénéfice. Il s'agit d'un véritable programme d'identité de la ville qui doit articuler la présence de l’image de Paris qui contribue à définir les caractères culturelles et les parcours possibles au sein de l'espace de la ville. Des stratégies visant à inciter l’impression culturelle s’intègrent à la relation participant en termes d’image et de positionnement. De cette démarche interactive entre marketing culturel de la ville et citoyens ou visiteurs émerge un paramètre avec lequel Paris doit compter : la connivence avec leurs participants Nous avons essayé de trouver des bons exemples en analysant les stratégies culturelles de Paris à travers des concepts d'évènement culturel, de patrimoine culturel et de tourisme et loisir. La recette du succès de cette ville pourrait être ainsi résumée : des politiques culturelles municipales issues d'un savoir-faire singulier et suffisamment reconnaissable par rapport aux autres villes. A partir de cette étude, nous ferons une analyse plus complexe des différents “marketing culturels” d'autres villes françaises; puis à les faire positionner sur le mapping comparant des caractéristiques culturels de chaque ville. Nous analyserons donc plus spécifiquement leur développement culturel, la cohérence de ce développement en terme de synergie et d’efficacité de l'image culturelle.

      • KCI등재

        한·중·일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 연구

        전형연,이원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중국은 전 세계 화장품 기업들이 기대하는 가장 흥미로운 화장품 시장이자 글로벌 기업들의 치열한 각축장이기도 하다. 이러한 현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수입량이 대폭 상승한 유일한 사례인 한국화장품 브랜드에 주목함과 동시에 수입이 대폭 하락한 일본 화장품 브랜드 그리고 여전히 자국 시장을 장악하지 못하고 있는 중국화장품 브랜드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산, 중국산, 일본산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인 소비자들의 선호와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설문조사법을 통해 각 국가별 3개의 대표 브랜드를 선정하는 1차 연구 과정을 진행하고, 여기서 선정된 9개 브랜드 각각에 대한 브랜드 선호도 평가를 진행하는 2차 연구 역시 설문조사법을 통해 진행하면서 중국 화장품 시장 전반에 대한 이해를 시도함과 동시에 그 전략적 대안 역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1차 연구는 한국산 브랜드에 대한 중국인 여성 소비자들의 사용경험과 구매경험이 중국산 브랜드나 일본산 브랜드보다 월등히 많다는 현황을 파악하게 해주었는데, 이는 한국산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인 소비자들의 관심과 선호 현황을 파악하는 근거가 되어 주었다. 또한, 브랜드 선호를 파악하고자 했던 2차 연구에서도 한국산 브랜드인 설화수와 라네즈가 3개의 일본산 브랜드나 3개의 중국산 브랜드보다 12개 선호도 항목 전반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편, 각 국가별 선호도 항목 평가 순위는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는데, ‘제품 기능성’에 대한 선호 항목을 제외하고 11개 항목에서 차별적 인식 결과가 타났다. 즉, 한국산 브랜드의 경우에는 ‘제품 향기’나 ‘제품 자연성’ 같은 후각적 가치와 순수성 같은 가치에 대한 선호가 강한 반면, 중국산은 ‘패키지 디자인’과 ‘제품 자연성’ 같은 시각적 가치와 순수성에 대한 선호가 비교적 강했으며, 일본산은 ‘브랜드 품격’과 ‘브랜드 명성’ 같은 상징적 가치에 대한 선호도 인식이 비교적 강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매장서비스’나 ‘구매후기’ 같은 브랜드에 대한 경험과 관련된 항목에 대해서는 한국산 브랜드 역시 그 선호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체험적 요소들의 관리와 관계적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시켜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외 화장품 기업들 모두에게 중국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광고와 같은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보다는 매장, 패키지, 퍼블리시티, 이벤트, 기업행동 같은 통합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활용한 지속적이고 체험적인 PR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주었다. China today is the largest emerging cosmetics market in the world. The cosmetic market in China has long been dominated by global foreign brands. This study remarked on Korean cosmetic brands which were increasingly exported to China brands, Japanese cosmetic products which decreased to export to the Chinese market, and Chinese cosmetic brands which didn’t dominate the local marke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perception gap of brand preferences of Chinese consumers for three countries’ cosmetic brand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We conducted the preliminary research to choose three brands for each country. Nex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brand preference for nine cosmetic brands, the second survey is used to get knowledge about how Chinese consumers perceived the brand preferences about nine cosmetic brands in their point of view and to understand Chinese cosmetic market environment and to find the strategies alternative. Consequently, firstly, this research found that Chinese women customers have the most utilization experiences and purchase experiences of Korean cosmetic brands among three countries’ brands. This result directly showed the brand interests and preferences of Chinese customers for Korean cosmetic brands. Secondly, Chinese customers prefer mostly Korean brands such as Solwhasoo and Laneige to three Japanese brands and three Chinese brands in all the 12 items for brand preferences evaluation. Meanwhile, It was different that the Chinese considered more important item among 12 items for each country’s brand. Except the ‘product function’, the evaluations of 11 items have a different preference. for the Korean brands, Chinese consumers preferred olfactory value and purity as ‘product scent’ and ‘natural characteristics’. For the Chinese brands, they preferred the visual value and the purity as ‘package design’ and ‘natural characteristics’ and for the Japanese brands, they preferred the symbolic values as ‘brand fame’ and ‘brand reputation’But, the preference of the ‘retail service’ and ‘purchase review’ is low even for Korean brands. This result taught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the management of experiential elements and communication for Chinese consumers.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diverse elements for the brand experiences as retail stores, package, publicity, event, corporate activitie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communication strategy as advertising on TV and invigorate PR communication actives on all the cosmetic companies.

