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 종의 칼슘-실리케이트 치수복조제의 치관 색조 변화

        전지윤,최남기,김선미,Jeon, Jiyoon,Choi, Namki,Kim, Seonmi 대한소아치과학회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3

        치수복조제는 치관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색 안정성이 최종적인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이 연구는 시간에 따른 치관의 색조 변화를 분석하여 치수복조제의 색조 안정성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발거된 소구치의 치관에 와동을 형성하고 4가지 종류의 치수복조제를 충전하였다. 색상 변화는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재료를 넣기 전, 재료를 넣은 즉시, 재료를 넣고 1일 후, 1주 후, 2주 후, 4주 후, 8주 후, 12주 후, 16주 후에 측정을 시행하였다. Proroot white MTA<sup>®</sup>와 TheraCal LC<sup>®</sup>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인 L<sup>*</sup> 값의 감소와 ∆E<sup>*</sup> 값의 증가를 보였다. 반면 Biodentine<sup>®</sup>과 Well-root<sup>TM</sup> PT는 유의한 L<sup>*</sup> 값의 변화가 없었고 일정한 ∆E<sup>*</sup> 값을 유지하였다.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산화 비스무트가 포함된 치수복조제의 적용 시 치아의 색조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법랑질의 두께가 얇은 유치의 수복이나 전치부의 심미 수복 시 치수복조제의 장기적인 색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Color stability of pulp-capping material is considered vital to the final aesthetic result since the material is placed in the coronal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lor stability of various pulp-capping materials by analyzing color change of tooth over time. A cavity was formed in the crown of the extracted premolar, and 4 types of pulp-capping materials were filled. Color assessment was performed with a spectrophotometer at different intervals: before placement; immediately after material placement; 1 day, 1 week, 2 weeks, 4 weeks, 8 weeks, 12 weeks, and 16 weeks after placement. Proroot white MTA<sup>®</sup> and TheraCal LC<sup>®</s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sup>*</sup> value and an increase in the ∆E<sup>*</sup> value over time. In contrast, Biodentine<sup>®</sup> and Well-Root<sup>TM</sup> P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L<sup>*</sup> value and maintained a steady ∆E<sup>*</sup> value. The application of pulp-capping materials containing bismuth oxide as a radiopacifier may result in a color change of teeth. Long-term color stability of pulp-capping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when treating teeth with thin enamel thickness or in aesthetically important area.

      • KCI등재

        Dental Management in a Child Patient with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Deficiency : A Case Report

        전지윤,양선미,최남기,김선미,Jeon, Jiyoon,Yang, Sunmi,Choi, Namki,Kim, Seonmi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3

        포도당-6-인산탈수소효소 결핍증은 X 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세계에서 가장 흔한 효소 결핍증이다. 이 질환은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유병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결핍증의 주된 문제는 소아치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거나 처방되는 일부 약물에 의해 용혈성 빈혈이 유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소아치과 의사는 환자의 병력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고 용혈을 유발할 수 있는 산화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소아 혈액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빈혈을 유발할 수 있는 인자에 노출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다. 이 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에게 위험인자에 대한 적절한 교육은 필수적이다. 이 증례보고는 G6PD 결핍증 환아에서 주의해야 할 약물과 치과적 관리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 deficiency is an X-linked recessive disorder and is the most common enzyme deficiency worldwide. Although this disease is rare in Korea, its prevalence may increase due to an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Patients with this deficiency are prone to hemolytic anemia provoked by specific drugs commonly used or prescribed in pediatric dentistry. It is necessary for pediatric dentists to have accurate knowledge of a patient's medical history and to consult with a pediatric hematologist to avoid oxidative stress that can lead to hemolysi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is prevention of exposure to factors that may trigger anemia. Appropriate education regarding risk factors is essential for patients diagnosed with this disease. This case report aimed to discuss the drugs and dental management methods that should be cautious in children with G6PD deficiency.

