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한반도 읍치 경관의 지리적 함의와 세계유산 가치

        전종한(Jong-Han Jeon)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5

        조선왕조 500여 년 역사 속에서 읍치는 당대의 지방 통치, 경제생활, 문화‧예술을 함축한 다양한 경관 요소와 장소들로 채워진 전통도시로서, 한반도 고유의 읍치 경관을 조형하였다. 조선의 읍치 경관은 지방에 대한 국가의 통치 전략과 당대의 지배적 관념 세계, 다양한 지역 환경에서 전개된 인간-자연 관계에 대한 풍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귀중한 역사도시경관이다. 일제강점기를 지나면서 읍치 경관은 일제의 주도 하에 계획적으로 해체되었지만 오늘날 한반도 곳곳에는 여전히 잔존 경관들이 남아 있다. 이들 잔존 경관의 네트워킹을 통해 읍치 경관의 완전성과 지역적 고유성을 도모한다면, 한반도의 읍치 경관은 세계유산의 등재 기준 중 세 가지(ⅱ, ⅲ, ⅴ)를 충족함으로써 세계유산으로서의 잠재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500 years of the Joseon Dynasty, Euchi as the Korean traditional city had filled with various landscape components and places that implied local government, economic life, and culture and art of the time, and ultimately created the Eupchi landscape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Eupchi landscape of the Joseon Dynasty is a historical urban landscape that contains a wealth of stories about the state’s governance strategy over the provinces, the dominant ideas of the day, and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developed in the diverse local environment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Eupchi landscapes were deliberately destroy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ut there are still some landscape components that remain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f we promote the integrity of the Eupchi landscapes and regional uniqueness through the networking of these remaining landscape components, the Eupchi landscapes of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able to secure potential value as a world heritage by satisfying three standards (ii, iii, and v) of the standards for World Heritage registration.

      • KCI등재

        문화적 구성물로서의 촌락 경관 비교 연구

        전종한(Jong-Han Je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3

        본 연구는 촌락 경관을 하나의 '문화적 구성물'로 본다. 이 주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경관과 장소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촌락 경관의 삼원 구조를 이론화한 다음 민촌과 반촌적 배경의 촌락 경관을 해석ㆍ비교하는 데에 이를 적용하였다. 여기서 구상한 촌락 경관의 삼원 구조한 탁월 경관, 사회적 공간, 사회문화적 실천의 삼원소로 이루어진다. 연구자는 민촌과 반촌적 배경의 촌락을 서로 비교하는 관점에서, 이들 삼원소를 매개로 '촌락민'과 그들의 '경관과 장소'가 어떻게 교차하며 관계하는지 탐색해 보았다. 특히 연구자는 '탁월 경관과 사회적 관계의 상관성', '사회적 공간과 장소 정체성의 관계', 그리고 '사회문화적 실천과 촌락 사회의 재생산 및 변화'의 세 차원을 중심으로 두 유형의 촌락을 비교하며 이해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heme 'rural landscape as a cultural construct'. To approach this theme, the author proposes the triad of rural landscape which is based on preceding studies on place and landscape, and applies the tria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rural landscapes of yangban(nobility)-originated settlements and those of commoner-originated settlements. The triad in this study consists of outstanding landscapes, social spaces, and socio-cultural practices. On the basis of this comparative study, the author inqui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habitant and their landscapes or places in each rural settlement in terms of three components of the triad. Especially, the author tries to compare and understand the two types of settlements centering around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outstanding landscapes and social relations', those 'between social spaces and place-based identities', and those 'between socion-cultural practices and the reproduction/changes of the rural society'.