      • KCI등재

        프랑스 음식문화브랜딩 연구:요리사브랜드의 정체성 분석을 중심으로

        전형연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9 프랑스문화연구 Vol.40 No.1

        Le but de cette étude est d’identifier l’identité de la marque de culture culinaire française et de la marque du chef à travers l’analyse sémiotique du discours lié à la culture culinaire française et de tenter de comprendre des valeurs essentielles de la marque de la culture culinaire française. Par conséquent, nous avons trouvé que l’identité de la cuisine française est artistique, systématique, familière et créative à travers l’analyse d’isotopie du discours de la recette de cuisine française elle-même, de la Haute-cuisine à la Nouvelle-cuisine. En outre, cette étude a permis de positionner les valeurs fondamentales de marques de chefs telles que Carême, Escoffier, Mère Brazier et Bocuse en tant que valeurs de Projet, valeurs de Information, valeurs Euphorie et valeurs de Vision. À travers ces deux étapes de la recherche, nous avons trouvé le parcours de l’image de marque de la culture culinaire française d’Haute cuisine, -Haute cuisine, -Nouvelle-Cuisine et Nouvelle-Cuisine. Nous concluons que les résultats de cette étude sont exactement les mêmes que ceux de la marque du chef, à partir de la valeur de projet de Carême, menant à la valeur d’Information d’Escoffier, à la valeur d’Euphorie de Mère Brazier et à la valeur de Vision de Bocuse. Nous pouvons aussi expliquer que tout le parcours habituel de la stratégie de marque de la culture culinaire française centrée sur des marques de chef a contribué à la reconnaissance de la France en tant que pays de la culture culinaire et de la destination de voyage gastronomique.

      • KCI등재

        수입자동차의 브랜드 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직종사자의 브랜드 가치 평가요소 분석

        전형연,윤소향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수입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수입자동차 브랜드 가치 평가 요소를 비교분석 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변호사, 교수, 의사 회계사 등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 189명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선호도 가 높은 6개의 수입 자동차 브랜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소비자 몰입도를 구매의도, 추천의도, 참여의도로 나 누고 각 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가치 평가요소 속성이 어떻게 상이한지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확인하 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명품 수입 자동차 브랜드에 적 합한 브랜드 가치 평가모형의 구성 항목 개발에도 목적을 두 고, 성능, 디자인, 사후관리 등은 기능적 가치 평가의 세부항 목으로, 매력성과 친숙성은 감성적 가치평가의 세부항목으로, 높은 평판과 배타성은 사회,문화적 가치평가의 세부항목으로 그리고 합리적인 가격은 경제적 가치평가의 세부항목으로 두고, 그 성과로서의 몰입도를 상정해 브랜드 별 그 상관관계의 차이를 찾아보았다. 회귀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소비자가 평 가하는 브랜드 가치 요인들은 소비자의 몰입도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6개의 수입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몰입도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브랜드 가치 평가 속성의 분포도 차별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구매 의도와 추천의도에서는 ‘높은 평판’과 ‘합리적 가격’이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으며, 참여의도에는 ‘사후관리’ 요인이 전 반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외의 변인들은 각각의 브랜드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예를 들어 혼다의 경우에는 ‘친숙성’이, 벤츠의 경우에는 ‘높은 평판’이, 렉서스의 경우에는 ‘매력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 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수입자동차 브랜드는 물론 국산 자동차 브랜드를 담당하는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담당 자들에게 브랜드 전략 차원에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medicine, law, accounting, a nd higher education are often recognized as the present and potential consumers of import automobiles. Analyzin 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89 respondents who are do ctors, lawyers, accountants and college professors, the pr esent study explores the influential product valuation indi cators for six import car brands, i.e., Honda, BMW, Merc edes-Benz, Lexus, Volkswagen, and Audi. The analyses illustrate that the nine product valuation v ariables account for the consumers’ brand commitment as purchase intentions, recommending the brand to others, a nd the intended participation in promotions or voicing in consumer communities. The highly involved consumers who perceive themselves as they know more about the brand than most people intend to purchase, recommend, and take actions for the brand they know about. Other prod uct valuation variables such as the brand’s reputation and pricing are often yet not always influential in accountin g for the three brand committment variables (i.e., purcha se, recommendation, and participation), the patterns of impact vary across the brands as well as the kind of intenti ons in terms of which valuation variables are influential. For instance, accessibility seems to be effective in predicting intended purchase and recommendation for Honda, while desig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intended purchase and recommendation for BMW.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conducive to brand managers and communication planners when they aim for specified responses from the consumers, since the effective product valuation variables vary when these variables account for the distinct types of intended consumer behaviors.

