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개 대학병원 환자에서 호산구증가증의 빈도 및 원인 분석
배경: 호산구증가증은 주로 기생충 감염, 알레르기질환, 약물 등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암 유병율의 급증과 다양한 식품 및 약제 복용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에서 호산구증가증의 빈도 및 원인의 변화가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일정기간 대학병원의 외래 및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호산구증가증의 빈도 및 원인을 분석하고 각 원인 질환별로 호산구증가증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4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및 화순전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한 환자 각각 27,749명 및 13,3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호산구증가증은 말초혈액 호산구수가 500/μL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이중에서 특히 호산구수가 1,500/μL 이상인 경우를 과호산구증가증으로 정의하고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호산구증가증을 보인 환자는 전남대학교병원 및 화순전남대학교병원에서 각각 3,393명(12.2%) 및 1,626명(12.1%)이었다. 호산구증가증을 보인 환자의 남여 비는 각각 2.25:1 및 2.43:1로 남자가 많았으며, 과호산구증가증의 빈도는 전남대병원 및 화순전남대병원에서 각각 7.1% 및 8.2%이었다. 이 중 원인을 추정하거나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는 228예(61.1%)였고 원인을 알 수 있었던 경우는 145예(38.9%)였다. 원인 진단군 228예 중, 악성종양 80예(35.1%), 알레르기, 약물반응 및 피부 질환 41예(18.0%), 감염증 35예(15.4%), 간담췌 질환 17예(7.5%), 골수의 클론성 질환 16예(7.0%) 및 기생충 감염 15예(6.6%) 순이었다. 결론: 호산구증가증의 원인으로 악성종양이 가장 많았고 기생충 감염은 감소하였다. 호산구증가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원인을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좀 더 자세한 문진과 이차적 원인을 감별하기 위한 진단적인 노력 및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Blood eosinophilia may be associated with a number of reactive conditions such as parasite infection, allergy disease, drug and etc. As the incidence of cancer and the intake of drugs have increased, the incidence and the cause of eosinophilia might have been changed. We hav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to investigate incidence and causes of eosinophilia in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university hospital recently.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 sources were patients who had been visite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NUH)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 (CNUHH) from Jan. to Apr. 2007. Eosinophilia was defined as an absolute eosinophil count of greater than 500/μL. Patients were classified as having hypereosinophilia when absolute eosinophil count of greater than 1,500/μL and patient’s clinical records were reviewed to try to pinpoint the clinical situation responsible for cause of eosinophilia. Results: Out of 27,749 patients and 13,388 patients who had a hematology profile performed in CNUH and CNUHH respectively, 3,393 patients (12.2%) and 1,626 (12.1%) patients were found to have an absolute eosinophil count higher than 500/μL. The male and female ratios were 2.25 to 1 and 2.43 to 1 in CNUH and CNUHH respectively. The incidences of moderate to severe eosinophilia (>1,500/μL) in CNUH and CNUHH patients were 7.1% and 8.2% respectively. Among these patients, 228 patients (61.1%) were found to have identifiable and/or possible causes. However, 145 cases (38.9%) were failed to identify the cause of eosinophilia based on clinical and laboratory examinations. Among the patients having known causes for eosinophilia, the distribution of major causes were malignancy (35.1%), allergy and skin disease (18.0%), infectious disease (15.4%), hepatobiliary diseases (7.5%), bone marrow clonal disease (7.0%) and parasite infection (6.6%). Conclusions: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was due to various causes. The most common cause of eosinophilia in the current study was malignancy. This study also showed the distribution change of causes of eosinophilia in comparison with previous Korean study.
