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미술 융합 교육을 통한 고전시가의 ‘형상화’ 교육 방안 연구

        전가람(Jeon Ka ram)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2

        형상화는 문학에서 창작자가 의도한 바를 문학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인 동시에 수용자가 문학 텍스트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하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여기에서 의미를 전달하게 하는 매개가 되는 것이 바로 이미지이다. 하지만 형상화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작품의 의미와 이미지 간의 연결고리를 찾는 작업은 쉽지 않다. 비록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대상의 이미지를 표상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어떻게 하여 시적 의미를 구성하는 기반이 되는지 파악하기는 어렵다. 특히 이 연구에서 다룬, 조선시대에 자연물에 의탁하여 어떠한 가치를 드러내는 시가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안민영의 연시조 「매화사」를 주 텍스트로 하고, 김홍도의 그림 「백매」를 보조 텍스트로 삼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해결 방안의 방법은 ‘관찰’에 있다. 하지만 문학 텍스트에 대한 단순 분석을 넘어 이미지를 더욱 생생하게 표상하고, 의미를 더 구체적이고 깊이 있게 파악하는 관찰을 수행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작품과 소재와 주제의식을 공유하는 회화 작품을 함께 보게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관찰을 두 가지 층위로 나누어 시가 텍스트에 대한 내적 관찰과 미술 교과와의 융합을 통한 관찰을 활용한다.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은 총 네 단계로 제시하였다. ① 시가 텍스트에 대한 내적 관찰, ② 미술 교과와의 융합을 통한 관찰, ③ 형상화를 중심으로 시가 텍스트 설명하기, ④ 형상화에 중점을 둔 창작하기이다. Imagery is a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used between poets and readers in poetry. In terms of poets, they use imagery to deliver their feeling or idea. And readers find the meaning of the text from the image.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image and meaning in appropri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for learner to find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meaning, especially in terms of classical poetry which shows virtues by using the image of natural object. This paper aims at solving the problem by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Korean and Arts, focusing on Observing with poetry text 「Maehwasa」 by Minyeong Ahn and picture 「Baekmae」 by Hongdo Kim. “Observing”, in this research, means careful watching, in order to help learners find the appropriate images in the text. However, to avoid verbal language-focused observing which can make learners analyze the text, not appreciate, it is suggested to observe the picture which has similar material and subject. Based on state above, the teaching-learning course is designed in four stages : Inner observing based on poetry text - Integrated observing with Fine arts subject - Explaining poetry text focusing on imagery - Creating based on imagery.

      • KCI등재

        경관 개념의 동적 속성에 착안한 내러티브 중심 문인화 감상 교육 방안 연구 : 동아시아 고전 문학과의 융합 시도를 통하여

        전가람(Jeon, Ka Ra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4

        문인화 속 landscape의 해석은 감각으로 포착되는 이미지를 넘어, 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요구한다. 이와 같은 특성은 회화 감상에서 보는 행위 를 더욱 심도깊게 할 것을 요구한다. 물론 종래의 교육적 접근에서도 문화적 맥락에 대해 주목한바 있으나, 학습자가 명제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작품 해독에 천착하게 하는 결과를 야기했다. 학습자가 감상의 주체로서 지속가능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내러티브에 바탕을 둔 접근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 개념을, 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landscape를 적극적으로 읽어나가는 행위를 보여주는 더욱 적극적인 개념어로서 제안하고, 동아시아 고전 문학 텍스트를 문화적 맥락을 발견하고 이해를 형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안한 교수 학습 방법의 단계는 적응-이해-비평-확장의 총 네 단계로 구성된다. Interpretation of landscape in literary painting needs understanding cultural contexts, beyond the images that can be captured by the senses. This properties demands far sophisticated approach in terms of looking. than the current one that led learners focusing on propositionalknowledge- based decoding, which is not sustainable for agents of appreciation. On the basis of such idea, this article proposes the concept of 景觀 as a much active concept word to use to emphasis the properties of looking activity with reading cultural context, and the method of using East Asian classical literature text as a scheme for narrative-based appreciation. Education course as a result of this discussion has four stages: adapting-understanding-narrative centered on criticism-and conducting.

      • KCI등재

        지역 서사에 대한 예술적 담론장으로서의 에치고츠마리 아트 필드의 가능성 연구

        전가람 ( Ka-ram Jeon ),조경진 ( Kyung-jin Zoh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0 美學·藝術學硏究 Vol.59 No.-