      • KCI등재

        한국 지역의 문화정체성 홍보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전형연,정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3

        최근, 우리나라 많은 지자체들은 지역만이 지니는 매력적인 문화요소야말로 지역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핵심요소일 뿐만 아니라, 방문객 및 투자를 육성할 수 있는 경쟁우위요소가 된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각종 홍보채널을 활용하여 지역의 문화정체성 홍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에서 본 연구는 다수의 매체를 활용하여 홍보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고 있는 지역들이 멀티채널간의 시너지효과를 꾀할 수 있는 일관성 있는 문화정체성 홍보 전략을 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양시, 안성시, 파주시 등 3개 지역의 사이버홍보관과 관광 브로슈어를 수집하여 분석 대상체로 삼았다. 즉, 이 연구는 사이버홍보관과 관광브로슈어라는 대표적인 홍보채널을 선정하여 그 홍보콘텐츠 구성에서 지역 문화정체성이 어떠한 조형적 구조로 표출되고 있으며 시각 이미지와 텍스트를 통해서는 어떠한 의미를 전달되고 있는지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각 지역의 문화 정체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지역의 문화 정체성을 담아내는 홍보콘텐츠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문화정체성의 핵심컨셉을 도출할 수 있었다. 즉, 사이버 홍보관의 분석에서 고양시는 장소성과 만족성을, 안성시는 자연성과 전통성을, 그리고 파주시는 비전성과 역동성이 추출되었으며, 브로슈어의 분석에서는 고양시는 소통성와 최고성을, 안성시는 전통성과 자연성을, 파주시는 특수성과 유토피아성이라는 문화정체성을 강조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3개 지역 모두가 구성, 이미지, 텍스트라는 홍보콘텐츠 구성기호간의 유기성을 드러내지는 못했지만, 안성시의 경우에서는 두 채널이 표출하는 문화정체성의 일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지자체들이 지역 문화정체성 홍보의 중요성을 인식함은 물론, 홍보콘텐츠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일관성은 물론 멀티채널의 통합적인 관리와 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Korean regions have begu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ocal cultures because these can be core elements in the image of a region and can also be attractive points that will draw the attention of visitors and investors to a reg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ext in which Korean regions have utilized diverse PR communication media designed to promote their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is therefore primarily a series of semiotic analyses of the symbols and design strategies employed in the PR content in cyber PR museums and brochures at Goyang, Ansung, and Paju. In this study, we concentrate on the cultural semiotic signification of design signs from construction dimension to image dimension and text dimension, as the PR communication strategies can convey any cultural values for regional branding.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can be found in the core cultural identity concept for three regions as follows: in the cyber PR museum, the strategies included the placing and satisfying of values for Goyang, the natural and traditional values for Ansung, and the visionary and dynamic values for Paju, while in the brochures, the communicative and supremacy values for Goyang, the traditional and natural values for Ansung, and the distinctive and euphoric values for Paju were found to be the strategies used. In this result, we discovered that the cases of these three cities could not arrive to connote the organic and coherent relation among three elements like construction, image, and text, but the case of Ansung revealed the consistency between two channels. This study expects to deliberate on the viable directions for designing PR content for a region through which cultural messages are delivered in a thoughtful and effective manner. The outcome could be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dynam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 and culture and the methods of maximizing the role of city branding.

