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부안김씨의 우반동 이거(移去)와 귀환(歸還)

        전경목 ( Kyoung Mok Chon ) 한국고문서학회 2015 古文書硏究 Vol.47 No.-

        부안김씨가 우반동으로 들어온 이후 가장 큰 위기는 그들이 세거지인 우반동을 떠날 수 밖에 없었던 때였을 것이다. 종가가 우반동을 떠날 경우, 동성마을 조성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우반동 김씨’ 존재 자체가 성립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위기는 우반동으로 입거한 김번의 玄孫 김정하 때에 일어났다. 그는 우반동을 떠나 옹정리로 이거했는데 그 가장 큰 원인은 선조들의 옥살이로 인한 경제적 쇠퇴와 종손 입양으로 인한 친족간의 갈등이었다. 옹정리를 이거지로 선택한 것은 이곳이 부안 관내의 부안김씨 본거지이고 자신이 이곳에서 태어났기 때문이었다. 그는 이거를 위해서 먼저 사망한 養母 나주나씨를 옹정리 인근의 석동산에 묻고 그 주변의 전답을 구매했다. 그러나 김정하와 그의 후손들은 옹정리에서 오랫동안 머물지 못하고 다시 우반동으로 돌아가야만 했다. 옹정리에 세거하던 부안김씨들은 우반동 김씨와 世系가 다르고 출신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한 마을에 살면서도 같은 자리에 앉지 않으려고 했다. 또 옹정리에 거주하면서 우반동 김씨의 종손 노릇을 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그래서 김정하의 아들인 김기정은 우반동으로 돌아가려고 했다. 하지만 아버지가 팔아버린 가사와 전답 등을 되돌려받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환퇴를 전제로 매매했으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다른 사람에게 轉賣되고 전매자가 위조문서를 만들어 웃돈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김기정은 지루한 장기간의 소송을 통해 우반동의 가사와 전답을 돌려받았지만 곧바로 재입거하지 못했다. 소송 과정에서 생겨난 이웃·친족과의 갈등이 걸림돌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가 우반동으로 돌아간 것은 이러한 갈등을 해소한 이후였다. 우반동에 재입거한 김기정의 후손들은 선조의 문집과 족보를 발간하고 선조의 공적을 잘 정리해서 국가에 증직을 요청하는 등의 문중 현창 사업을 활발하게 전개했다. One of the biggest crises after Puan Kim``s family moved in Ubandong was when they had to leave there, their habitation. It is because when a head family leaves Ubandong, it is difficult not only to form consanguine community but also to establish the existence of Kim’s family of Ubandong. Nonetheless, the crisis happened during the period of Kim Jeong-ha, a great-great-grandson of Kim Bun who moved into Ubandong. Kim Jeong-ha left Ubandong and moved to Onjeong-ri, and the biggest causes of moving was economic decline owing to their ancestors`` prison life and conflict between relatives resulting from adopting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The reason why they selected Ongjeong-ri as a new place after moving is that it is a stronghold of Puan Kim``s family in Puan district, and where Kim Jeong-ha was born. He buried his foster mother Naju Na in Mt. Seokdongsan, near Ongjeong-ri, before moving. Nonetheless, Kim Jeong-ha and his descendents had to return Ubandong, not staying in Ongjeong-ri for a long time. Puan Kim``s families who had resided in Ongjeong-ri for generations would not even sit together with Ubandong Kim``s families because of different lineages and origins. Furthermore, they had practical difficulties in serving Ubandong Kim``s families as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So, Kim Ki-jeong, a son of Kim Jeong-ha would try to return to Ubandong. However, he had difficulty in getting back households and farmlands his father sold out. Although he tried to purchase them on the premise that he would leave, they were sold again to other people and sellers made a forged document and required premium. Although Kim Ki-jeong was able to get back households and farmlands in Ubandong through lengthy lawsuit, he and his family could not immediately entering the place again because of conflicts of neighbors and relatives occurring from lawsuit. The time when he cam back to Ubandong was after he resolved conflicts. Kim Ki-Jeong``s descendants who re-entered Ubandong actively developed the honoring project for their clans by publishing their ancestor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genealogy and summarizing their achievements.

