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대학교 남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혁란(Hyuk Ran J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7 상담심리교육복지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교 남학생의 스마트폰과의 존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남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57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이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이 낮아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과의 존의 하위요인 중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 지향성, 내성, 금단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일상생활 장애와 가상세계 지향이 대학생활 적응을 약 25%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스마트폰 활용과 충동성을 완화시키는 상담 적 개입 및 예방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male student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80 male students at college in Gyeongbuk, and 157 sample were analyzed except unreliable respon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male college students, the lower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daily life disability, virtual world orientation, tolerance, and withdrawa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 daily life disorder and virtual world orientation affected college life adjustment by approximately for about 25%. Based on these results, counseling intervention and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mitigate the correct smartphone usage and impulsiveness.

      • KCI등재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기반 외상 후 성장프로그램 개발

        장혁란(Hyuk-Ran JANG),금명자(Myung-Ja KEU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1

        최근 발생한 경주와 포항지진은 이를 경험한 사람들에게 충격과 공포, 고통과 불안을 안겨주었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지진 재난 경험 중년여성은 발달적 측면과 재난 경험의 전환적 사건으로 스트레스나 부정정서에 더욱 취약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진 재난 경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기반 외상 후 성장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난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부정정서 완화로 건강한 일상생활 회복과 외상 후 성장을 돕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포항지진 경험 중년여성 271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2018년 5월 14∼31일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상담전문가 5명의 요구조사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절차를 따라 모형 설정 및 내용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진 재난 외상 경험 중년여성을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 현장에 활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The recent earthquakes in Gyeongju and Pohang brought shock, fear, pain and anxiety to those who experienced them. In particular, in previous studies,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earthquake disaster were more vulnerable to stress and negative emo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ost-traumatic growth program based o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for middle-aged women who have experienced earthquake disasters to help recover healthy daily life and grow after trauma by relieving stress and negative emotions caused by the disaster.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on 271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the Pohang Earthquake was conducted from May 14 to 31, 2018,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evious studies. Following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the model was set and the contents were configured. Therefor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hat it can be used in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reatment for middle-aged women who have experienced trauma in earthquake disasters.

      • KCI등재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소진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장혁란(Jang, Hyuk Ran),김헌주(Kim, Heon Ju)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소진,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인과관계가 기관유형(공공, 민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90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수집된 854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공공기관 사회복지사 435부, 민간기관 사회복지사 368부 총 803부의 표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파워먼트를 높게 지각할수록 조직몰입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소진의 매개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파워먼트를 높게 지각할수록 소진은 낮아지고, 이렇게 낮아진 소진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관유형(공공, 민간)에 따른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소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공공, 민간 사회복지사 모두 임파워먼트는 소진에, 소진은 조직몰입에,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영향은 미치지만 연구변인들의 영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임파워먼트를 높이고, 사회복지사의 소진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노력과 방안에 대한 실천적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the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35 public social workers and 368 private social workers in Daegu city and Kyeongbuk district.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s also exert a direc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that more recognized empowerment makes 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of the social work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fluente them through the burnout, a mediating variable, so that more reco relationship analysis of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uout of social workers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public and priva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on the target variable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higher in the private sector social workers than in the public sector social workers, burnout was higher in the public sector social workers than in the private sector social worker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reduce the burnout of social workers . Especially, it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ways to redgnized empowerment makes less burnout and less burnout makes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ffectuce the burnout of public social workers.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헌주(Heon Ju Kim),장혁란(Hyuk Ran Jang) 한국인사행정학회 2015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 지역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9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수집된 854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814부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하게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유의미하게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유의미하게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보다는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를 통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형성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이직의도를 낮추게 되므로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임파워먼트가 중요한 선행 요인이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임파워먼트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 .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814 social workers in Daegu city and Kyeongbuk distric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and AMOS 18.0. This Analysis showed that : first,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th,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has significant negative(-)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if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of social workers has a significant negative(-)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ixth,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has a significant negative(-)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job satisfacti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The result implies that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the intermediar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first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has a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ause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us formed is lowered turnover intention, the empowerment is prior element for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the empowerment and the turnover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