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한반도 읍치 경관의 지리적 함의와 세계유산 가치

        전종한(Jong-Han Jeon)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5

        조선왕조 500여 년 역사 속에서 읍치는 당대의 지방 통치, 경제생활, 문화‧예술을 함축한 다양한 경관 요소와 장소들로 채워진 전통도시로서, 한반도 고유의 읍치 경관을 조형하였다. 조선의 읍치 경관은 지방에 대한 국가의 통치 전략과 당대의 지배적 관념 세계, 다양한 지역 환경에서 전개된 인간-자연 관계에 대한 풍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귀중한 역사도시경관이다. 일제강점기를 지나면서 읍치 경관은 일제의 주도 하에 계획적으로 해체되었지만 오늘날 한반도 곳곳에는 여전히 잔존 경관들이 남아 있다. 이들 잔존 경관의 네트워킹을 통해 읍치 경관의 완전성과 지역적 고유성을 도모한다면, 한반도의 읍치 경관은 세계유산의 등재 기준 중 세 가지(ⅱ, ⅲ, ⅴ)를 충족함으로써 세계유산으로서의 잠재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500 years of the Joseon Dynasty, Euchi as the Korean traditional city had filled with various landscape components and places that implied local government, economic life, and culture and art of the time, and ultimately created the Eupchi landscape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Eupchi landscape of the Joseon Dynasty is a historical urban landscape that contains a wealth of stories about the state’s governance strategy over the provinces, the dominant ideas of the day, and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developed in the diverse local environment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Eupchi landscapes were deliberately destroy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ut there are still some landscape components that remain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f we promote the integrity of the Eupchi landscapes and regional uniqueness through the networking of these remaining landscape components, the Eupchi landscapes of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able to secure potential value as a world heritage by satisfying three standards (ii, iii, and v) of the standards for World Heritage registration.

      • 가칭《경기역사지도집》의 체재 구성과 편찬을 위한 시론

        전종한(Jeon, Jong Ha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가칭 《경기역사지도집》의 체재와 편찬 방안에 대해 고찰한 것이 다. 먼저 연구자는 최근 우리나라의 국가역사지도집 논의가 방법 측면에 치중되어 있음을 지적하면서 국가지도집 편찬과 병행하여 지역역사지도집의 편찬 작업을 도모함으로써 방법 측면에 우선하여 내용 측면, 그 중에서도 콘텐츠 구축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연구자는 해외의 주요 지역역사 지도집의 체재를 분석하여 행정구역, 자연환경, 인문환경이 공통된 3대 내용 범주라는 점을 밝히고, 이들 3대 내용 범주를 《경기역사지도집》의 기본 체재로 삼자고 제안하였다. 다만 이 때 행궁 행차 노선, 능묘, 도읍지의 방어를 위한 군사시설 등 지역 고유의 역사·문화적 배경을 부각시키는 역사지도들을 발굴하여 편제에 반영함으로써 3대 내용 범주 중심의 기본 체재를 지역 정체 성에 맞게 적절히 변형하고 재구성하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지역역사지도집이 지역민의 장소감 증진과 정신세계의 풍요로움에 기여하는 지역인문학으로 전화되어야 한다는 점과, 경기역사지도집의 성공적 편찬을 위한 두 가지 관건으로서 역사지명사전의 편찬과 더불어 역사지리정보의 고증 작업에서 야외답사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 and compilation of the so-called 《Historical Atlas of Gyeong-Gi》. To do this,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 discussion on the recent historical atlas of Korea attaches too much of the methodological aspect, and argues that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content aspect, i.e. content construction, prior to the methodological aspect in compiling the regional historical atlas. And then, the researcher analyzes the format and compilation of some regional historical atlases abroad and reveals th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human environment are the three main-content categories. The researcher considers these three main-content categories as the basic format of 《Historical Atlas of Gyeong-Gi》, but suggests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modification and reconstruction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Gyeong-Gi region and of unique themes of historical maps showing the regional identity of Gyeong-Gi, such as the distribution of military facilities for the defense of national capital, royal tombs, the king’s routes to local palaces, and so on. Finally, the author proposes that regional historical atlas belongs to a certain kind of the regional humanities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local people s sense of place and the richness of the spiritual world, and the two key points for the successful compilation of 《Historical Atlas of Gyeong-Gi》 are ‘gazetteer of historical place names’ and ‘field trips’ for historical-geographical investigation.