      • KCI등재

        조선후기에 서당 학동들이 읽은 탄원서

        전경목 ( Kyoung Mok Chon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8 No.-

        조선후기의 서당에는 양반의 자제 이외에 중인이나 평민의 자제도 출입하며 한문을 익히고 유교경전 등을 두루 읽었다. 그러나 중인이나 평민의 자제들은 현실적으로 과거에 합격해서 관리로 진출하거나 혹은 성리학자로 명성을 얻기 힘들었기 때문에 대부분 실용문 즉 토지나 노비 매매문서와 소송장, 축문과 혼서 등을 익히고 오늘날 면장에 해당하는 존위 등을 역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따라서 중인이나 평민의 자제들은 서당에서 탄원서를 비롯한 각종 실용문을 작성하는 법을 익혔다. 그런데 중인이나 평민의 자제들이 서당에서 읽은 실용문 모음집이라 할 수 있는 『요람』 혹은『수문록』등에 수록되어 있는 탄원서를 살펴보면 실제로 관아에 제출했던 소송장에 비해 표현이 문학적으로 수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의 인물이나 사건 등이 가미되어 있어 흥미를 유발하고 재미를 느낄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실제 있었던 탄원 사실이 어떠한 가공 과정을 거쳐 설화 혹은 야담으로 변화하며 그 이후 어떻게 소설 등으로 확장 변모하는가를 살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소설로의 확장 변모의 출발이 주로 중인이나 평민들이 작성한 애절한 탄원서였다는 점도 크게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In the late Joseon period, not only children of the nobility but children of the middle class or commoners went to village school and learned Chinese characters and read Confucianscripts. However, children of the middle class or commoners could not pass the national civilservice exam and become public officials or famous Non-Confucian scholars. So they learned practical texts such as trading documents of land or slaves, litigation documents, written prayers, or marriage letters and aimed to become officials like Jonwui, which corresponds to today``s myunjang(head of a town). Therefore, children of the middle class or commoners learned how to write various practical documents like petitions at village schools. Looking through ``Yoram`` or ``Sumoonrok``, which are collections of practical texts that the children of the middle class and commoners read at village schools, expressions were written in a literary way compared to other litigations submitted to government offices and there are added elements of fictional characters and events, so they arouse interest and create fun factors. These are important in that they help show how actual litigations were transformed to folktales or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which in turn changed into novels later. It is significant that the beginning point of transformation into novels was petitions wrote by the middle class or common people.

