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형 발전기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전력관리 시스템 개발

        전민호,오창헌,Jeon, Min-Ho,Oh, Chang-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논문에서는 2대 이상의 소형 발전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부하의 전력 소비량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개발하였다. 고속의 하드웨어 플로팅 포인트 연산처리가 가능한 TI사의 TMS320C6713 DSP 칩을 사용하여 하드웨어를 구성하였으며,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PC와 통신하게 하였다. 모니터링 PC에서 수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DSP main board에서 CT/PT센서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발전기를 on/off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전력 관리 시스템이 이상 없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하의 전력사용량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경우 소형 발전기 2대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때 보다 더욱 오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n electricity management system, which saves energy by utilizing electricity consumption of load from an environment that uses at least two compact generators, is proposed and developed. A hardware is constructed by using TMS320C6713 DSP chip made by TI that is capable of high speed hardware floating point processing while serial communication is used for communication with a monitoring PC. Manual control is made possible from the monitoring PC and automatic on/off is enabled in the generator by using data collected by CT/PT sensor from the DSP mainboard. Test results confirm that the electricity management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functions without abnormality. The application of an algorithm that saves energy by using electricity consumption of load also allows for a longer supply of electricity compared to continuously using two compact generators.

      • KCI등재

        인체 흉부 영상 복원을 위한 행렬 적응 조정 방법의 적용

        전민호,김경연,Jeon, Min-Ho,Kim, Kyung-Youn 한국전기전자학회 2015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9 No.1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법(EIT)에서 역문제는 매우 높은 비정치성이므로 이것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사전정보가 사용되고 EIT 역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만족스러운 복원성능을 갖기 위해 조정 기법은 적용된다. 반복적 Gauss-Newton 방법은 정확성과 빠른 수렴속도로 인해서 일반적으로 역문제를 푸는데 사용되지만 항상 좋은 성능을 내는 것은 아니며 조정 인자 선택에 따라 성능이 좌지우지된다. 비록 L-곡선과 같이 조정 인자를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이 모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조정 인자는 스칼라이고 반복 연산동안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복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정 인자를 결정해주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반복 연산과정에서 도전율의 norm을 구하고 이것을 대각 행렬형태인 조정 인자를 구하는데 사용한다. 제안한 방법을 인체 흉부 영상 복원에 적용하였고, 기존의 방법들과 복원 성능을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해서 개선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verse problem i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EIT) is highly ill-posed therefore prior information is used to mitigate the ill-posedness. Regularization methods are often adopted in solving EIT inverse problem to have satisfactory reconstruction performance. In solving the EIT inverse problem, iterative Gauss-Newton method is generally used due to its accuracy and fast convergence. However, its performance is still suboptimal and mainly depends on the selection of regularization parameter. Although, there are few methods available to determine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such as L-curve method they are sometimes not applicable for all cases. Moreover, regularization parameter is a scalar and it is fixed during iteration process. Therefore, in this paper, a novel method is used to determine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to improve reconstruction performance. Conductivity norm is calculated at each iteration step and it used to obtain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which is a diagonal matrix in this case.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human thorax imaging and the reconstruction performance is compared with traditional methods. From numerical results, improved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is seen a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 KCI등재