      • KCI등재

        근·현대 인천의 경관 변화와 공간 구조의 변모

        전종한(Jeon, Jong-Ha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0 기전문화연구 Vol.36 No.-

        개항기 인천항은 항구 전면에 월미도, 소월미도, 사도 등이 늘어서 제물포 항구를 둘러싸고 있었고, 팔미, 무의 등의 제도가 멀리서 그 바깥을 다시 끌어안아 자연적으로 항만 입지에 유리한 만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자연적 조건은 인천항의 구조가 내항과 외항으로 이루어지는 배경이었고, 이에 따라 큰 선박은 외항에, 작은 선박은 내항에 정박하였다. 이 연구는 근∙현대 인천의 경관 변화와 공간 구조의 변모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근대 인천의 경관 및 공간 구조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이미 여러 편 이루어졌으나, 이 주제에 관해 근∙현대 시기에 걸쳐 연속성 있게 추적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먼저, 근∙현대 인천의 경관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행정구역 변천과 인구 추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토지 이용 패턴의 변화 및 취락의 형성과 시가지 발달 과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인천의 공간 구조의 변모에 접근하기 위해 근대 수운 교통의 발달과 인천항의 결절성, 이어서 근∙현대 육상 교통의 등장과 배후 교통 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Incheon port in the open-port period was surrounded with such islands as Weolmi-do, Soweolmi-do, Sa-do, and beyond these islands was encircled by such islands as Palmi-do, Muei-do. Therefore, Incheon port of that time was appreciated as a natural port. These natural conditions have given support to the structure consist of the inner harbor and outer harbor of Incheon port. This study discusses the landscape change and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in modern times. Though many studies on that theme, there are few examinations on historical-geographical change from the open-port period to the present day. First of all, the author discusses the change of land use pattern and the development of settlement on the basis of the change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population transition of Incheon. In the second place, the author examines water traffic and nodal characteristic of Incheon port in modern times, and overland transport and traffic network in present times to approach the formation of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부평도호부 읍치경관의 복원 : 역사도시경관의 진정성과 완전성 관점에서

        전종한(Jeon, Jong Ha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9 기전문화연구 Vol.40 No.2

        조선후기 부평도호부(富平都護府) 읍치경관은 오늘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지역을 대표하는 역사도시경관이다. 조선후기 부평도호부는 현재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부평구, 서구, 그리고 경기도 부평 등지를 관할구역으로 하였다. 부평도호부의 치소는 현재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일대였다. 조선후기 부평도호부 치소에는 많은 관아 시설들과 제향의 장소들, 당대의 인간-자연관계 및 역사·문화적 함의를 지닌 경관과 장소들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부평도호부 읍치경관은 우리나라 읍치경관의 일반성을 보여주면서도 세 곳에 조성되었던 조산, 대규모로 존재했던 읍수 등의 측면에서 고유성이 있었다. 그러나 근대이행기의 정치·사회적 혼란과 현대에 이루어진 대단위 시가지 개발로 인해 유산 가치가 있는 많은 상징적 경관과 장소들이 크게 훼손되거나 거의 사라졌다. 오늘날 인천광역시 계양구는 옛 부평도호부의 읍치경관을 복원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유산(heritage)을 복원하는 작업은 경관과 장소를 매개로 지역정체성의 근원을 찾아가는 과업이며 지역의 역사문화 자원을 교육콘텐츠로, 관광콘텐츠로, 문화콘텐츠로, 그리고 시민들의 지역정체성 함양과 자존감 제고를 위한 교양콘텐츠로 변환시키는 일이다. 하지만 현재 남아 있는 유적이나 경관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고 주요 경관과 장소의 정확한 소재지에 대한 근거 또한 불명확하다. 따라서 읍치경관을 복원하기에 앞서 경관의 진정성과 완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토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하고, 유의미한 복원 대상 시기를 특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townscape, ie. the Landscape of County Seat of Bupyeong-dohobu(富平都護府)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a historical urban landscape representing Gyeyang-gu,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pyeongdohobu had jurisdictions in Gyeyang-gu, Bupyeong-gu, Seo-gu, and Bupyeong, Gyeonggi-do. The core area of Bupyeong-dohobu was located in Gyesan-dong, Gyeyang-gu, Incheon. Bupyeong-dohobu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d many intensive facilities, places of pilgrimage, landscapes and places with human-nature relation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However, due to the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of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and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urban area in modern times, many of the symbolic landscapes and places with heritage values have been greatly damaged or almost disappeared. Today, Gyeyang-gu, Incheon is paying attention to reconstructing the townscape of the old Bupyeong-dohobu. Reconstruction of a heritage is a task of finding the source of regional identities through the landscape and the place, and is to transfor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a region into educational contents, tourism contents,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contents for improving local identity and self-esteem of citizen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remaining ruins and landscapes, and the grounds or geographical informations for the exact location of major landscapes and places are unclear. Therefore, before reconstructing the townscap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basic research to promote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of the landscape, and to identify the timing of significant reconstruction.