일상생활 공간과 다국적 유학생들의 정체성 갈등 : 전남대학교 기숙사를 중심으로
Tsuneyama Tomoyo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Due to movement of people according to internationalization, borders are recognized to be insignificant but, on the other hand, recognition of history or a nation is intensified. Recent surge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and consequent cultural struggles may be one of the phenomena. Measures of Korean government against falling birthrate or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struggle for existence of colleges have rapidly promoted inducement of foreign students under the name of internationalization. These policies have presented new, cross-border encounters or friendships for students, bu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y promoted intensific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exclusivism on some foreign students. Due to surge of foreign students, unspecified people should live together within the dormitory of Chonnam University. Because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s constant, it is not possible to refuse the inflow of new cultures. Coexistence is the only way to survive. Therefore, when the problems on foreign students are considered, it is needed to examine areas other than simple conception of nationalism on which differences are focused or a frame of cultural differences. In order to identify the identify conflicts within the space of dormitory where Korean and foreign students live together, the author in this study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types of adaptation or conflict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Second, how is the identity establishment developed by the identity formed from such adaptation or confl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ocess of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in dormitorie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diverse variables including languages, nations, and religions, but the students reestablished new identities in the dormitory through attempting to adapt Korean society as the mainstream culture. These identities can be classified into personal and collective identities. The personal identity of foreign students can be an attempt to adapt the mainstream culture of Korean students. Besides adaptation to mainstream culture, foreign students also attempt to discover another group in which they are acknowledged. In particular, for foreign students who are in contact period with new culture in their early study abroad, collectivization is a way of avoiding anxiety from the stress by unfamiliar Korean culture or communication and loneliness from living in a foreign country. The foreign students showed behaviors to discover their own people or those who use the same language, and the students who fail to discover such people around them organized a peer group by forming a new collective consciousness based on common properties such as religion or being a foreigner, rather than nation or language. By doing this, they created mental stability and confirmed their positions. Their identities as foreign students are varied from where they are, when it is, or how the situation is, and they temporarily connect themselves with those identities through positioning. The surge of foreign students into the dormitory in 2007 created a moment when Korean students felt crisis in identity. Their exclusive recognition on foreign students made the minor foreign students who already lived in the dormitory intensify differentiation or exclusivism on the major foreign students who were new in the dormitory. Because of the crisis, three groups including Koreans, the minor foreigners, and the major foreigners were formed within the dormitory, and in the process, nationality and language ability served as significant factors. The conflicts of collective identities shown between the two foreign student groups may be the identity strategy of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survive within the dormitory. 국제화에 의한 사람들의 이동은 한편으론 우리에게 국경이라는 것을 무의미한 것으로 인식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의 역사나 민족이라는 인식을 강화시키기도 한다. 최근 한국에서 유학생이 급증하는 것과 문화갈등도 그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저출산이나 경제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과 각 대학의 생존경쟁은 국제화라는 이름 아래서 유학생 유치를 급속하게 진행시켜 왔다. 이러한 정책은 한편으론 학생들에게 국경을 넘은 새로운 만남이나 친구관계를 제공해왔지만 반면에 민족의식의 강화나 일부의 유학생들에 대한 배타적인 감정을 강화시킨 일도 무시할 수 없다. 유학생의 증가는 전남대학교 기숙사에서도 불특정의 사람들이 서로 공생해야 하는 상황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후에도 유학생의 증가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으로, 새로운 문화의 유입을 거부할 수는 없다. 우리가 살아남는 길은 공존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유학생 문제에서 차이를 강조하기만 하는 단순한 민족성 개념이나, 문화차이라는 틀로만 검토하는 게 아니라 그것을 벗어나는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 학생과 유학생이 같이 일상생활을 하는 기숙사 공간에서의 정체성 갈등을 바라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했다. 첫 번째, 외국인 유학생은 한국에서 어떤 적응이나 갈등 형태를 보이는가? 두 번째는 그러한 적응이나 갈등에 의해 구성되는 정체성은 어떤 정체성의 정치를 전개하는가? 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유학생이 기숙사 공간에서 적응과정은 언어나 민족, 종교 등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한국이라는 주류파 문화에 적응하려는 시도를 통해 기숙사에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재구성했다. 