        근대 삼육론의 전개와 한국적 수용

        전민호(Jeon, Min-h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서구에서 근대에 형성된 삼육론을 기점으로 메이지기 일본에서 삼육론의 전개를 고찰하고, 개화기 조선에서 삼육론의 전개를 교육학 교재와 학회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서구에서는 신체의 건강을 강조한 로크, 전인적 성장에 관심을 기울였던 페스탈로치, 사회진화론적 입장에서 삼육론을 전개하였던 스펜서 등에 의해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서구에서의 삼육론은 사회진화론과 함께 시대적 상황이나 정치적 흐름에 따라 그 논리가 변형 또는 수정되어 적용되었다. 일본에서의 삼육론은 메이지기부터 본격화 되었는데 초기에는 유학과 번역을 통해 서구의 삼육론을 도입하였지만 국가주의와 결합되어 전개되었다. 조선에서의 삼육론은 팽창주의는 아니었지만 국가의 독립과 부강을 목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일본과 유사하게 전개되었다. 근대적 교육기관에서 사용한 교육학 교재는 일본에서 헤르바르트학파의 교육학을 국가주의적 관점에서 재해석 한 것을 도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906년 이후 학회지에 나타난 삼육론은 일본을 통해 도입된 서구적 개념의 교육학이 보편화 되고 있었다. 결국 조선에서의 삼육론은 생존경쟁이나 우승열패로 대표되는 사회진화론과 함께 교육을 통한 국가의 독립과 발전을 위한 핵심논리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was examined western modern’s moral, intellectual and physical, and Japanese those in Meiji Era, and Joseon’s those in modern Korea. Moral, Intellectual, and Physical in western was developed by Locke, Pestalozzi, Spencer and so on. Locke set a high value on Physical, Pestalozzi put emphasis on the whole-rounded education, and Spencer laid stress on the social evolution theory. After that time, Moral, Intellectual, and Physical in western took a new tur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ra and a political position with the social evolution theory. Moral, Intellectual, and Physical in Japan started from in the Meiji Era. In early day, those were developed by a study abroad and translated books. After that, those combined with nationalism. Moral, Intellectual, and Physical in Joseon didn’t expansionism, but it was similar to Japan in regard to aim to nation’s independence and power. The education textbook were imposed from Japan and most of them were re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nationalism about Herbartianism. After 1906, Moral, Intellectual, and Physical in academic journal which imposed from Japan was become common. Eventually, Moral, Intellectual, and Physical in Joseon one of the important philosophy to aim to nation’s independence and development with the social evolution theory.

      • KCI등재

        개화기 관립소학교(보통학교) 연구

        전민호 ( Jeon Min-ho ),최승현 ( Choi Seung-hyu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개화기 조선 정부에 의해 설립ㆍ운영된 관공립학교 중에서 관립소학교(보통학교)의 학교설립과 변천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894년 9월 무렵 조선 정부에 의해 교동, 정동, 장동, 묘동, 계동에 소학교 5개교가 설립되었다. 1896년부터 학교 수가 전반적으로 9개교로 지속되었고, 학생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음을 볼 때 관립소학교(보통학교)의 운영은 공립소학교(보통학교)와 비교하여 소학교의 설립 초기부터 한일병탄 무렵까지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영되었다. 특히 정부는 「소학교령」 발표 이전인 1894년에 이미 한성부 내에 5개교의 소학교를 설립하였고, 「소학교령」 을 공포한 지 1년 2개월여 만에 한성부에 관립소학교 9개교를 설립하였다는 것은 그 만큼 정부가 신교육 도입에 적극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둘째, 관립소학교(보통학교) 학생들이 사회문제나 사회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였다. 셋째, 관립소학교의 설립을 보면 민가, 이전의 정부 기관, 이전의 전통적 교육기관을 활용하였다. 정부가 1895년에 을미의숙을 관립소학교로 전환하긴 하였지만, 을미의숙 역시 소학교에서 전환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양사동, 양현동, 주동(鑄洞)소학교는 이전의 전통교육기관인 사부학당과 성균관 학사의 일부를 활용하여 설립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사적의의가 있다. 넷째, 학교의 명칭은 기본적으로 그 학교가 위치한 지역의 동(洞)명에 따라 학교를 명명하였다. 다섯째, 관립소학교(보통학교)가 야학의 교육장이나 관리의 임용시험 장소로 활용되었다.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mong the public schools esta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 discuss the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of the government primary school will be as follows. First, around September 1894, five schools were established in a government primary school in Gyo-Dong, Jung-Dong, Jang-Dong, Myo-Dong, Gye-Dong. From 1896, when you see that the school is kept nine and the student population has increased gradually, a government primary school, by comparing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was relatively stable from 1894 to 1910. Especially, the truth that the government established 9 government primary school in Seoul within one and two months after the Elementary School ordinance is that the government is evaluating that he was active in bringing new education. Second, students of the government primary school are aggressively to social problem and social changes back then. Third, the school was established using private homes, before government buildings and before traditional education building. In particular, It has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Yangsa-Dong, Yanghyun- Dong and Ju-Dong government primary school was established using before traditional education building. Fourth, the school``s name is fundamentally named the name as an area school is located. Fifth, the government primary school was utilized as the place of night school or recruitment examination.