      • KCI등재후보

        사족집단의 사회관계망과 촌락권 형성과정: 烏棲山의 溪居地 靑蘿洞을 사례로

        전종한(Jong-Han Je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4 문화 역사 지리 Vol.16 No.2

        이 논문은 촌락을 자기완결적 개체라기보다는 지역적 존재로 보고 일정 수의 촌락이 상호작용하는 기본 단위로서 촌락권의 형성과정에 접근한 것이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한국의 촌락 형성에서 중요한 주체였던 조선시대 사족집단에 주목한 다음, 오서산의 계거지 청라동을 사례로 사회관계망과 촌락권 사이의 습합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청라동에서는 경관과 장소의 측면에서 서로 대비되는 두 개의 사회지역을 확인하였으며 본 고에서는 각각 촌락권- I 과 촌락권 -II 로 명명하였다. 전자는 기원이 14세기말로 소급되는 전형적인 사족집단의 촌락권으로서 유교적 경관과 장소로 특징지어진다. 후자는 19세기 이후에 형성된 촌락권으로서 기층민속경관 및 장소가 탁월하게 나타난다. 두 촌락권 공히 혈연-지연 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되었지만, 전자가 화암서원을 상징경관으로 내세우는 權力共同體 성향의 촌락권이라면 후자는 마을 중앙의 堂山을 정신적 구심점으로 한 삼림지의 개간 주체로서 生計共同體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근·현대 이후 촌락권 II 는 전통시기의 정치·사회적 중심이었던 촌락권 I 에 대응하여 청라동의 새로운 경제적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오늘날 정라동에는 전통시기의 정치·사회적 중심이었던 촌락권 I 과 근·현대 이후 청라동의 새로운 경제적 중심지로 부상한 촌락권 II 가 사회·공간적으로 여전히 분리성향을 띠며 공존하고 있다. Rural settlement constitutes a part of rural community and can be better understood as a regional existence rather than just a self-sufficient unit. This study examines the probable connections between socio-spatial nexus and the forming of rural communit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landscape at or around the village of Cheong-ra dong in South Choongchung Province. In this paper I suggest two realms of rural communities termed community I and community II respectively. The former which originates in the 14th century can be characterized as power-oriented community, while the latter which began shaping up late in the 19th century is a typical case of livelihood community. The main finding from literary and field trip evidence is that the community II outran the former socic-political core of Cheong-ra dong, or community I, and rose to be a new center of local economy in the mode구 perio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내포지역 海灣開拓의 전개와 景觀變化의 사회적 주체