또 이 정체성은 개인적 정체성과 집단적 정체성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유학생의 개인적 정체성은 주류파인 한국인 문화에 적응하려고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유학생들은 주류문화의 적응과정과 동시에 본인들을 인정해주는 다른 집단을 찾으려고도 한다. 특히 유학초기라는 새로운 문화와의 접촉기에 있는 유학생들의 경우, 아직 익숙해지지 않는 한국문화나 의사소통에 의한 스트레스, 유학생활이라는 고독감 등의 불안을 피하기 위한 방법이 집단화인 것이다. 여기서는 특히 공통 언어를 사용하는 같은 민족이나 언어권 사람을 찾으려고 하는 식의 행동을 보였고, 또 주변에 그러한 사람이 없는 유학생은 민족이나 언어 대신 종교나 외국인이라는 공통성을 근거로 한 새로운 집단의식을 만드는 것으로 동질집단을 조직화했다. 그것으로 정신적인 안정을 도모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했다. 이러한 그들의 정체성은 공간이나 시간,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지고 위치화 작업을 통해 일시적으로 본인과 그 정체성을 연결시킨다. 그런데 2007년의 기숙사로의 유학생 대량유입은 한국인 학생들에게 정체성의 위기를 느끼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배타적 인식은 이전부터 기숙사에 살고 있던 소수파 유학생들에게 새롭게 온 다수파 유학생과의 차별화나 배타의식을 강화시켰다. 이 위기를 통해 기숙사 내에서 한국인 집단, 유학생 소수파, 유학생 다수파라는 세 종류의 집단이 형성되었다. 그 과정에서 민족성과 언어능력이라는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했다. 이 두 가지 유학생 집단 사이에 나타난 집단적 정체성의 갈등은 기숙사 공간 내에서 살아남기 위한 유학생들의 정체성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were carried out on the canal epithelial cells in the head portion of the mouse epididymis with or without ferritin administration. Acid phosphatase activity in the epithelial cells was also studied histochemically, in an attempt to correlate it to the fine morphology of the epithelium.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Segmental distribution of acid phosphatase activity was noted in the head portion of the mouse epididymis. Initial segment showed very weak activity in all type of cells. Epithelium in the second and third segments showed increased activity of the enzyme and composed of two differently reacting cells to the enzyme. While majority of cells both in these segments had very few granules, few intercalated cells contained many reactive granules to the enzyme and these cells were increased in number as well as enzyme activity in the lower segment. 2. In Epon-toluidine blue preparation, principal cells, predominant cell type,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abundant Golgi apparatus, some vacuoles and stereocilia. Vacuolated cells, few in number,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many vacuoles, but showed various cytoplasmic stainability. Basal cells located in the basal region of the epithelium and often had lightly stained cytoplasm. 3.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revealed that principal cells had large amount of Golgi apparatus, very abundant endoplasmic reticulum of mainly agranular type, many juxtaluminal vesicles, vacuoles, some multivesicular bodies,and dense bodies. Vacuolated cells, few in number, contained many vesicles and vacuoles with or without opaque substances, considerable number
광주.전남 지역의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의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의 운영실태와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관한 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이들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의 바람직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광주·전남지역의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의 운영 실태는 어떤가? 둘째, 이들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수강생의 사회교육원 전반에 관한 만족도는 어떤가? 셋째, 광주·전남지역의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의 바람직한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주·전남지역의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수강생을 대상으로 수강의 목적과 필요성,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 및 관리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교육 전반에 걸쳐 나타난 특성을 알아 보았으며 그들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운영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의 프로그램에 대해 상당수의 수강생들이 아는 사람을 통해 소개 받고 있으며 이는 수강생 대부분이 주부들이라는 점과 많은 연관이 있을 뿐 아니라 프로그램 운영에 주부들의 기대가 미치는 영향 또한 크다는 것을 말해 준다. 대학부설 사회교육원에 다니는 수강생들의 수강 목적도 지적 욕구 충족이나 여가 선용보다는 최근 경제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수강생들과 프로그램 운영 주체들 간의 상호 만족도가 프로그램 운영상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의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많은 수강생들이 만족하고 있으며 수강하고 있는 교육 내용이 향후 자신의 일이나 생활 등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목적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수강 중인 교육 프로그램의 수강인원, 수강시간에 대해서도 대부분 만족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담당 강사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나 ‘강사의 수업방식’ 때문에 일부는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수업 방식의 다양화를 위한 노력과 강사의 적절한 선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특히 강사의 자질 보다 강사의 수업 방식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는 것은 같은 프로그램이라도 어떤 매체를 이용해 어떤 방식으로 교육하느냐가 중요함을 깨닫게 해 준다. 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으로는 학교 부대시설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불편을 느끼고 있다는 것과 출석점검, 평가 등 수업관리의 경직성을 들 수 있다. 광주·전남지역의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에서 사회 교육 프르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들은 이들 기관들이 시급히 보완해야 할 점으로 수강생들을 위한 편의를 제공해 주어야 함을 들고 있다. 이들 사회교육원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해서는 첫째, 사회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이 대학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살리되 상업적 특성은 버려야 한다. 