      • KCI등재후보

        자연보전권역 공동주택 규제 합리화에 관한 연구

        전종한(Jeon, Jong Han),양재영(Yang, Jae-Yeong),고진수(Ko, Jinsoo) 도시정책학회 2018 도시부동산연구 Vol.9 No.2

        This study examines irrationality of restriction of apartment building acts within nature preserve region and finds a suitable alternative in term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change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review the conten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Maintenance Planning Act revised in 2006. Second, confirming the regional change of the development aspect and the regulation overlapping with the natural preservation area. Third, it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by referring to expert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It is suggested that allow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s less than 30,000㎡ in the area where the infra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contrary,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regulations on small-scale urban development projects an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of less than 30,000㎡ outside urban areas.

      • KCI등재

        교육대학교 사회과 심화과정 지리 영역의 현상과 개선 방향

        전종한(Jong-Han Jeon)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1

        전국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최소한 과반수는 학부 4년 동안 지리 강좌를 전혀 이수하지 못한 채 학교 현장에 투입되며, 그 수준에서 사회교과서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지리 영역을 담당한다.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사회과 심화과정 지리 영역의 현상을 기술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여기에 접근하기 위해 취한 관점은 심화과정의 편제를 교양과정 및 전공과정과의 관계의 측면에서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 수준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을 준거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전공과정과 심화과정의 사회과교육(공통) 강좌의 중복성, 교양과정과 심화과정 강좌의 비연동성, 심화과정 구성에 있어 특정 영역에 대한 편중성 등이 지리 영역의 취약성과 직결되어 있었다. 연구자는 국가 수준에서 규정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의 조화, 그리고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 간의 형평성을 준거로 삼아 초등 지리 영역의 취약성을 만회할 수 있는 여섯 가지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status quo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universities of education in Korea, to extract the questions at issue, and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improvement. To approach these purposes, the author grasps the viewpoints that the intensifying course of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is investigated with relation not only to the national curriculum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but also to both specialization course and liberal arts course. Intensifying course have been organized to strengthen the teaching-learning abilities on the subject matter contents since the beginning. But the present day, intensifying course meets several problems waiting solution: problems in reference to overlap with specialization course, to disconnection with liberal arts course, and to the internal disequilibrium. So, the author proposes six solutions for the problems.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부평도호부 관아 지구의 경관 복원

        전종한(Jeon, Jong Ha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1 기전문화연구 Vol.42 No.1

        오늘날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일대는 조선후기 부평도호부의 관아 지구가 있었던 곳이다. 조선시대 지방 고을의 옛 관아 경관은 한반도의 전통 도시 경관을 대표하며 현재의 관점에서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하고 지역인문학의 진흥에 기여할 수 있는 귀중한 역사도시경관이 된다. 본 연구는 부평의 관아 경관을 구성했던 주요 시설은 다양한 고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옛 지리지와 읍지를 통해 주요 관아 시설들의 규모와 좌향, 부속시설 등을 알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의 지적원도와 구토지대장을 분석하여 옛 부평 읍치의 일대의 국유지 분포와 국유지 지번, 지번별 지목 및 지적 경계의 형태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 부평부의 옛 관아 경관을 구성했던 아사, 객사, 연무당, 부창 등의 위치와 공간 범위, 건물 형태를 추정하였으며, 향후 부평 관아 시설의 발굴 및 경관 복원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The area of Gyesan-dong of Incheon is where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Bupyeong Eupchi( county seat)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located. The old landscapes of the local administrative center of Joseon dynasty represents the traditional urban landscap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ecomes a valuable historic urban landscape that can enrich our lives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regional humanities. The author is able to visually confirm the main facilities that constituted the landscapes of the Bupyeong’s administrative center through various old maps, and knows the scale, standing direction, and attached facilities of major facilities through the old geographical literatures of Bupyeong area. By analyzing the original cadastral map(1910),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of national lands in the old Bupyeong-eupchi, the number of national lands, the location of each area and the shape of the boundary were identified. Based on these data, the location, spatial range, and shape of buildings such as Asa and Gyeksa which constituted the old administrative landscape of Bupyeong, were estimated, and the possibility of excavation and landscape reconstruction were proposed.