      • KCI등재

        고문서와 검안에 나타난 조선말기 노름의 실상

        전경목 ( Chon Kyoung-mok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0 No.-

        조선말기에는 노름이 크게 유행하여 노름천국이라 칭할 정도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는 편이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관련 자료가 전하지 않기 때문이지만 이외에도 노름을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하지 않는 학계의 풍토와도 관련이 있다. 본고에서는 우선 고문서에 나타나는 노름 관련 기록을 모아 노름의 폐해와 노름 장소, 후속 범죄, 단속의 실제 사례, 근절 대책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노름의 폐해는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과 친족 등 혈연 공동체와 지연 공동체에까지 미쳤으며 노름 장소는 해안에 인접한 포구나 사람이 자주 왕래하는 도로의 주변 마을 및 시장 등지였다. 노름이 사회 문제가 되는 것은 범죄와 연결이 되기 때문인데 노름을 하기 위해 항상 타인을 유인했다. 또 노름빚을 갚는 과정에서 문서를 위조하고 남의 재산을 횡령했으며 폭력을 행사하고 사기를 치기 마련이었다. 조선말기에 노름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고 끈질기게 지속되자 관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해서 단속을 실시했다. 노름 가담자를 적발해 처벌하고 유배까지 보냈으며 마을 책임자인 집강과 존위 등을 동원해 단속을 펼쳤다. 또 향약을 통해 자율적으로 교육과 단속을 시행했으며 노름 단속을 전담하는 관속을 임명하기도 했고 다섯 집안끼리 묶어 서로 감시토록 하는 오가작통제도 실시했다. 주점이 노름의 소굴로 알려지자 이를 철폐하는 조처가 내려지기도 했다. 그렇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노름과 관련된 검안을 분석해서 노름빚을 갚는 과정에서 어떻게 살인사건이 일어났는가를 살펴보았다. 1906년에 공주에서 이판용 살인 사건이 일어나자 공주군수를 비롯한 인근 고을의 수령들이 4차례나 검험을 실시했다. 그러나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자 정산군수가 한 차례 더 조사를 했다. 채무 때문에 일어난 살인 사건이지만 그것이 과연 노름빚에 기인하는지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채 사건이 종결되었다. 다만 이를 통해 당시에는 빚을 지면 으레 노름빚으로 간주되었고 더 나아가 행실이 좋지 않은 사람을 지칭할 때에는 노름꾼으로 지칭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Gambling was prevailed in late Chosun to be called as gambling heaven. However, few studies had been performed on this. The main reason was lack of related data, moreover, it was related to the environment in the academy which did not accept the gambling as the subject of the studies. In this study, gambling related matters including its harms, places, subsequent crimes, actual cases of regulation, countermeasures for quitting it were reviewed upon collection of the records in the ancient documents. The harms of the gambling were influenced not only to himself/herself but also blood and location tied communities such as families and relatives. In terms of the gambling places, they were varied from the inlets closed to the coast up to the villages near the busy traffic roads, markets, and so on. The reason that the gambling became the social problems w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the crimes. To do gambling, it always lured the others and the gambling debts were related to the high interest. In addition, it happened to counterfeit the documents, to embezzle the others` properties, to commit violence, and to cheat others during returning the gambling debts. Since the gambling was prevailed and continued persistently in late Chosun, the government performed a variety of regulating methods. They found the gamblers to punish and exile them, and investigated mobilizing the heads of the villages including Jipgang and Jonwe, which was not successful. Therefore, they prepared the plans to terminate the gambling many times, for instance, performed the education and the regulation voluntarily mainly by Hyangyak, assigned the officers dedicating the investigation of the gambling, and conducted five family control system which mutually monitored in five families together. Once the bars were unveiled as the main place of the gambling, they were punished to be closed. Upon the analysis of the investigations related to the gambling, murder cases were reviewed how they had been developed during returning the gambling debts. When the murder case of Pan Yong Lee in Gongju in 1906 was occurred, the chiefs of the neighbor villages including Gongju Mayor conducted four times of investigations. However, the direct cause of the death was not proven, hence, Jungsan Mayor investigated it once more. It was the murder case from the debt, yet, it was concluded without finding clear causal relationship from the gambling debt. Nevertheless, the facts could be found that the debt at that times was considered as the gambling debt and the persons with bad attitude and behaviors were called as the gamblers.