      • KCI등재

        헐버트(H. B. Hulbert)의 교육개혁론 고찰: 『코리아 리뷰(The Korea Review)』를 중심으로

        전민호(Jeon, Min-H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問題硏究 Vol.0 No.38

        본 연구는 헐버트의 교육개혁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1904년을 전후한 시기의 교육상황, 교육문제 그리고 교육 근대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무엇이었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그의 교육개혁론이 한국 교육사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고찰하였다.헐버트는 자신의 교육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당시 조선에서 이루어져야 할 교육으로 근대적 교육목적의 설정, 근대학교의 설립, 자격증에 의한 실력 평가, 한글 교과서의 사용, 조선교육협회의 창설, 교사선발 및 교사연수의 실시, 교사에 대한 적절한 보수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헐버트의 교육개혁론은 한국 교육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먼저 개화기에 교육이 진행해야 할 방향이 무엇이었는지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교육을 통해 현재의 삶을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사회를 보는 태도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이었다. 둘째, 개화기에 교육 분야에서 요구되는 교육 정책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졸업장이나 자격증에 의해 한 사람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자격증 수여 정책, 교사를 선발한 후 교사의 지속적인 실력 향상을 위한 교사 연수 정책, 효율적인 교육 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장학 정책 등이었다. 셋째, 개화기에 요구되었던 한글 교과서의 중요성에 대해 알게 해 준다. 헐버트는 한글 교과서가 한글 사용을 보편화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였으며, 상류층과 하류층의 장벽을 무너뜨리는 중요한 매체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is to examine educational situation․educational matters․concrete measures for educational modernization at about 1904 through the Hulbert's paper of education, and to study what his education theory means for our history of education. Hulbert suggested that we should set up modern educational goals, establish modern schools, use Hangul textbooks, found the Korean Educational Association, implement teacher training as well as recruit of teacher, pay proper salary to teacher, etc.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in Korea. Hulbert's education theory has important meanings in our history of education. First, it gave us a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It was to understand living life here and now in substance through education and to change the viewpoint of society fundamentally. Second, it showed education policies at that time. One was the certificate policy that a man was objectively evaluated by diplomas or certificates. Another was the teacher training policy for capacity improvement of teachers after hiring them. The others was policy about encouragement of learning for efficient management of education system. Third, it showed importance of Hangul textbook which was needed at that time. Hulbert expected Hangul textbook will play a key role in Hangul's generalization, and become important media to tear down the barri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 KCI등재