둘째,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교육 방법이 보다 체계화되고 다양해져야 하며 수강생들의 다양한 학습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셋째, 사회교육원의 강좌가 획일적이고 편협적인 것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해져야 하며 너무 방만하지 않게 내실 있는 운영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 수혜자의 대상자 층을 넓혀야 하며, 보다 다양한 형태의 사회교육기관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 수요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이 시설들을 개방하여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대학으로 변모해야한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suggesting the desirable ways to manage the Social Education Institutes at the universities by examining the management statu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 educational program of these institutes in Kwangju and Chonnam. To meet the goal, I investigat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present conditions and feature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conducted by these institutes in Kwangju and Chonnam? Second, what i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students about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se institutes? Third, what are the problems and the desirable management method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se social education institutes in Kwangju and Chonnam? To solve the above mentioned research questions, I surveyed the students of the institutes. I analyzed the aims and the necessities of the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th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s, I also tried to find out their problems and the desirable management methods.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aims of the students taking lectures in the institut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cent economic situation rather than individual desire and need for knowledge, or making good use of their leisure time. This result shows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conductors of the programs has much influence on the management of the programs. Many students of the institutes a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conducted by the social educational institutes operated by the universities in K wangju and Chonnam. They think that what they learn in these institutes will give them much help in their future work and lives. It seems that this result has much to do with the number of the students and the hours of current educational programs. They are mostly pleased with the instructors of the programs, but some of them are not satisfied with the instructors' teaching methods. The problems that students indicated are some inconveniences in using the school facilities, and the rigidity of checking attendance and evaluation. The thing that these institutes have to supplement, the students say, is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various school failities. For the desirable management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se institutes, first, the educational programs conducted by them should keep the peculiarities and specialties of the universities, but exclude commercial orientation. Secon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teaching methods should be systematic and varied. They also meet the students' various desires. Third, the lectures of the social education institutes should get out of their narrowness and uniformity to attain varieties.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 programs compactly and efficiently. Fourth, the institutes have to broaden the range of the recipients and prospective students. They also have to develop various kind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find out the ways of doing them so that the students can use them easily. Lastly, the universities should open their facilities to the people who want to get the education, help them use the facilities easily, and be changed to the ones that can serve for the good of their communities.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tudy by X-ray flourescence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several chemical elements in Bridgehamton and Newport silt loams. Furthermo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s of clay minerals were made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using a diffractometer with Geiger counter. These methods were found to be rapid, accurate and nondestructive to the minerals involved. In addition to a physical and chemical survey of the soils, all horizons were analyzed for Zr, Cu, Ni, Fe, and Mn. Zn and As were identified in the bridgehampton silt loam.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there has been little modification or change of the materials found in the profile suggesting uniform distribution of parent material within the particular soil series. These soils contain considerable kaolinite, muscovite, alpha quartz and a mixture of bytownite and oligoclase (NaAlSi_(3)O_(8), CaAlSi_(2)O_(8)). A Study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quantitatively measuring clay mineral content by X-ray intensity measurements using the Geiger counter was also included. By comparing X-ray intensities for various standard mixture of Kaolinite, muscovite, alpha quartz, and bytownite it was possible to measure effecrively the amount of these minerals in the soil clay.
