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임신 당뇨병의 선별 및 진단 검사로써 50 g, 75 g,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의 효율성에 임상 연구

        박세나 ( Se Na Park ),차영주 ( Young Ju Cha ),정경아 ( Kyung Ah Jeong ),유은희 ( Eun Hee Yoo ),전선희 ( Shun Hee Chun ),김종일 ( Chong Il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8 Perinatology Vol.19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WHO가 제시한 1단계 75 g 경구 당부하 검사가 임산부에게 공복의 불편감과 자료의 미비성으로 임신 당뇨병의 진단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 보다 검사가 용이하고 진단율이 높으며 분만 후 추적 검사에도 유용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 50 g 경구 당부하 검사의 역치에 대한 분석 및 75 g과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의 임상적 효율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l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616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50 g 경구 당부하 검사 후 양성 기준을 130 mg/dL, 140 mg/dL로 하여 50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률과 임신 당뇨병의 진단율을 비교하였다. 50 g 경구 당부하 검사 결과치가 140 mg/dL 이상일 때, 75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실시한 군 및 l00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실시한 군과 대조군의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각각의 양성군에서의 임신 및 신생아 결과 및 산후 당뇨병 검사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50 g 경구 당부하 검사 시행 결과 130 mg/dL 이상에서 140 mg/dL 미만인 임산부에서 75 g 경구 당부하 검사에 응한 총 28명의 환자들 중 3명(10.7%)이 임신 당뇨병을 진단받았다. 50 g 경구 당부하 검사 결과 140 mg/dL 이상으로 양성 판정을 받아 75 g 또는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시행한 결과, 양성률이 각각 51.6%, 31.6%로 75g 경구 당부하 검사의 임신 당뇨병 진단률이 l00 g 경구 당부하 검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47). 75 g 또는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군의 임신과 신생아 결과에서는, 임신 초기 체질량 지수가 l00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군에서 75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군에서 비해 유의한 증가(25.2±3.53 kg/m2 vs 22.9±3.26 kg/m2, p=0.043)를 보인 것 이외에는 두 군 간의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산후 당뇨병은 l00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군에서 75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군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결론: 50 g 경구 당부하 선별 검사 후에, 75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이용하여 임신 당뇨병의 진단율을 높임으로써 당불내성으로 인한 경미한 고혈당증을 보다 적극적으로 진단 및 치료하여 효과적으로 조절, 관리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efficiency of 75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ith those of 100 g OGTT for diagnosin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after abnormal 50 g oral glucose challenge test (OGCT). Methods: Data of 616 pregnant women delivered at Ewha Womans University Dongdaemoon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June, 2007 was review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ositive diagnostic rate of GDM for the group resulted in the range of 130 and 140 mg/dl and in 140 mg/dl and higher on the 50 g OGCT group was analyzed. Pregnancy and fetal outcomes were compared for the women who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75 g and 100 g OGTT. Results: Of the 28 pregnant women whose results were in the range of 130 and 140 mg/dL on the 50 g OGCT, three women (10.7%) were diagnosed as GDM. Among women who showed the results of 140 mg/dL and higher, positive rate of GDM by 75 g OGTT (51.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by 100 g OGTT (31.6%) (p=0.047). The positive result group of 75 g and 100 g OGT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gnancy and fetal outcomes except that BMI of 100 g OGTT positive group was more increased at early pregnancy (25.2±3.53 kg/m2 vs 22.9±3.26 kg/m2, p=0.043). Conclusion: 75 g OGTT may be a more convenient and useful tool in the diagnosis of GDM to protect for adverse outcomes in untreated gravidas with minimal hyperglycemia.

      • KCI등재

        CGH를 이용한 한국인 자궁경부 편평상피세포암 세포주의 염색체 DNA 변이 분석

        오관영 ( Kwan Young Oh ),박수연 ( Soo Yun Park ),정지학 ( Ji Hak Jeong ),황인택 ( In Taek Hwang ),박준숙 ( Joon Sook Park ),박미혜 ( Mi Hye Park ),전선희 ( Shun Hee Chun ),김승철 ( Seung Chul Kim ),김종일 ( Jong Il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8 No.3

        목적: 비교 유전자 부합법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은 일종의 새로운 FISH 방법으로 기존의 세포유전학적 분석으로는 용이하지 않았던 모든 염색체 상의 상대적인 염색체 변이를 한번에 알 수 있게 해준다. 이에 본 연구를 한국인의 자궁경부 편평상피 세포암 세포주를 이용해 염색체 DNA 변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자궁경부 편평상피세포암 세포주 SNU-17, SNU-682와 Objective: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 is a new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technique to identify genomic aberrations in canc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on-random chromosomal DNA aberrations involved in cervica

      • 자궁내막증의 자궁내막에서 저산소증이 혈관내피성장인자 및 섬유모세포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정경아,전선희,윤정미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8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1 No.1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roles of hypoxia and HIF-1 α, leading to expression of VEGF and FGF in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Methods : From September 2005 to february 2006, endometrial stromal cells were obtained from the patients with or without endometrosis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Ewha Womans University Dongdaemun Hospital. These cells were cultured and treated with 100uM desferrioxamine (DFO) for 0hr and 2hr. After the extraction of total RNA, RT-PCR was performed and the expression level of HIF-1 α, VEGF and FGF mRNA were measured by β-actin as 1.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SPSS 12.0 version). A p value of 0.05 was considered as the limit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 Chemical hypoxia condition with DFO in normal endometrium results m the up-regulation of HIF-1 α, but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utopic endometrium of th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he expression of VEGF in normal control group was not changed, but it was increased in endometriosis group under chemical hypoxia. Hypoxia with DFO induced the overexpression of FGF in endometriosis group, compared that it was slightly decreased in normal endometrium. Conclusion : Hypoxia and subsequent production of HIF-1 α might regulate angiogenesis by the expression of VEGF and FGF, that is related to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confirm. 목적 본 연구는 저산소증과 저산소증 유도인자(hypoxia inducible factor, HIF) -1 α의 역할에 따른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와 섬유모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발현이 자궁내막증의 발생기전에서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9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이화의대부속 동대문 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내막증으로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의 자궁내막 조직과 자궁내막증이 없는 환자의 자궁내막 조직을 채취하였다. 자궁내막 세포를 분리 및 배양하고 desferrioxamine (DFO) 처리하였다. DFO는 100uM. 배양시간은 0시간과 2시간으로 정하여 실험하였다. 전체RNA 추출 후에, RT-PCR을 이용하여, HIF-1 α, VEGF, FGF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으며, β-actin product 값을 1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값으로 산출하였다. Wilcoxon signed rank test, Mann-Whitney U test(SPSS 12.0 version)를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p값은 0.05미만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하였다. 결과 DFO를 처리하여 화학적 저산소증 환경을 만들어주었을 때 HIF-1 α의 경우 대조군은 증가된 양상으로 나타났으나 자궁내막증군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대조군의 VEGF는 화학적 저산소증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자궁내막증군에서는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FGF는 대조군에서 화학적 저산소증에 의해 발현량이 약간 감소되었으나 자궁내막증군에서는 증가되었다. 결론 자궁내막증의 발생기전에서 저산소증으로 인한 HIF-1 α의 역할과 VEGP, FGF 발현으로 유도되는 혈관생성이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