      • KCI등재

        인터랙티브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도구 설계 및 구현

        전지영 ( Ji-young Jeon ),전지윤 ( Jiyoon Chun ),홍민 ( Min Hong ),염효섭 ( Hyo-sub Yum ),최영환 ( Young-hwan Choi ),최유주 ( Yoo-joo Choi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5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마커 위에 2D 이미지, 3D 모델, 동영상과 같은 가상객체를 증강시키고 인터랙션 이벤트를 연결시켜 주는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빌더(MARB ; Moblie AR contents Builder, 이하 MARB)를 개발하였다. MARB은 사용자가 원하는 마커 위에 다양한 가상객체를 증강시켜주며, 마커에 따른 여러 인터랙션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간편하게 구동하기 위해 모바일 콘텐츠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모바일기기에 설치하면 간단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한 저작이 가능하다. MARB은 기존 개발자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저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를 원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다방면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모바일 증강현실 시장 확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has developed a mobile AR contents Builder (MARB) featuring the augmentation of virtual objects, e. g. 2D images, 3D models and videos on user-preferred markers in mobile environment and with connected interaction events. The developed MARB is capable of augmenting multiple virtual objects on markers preferred by users, and selectively supporting many marker-specific interaction events. The MARB is also developed as a mobile App for convenience of use in the mobile environment. This makes users to implement AR contents by a GUI-based authoring procedure on the mobile device. The developed MARB allows App developers and general users to author mobile contents easily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 by those who wish to use diverse mobile AR contents. Moreover, the MARB will provide solutions for the expansion of mobile AR market, by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mobile AR content development.

      • 인터랙티브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의 설계 및 구현

        전지영 ( Ji Young Jeon ),전지윤 ( Jiyoon Chun ),최유주 ( Yoo-joo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AR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쉽게 모바일 AR 콘텐츠 제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커와 가상모델 그리고 인터랙션의 형태와 가상모델의 반응형태를 인터랙티브하게 연결하는 인터랙티브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 프로토타입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우선, 모바일 AR 콘텐츠에서 인터랙션과 반응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AR 앱들을 수집하여 앱의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사용되는 인터랙션의 종류 및 반응형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사용되는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에 포함시킬 인터랙션의 종류 및 반응형태의 메뉴항목들을 설계하였고, 단위 AR 객체를 정의하기 위한 클래스와 이를 저장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설계하였다. 또한, 정의된 단위 AR 객체의 내용을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에서 쉽게 읽고, 가시화 시킬 수 있는 모바일 AR 가시화 클래스를 포함한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진로교육 패러다임 변화와 진로교육 발전 방안 탐색 : 부산 사례를 중심으로

        남창우(Nam Changwoo),이민효(Lee Minhyo),전지윤(Jeon Jiyo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따른 부산 진로교육의 패러다임을 탐색하고, 부산 진로교육의 발전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코로나 시대 이전의 진로교육 현황과 부산 진로교육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부산 진로교육의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진로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해서 크게 4가지 방안과 세부 실천 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온・오프라인 진로교육 체계화를 위해 진로교육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여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블렌디드 러닝 진로교육을 위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활성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진로 선호도를 반영하여 진로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부산형 진로교육 특성화를 위해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의 다양한 인적자원과 물적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부산 지역의 다양한 기업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넓은 범위의 체험형 진로교육 활성화 및 뉴노멀 시대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부산형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 · 학생 · 학부모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사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사 연수를 시행하고,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온・오프라인 진로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 적합한 진로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학습자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 맞는 교수 ・ 학습모형 개발이 필요하며 우수 수업 사례를 공유하고 체계적으로 활용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수업시간에 개발된 모형을 활용 가능하도록 교과 간 연계를 통해 다양한 진로역량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 후 수업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radigm shift and suggest the development plans of career education in Busan city for the Post-COVID-19 er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in Busan, and suggested four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policy and practical tasks of career education in Busan. First, it is required to buil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for learners and establish platform to improve usability for career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in the Post-COVID-19 era. For this, the contents and platform of caree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career preference of students as users. Second, for specialized career education in Busan,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operation system should be built and strengthened by utilizing various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infra structures in the area. Also, it is recommended to build plans of activating experimental career education with the larger range and reinforcing the capacity of students in the New Normal Era by developing relationships with the companies in Busan. Third, effective support for strengthen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instructors, students, and parents is needed to activate career education in Busan. Specifically, there should be digital literacy training programs for instructors and various career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students. Lastl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develop a career education instructional model which is suitable for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and to design learner-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both face-to-face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For this, developing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s required with sharing and utilizing the best instructional practices. In addition, with the connection of the various subjects, various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lessons to activate the usability of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