한국 근대회화사에서 서구적 조형기법이 도입된 지는 근 100년에도 못 미친다. 1910년 최초의 서양화가로 불리는 고희동이 동경미술학교에 유학하면서 한국양화의 역사는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을 통한 우회적인 경로를 거쳐 서구의 유화기법이 들어온 것이다. 그러나 그 같은 일본 유학을 통한 양화도입은 시대적 상창과 민족전통 회화관 사이에서 과도기적인 한계가 있었다. 특히 동경유학파가 익혀온 서구적 조형기법은 그 탄생의 기초가 진정한 예술운동의 발로라기 보다 일본의 서구화 정책과 대륙침략을 도모하는 식민지 정책의 일환이었다. 때문에 근대 한국양화의 출발은 일제의 식민통치하에서 이뤄져 오늘날 역사적 해석이 명쾌하지 못한 이유가 되기도 한다. 전남의 양화도입은 서울보다 13년여가 늦게 시작됐다. 여수출신의 金鴻植이 1923년 동경미술학교에 유학하면서부터이다 金鴻植은 호남근대화단의 개척자로 알려진 吳之湖 보다 3년이나 선배였다. 따라서 金鴻植에 대한 연구는 전남근대미술사의 물꼬를 트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전남근대미술사에 대한 흐름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예는 극히 드물다. 일반적으로 吳之湖가 동경유학을 끝내고 서울과 개성 등지서 활동하다 귀향한 1945년 전후를 전남양화의 태동기로 보는 것이 그 동안의 지배적인 시각이었다. 그러나 미술사적 입장에서 보면 湖南人으로 서구적 회화방식을 전공하고 이를 전남지역에 처음 들여온 화가는 金鴻植이었다. 물론 金鴻植은 1928년 동경미술학교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여수에 칩거하며 그림작업보다는 근대 계몽운동가로 더 폭넓은 활약을 했다. 일제체제에 항거하는 민족운동을 말할 것도 없고 청년운동, 농민운동, 사회단체활동 등 다방면에 발을 들여 여수라는 지역사회를 개화하는데 중요한 위치를 점했다. 이런 활동을 하는 가운데 틈틈이 그림을 그렸고 해방이후 만년에는 만성리 인근 바닷가의 천성산 기슭에 아뜰리에를 짓고 들어가 남은 여생을 그림에 바쳤다. 이 같은 金鴻植의 근대기 민족의식을 일깨운 지사로서의 행적과 비록 전시회 한번 열지는 않았지만 꾸준히 서양화 그림을 그렸고, 현재 유작이 남아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전남근대회화사의 골간을 잡는 기준이자 출발점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는 곧 전남양화의 역사가 해방 전후로부터 50여년에 그친다는 일반적 논의를 명확히 하여 金鴻植이 동경미술학교에 입학한 시기를 전후로 바로 잡아 무려 20여년의 숨겨진 역사를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전남의 양화역사는 한국 근대회화사와 10여년 안팎의 차이를 두고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역사와 미술계에서 묻혀져 있던 호남최초의 서양화가 金鴻植의 발굴 및 연구는 이처럼 전남 양화단의 흐름을 조망하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새로운 전남미술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차원의 의미를 가진다 하겠다. 金鴻植이 펼친 근대 민족문화운동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를 정리하고 그가 남긴 유작을 통해 예술적 가치와 의미를 평가하는데 이 논문의 의미가 있다. 金鴻植에 대한 연구가 되지 않은 것은 전남근대 회화사에 대한 미술사적 접근 자체가 활발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金鴻植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근대 호남미술사를 연구하는 데 상당한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양화 토대를 잡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 후지시마 다케지(藤島武二)교수에게서 사사한 金鴻植은 집안의 반대로 파리유학을 포기하고 고향 여수에 칩거하며 그림을 그렸다. 거의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근대 개화운동을 주도하고 한편으로 울분과 좌절을 맛보며 이름없는 화가로서의 생애를 마친다. 뒤늦게 그의 존재가 알려지고 지방언론의 조명을 받으면서 급기야 전남도 미술협회와 국립현대미술관이 역사 이면으로 묻힐 뻔한 근대작가로 발굴해내 공식전시회에 초대함으로써 金鴻植에 대한 새로운 평가의 전환점을 마련해 주었다. 金鴻植의 회화세계는 자화상을 비롯 누드, 풍경, 정물, 설경 등의 작품을 남기고 있다. 대상에 대한 진솔한 접근과 성실한 표현 방식으로 당시의 서구적 미술어법의 아카데믹한 면모를 보여준다. 작품의 구성 내용 면에 있어서도 당시 일제 치하의 음울한 민족적 기질을 한껏 화면에 살려낸다. 그러나 그의 생애가 밝혀지고와 유작들이 발굴되었지만 그의 예술적 평가는 아직 유보적인 입장이 우세하다. 그에게 영향을 준 후지시마 교수의 화격에 비하면 金鴻植의 유작은 작품성은 초보적 수준에 그친다는 지적이 많은 까닭이다. 서양화 도입기의 낮은 수준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지 않지만 유작을 남겨 전남현대회화의 물길을 열었고 작고직전까지 붓을 잡았던 화가로서의 길을 걸어갔던 정성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It does not yet reached to 100 years since the western style has been introduced in Korean art history. Western art in Korea started in 1909 when Ko-Hidong who is regarded as the first western artist in Korea entered Tokyo art school, Japan to learn western art. That i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oil painting came to Korea via to indirect route. However there was a crash between western and traditional style in the beginning of art history in Korea. It was because it came from indirectly Paticullary introducing of western style by Tokyo students was not pure art oriented movement but rather a colonial program. This is the reason why the origin is not clear until now. In Chollanamdo, the western art introduced 13years later than Seoul. It was in 1923 when Kim-Hongsik from Yeosu started to learn western art in Tokyo art school. Kim-Hongsik was 3years senior than Oh-Chiho who is called a harbinger of Honam art. Therefore the study about Kim-Hongsik is important to clear the Chonnam art history. Until now the study of Chonnam art history is rare. Generally the year of 1945 when Oh-Chiho came to hometown is known as the begging of Chonnam art. But in the viewpoint of art history, the first Honam artist who introduced the western art into Chonnam was Kim-Hongsik. Kim was rather a enlightener then an artist in 1928 when he had came from Tokyo to Yeosu. He engaged in national movement, youth movement, etc and devoted himself to enlighten the Yeosu. In the meantime he painted every spare time. And after 1945 he constructed artlier at the beach near Mansungri mountain and had devoted himself to painting until he died. Kim-Hongsik maybe regared as the first western artist in Chonnam because of the facts that he was an elite who tried to enlighten the people and his painting is remained until now. Now we can retake the hidden 20-years of Chonnam art history. And now we can know that the Chonnam art history has started about 10 years later than it came to Korea. By studying Kim-Hongsik we can find the clue of the origin of Chonnam art and show the new direction of Chonnam art history.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show his life in the viewpoint of his national- cultural movement and evaluate his value through his art Kim-Hongsik's art concludes a portrait, a nude, a landscape, a still life, a snow landscape etc. He touch objects academically, frankly and sincerly. He depicts the dark side of people supressed by Japanese imperialism. Now we can confirm that the first artist in Chonnam is Kim-Hongsik and Chonnam art started in earlier 1920's.