        학교령기 통감부의 교육정책 연구

        전민호(Jeon, Min-h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3 No.-

        본 연구는 학교령기 통감부에 의해 주도된 조선의 교육정책을 교육행정 분야와 교육기관의 직원과 교원의 배치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관제기인 1905년 11월 무렵 학부 및 학부산하 교육기관에 배치한 일본인 교직원은 14명에 불과하였다. 당시 학부 본청의 경우 학부대신을 포함한 직원 21명 중에서 일본인이 4명으로 일본인 고용 점유율이 약 19%였다. 그러나 학교령기에는 통감부가 조선의 교육정책에 관여하면서 일본인의 고용이 점차 확대되어 1909년 7월 현재 성균관과 향교를 제외한 학부 본청 및 학부산하 교육기관에는 615명의 직원 중 조선인 451명(73%)과 일본인 164명(27%)이 재직하고 있었다. 또한 1909년 7월 현재 학부와 학부산하 교육기관에서 보이는 일본인 고용 점유율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일본인 교직원이 그 기관의 핵심적인 위치에 있었다는 것이다. 먼저 학부 본청의 경우 각과의 서기관과 사무관의 직위에 더 많은 일본인이 배치되어 있었고, 사범학교?관공립보통학교·교원의 검정·주관학교의 교육비 보조를 담당하는 학무국 제2과에는 17명 중 14명이 일본인이었다. 둘째, 학부 산하 6개의 위원회 중에서 교과서 편집 및 검정 위원회의 경우 직원 12명 중 11명이 일본인이었다. 셋째, 성균관과 향교를 제외한 학부 산하 중등이상의 7개교의 경우 관립외국어학교를 제외한 모든 학교의 학감은 일본인이었다. 넷째, 중등이상의 교육기관에 배치된 일본인 교사의 배율이 보통학교보다 더 높았다. 다섯째, 학부 산하 보통학교의 경우 을종공립보통학교를 제외한 관립보통학교·갑종공립보통학교·보조지정사립학교에는 대부분 본과훈도 중 일본인 한 명이 학교 운영의 핵심인 교감 직을 수행하였다. 결국 식민지기 이전인 학교령기 초기부터 통감부에 의해 공립보통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일제 식민통치를 위한 국가교육이 시작되고 있었다. This research was examined to define the education policy of Tonggambu the staff and teachers" posting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Hakkyoryonggi(1906. 8 1911.8). In November 1905, in the Kwanjegi(~ 1894.7~1906.8), there were only fourteen Japanese staff and teachers in the Hakbu(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case of Hakbu, four staff out of seventeen including the HakbuDeasin(the Minister of Education) were Japanese, therefore Japanese employment-population ratio was about 24%. But Japan continued to engage in the educational policy of Chosun. Consequently, the employment of Japanese was expanded gradually in the Hakkyoryonggi. In July 1909, there were 615 staff and teachers in the Hakbu and the public school excluding Seonggyungwan and Hyanggyo, and 451(73%) were Korean, 164(27%) were Japanese. The distinctive feature in the Japanese employment-population ratio at the time was that Japanese held key posts in those institutions. First, in the case of the Hakbu, more Japanese posted secretaries of each Bureau than Korean, and fourteen out of seventeen were Japanese in Division Ⅱ of the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 which was in charge of a normal school, common schools, teachers" certificates, and assistance of educational expenses. Second, eleven out of twelve were Japanese in the committee of compilation and authority of a textbook. Third, in the case of secondary school excluding Seonggyungwan and Hyanggyo, Japanese Hakgam(a school superintendent) posted at the most of the schools. Fourth, Japanses teacher"s proportion in secondary school was higher in common school. Fifth, in the case of common schools, most of the schools were posted by Japanese deputy principals who played the role of school management. Eventually, the national education for Japanese colonial rule forced on common education was starting from the Hakkyoryonggi.

      • KCI등재

        개화기 교육수단으로서의 국문 및 국한문혼용 정착에 관한 연구

        전민호 ( Min Ho Jeon ) 한국교육사학회 2012 한국교육사학 Vol.34 No.2

        This research examined the process Korean and Korean mixed with Chinese characters` Establishment as a means of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o understand whole outline of this, I divided the whole enlightenment period into embryonic stage of new education(1881. 5∼1894. 7), Kwanjegi(1894. 7∼1906. 8), and Hakkyoryongi(1906. 8∼1911. 8) and investigated the position of the Joseon governmen t·the progressive intellectuals of Joseon·the scholars of Japan·the pulpit about Korean and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he government and the progressive intellectuals of Joseon asserted Korean and Korean mixed with Chinese characters` Establishment as a means of education for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in the embryonic stage, and the scholars of Japan as Fukuzawa(福澤諭吉) and Inoue(井上角五郞) tried to use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n a personal level by helping publish a newspaper in the embryonic stage of new education. The intellectuals based on the Confucian as well as the progressive intellectuals emphasized Korean and Korean mixed with Chinese characters, but Japan`s government tried to use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by policies in the Kwanjegi and Hakkyoryongi. Donghak and the pulpit contributed to common of Korean through the using Korean in missionary work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n conclusion, Korean and Korean mixed with Chinese characters` Establishment was achieved mixing influence of many factors as a means of education for Joseon`s Modernization. 본 연구는 개화기에 교육수단으로서 국문 및 국한문혼용이 정착되기까지의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화기를 신교육의 태동기(1881.5∼1894.7), 관제기(1894.7∼1906.8), 학교령기(1906.8∼1911.8)로 나누어 국문 및 국한문혼용에 대한 조선정부·조선의 개화사상가·일본의 학자·종교계의 입장을 살펴보았다. 신교육의 태동기에 정부와 개화사상가들은 부국강병을 위한 교육수단으로 국문 및 국한문혼용을 강조하였고, 후쿠자와나 이노우에와 같은 일본학자들은 청으로부터 조선의 독립이라는 목적과 궁극적으로는 자국의 자존을 위해 조선에서 신문발행을 도우며 개인적 차원에서 국한문혼용을 시도하였다. 관제기와 학교령기에는 개화사상가 뿐만 아니라 유교를 기반으로 하는 신지식인들 역시 실용의 입장에서 국문 및 국한문혼용을 강조하였다. 이 시기 일본정부는 국가차원에서 정책적으로 국한문혼용을 시도하였는데, 조선의 교육에 관심을 갖고 있던 대부분의 학자나 관료들은 후쿠자와의 국권론적 입장과 같은 인식의 틀 안에 있었다. 서민층을 주요 포교 대상으로 하였던 동학과 선교계는 포교사업에 국문을 사용하면서 개화기 내내 국문사용의 보편화에 공헌하였다. 결국 개화기 국문 및 국한문혼용의 보편화는 조선의 근대화라는 목적달성을 위한 교육수단으로서 여러 요인들이 중층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정착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유길준과 헐버트의 교육사상 비교 연구