      • KCI등재

        중국 지역방송 채널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 광둥성 지역의 광둥어채널을 중심으로-

        전형연,한인혜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1

        중국 방송시장에 유사한 전문성을 가진 수많은 채널들이 증가하면서 중국 시청자도 채널의 개성화 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대중의 세분화된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채널이 생성되기를 기대하게 되었 다. 본 연구는 중국 방송 산업의 선두 시장인 광둥성 지역의 대표적인 광둥어 방송채널의 채널브랜 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파악하고, 그 전략적 대안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적인 방송 채널 4개를 선정하여 브랜드 이름, 로고, 슬로건, PR캠페인, 대표 프로그램 전략 등을 살펴보는 분석 방식으로 그 채널브랜드 전략의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는 유사한 특정 지역만을 대상으로 하고, 광둥어를 활용한다는 맥락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4개 채널 각각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차별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주강 채널은 “제 1의 광둥어 TV채널”로서 ‘지역성’과 ‘전통성’이 강한 방송 콘텐츠를 제작, 편성하는 방식 과 대표적인 간판 프로그램을 어필하는 방식으로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남방위성채널의 경우는 짧은 역사 같은 생태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PR부서’를 따로 두는 등 오히려 더 적극적인 채널브랜드 전략 기획을 시작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광저우종합채 널은 “더 광저우스러운 것이, 더 흥미롭다”라는 슬로건을 제시하면서 ‘지역성’과 ‘재미성'을 강조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홍콩의 대표적인 광둥어채널인 제이드채널은 홍콩이라는 ‘지역성’과 ‘현대 성’에 초점을 맞춤과 동시에 전 세대를 아우르는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 채널 아이덴티티를 강조하 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광둥어 방송 지역은 물론 중국 방송 채널 시장 전반의 학계와 업 계 모두에서 채널브랜드에 대한 인식 강화가 필요함은 물론 정기적인 채널브랜드 이미지 검토 작업 이 요구됨을 파악하였다. As the number of television channels increases in the broadcasting market in China, Chinese viewers look for discernable characteristics of these channels, which in turn calls for the channels’ enhanced attention to the branding since expanding viewership and earning steady market share would be closely associated to successful branding.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the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presenting strategic alternatives for leading Cantonese broadcast channels in Guangdong region. We selected four television channels and analyzed their brand names, logos, slogans, PR campaigns, and distinctive program strategies, in order to comprehend the channels’ brand strategies. We found that despite the contextual similarity by targeting one specific region and broadcast channels aimed for Cantonese language speakers, the four local channels showed discriminant communication strategies. First, the regional market leader Zhuigang Channel, the No. 1 Cantonese TV channel in terms of ratings and market dominance, attracts audience by producing and airing broadcast programs with traditional values and regional flairs and by fervently promoting its celebrated shows. Second, TVS Channel runs a separate PR division which has been aggressively launching its brand strategy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channel’ s relatively brief presence in the market and the fact the channel has various channels fused into one. Third, GZ Channel, a local cable channel with the slogan “It’s more interesting when it’s really Guangzhou” manifests its regionalist predisposition as well as its emphasis on entertaining features. Finally, Jade Channel, a prominent Cantonese channel in Hong Kong,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other channels through planning and broadcasting programs to showcase their modernity and highlighting Hong Kong’s locality while the channel identity stands for embracing all generations to represent universality. This study illustrates the need for further awareness of channel branding and the basis for regular assessment of brand images in both academia and television industry in China, beyond the Cantonese broadcasters and the regions they cover.

      • KCI등재

        프랑스 명품브랜드의 브랜드아이덴티티 커뮤니케이션 체인 전략 연구 : Louis Vuitton 사례를 중심으로

        전형연 한국프랑스학회 2010 한국프랑스학논집 Vol.69 No.-

        L'objectif de cet article, comme son titre l'indique, est de mettre à jour les stratégies de chaîne de communication de la maque de luxe représentative comme Louis Vuitton. En fait, la communication du luxe repose sur une diffusion de l’Information fondée sur l'identité de la marque qui se reconnaît à ses philosophies et ses esthétiques. Nous avons donc essayé de trouver une réponse en analysant les stratégies de manifestations de Louis Vuitton. Les stratégies de chaîne de la communication sont donc différentes selon chaque type de outils de maniféstation. La recette du succès de Louis Vuitton pourrait être ainsi résumée : l'identité de “Voyage” issues d'un savoir-faire singulier et suffisamment reconnaissable en chaîne de commuication des outils de manifestation comme des activités de communication traditionnel(pubs, relation publique, événement et site web), système des signes, produits, magasins, manifestation de comportement de marque et clients actuels. Enfin notre recheche est de diriger un chemin de l'avenir en analysant des aspects de communication de la marque de luxe française pour les marque coréennes qui veulent toujours trouver des outils de manifestation efficace pour être reconnaître leur identité au monde enti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