한송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음악을 포함한 예술교육은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6개의 예술중학교와 27개의 예술고등학교가 있다. 이곳에서 약2만여명의 학생들이 전문음악교육을 받고 있는데 대개 이들은 진로를 따라 국내 음악대학에 진학하게 되거나 일부는 외국 음악학교로 유학을 떠나기도 한다. 이렇게 전문음악인의 길을 선택한 학생들은 많은 시간과 경제적인 투자를 하면서 전문연주가의 구별된 길을 가는 것이다. 그 목표가 전문연주가이든 교육자의 길이든 이들은 음악적 행위를 통해 자신의 목표를 이루어 갈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이렇게 음악인의 길을 가는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 사회적 기반이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어린 나이부터 음악전공이라는 진로선택을 결정하고 노력해 왔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수용하는 사회적 역량에 한계가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 음악대학이 당면하고 있는 커다란 문제점들 중 하나는 음대나 대학원 졸업생, 그리고 유학생 등 고학력의 인적 자원들이 사회에 나가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수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다. 현재 대학의 서양 음악과 학생이 졸업 후 사회에서 활동할 수 있는 범위는 교사, 교수, 합창단, 오케스트라, 연주가, 개인지도, 학원운영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관련 학과생들의 또 다른 취업 돌파구의 하나로 음악치료에 대해 다루고자 하며 좀 더자세한 이해를 위해 음악치료에 대한 현황을음악치료를 교육과 연관지어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론의 각 기관별 음악치료의 현황에서는 각 대학(음악치료가 개설된 10곳)에서 이뤄지고 있는 음악치료전공에 대해서 소개한 후 교과과정, 교수진, 졸업생 취업현황, 학위논문등을 조사하여 작성하였으며 두번째로는우리나라에서 공식인증을 받은 학회 4곳의 주요활동, 설립목적, 학회원들의 취업현황과 논문발표현황을 조사하였다. 세 번째로는 대학부설평생교육원(서울 주요대학 22곳과 지방 국공립대학 17곳 중 음악치료 강좌가 있는 12곳)에서 이뤄지고 있는 음악치료 강좌를 중심으로 작성하였는데 여기에는 교육기간, 대상, 모집정원, 수업시간, 수강료, 교육내용등을 담았다. 네번째는 학술진흥재단에서 음악치료를 교육과 연관시키는데 얼마만큼의 지원이 이뤄지는지, 지원 규모및 기간, 지원내용, 방향, 지원예산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관에서 사업내용으로 음악치료는 어디에 속하는지 또한 2008년 현재 광주광역시 종합사회복지관의 현황을 다루었다. 졸업 후 전공과 관련된 분야에 취업하는 예가 적고 그 직종에 있어서도 한정이 돼있는 음악전공 학생들에게 논자의 음악치료학 과정에 관한 실태조사연구가 학생들의 자아실현과 진로 선택에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여 폭넓은 직업과 보다 나은 진로를 선택할 수 있었으면 한다. Art Education including music requires a long period of time. Currently, there are 6 art middle schools and 27 art high schools in Korea. More than 20,000 students are taking professional music education in these schools, and most of them are supposed to enter a college of music in Korea, or some of them would go abroad for study. Students who chose to be a professional musician are investing a lot of time and money in their dedicated course. They should fulfill their goals through musical behaviors, whether the goal is a professional musician or an educator. In reality, however, the social foundation to accommodate those who chose to be a musician has yet to be firm. Many students decided to major in music since their childhood, and do their best; but in fact, it is well known that the capacity of the society in this regard is limited. Further, one of the outstanding problems of colleges of music in Korea is, highly educated human resources such as graduates of college of music or graduate school, and students who studied abroad have few channels to enter the society. The areas where graduates of western music department of college can act in the society are limited to teacher, professor, choir, orchestra, performing musician, private tutor, institution manager, etc. This study examines music therapy as one of the breakthrough for music-related students to get an occupation, and for further understanding, it links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therapy to education. In the section of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therapy for each agency, major subjects of music therapy in each university (10 with music therapy courses) are introduced; and the curriculum, faculty, getting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nd thesis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econd, major activities, the purpose of foundation, getting employment of institution members, and publication of thesis of the 4 academies officially certified in Korea are investigated. Third, music therapy courses at life-time education centers operated by college (12 with music therapy classes among 22 major colleges in Seoul and 17 national and public colleges) were focused on, especially the education term, subjects, the fixed number of students in one class, class hours, fees, and contents are included. Fourth, as Korea Research Foundation links music therapy to education, how much support has been provided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the category into as follows: supporting scale, term, area, direction, and budget. Lastly, to what business area music therapy belongs at social welfare centers was explored through the current condition of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of Gwangju City as of 2008. To music majors whose occupations and courses related to music after graduation are limited, thi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therapy course will present more information for self-realization and to chose a course to advance so that they can have more chances of occupation and the career to pursue after graduation.