      • KCI등재

        분쟁에서 송관의 역할 - 최소한의 개입 -

        전경목 ( Chon Kyoung Mok ) 한국고문서학회 2021 古文書硏究 Vol.59 No.-

        필자는 본고에서 1801년 정월에 부안현에서 김기정(金基正, 1773~1811)에게 발급해 준 ‘결입안’을 분석해서 그와 강재태(姜在泰, 1769∼?) 사이에 벌어진 우반동 가사 등에 대한 환퇴(還退) 분쟁에 대해 살펴보겠다. 부안현에 거주하던 강재태와 김기정은 각기 전라감사(全羅監司)에게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우반동에 있는 부안김씨 종가의 가사(家舍)와 전답 등의 환퇴를 놓고 다투고 있는 중이었는데 서로의 주장을 펼치기 위해 각각 탄원서를 제출했던 것이다.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서로 이해 관계가 다른 양 당사자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 결국 타협하지 못하고 관아에 탄원서를 제출할 경우, 절차에 따라 소송을 진행하여 판결한 후 그 과정과 결과를 입안으로 작성해 주었는데 이것을 결송입안이라 했다. 이와 달리 양 당사자가 소송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실을 규명한 후 조정을 통해 처분하고 그 결과를 간단하게 탄원서에 기록해 주었는데 이를 입지라 했다. 후자의 경우에도 간혹 조정의 과정과 결과를 기록해 주기 원하면 입안을 발급했는데 이때 작성한 입안을 결입안이라 했다. 결송입안과 결입안의 차이점은 전자에는 양 당사자가 소송을 시작하면서 작성하는 시송다짐과 소송을 마치고 판결을 요청하는 결송다짐이 첨부되어 있는데 후자에는 소송을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것이 없다는 점이다. 소송 과정에서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소송과 관련된 여러 가지 범법 사실들이 드러나는 일이 종종 있었는데 송관들은 이를 요즈음의 별건 사건으로 간주해서 가급적이면 이에 대해 더 이상 조사하려 하지 않았다. 현지의 사정을 잘 알지 못한 채 범법 행위를 끝까지 색출하겠다는 생각에 충만한 수령들은 간혹 이 별건 사건들을 조사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저지르는 폐해가 오히려 컸다. 그래서 조선후기 목민서에서는 소송의 확대를 크게 경계하고 오로지 본질적인 것만을 조사해서 해결토록 하는 최소한 개입을 강조했다. 그러다보니 담당 송관들이 무능하거나 부패한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았으나 조선후기 지방사회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영된 것은 송관의 최소한의 개입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the “Gyeolipan” issued to Kim Ki-jung in Buan-hyeon in January 1801 and examine the dispute over the return of Woobandong Village House, which took place between Kim Ki-jung (金基正, 1773∼1811) and Kang Jae-tae (姜在泰, 1769∼?). Kang Jae-tae and Kim Ki-jung, who lived in Buan-hyeon, each filed a petition with the Jeolla provincial governor. They were arguing over the return of the house and paddies of Buan Kim’s clan in Woobandong Village, and each filed a petition to make their case. In the Joseon Dynasty, when disputes broke out between the two parties with different interests and eventually failed to compromise and filed a petition with the government office to request lawsuit, the process and result were drafted, which was called Gyeolsonglipan. On the other hand, if both parties do not want lawsuit, they will find out the facts, then dispose of them through mediation, and record the results in a simple petition, which is called Ibji. In the latter case, if they wanted to record the process and results of mediation, they issued a draft, which was written at that time, called Gyelipan. The difference between Gyeolsonglippan and Gyeolipan is that the former contains fair defense operations written by both parties at the beginning of lawsuit and certificate of Adjudication requesting a ruling after lawsuit. But there is no such thing as lawsuit in the latter case. During the lawsuit process, several criminal facts related to lawsuit, whether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were often revealed, and the Judges regarded it as a separate incident these days, preferably refusing to investigate further. The leaders, who were not aware of the local situation and were filled with the idea of finding out the crime to the end, sometimes investigated these separate cases, and there were many cases of great harm in the process. Therefo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Mokminseo(牧民書) was very wary of the expansion of lawsuit and emphasized marginal adjustment to investigate and resolve only essential things. As a result, many of the judges in charge seemed incompetent or corrupt, but the relatively stable operation of local communit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believed to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marginal adjustment of Judge.