        전종한(Jong-Han Jeon) 대한지리학회 2003 대한지리학회지 Vol.38 No.2

        이 연구의 중요한 문제의식은 지역의 정체성 및 경관 특성의 규명을 목적으로 하는 지역 연구에서 가시적, 형태적 접근 대신 그 형성의 사회적 과정에 중점을 두자는 점이었다. 필자는 내포지역의 지역성을 이해하기<br/> 위해서 海灣이라는 자연지리적 특징에 착안하여 접근하였다. 내포 지역의 지리적 특징은 해만이라는 자연지리적 요소로 대변될 수 있으며, 해만이라는 生態的環境속에서 인간에 의한 개척의 과정은 이 지역의 지역정체성을 풀어갈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내포 지역의 해만 개척은 조선 시기에는 鹽田化를 주된 방향으로 하였고 일제시기이후 耕地化가 본격화되었다. 광복이후에도 줄곧 경지화는 해만 개척의 주된 흐름이었지만, 염전화가 일제시기에는 물론이고 오늘날까지도 그 상대적 비중이 커지면서 이 지역의 중요한 토지 이용으로 존속해왔다는 사실이 주목되었다. 이러한 地理的長期持續性은 소금 생산이 이 지역의 生態的環境에 가장 적합한 최선의 적응전략이라는 점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본격적으로 대규모 해만 개척이 이루어진 시기는 일제<br/> 시기인데, 이 시기를 지나는 동안 연구 지역에는 새로운 경제적 지배 집단이 등장하고 이들은 전통 시기의 사회·정치적 권력 집단과는 그 출신 성분이 달랐다. 구한말로부터 일제시기에 이르는 동안 주목되는 점은 조선시기의 해만을 점유했던 자염업 종사자들이 거대한 자본가이자 대토지 소유자로서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이 시기의정치·사회적 변동은 鹽漢의 수익 증대를 가능케 했고 수도권과의 직교역이 가능한 지리적 접근성 및 전통적 권력 집단인 사족층의 세력이 미약했던 점 등은 당대 이들에게 유리한 지역적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경제적 지배 집단으로 성장시켜 주었다. 내포지역의 독특한 지역적 조건이 호남 지방의 염한이나 영남 지방 혹은 영동 지방의 염한들과는 다른 차별적 성장을 이들에게 가져다 준 것이다. 이들은 전통 시기 내포지역의 사회·정치적 권력 집단과는 그 출신 성분이 달랐던 존재로서 일제시기를 지나는 동안 경제적 지배 집단을 넘어 정치적, 사회적 권력 집단으로 성장하였다. 이들 신흥 집단이 성장하는 데 의존했던 가장 중요한 자원은 대토지였는데 대토지 소유의 배경은 다름 아닌 소금 생산이라는 생태적 토지이용에 있었던 것이다. 이를 단초로 하여 새로운 지역 엘리트로 성장한 이들은 연구 지역의 독특한 지역적 조건과 조응하고 정치·사회적 변동에 편승하면서 일제시기 이후 연구 지역의 해만개척 및 삼림지 개간을 주도하는 등 景觀變化의 주체가 될 수 있었다. Bays and caps represen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Naepo area in Korea. And reclamation of tidal land presents a clue toward the understanding of regional identities and landscape changes in this area. Reclamation of tidal land in the Garorim bay that is representative of the physical geographies of Naepo area had<br/> trended toward ‘the diffusion of salt ponds’ during Joseon dynasty. Hereafter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reclamation had turned to ‘the reclamation of arable lands’ by drainage. But, at the same time the land use of salt pond that had been the most appropriate strategy of adaptation for the ecological environments of this area has showed a sort of the geographical long-term durability. And the great landlords that had emerged during Japanese imperialism were the Yeom-han(鹽漢, laborers who engaged in salt production) in former times. They as a new local elites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reclamation of tidal land and the making of regional landscape.

      • KCI등재후보
      • 지역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역사부평’의 문화경관과 지역 정체성

        전종한(Jong Han Je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6 기전문화연구 Vol.37 No.-

        지역역사지리학(regional historical geography)이란 역사지리학의 하위 분야로서 어떤 지역(a region)을 매개로 그곳에서 전개된 자연과 인간의 관계, 지역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과 문화와 역사의 연동 관계를 구명하려는 분야이다. 본 연구는 지역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공간적으로는 부평 지역, 시간적으로는 전근대 시기, 달리 말해 소위 ‘역사부평’의 지역 정체성을 궁극적 도달점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여러 선행 연구를 토대로 지역역사지리학의 전통적인 주제들을 추출한 다음, 이를 부평 지역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의 세부 테마들을 선정하였고 이들을 역사부평의 지역 정체성에 접근하기 위한 기본 내용 체계로 삼았다. 첫째,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를 가장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대표 지명과 그 의미, 둘째, 부평의 치소 입지와 권력 공간의 구성, 셋째, 지역의 지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과 인지, 넷째, 인문지리의 핵심 요인인 주요 사회집단과 인물(주요 성씨 집단과 배출 인물), 다섯째, 지역 경제의 단면을 알려주는 주된 생업 기반과 인구 분포, 여섯째, 지역문화를 표상하는 문화경관 및 상징적 장소들, 일곱째, 시간에 따른 지역의 변모과정을 엿볼 수 있는 경관 변화 및 지역구조의 변동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역사 지리학의 기본 내용 체계를 어떻게 구성할 것이며 구체적 서술 방식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를 위한 유의미한 실험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is a subfield of historical geography. It is a fiel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having been developed there through a certain regi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environment, culture and history in the local context. In this study, the regional identities of so called historic Bupyeong , i.e. that of premodern Bupyeong, were set as the ultimate destination of study from the viewpoint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To this end, the author extracted traditional major themes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based on several previous researches, then applied them to the historic Bupyeong, and selected seven themes as follows: first, the representative name and its meanings that represent the regional identities and regional image most implicitly; second, the composition of historic Bupyeong s location and composition of the space of power; third, the awareness and perception of geographical environment; fourth, the major social groups and figure(major genealogical groups and its great figures); fifth, the main employment base and population distribution; sixth, cultural landscapes and symbolic places representing local culture; seventh, the landscape changes and the dynamics of regional structure that would show the changing process of the region through time. These seven themes consists of the framework of concents to approach the regional(local) identities of historic Bupyeo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an meaningful experimental example of how to construct the contents framework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and how to develop a specific narrative method to regional historical geographies in Korea.