광주·전남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과정 연구
조치훈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analyze the element of curriculum leisure sports related departments at College and University in Gwangju & Jeonnam into the resemblance and the difference.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concrete topic of research is that the analysis of the aim of the education, whether or not the legal course setup of sports leader, the analysis of completion of major subject and the analysis of the resemblance and the difference of education course of each sports department. The subject University of this research are 4, 2-year sports departments, and 5, University sports departments, located in Gwangju & Jeonnam. The object departments of research are that as college D, S, C in Gwangju and S·C in Jeonnam, as K, C, H University in Gwangju and D, C·D University in Jeonnam.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aim of education of sports department of College and University, at the "College" they have arranged the subjects which are grounding education for the choosing vocation and focusing on getting a job in actuality. At the "University", they have aimed growing the qualities as a Executive, Administration manager, Leader who have knew scientific knowledge well. Second, in the condition of sports leader, the graduate who were finished College or University sports department can get the 3rd grade license of sports leader when they complete the legal 8 subjects, theory of sports, exercise physiology, sports psychology, sports sociology, theory of recreation, training methodology, emergency and safety management. Among the "College" D, S colleges have arranged 8 legal subject, but the lacks are founded that "training methodology" in C college and "emergency and safety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sports sociology" in S·D college. Also, among the "University", all 8 subjects are arranged in K, C, C·D, H college, but D college doesn't have arranged health management, emergency and safety management. Although some colleges have the lack of 1 or 2 subjects, they are judged to operate the education course without any obstacle to get the license of sports leader through operating the similar subject and alternative subject, because each aim of college is to grow the sports leader. Third, the distribution of major subject is that in the College, the average are 22 credits which is major theory, 48 credits which is exercise and in the University, the average are 49 credits which is major theory, 52 credits which is exercise. In the College, as the short-term training program of leaders in the field, they focus on the exercise subjects which is required in the field, and University strengthen the education of program related sports in the major theorey and arranged the exercise subject which is similar to the College are configured.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ade is that the theory of "1 grade" of the College is many grounding education parts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he exercise is consisted subject which is to master the basic functionality. the theory of "2 grade" is consisted the subject which is for the specialization according to the goal of education, and the exercise is required the level which can apply in the field through the deepening education. Besides, in the University, the theory of "1 grade"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is the introductory-level, this is made to know the principles of sports, and the exercise is the subjects which can improve the basic physical Stamina and the basic function. At the "2-grade", the theory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is to understand the sports, and is about various value of sports, and the exercise is arranged the courses which is the seasonal special sports and is to participate in a number of sports. At the "3 grade", the theory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are identified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sports in the society, and the exercise is arranged subject of Leisure sports. At the "4 grade", the theory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are used directly in the field of sports, the exercise is consisted the subjects which can be guided in parallel with Training Methodology. Fifth, analyzing the resemblance and difference in the curriculum of sports departments of the College and University, at the "College", the theory is level of legal subjects of sports leader, and the literacy classes are usually consisted the grounding education for the choice of vocation. Taking the average with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the major exercise, the exercise is consisted curriculum which is similar than University level. In the College, the education is focus on making the students sports leader after graduation. Furthermore, the "University" is consisted the curriculum to make students not only to be sports leader but also can achieve the footing field of business and sports administrative management through adding the subjects which is for growing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leader, and the theory of program organization, sports business, administrative management on the legal sports subjects. 본 연구는 광주·전남 2년제와 4년제 대학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의 다양한 요소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교육목표의 분석, 생활체육지도자 법정이수 교과목 설치 여부, 전공 이수교과목 분석 그리고 각 생활체육관련학과 교육과정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학교는 광주·전남 소재 2년제 4개의 생활체육관련학과와 4년제 5개 생활체육관련학과를 대상으로 하였다. 2년제는 광주광역시 소재 D, S, C 그리고 전라남도 소재의 S·C 생활체육관련학과이며, 4년제는 광주광역시 소재 K, C, H 대학교 생활체육관련학과이며, 전라남도 소재의 D, C·D 대학교 생활체육관련학과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년제와 4년제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목표를 분석하여 보면 “2년제 대학”에서는 직업선택을 위한 소양교육과 현실성 있는 취업중심의 교과의 편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4년제 대학”에서는 과학적 지식을 숙지한 지도자나 경영자, 행정관리자 등의 자질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둘째,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요건에는 2년제와 4년제 생활체육관련학과의 졸업생은 법정이수 과목인 생활체육론, 운동생리학, 스포츠 심리학, 스포츠 사회학, 레크리에이션론, 트레이닝 방법론, 구급 및 안전관리 그리고 건강관리의 8개 교과를 이수하면 자격부여로 생활체육지도자 3급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다. “2년제 대학” 중 D, S 대학은 8개 교과가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는 반면, C대학은 트레이닝 방법론, S·D대학은 구급 및 안전관리, 건강관리, 스포츠 사회학의 교과의 부족을 볼 수 있다. 