      • KCI등재

        양반가에서의 노비 역할 : 전라도 부안의 우반동김씨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경목(Chon Kyoung-Mok) 역사문화학회 201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5 No.1

        필자는 본고에서 전라도 부안의 우반동에 世居했던 扶安金氏家에서 노비들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이 부안김씨의 中興祖로 알려진 김홍원은 농장을 관리하던 사내종 우세와 집안일을 도맡아서 한 군석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 중 군석은 이 가문의 戶奴였는데 그는 집안의 모든 일을 주관하였을 뿐 아니라 상전을 대신하여 관에 탄원서를 제출하고 세금도 납부하는 등 執事奴 역할을 하였다. 이에 따라 상전도 그에 걸맞은 대우를 해주려고 노력하였다. 김홍원과 그의 조상들은 전라도 용담현과 임실현의 섬진강과 금강 상류 근처에서 물을 막아 논을 개간하고 부안현의 주을래리의 바다에 漁場을 조성하였는데 이러한 일들은 모두 협동심이 강하고 숙련이 잘 된 사내종들이 있어야만 가능하였다. 부안김씨가 경제적으로 기반을 다질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사내종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또 김홍원은 1597년에 일본군이 조선을 再侵하자 그의 家奴 중 용맹하고 충성심이 강한 사내종들을 데리고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그의 사내종들은 비록 군사 훈련을 받지는 않았지만 개간 등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조직되고 잘 훈련되어 있었는데 전쟁터에 나가서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선봉에 서서 싸웠기 때문에 곳곳에서 커다란 戰功을 세울 수 있었다. 김홍원은 그들의 승리 덕택에 하루아침에 정3품 通政大夫가 되고 그 이후 여러 관직에 임명되었다. 물론 김홍원이 이와 같이 여러 관직을 역임하게 된 것은 그의 능력과 노력 등이 바탕이 되었지만, 의병 활동으로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부안김씨는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는 노비 덕택에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경제적 또는 정치적으로 부상할 수 있었지만, 그들 때문에 고통을 겪기도 했다. 많은 노비를 소유했던 부안김씨가 戊申亂을 배후에서 지원하고 또 이 집안 노비 출신이 반란군을 지휘한다는 소문 때문에 김홍원의 후손들은 사형을 당하거나 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우반동의 부안김씨는 자신 소유의 노비들을 잘 관리하였다. 손재주 좋은 노비들에게 각종 생필품 등을 제작하도록 하고 어업에 종사하는 외거노비들에게는 신공 대신 물고기를 바치도록 해서 家內에서 사용하거나 혹은 京鄕의 친인척에게 선물하기도 했다. 또 부안김씨는 부안과 그 인근 고을에 있던 경화사족의 농장에서 생산된 곡식이나 생필품 등을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던 선박을 통해 서울과 경기 등지로 운송해주는 등 갖은 편의를 제공하며 경화사족과 교류하였는데 바로 이 집안에 사공노릇을 하는 사내종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결론적으로 부안김씨가 해안가의 궁벽한 마을에 세거하고 있으면서도 양반으로서의 가세와 지체 및 명성을 유지하고 살 수 있었던 원인 중의 하나는 바로 이와 같은 노비들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The author examined concretely for the research what roles slaves served in Buan Kim lineage who had lived in Ubandong in Buan, Jeolla-do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Kim Hong-Won, known to be an ancestor who restored the family fortunes of Buan Kim lineage, owned male slaves Woose who managed a farm and Gunseok who held the domestic reins in the Kim's house. Out of slaves, Gunseok was a chief slave of the Kim's family, which served him not only as a manager of all the household chores, but also a butler who filed in a petition to the authorities and paid taxes in place of his master. Accordingly, his master made efforts to treat him to be commensurate with his duties. The Buan Kim lineage developed rice paddy fields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regions of Geum River and Seomjin River in Yongdam-hyeon and Imsil-hyeon of Jeolla-do by blocking water from the rivers, and also developed fishing grounds at sea of Jooeulrae-ri in Buan-hyeon. These developments could be all attributed to male slaves who have a strong spirit of team work and good skills. What brought an economic base to the Buan Kim linage was all their efforts. In 1597 when Japanese armies invaded Joseon territory again, Kim Hong-Won raised a guerrilla force with his brave, loyal male slaves. Although the slaves did not receive military exercise, they were well organized and trained through development of rice paddy fields and fishing grounds; they were not afraid of death at war, fighting in the vanguard and distinguishing themselves in war. Resulting from their contribution to war, Kim Hong-Won became Tongjeongdaebu 3rd rank of Jeong, which enabled him to enter government service. There is no doubt that he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based on his ability and efforts, 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at his guerrilla force was the opportunity to make him widely known. The slave efforts did not always bring a fortune. Although the Buan Kim linage could emerge from an economic, political perspective, the Kim's family had to go through difficulties and challenges. For example, some of his descendants were executed or put into jail for a rumor that the Kim's family, who owned a lot of slaves, was de facto power behind the Musin Revolt in 1728 and slaves from the Kim's family led rebel forces of the revolt. None the less, the Buan Kim lineage of Uban-dong mostly managed slaves well. For example, the Kim's family allowed dextrous slaves to create various daily necessities and out-resident slaves to dedicate fish for slave tribute, which used inside the house or offered as a present for relatives or acquaintances living in Seoul and local areas. The Kim's family carried out exchange with Gyonghwasajok(京華士族, noble of Seoul) by delivering the daily necessities and crops produced in farms which Gyonghwasajok owned in Buan and its neighboring villages by ships the Kim's family owned. In conclusion, although the Buan Kim lineage lived in a remote corner of the coas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Kim's families could live maintaining their fortunes and reputation as yangban (noble family); it is their slaves who could make this possible.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탄원서 작성과 修辭法 활용 - 고문서학과 한문학의 연구 접점 시론 -