        전민호(Jeon Min-H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유길준과 개화기 조선에서 청?장년기를 보내며 조선의 근대화를 위해 노력했던 헐버트의 교육사상을 비교 고찰하고, 그들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교육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의 목적에서 유길준은 교육을 통해 개인적으로는 지식을 습득하고 올바른 행동과 생각을 체득하여 훌륭한 덕을 가진 사람을 양성하는 것이었으나, 이것은 궁극적으로 국가의 발전을 위한 것이었다. 헐버트는 교육을 통해 현재의 실질적인 삶을 이해하고 사회를 보는 태도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해 개인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즉 유길준은 교육의 목적을 국가의 발전에 두었고 헐버트는 교양인의 양성에 두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육내용 및 방법에 있어서 유길준은 국어가 아동 학습과 국가정신을 양성하는데 편리하기 때문에 국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헐버트는 한자 사용으로 인해 생긴 상?하층의 장벽을 무너뜨리기 위해서는 한글로 된 서적으로 서민들을 교육시켜 그들로 하여금 훌륭한 교양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셋째, 교육제도에 있어서 유길준은 서구 학교제도와 학과를 소개하면서 국가적 차원의 공교육을 실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헐버트는 근대적 성격의 학교 설립과 함께 자격증에 의한 실력평가교사의 선발 및 교원 연수교육협회의 창설이 개화기에 조선에서 요구되는 교육의 방향임을 역설하였다. 두 인물의 교육사상에서 찾을 수 있는 교육사적 의의는 첫째, 개화기에 요구되던 근대 교육을 지향하고 있었다. 유길준은 국가 발전을 위한 국민교육을 강조하였고 헐버트는 서민의 교양 교육을 강조하였다. 둘째, 실용적인 학문을 중시하였다. 유길준은 학습자가 이해하기 편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고 하였고, 헐버트는 보편적인 생활언어인 한글이 주요한 사고의 매체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한글 서적을 사용한 보통교육을 강조하였다. 유길준은 한글을 주로 하는 국한문 혼용을 주장하였고, 헐버트는 한글 전용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for our history of educatio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by comparing the educational thoughts of Yu Gil Jun and Hulbert who spent their youth and their manhood endeavoring to modernize Korean education. First, in the object of education, Yu Gil Jun asserted we need acquiring of knowledge and becoming a virtuous man individually, but it was national development ultimately. Hulbert emphasized the change of individual to face up to the reality. Second, in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 Yu Gil Jun argued using Korean because Korean is convenient in teaching and promoting the spirit of nationalism. Hulbert asserted a liberal education of commoners to pull down the wal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 caused by using Chinese character. Third, in the education system, Yu Gil Jun emphasized a public education with introducing the western styled educational system and subjects. Hulbert asserted that we need to establish modern school, recruit and train teachers, found the educational association. The meaning for our history of education from their educational thoughts is, first, it aimed for modern education which was sought after in those days. Yu Gil Jun argued the national education for national development. Hulbert stressed a liberal education of commoners. Second, they placed emphasis on practical learning. Yu Gil Jun outlined we need easy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 to catch on the learning. Hulbert described Hangul became a man media because that was the universal language. Third, They asserted national education using the Korean books. Yu Gil Jun wanted to mix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with the Korean alphabet mainly while Hulbert emphasized the exclusive use of Hang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