      • KCI등재

        종족 집단의 거주지 이동과 종족 촌락의 기원에 관한 연구

        전종한 ( Jong-han Jeon ) 한국사회사학회 2002 사회와 역사 Vol.0 No.61

        null It could be to understand bonkwan(本貫) as the real or symbolic place of the lineage group in Korea. But lineage groups never stayed continuously ‘in’ bonkwans, so that the problem of migration could be proposed. Lineage groups in Korea moved their residence place continuously ‘away from’ their bonlwans. The feature as spatial acting subject or social group could be described in the course of chasing their migration. In existent studies, there was a tendency towards macroscopic approach being based in social economic changes in understanding the problem, migration. I insisted that case-centered approach, microscopic and qualitative, should be useful. Therefore the aim is not to pursue generalization but to research various contexts and situations causing migration. As result of studying relation between background of migration and distance of migration based on the case study, migration caused by usual situation trended towards short-distance marriage could be the main case. But the higher political status of the lineage group was, the more it migrated long-distance. It was because going into central government or dispatching local officials caused migration. Moreover, in this case, last name by marriage network prevailed so there were long-distance in the migration by marriage network. Sometimes such a distant marriage network was used as a migration place for escaping political disaster. Next, relation between social upheaval and frequency of migration was studied. Generally speaking, frequency of migration in wars was so high.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said that in fact, the time of changing dynasty-final Koryo and early Chosun-, that is, the end of 1300s, was more meaningful. The result of research of the time was in the same meaningful. The result of research of the time was in the same context with formation of ‘bonkwan as origin place’ among discussions on bonkwan as above, and stood for a possibility of national base reorganization of lineage group. The most preferred goal for migration was presumed to be the region between the south of the Charyeong Mountains(車嶺山脈) and the north of the Sobaek Mountains (小白山脈). Because this area met the basic goal of migration, sequestration(life in retirement) and self-sufficiency, as an ecological region bearing condition of crossing mountains and rivers. Finally, as the result of studying geopolitical aspect of migration place, a mechanism of ‘political success→securing residence place near the capital Hanyang(漢陽) →distant migration’ was verified. It was confirmed that the nearer Hanyang a lineage group lived, the higher its frequency of distant migration and rise in political status. The pattern happened even in the same lineage group, according to branches(派). It showed that during 14~19C the distance of residence place from Hanyang worked as a geopolitical factor to speed up political advance, status rise and secureness of residence place. Meanwhile, lineage-village(宗族村落) began to happen. Most places of lineage ?village were origin places of ancestors-had high status in politics. This saying has two meanings. One is that political success of ancestors was the powerful factor to secure lands of the village. The other is that the one to make political success and securing lands was the mental center to reside in a unit, village. Those two factors worked tow background for lineage-villages were formed in two aspects. The former was the cause for landscape of village as a group place of residence and the latter was the cause for landscape as a symbol, such as a sadang(祠堂,shrine), seowon(書院,a lecture hall at the same time a shrine), jeongryo(旌閭門,a gate erected in honor and an ancestral burial ground). The former provided with physical background of lineage-village and the latter provide with time and space for lineage-village`s existence by securing its territory. The origin of lineage-village in the context was located in the place symbolic and meaningful in the point of group. That is to say, bonkwan or new base places were the proper place. First of all, a lineage-village located in bonkwan was to represent symbol as a birth place of the father and to show off being native. Then, a lineage-village located in new base place was to express their existence through ‘group residence’ and ‘successful ancestors’ and to adapt themselves to parent society. Therefore, especially the latter was researched as a kind of enclave, as the geographical grouping phenomenon in the region settled by distant migration from bonkwan.