        전경목(Chon, Kyoung-mok)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2 No.-

        현재 남아있는 탄원서를 살펴보면, 서당에서 이를 교육시켰을 것으로 추정되는 18세기 후반부터 새로운 흐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다양한 수사법을 동원해서 탄원서를 작성하는 경향이 그것인데 이는 한문 교육이 양반 이외의 다른 계층으로 점차 확산되고 또 권리나 소유에 대한 인식이 향촌사회 까지 차츰 정착되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실증하기 위해, 여러 학습교재와 실제 탄원서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우선 탄원인의 처지나 심정 등을 잘 드러내기 위해 어떠한 어휘나 단어를 선택하고 무슨 수사 기법을 동원해 문장을 작성 했는지 알아보겠다. 주로 표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므로 이를 본 논문에 서는 ‘표현으로서의 수사법’이라 부르겠다. 이어서 탄원하려는 의도와 목적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글 전체를 어떻게 구성했느냐를 고찰해보겠다. 탄원자의 의도가 충분히 전달되도록 전략적으로 글을 구성 한다는 점에서 ‘소송 전략으로서의 수사법’이라 칭하겠다. 아울러 조선시대에 수사법을 활용해서 원고나 피고를 돕거나 혹은 그들을 대신해서 소장을 작성해주는 사람을 外知部라 했는데 이들이 탄원서 작성에 개입한 흔적을 실제 탄원서에서 찾아보겠다. 이어 서당에서 어떤 수사 기법을 학습했는지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New trend had been appeared since late eighteenth century when was estimated to educate to write petition in the village schools. That was writing petition with a variety of rhetoric reflecting the education of Chinese had been expanded to the classes beside noblemen and the perception of right or possession had been settled up to the countryside communities. To prove these, two aspects are reviewed on multiple textbooks and real petitions. First thing is to understand what vocabularies and words were used and what rhetoric techniques were applied to express the position or feeling of the persons to claim petition. Since it is focused mainly on the expression, it is called as ‘rhetoric as the expression’ in this article. The next thing is to investigate how overall writing was organized logically so as to clearly deliver the intention and the purpose of petition. It is called as ‘rhetoric technique as the strategy of lawsuit’ in terms of strategic writing organization so as to deliver the intention of the person who claimed the petition sufficiently. In addition, it was called as Oejibu that was the person to write the petition to assist the plaintiff or the defendant using rhetoric, or on behalf of them. The evidences of their involvements will be reviewed in the real petitions. Then, it will be reviewed how they learned rhetoric in the village schools.