또한 “4년제 대학” 중 K, C, C·D, H대학은 8개 교과가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었으나 D대학은 건강관리, 구급 및 안전관리의 교과가 편제되어 있지 않았다. 비록 몇 대학에서 1혹은 2개 교과가 부족한 상황인데 각 대학의 교육목표가 생활체육지도자 육성이므로 대체과목 및 유사과목을 운영하여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증 취득에 어떠한 문제없이 교육과정 운영을 하리라 판단된다. 셋째, 2년제와 4년제 전공이수 과목의 배분은 2년제 대학에서는 평균 전공이론은 22학점, 실기는 48학점이며, 4년제 대학에서는 평균 전공이론은 49학점, 실기는 52학점이었다. 2년제 대학에서는 현장 지도자의 단기 육성과정으로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기 종목을 집중적으로 학습하였으며, 4년제 대학은 전공이론에 있어 생활체육에 관련된 프로그램 측면의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실기에서는 2년제 대학과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다. 넷째, 각 학년별 이수교과목의 특성은 2년제 대학 “1학년”의 이론은 직업교육을 위한 소양교육의 내용이 많았으며, 실기는 기본기능을 숙달하는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학년”의 이론은 교육목표에 따른 특성화를 위한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기는 심화교육을 통해 현장에서 활용 가능할 정도의 실기수준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4년제 대학 “1학년”의 이론은 주로 체육의 원리를 파악하게 하는 개론 수준의 과목으로 편성되었으며, 실기는 기초체력과 기초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과목으로 편성되었다. “2학년”의 이론은 운동을 이해하고 운동의 다양한 가치에 대한 과목으로 편성되었으며, 실기는 계절적 특수성 스포츠종목과 생활체육에 다수 참여하는 종목들로 편성되었다. “3학년”의 이론은 사회에서 스포츠의 가치와 의의를 파악하려는 생활체육관련 과목으로 편성되었으며, 실기는 레저스포츠 종목으로 편성되었다. “4학년”의 이론은 생활체육의 현장에서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과목으로 편성되었고, 실기는 교육방법론과 병행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편성되었다. 다섯째, 2년제와 4년제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과정에서 차이점과 유사점을 분석하여 보면 “2년제 대학”에서는 생활체육지도자의 법정이수 과목 정도의 이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양에서는 직업선택을 위한 소양교육 위주의 교과 편제를 보이고 있다. 실기에서는 전공실기의 배분정도에 따라 평균을 내어보면 4년제 대학과 비슷한 수준의 교과 편제로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2년제 대학에서는 졸업 후 생활체육 분야에서 지도자로서 근무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4년제 대학”에서는 생활체육 법정이수 과목에 추가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자 육성을 위한 교과와 프로그램 구성론, 스포츠 경영, 행정관리 등을 추가하여 생활체육지도자 뿐만 아니라 경영인, 체육행정관리 등의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편제를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광주ㆍ전남지역의 산업별 CO2 배출 구조 분석 : 환경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의 사용 증가로 지구온난화현상이 극심해지고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으로 지난 1992년에 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되었고 2013년부터는 제2차 이행기간이 시작된다. 우리나라는 1차 이행기간에는 개도국으로 분류되어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지니지 않았다. 하지만 OECD국가의 일원으로 선진국대열에 진입하여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2차 이행기간에는 의무감축을 하는 것이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최근 ‘부문별 접근방식’이 대두되면서 국가 단위의 온실가스 감축이행과 더불어 산업 중심의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산업별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산업별 CO2 배출 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로 한정하고 시간적 범위는 1995년, 2000년, 2005년으로 설정하였다. 산업별 CO2 배출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 시점별로 환경산업연관표를 작성하였다. 환경산업연관표는 경제주체들이 의식하고 사용하는 에너지 외에, 다른 부분에 유발시키는 에너지, 에너지 이용으로 배출되는 환경오염물질의 이동경로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환경산업연관표를 통해 추정된 전국의 산업별 CO2 배출원단위와 접속불변 산업연관표를 통해 추정된 지역의 투입계수를 이용하여 두 지역의 산업별 생산유발 CO2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CO2 배출 구조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광주광역시는 산업구조가 비교적 고부가가치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CO2 배출구조는 심각하게 보이지 않지만, 1~2차 산업에서 생산액 당 CO2 배출량이 전국평균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전라남도는 산업의 구조적인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라남도의 산업구조는 현재 CO2가 많이 배출되는 산업이 중심을 이루고 있어 CO2 배출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전국의 CO2 배출 구조를 보면, 배출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CO2 배출원단위는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CO2 다배출산업에서는 CO2를 많이 배출하고 있고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서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향후 기후변화협약에 대비하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온실가스 감축의 정책적인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광역시는 산업에서 전반적으로 에너지원단위를 개선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비록 CO2를 적게 배출하는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오히려 생산액당 CO2 배출량은 전국평균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CO2 배출과 에너지효율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광주광역시는 전략산업인 광산업과 연계하여 태양광을 활용하는 등 환경친화적인 에너지원에 대한 이용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전라남도는 현재의 산업구조가 CO2 다배출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CO2 배출량과 원단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결국 전라남도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산업구조를 에너지저소비,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 보면, 전라남도는 CO2 다배출산업이 경제를 주도하고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이러한 산업들에 대해 생산과정에서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전국 평균과 마찬가지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모두 ‘전력, 가스 및 수도’, ‘운수’와 같은 산업이 CO2를 많이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CO2 다배출산업에 대한 집중적인 온실가스 감축규제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가장 큰 한계점은 지역의 산업별 CO2 배출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데이터의 제약에 직면하였다는 것이다. 결국 전국의 CO2 배출의 기술적인 구조가 지역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지역투입계수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입지계수법은 지역내 투입구조만을 반영하여 외부지역과의 교역량 등이 고려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며, 지역의 투입산출구조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들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