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주 활성단층대 및 주변 국가지하수 관측정에서 지진과 수위변동 상관관계 연구

        장현우 ( Hyeon-woo Jang ),정찬호 ( Chan-ho Jeong ),이용천 ( Yong-cheon Lee ),이유진 ( Yu-jin Lee ),홍진우 ( Jin-woo Hong ),김천환 ( Cheon-hwan Kim ),김영석 ( Young-seog Kim ),강태섭 ( Tae-seob Kang ) 대한지질공학회 2020 지질공학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단구리 활성단층대에 설치된 지하수 관측정과 주변 국가지하수관측정 124개 공에서 지진발생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특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수위자료를 활용하여 시공간적 분포특성과 지진과의 상관성을 해석하였으며, 발생한 지진에 대하여 관측정의 반응에 대한 효율성(잠재성)을 나타내는 Earthquake effectiveness(ε)와 q-factor를 계산하여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관측기간 중 단구리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동은 E1(2019년 4월 22일 M 3.8) 지진 발생 이후 (post-seismic) 83 cm의 지하수위 하강을, E2(2019년 6월 11일 M 2.5) 지진발생 전(pre-seismic) 76 cm의 지하수위 상승을 보여주었다. 주변 국가지하수관측정의 수위자료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공간분포 분석결과, 단층대 주변 관측정에서 수위변동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을 보인다. 그리고 충적지하수보다 암반지하수에서 더 큰 수위변동을 보여 암반 지하수가 지진 관측에 유리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수위의 상승과 하강은 지진에 의해 암반에 가해지는 인장응력에 의한 균열의 증가와 압축응력에 의한 공극의 감소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단구리 관측정의 Earthquake effectiveness(ε)와 q-factor의 유효범위는 각각 2.70E-10~5.60E-10, 14.4~18.0으로 산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between earthquakes and fluctuation of water level in a groundwater well of the active-fault zone and 124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in Gyeongju area. The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fluctuation of water level and the earthquake were analyzed by the calculation of earthquake effectiveness (ε) and q-factor which are the function of earthquake magnitude and distance from epicenter. Two earthquake events of E1 (April 22, 2019, M 3.8) and E2 (June 11, 2019, M 2.5) show a close relationship with a post-seismic 83 cm decrease and a pre-seismic 76 cm increase in water level at the active fault zone of Dangu-ri, respectively. The spatial analysis of water level fluctuation data in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s caused by earthquake events shows a more distinct response in deep groundwater around fault zones than other area, and a greater change in deep groundwater than shallow groundwater. It’s inferred that the decrease and increase in groundwater level are affected by the expansion of fractures and compression of rock mass due to seismic stress, respectively. The effective ranges of ε-value and q-factor of the monitoring well in Dangu-ri were calculated as 2.70E-10~5.60E-10 and 14.4~18.0, respectively.

      • 수소충전소 수소유량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절차에 대한 고찰

        장현우(Hyeon-woo Jang),한원국(Won-kook Han),임상식(Sang-sik Yim),유근준(Geun-jun Ryu),김영규(Young-gyu Kim),길성희(Seong-hee Kil)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수소를 원료로 하는 이동수단의 보급이 활발해짐에 따라 수소충전소의 필요성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2019년의 수소충전소 건립 목표는 86기이며 2030년까지 660기를 건립할 계획이다. 수소 공급업체로부터 공급받는 수소량의 측정은 체적 방식으로 이루어지지만,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수소량의 측정은 중량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측정량의 차이로 인한 원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측정 방식에 의해서 생성되는 운영 손실률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수소충전소 인프라의 상거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검사 장치 실증을 통한 수소충전소의 수소 공급량-판매량 간 오차 발생 원인의 상세분석으로 수소충전소 투명성을 확보하고 유량계와 충전기 등 수소충전소 핵심부품의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 범위와 구체화하기 위해서 공급 프로세스 중 공급업체인 수소정제업체와 수소 충전소 간의 거래상 운영 손실을 조사할 예정이다. 그리고, 실증 대상은 튜브트레일러에서 디스펜서 전까지의 수소 유량 및 중량 분석을 제안하고자 한다. 충전량의 오차 확인을 위해서 중량 저울을 통해 주입된 정확한 수소 충전량을 측정한 뒤, 튜브트레일러와 압축기 사이에 MFM을 연결하여 유량을 측정하고 그 둘을 비교하여 MFM의 소급성을 보완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공 계획에 따라 수소 충전소 시설 변경 관련 제도와 시설 변경 기술 내용에 대한 위험성 평가 방법을 선정하고자 한다. 또한, 작업 범위, 작업 방법, 그리고 작업 절차에 대한 위험성 평가 자료를 구축하여 시공 절차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의 배기량별 평균 CO<sub>2</sub> 배출량을 고려한 자동차세의 적정 세율 분석