      • KCI등재

        ‘양반되기’ 서사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의 조건 -「구복막동」과 「양반전」을 중심으로-

        전경목 ( Chon Kyoung-mok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1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후기에 널리 읽힌 한문서사 중 「구복막동」과 「양반전」을 분석해서 사내종 막동이 어떻게 신분상승 즉 양반되기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 그 전략과 기반을 살펴보고 정선군수가 작성한 양반매매문서를 통해 정선부자가 왜 양반되기에 실패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사내종이었던 막동은 4단계 10가지 전략을 펼쳐 양반이 되었다. 이에 비해 경제력만을 갖춘 정선부자는 오직 이득만을 추구하고 문화적 기반이나 사회적 여건을 전혀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양반사회나 양반문화에 대해 이해하지 못한 채 스스로 양반되기를 거부 또는 포기했다. 사내종 막동은 양반되기에 성공했으나 오히려 그보다 상위에 있던 평민 출신의 정선부자가 양반되기에 실패했는데 그 이유는 막동은 호노로서 양반문화를 학습할 기회를 가졌던 데에 비해 정선부자는 그러할 계제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문자해독능력의 유무도 결정적 요인 중의 하나였다. 조선시대의 양반은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으로 여러 여건을 갖춘 자들이었다. 그런데 조선후기 신분상승에 대해 주목하는 연구자들은 오로지 경제적인 측면만 주목해서 돈을 주면 얼마든지 양반 신분을 살 수 있는 것처럼 주장해 왔다. 이러한 주장은 조선시대 양반에 대해 너무 단편적인 이해에 바탕을 둔 것이라는 사실이 「구복막동」과 「양반전」의 분석을 통해 드러났다. 계급 혹은 계층이 존재하는 한, 어느 시대 어느 사회나 ‘따라잡기’와 ‘구별짓기’는 있었다. 하위 계급과 계층에서는 언제나 상위 계급이나 계층을 따라잡으려 노력했으며 상위 계급과 계층에서는 하위 계급 혹은 하위 계층과 구별짓기를 시도해 왔다. 따라서 ‘따라잡기’와 ‘구별짓기’를 동시에 고찰해야만 당시 사회의 다양성이 드러날 것으로 판단된다. Gubok Makdong [Male Slave Makdong] and Yangbanjeon [Story of Aristocrat] are among the narrativ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aper examines what strategies the male slave Makdong adopted to be a yangban, aristocrat, and why a rich man in Jeonseon County refused to become a yangban even if it was possible to buy the status. Makdong became a yangban through four steps by adopting ten strategies. In contrast, a rich man in Jeongseon County who owned only material wealth refused to become yangban because he only pursued material profits lacking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conditions as yangban, and did not understand the yangban culture. While Makdong, as 'hono' slave, had opportunities to learn yangban culture, the rich man in Jeongseon did not have such opportunities. Whether one was literate was one of the crucial factors. The yangban in Joseon Dynasty was equipped with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as aristocrats. Researchers dealing with status upgrading in the late Joeseon Dynasty have argued that the yanban status could be bought easily, focusing only on the economic aspect. But, Gubok Makdong and Yangbanjeon reveal that such arguments are based on so much fragmental understanding of the era. In any society any time where there are class or status divisions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ones, there have been efforts to 'keep up with' the upper class among members of the lower class, on the one hand, and, effort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lower class' among members of the upper class, on the other hand. Consequently, when we consider both the two different kinds of efforts, we can get the real variety of a specific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