      • KCI우수등재

        종족집단의 지역화과정에 관한 연구(II): 경관생산단계 - 16~17세기 계보의식의 탄생과 사회관계망의 공간적 확장 -

        전종한(Jong-Han Jeon) 대한지리학회 2003 대한지리학회지 Vol.38 No.4

        연산과 회덕 지방에 있어서 16~17세기의 시기는 경관 생산과 사회적 관계망 확장 단계( landscape phase)로 대변된다. 그 만큼 사회적으로 의도된 다양한 상징경관이 생산되던 시기로서, 혈연관계를 중심 매개로 했던 이전의 생태적 정착 단계와는 다른 지역 정체성을 구성해갔다. 15세기를 지나면서 이들 지역에서 수위 종족집단으로 부상한 광산김씨와 은진송씨는‘권력 과시형 경관’을 지역에 이식하면서 중앙에서 획득한 자신들의 권력을 지방에 과시하였고, 16세기부터는 지방민들을 포섭하기 위한‘시혜·교화형 경관’을 생산하면서 지역사회에 완전히 착근할 수 있었다. 광산김씨의 경우 후자에 해당하는 첫 번째 경관이 정회당이었고, 다음으로 양성당, 임리정이 생산되었다. 이러한 경관 창출은 순차적인 영역성 확대를 유도하였고, 영역성에 내포된 초기의 擬似空間的(pseudo-spatial) 성격은 보다 분명한 공간적 정초를 확립하면서 내실을 기해갔다. 이러한 경관 생산을 통해서 학문적 계보의식이 탄생하였고 그 계보의식은 일정한 지역적 범위를 향해서 확대, 심화될 수 있었다. 또 한가지 이 시기의 중요한 특징은‘시혜·교화형 경관’이 매개가 되어 연산의 광산김씨와 회덕의 은진송씨가 사회·공간적으로 결합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들의 사회적 결합은 곧 공간적 영역의 통합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국지적’(local) 규모의 수위 종족집단이 서로 결합함으로써‘지역적’(regional) 규모의 지역사회가 형성되었음을 말한다. 이와 같은 연산과 회덕의 공간적 통합과 확장된 영역성은 광산김씨와 은진송씨가 주체가 된 지역화과정의 산물이었다. 사회적으로 생산된 이 공간성(spatiality)의 탄생 과정에는 학연 관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통혼을 통한 혈연 관계, 근거지의 지리적 인접성이라는 지연 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연산·회덕권을 하나의 동일한 지역사회(community)로 만들어냈던 것이다. 이렇게 출현한 공간적 영역과 지역 정체성은 오늘날까지 이 지방의 사회·공간적 의미를 구성하면서 중요한 층위로 존속하고 있다. It was the landscape phase that social relations were extended by production of landscapes during the 16C~17C. Core lineage groups in study area had extended socio-spatial nexus through making of the landscape of‘authority-ostentation’(권력-과시형 경관) and of ‘kindness-civilization’(시혜·교화형 경관). Therefore they could<br/> gain a result that their power and authority took root in community perfectly. In the case of the Kims of Kwangsan(광산김씨), the first landscape of‘kindness-civilization’was Jungheodang(the learning room Jungheo), and next it was built Yangsungdang(the learning room Yangsung), and Imlijung(the pavilion Imli). Through this landscape production, the consciousness of scholastic genealogy was born, and this genealogy consciousness could be deepened and extended in regional scale. One more important feature in this phase is the point that the Kims of Kwangsan in Yeonsan area and the Songs of Unjin(은진송씨) in Hoiduk area could unite socially by the landscape production of‘kindness-civilization type’becoming intermediation. And these social union, that is to say, it do connote enlargement of the territoriality. It tells that community of‘regional’scale was formed by of core lineage groups of‘local’uniting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