        최현우 ( Hyunwoo Choi ),정민경 ( Min Gyeong Jung ),장현우 ( Hyeon Woo Jang ),김동구 ( Dong Koo Kim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2023 자원·환경경제연구 Vol.32 No.4

        현재 한국의 자동차세는 자동차의 배기량에 일정 세율을 곱해 부과된다. 그러나 현행제도는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당면 과제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으며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배기량과 CO<sub>2</sub> 배출량 간 확인되는 양의 관계에 주목하여, 평균 CO<sub>2</sub> 배출량을 고려한 자동차세의 적정 세율을 산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2020년 기준으로 자동차 배기량별 평균 CO<sub>2</sub> 배출량을 이용해 배기량별 연간 평균 CO<sub>2</sub> 배출량(kg/대)을 추정하였다. 여기에 IMF(2019)가 제안한 CO<sub>2</sub> 배출량 1톤당 75달러를 기준세율로 고려해 복수의 시나리오를 분석했다. 특히, 균일한 75달러의 탄소세를 부과했을 때와 배기량별 CO<sub>2</sub> 배출량에 기반해 누진세를 부과했을 때를 비교했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IMF가 제안한 기준세율을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세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쉽지 않으며, 현행 자동차세에 따른 세수 규모 유지, 온실가스 감축효과, 선진국의 자동차세 개편 동향 등을 고려해 정교하게 설계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판매되는 대표적인 소형차량인 기아자동차의 K3(1,598cc)를 기준으로 현행 제도와 비교해보면, 현행 제도에서는 약 22만 원, IMF에 따른 동일세율과 누진세 부과 시에는 각각 약 7.9만 원과 약 8.3만 원, 영국 자동차세를 참고한 누진세부과 시에는 약 24만 원 정도의 세금을 납부하게 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의 자동차 등록현황 및 자동차세 현황, 주요 선진국의 자동차세 개편 동향을 파악해 차량 배기량과 CO<sub>2</sub> 배출량을 고려한 자동차 세제 개편의 영향을 국민의 조세부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Currently, automobile tax in Korea is imposed by multiplying the vehicle's engine displacement by a certain tax rate. However, the need for revision is being raised as it is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system does not reflect the immediate task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ngine displacement and CO<sub>2</sub> emissions, and seeks to calculate an appropriate automobile tax rate considering average CO<sub>2</sub> emissions. To this end, first, we estimated the average annual CO<sub>2</sub> emissions (kg/vehicle) for each engine displacement using the average CO<sub>2</sub> emissions for each vehicle displacement as of 2020. Next, multiple scenarios were analyzed considering the standard tax rate at $75 per ton of CO<sub>2</sub> emissions proposed by the IMF (2019). In particular, we compared the case of imposing a uniform carbon tax of $75 and the case of imposing a progressive tax based on CO<sub>2</sub> emissions by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form tax rate proposed by the IMF is difficult to apply to Korea as it is due to the impact of a decrease in tax revenue, and a tax scheme needs to be designed appropriately considering maintenance of tax revenue according to the current automobile tax,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and automobile tax reform trends in developed countri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K3 (1,598cc) of Kia Motors, a representative compact car sold in Korea, if we compare the tax burdens for each tax scenario, the tax burden will be about 220,000 KRW under the current system, about 79,000 KRW under the uniform tax rate, about 83,000 KRW under the progressive tax rate, and about 240,000 KRW under the progressive tax rate similar to the UK tax system, respectively. In this way,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es of automobile registration and tax in Korea, and automobile tax reform trends in major developed countries, and analyzed the impact of automobile tax reform considering engine displacement and CO<sub>2</sub> emissions, focusing on the tax burden of the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