        에치고츠마리 아트 필드는 지역, 그리고 지역 서사라는 공동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주민과 예술가라는 두 대표적인 예술 활동 주체들이 지역 서사를 예술 활동으로써 전승ㆍ발전ㆍ형성ㆍ공유하는 장이다. 이러한 활동은 단순한 창작이나 감상을 넘어, 지역에 대한 예술적 담론의 수행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식 하에 본 연구는 에치고츠마리 아트 필드의 작품을 분석하고, 그에 반영된 지역 서사의 예술적 창작, 그리고 그것이 구성하는, 지역에 대한 예술적 담론 생산 양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과 그 토대 위에 데리다의 ‘담론’, 아렌트의 ‘공공’이라는 인식론적 개념을 더하여 향후 지역 예술 공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지역 정체성에 대한 다원적 인식, 지역 서사와 그에 의해 형성되는 정체성에 대한 공공의 논의 수행, 담화의 방식으로서 예술적 발화 수행과 수용이다. The Echigo-tsumari Art Field is a place where both residents and artists, the two main representative parties of the event, have inherited, developed, and created art discourses with their shared local narrative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ir activities are clearly more of performing artistic discourses than separate creation of art work or appreciation of such. In this context, the thesis conducts an analysis of the works and their local narratives presented at the event, and then examines the production condition of the artistic discourses they construct. This study presents a few conclusions through the aforementioned analysis and also seeks to find possible directions for local art institutions to further develop their sustainability in the future by applying the epistemological concepts of “discourse” by Jacques Derrida and “public” by Hannah Arendt. They are: to understand the pluralistic nature of identity, to execute public discourses, and to express and embrace artistic expression as a form of discourse.

      • KCI등재후보

        박물관 전시를 활용한 통치의 장으로서 식민지 시기 경복궁 개방 공간의 재편 과정

        전가람(Jeon, Ka Ram),성종상(Sung, Jong Sa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1 서울학연구 Vol.- No.84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경복궁 개방의 주된 프로그램 요소로서 박물관과 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전시가 궁궐의 개방이라는 문제에서 어떠한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경복궁을 개방하고 그 프로그램으로 박물관을 도입하는 구상은 사실상 1910년대 당시 조선총독부 청사 건립 계획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당시 박물관 설치 구상은 경복궁 궁역의 재편이 조선총독부에 의해 배타적·폐쇄적으로 점유되는 형태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나마 식민지 사회에 대한 개방을 염두에 둔 것이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경복궁 내에 박물관이 설치된 최초의 사례는, 1915년에 개관한 조선총독부 박물관이다. 개관 초기(1915~1921 추정)에는 조선총독부가 확보한 유물을 전시하는 동시에, 조선물산공진회의 전시 공간을 재활용·재편한 심세관과 교통관이 박물관 전시를 구성했다. 이는 식민지 초기 식산흥업 정책과 관련이 있는 구성으로 보인다. 이후 1921년 및 1926년의 전시 개편을 거치며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전시내용은, 식민 주체의 역사 인식을 유물 전시를 표상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이후 1935년에는 시정 25년 기념 종합박물관 계획이 수립되어, 조선총독부 박물관과 남산의 과학관을 통합 이전한 형태의 미술 박물관 및 과학 박물관과 자원관이 계획되고, 추후 조선총독부 미술관의 건립도 추진된다. 이와 같은 계획은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문화 및 식산흥업 정책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종합박물관 계획에서 실제로 완성된 것은 조선총독부 미술관이 유일하며, 과학 박물관은 전시체제기의 정책적 필요성에 의해 공사가 추진되었으나 해방을 거치며 미완성에 그친다. 상기한 논의를 통해 식민지 시기 박물관 전시를 활용한 경복궁 개방에 대한 두 가지 해석을 제시하였다: 먼저 식민지 시기 박물관과 그 전시를 통한 경복궁의 개방은 조선총독부의 제국주의적 가치관 및 정책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동되어 변화해온 통치의 수단으로서 그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식민지 시기 박물관을 활용한 경복궁 개방은, 해방 이후의 경복궁의 활용 방식에 있어 부분적으로나마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erms of the opening of the museum and its space. The idea of opening the Gyeongbokgung Palace and introducing the museum through its program can actually be traced back to the plan to build the building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1910s. At that time, the idea of the museum was not only in the form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Gyeongbokgung Palace being exclusively and clos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also implied that it was partly intended to open up the colonial society. The first case in which a museum was established inside the Gyeongbokgung Palace was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hich opened in 1915. In the early days of its opening(1915-1921 estimation), the museum was exhibited by the Hall of Current Conditions and the Hall of Transportation, which recycled and reorganized the exhibition space of the Joseon Industrial Expo(1915). This seems to be a composition related to the early colonial policy of food production. After the reorganization of the exhibition in 1921 and 1926, the contents of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focused on representing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colonial subjects. In 1935, the plan of the general museum for the 25th anniversary of rule was established, and the history museum, resource museum, and science museum were also designed, with the plan of moving and integration of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Namsan Science Museum. And in addition to these plans, the plan of the Museum of Art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as set up. Such plans can be interpreted as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and colonial industry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1930s. However, the only museum that was actually completed in the general museum plan was the Museum of Arts of Korean Government General, and the science museum was constructed due to the policy needs of the wartime regime but was not completed until the liberation(1945). As results of this study, Two interpretations of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sing the museum’s exhibi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presented: the museum and its exhibition were closely linked to the imperial values and policy change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addition,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sing the museum during the colonial period is likely to be a preliminary form of the use of the Gyeongbokgung Palace after the lib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