      • KCI우수등재

        근·현대 民村의 사회공간적 성격과 영역성 -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의 사례 -

        전종한(Jong-Han Jeon) 대한지리학회 2005 대한지리학회지 Vol.40 No.6

        이 논문은 근·현대 民村의 사회공간적 성격과 영역성에 접근하는 일환으로 촌락민의 제 관계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촌락권의 중층성 문제를 탐구한 것이다. 연구 지역인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는 금강 범람원 변에 입지한 민촌적 배경의 진주강씨 종족마을이다. 이 촌락은 마을이 형성된 17세기 이후 지금까지 견고한 사회적 집단성을 바탕으로 20세기 중후반의 이른바 촌락 해체기를 경험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근·현대시기를 지나면서 이 마을에는 촌락민들을 둘러싼 제 관계를 반영하며 촌락 영역의 다양한 경계들, 즉 중층적 촌락권이 만들어져 왔다. 필자는 촌락민을 둘러싼 제 관계를 인간-자연관계, 사회적 관계, 정치적 관계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서 각각에 상응하는 촌락권의 범위와 내용을 검토하였다. 장하리와 검신들을 묶는 인간-자연 관계의 촌락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장하리와 북고리를 연결하는 통혼권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의 촌락권이 19세기 이후 여전히 존속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최근에는 장하리, 북고리, 상황리, 하황리로 연결되는 정치적 연대의 촌락권이 출현하였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과거의 신분 관계에 기초한 통혼권의 경우처럼 특정 촌락권이 소멸하기도 하지만 근·현대 이후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새로운 유형의 촌락권이 탄생하는 경우도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요컨대 중층적 촌락권으로 대변되는 이 마을의 영역성은 장하리 주민들이 처했던 환경적 특수성을 표현하고 사회·문화적 차별성을 표상하며 정치적 연대성을 함축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inquired the multi-layered sphere of a commener's settlement of Jangha-ri in modern times to approach the territoriality and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of it. This settlement has originated in a lineage settlement of Jinju-Gang, and has experienced socio-spatial cohesion since its making(the 17th Century). Especially, it is found that the territoriality of Jangha-ri has fluctuated in times and has obtained multi-layeredness according to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to the social relationship, and to the political relationship of villagers. As a result, it is interpreted that the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and territoriality of Jangha-ri in modern times do not only have a physical reality, but also social, political, cultural one.

      • KCI등재

        지역학습 내용구성의 대안적 논리 구상

        전종한 ( Jeon Jong-han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2 사회과교육연구 Vol.9 No.2

        Traditionally, the contents of region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have oriented two dimensions, i.e. educational and socio-political one. And, the contents of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policy of each generation which reflect the contemporary educational aims and socio-political circumstances. But, one thing which is consistent is the thought that places around students arc to be brought into educational realm. This point is the aspect of my new conception which I consider. In this article, I proposed a new conception that ‘region’ in region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is to be reconceptualized as place. Place has physical, mental, and social facet, and students would expose, decode, and read those facets. And I suggest two elements i.e. ‘landscape’ and ‘region-related discourse’ that are pertinent and meaningful to the case region as criteria with which we cart grasp the meanings of places and the place identity.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landscapes and region-related discourses in a region as a place have multi-layers of meaning which are existent in various spatial scales and historical periods. I could prepare content elements on the base of landscapes and region-related discourses in Daejeon in Korea as a case. In fact, landscapes and region-related discourses can designate the scope of regional learning. But, not the sequence. Logic development on the sequence of regional learning is necessary another dimension of consideration. However, in that consideration we must attention to multi-layers of meaning of each place which arc existent in various spatial scales and historical peri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