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앙아시아의 전통축제 ‘나브루즈’ 고찰

        장준희(Jang Jun-Hee)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축제’란 말의 중앙아시아 투르크계 어휘는 ‘기념하고 경축한다’는 뜻을 가진 ‘바이람(Bayram)’이다.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에서는 ‘바이람’이라 한다. 카자흐스탄에서는 ‘메이람(Meyram)’이라 하며, ‘의례를 수반한 기념 혹은 경축행사’와 ‘놀며 즐기는 날’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키르기즈스탄에서는 ‘마이람(Mayram)’이라 한다. 중앙아시아의 전통축제에는 나브루즈(Navruz)가 있다. 나브루즈는 원래 이란의 조로아스터교에서 기원하였다고 한다. 나브루즈는 ‘새로운(new)’이라는 의미의 ‘나브(nav)’와 ‘날(day)’이라는 의미의 ‘루즈(ruz)’가 결합된 파르시어(語)이다. 즉, 새해 새날인 ‘새해 첫날’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나브루즈에서 새해 첫날은 봄(바호르)의 시작이자 겨울의 끝이다.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하는 24절기 중 춘분(春分)을 봄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춘분은 양력 3월 21일경 경칩(驚蟄)부터 청명(淸明) 직전까지 약 15일간에 해당하며, 이 기간이 나브루즈 축제가 행해지는 시기이다. 중앙아시아의 나브루즈 축제에서는 바자르(시장), 말경주, 개싸움, 닭싸움의 경기가 열린다. 또, ‘수말략(Sumalyak)’이라는 전통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수말략은 호밀의 싹을 틔워 오랫동안 불에 데워서 만드는데, 여성들이 협력하여 공동으로 오랫동안 준비한다. 호밀은 생명, 열, 풍요, 건강을 상징한다고 믿는다. 이처럼, 중앙아시아에서 나브루즈가 오랫동안 전승되어 오고, 봄을 축하하는 축제가 진행되고 있는 것은 한해 농사의 시작이라는 의미와 함께 추운 겨울 기간 동안 따뜻함을 고대하고, 이와 더불어 삶의 성공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나브루즈는 정확한 의미로는 ‘새봄맞이’라 할 수 있다. 봄은 유목민에게 한해의 시작을 알리고, 새로운 계절이 시작됨을 뜻한다. 유목민에게 초목이 생성하기 시작하는 시기가 한해의 시작인 것이다. 농경과 목축을 겸하는 중앙아시아의 생업환경에서 농경을 위한 준비와 목축을 위한 드넓은 들판으로 나아가기 위한 채비를 하는 시간적 의미가 있다. 해마다 봄이면 개최되는 우즈베키스탄 바이순의 축제 ‘바이순 바호르(Boysun Bahori)’에는 우즈베키스탄 전역의 민속 및 전통예술인들뿐 아니라 중앙아시아 여러 국가들의 민속예술인들 역시 참석하는데, 민속 앙상블(가무단), 민속악기 제작자들, 민속 구술가 ‘바흐쉬’(Baxsh; 이야기꾼)들, 양탄자 장인들, 전통복식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축제가 열리는 장소에는 유르타촌(村)이 조성되어 바이순 민속공예 전시장이 열린다. 수잔니(Suzane), 양탄자, 도자기류, 전통모자, 모자장신구, 악기, 목제 및 가죽 제품 등이 전시된다. 또한, 축제가 열리는 동안 말경기 ‘쿡카리(Kuk kari)’와 민속씨름 ‘꾸라쉬(Kurash)’가 개최된다. 나브루즈 축제를 통해 중앙아시아 사람들의 공동체 문화가 강화되고, 민속문화가 전승 발전되는 현장이 되고 있다. 또한 나브루즈 축제가 가지는 역할과 의미는 중앙아시아 사람들의 공동체문화와 협동정신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나브루즈를 통해 축제의 사회통합력이 중앙아시아에서 발현되어 지속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Bayram" in Uzbekistan, Turkmenistan, and Azerbaijan, "Meyram" in Kazakhstan, and "Mayram" in Kyrgyzstan are their vocabulary meaning festival. One of the traditional festivals held by the people in Central Asia is Navruz, which is said to have stemmed from Zoroastrianism of Iran. Navruz [a Farsi word combined with nav (meaning "new") and ruz (meaning "day")] means New Year's day. In Central Asia, Navruz is the end of winter and the beginning of spring. People there regards the spring equinox (a period of 15 days from about March 21) as the beginning of spring ("Bahor" in the local language). That is the Navruz Festival period. Features of the Navruz Festival are bazaar, horse racing, dog fight, and cock fight, in addition to the tradition of eating Sumalyak. Women work together to prepare the traditional food Sumalyak made of rye sprouts from well before the festival. The local people regard rye as the source of life, richness and health. The tradition of holding the Navruz Festival symbolizes the people's expectation about the new spring, i.e. the beginning of the farming season and the mild weather during the remaining winter. Navruz can be interpreted as welcoming the new spring, i.e. the beginning of a meaningful season for nomads and farmers in Central Asia when new grass starts growing. Boysun Bahori (Spring Folklore Festival), which is held every spring in Uzbekistan, is attended by traditional artists [e.g. ensembles, musical instrument producers, folklore tellers, Baxsh(storytellers), carpet makers, traditional clothing makers, etc.] both locals and those from other countries in Central Asia. A Yurta (a nomad's tent made of felt) village is formed in the site of the festival. The Boysun handicraft exhibition place displays Suzane (handmade embroidered carpet), china items, traditional headgear, headgear accessories, musical instruments, and wooden/leather goods. Kuk kari (horse game) and Kurash (a form of upright jacket wrestling) competitions are also held during the festival. The Navruz Folk Festival serves as an occasion to bolster the community culture among the people of Central Asia and inherit and develop folk cultures.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한인의 전통명절과 공동묘지의에스니시티

        장준희(Jang Jun-hee)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9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주(州) 치르치크(Chirchik) 강변에 위치한 약 30개의 한인 깔호즈(Kalhoz)에는 1937년 강제이주 이후 지금까지 한인들의 중심 생활터전이 되어왔다. 한인 깔호즈에는 공동묘지를 하나씩 갖고 있는데, 이들 한인 공동묘지는 나름대로 민족적인 특성을 갖춘 무덤군으로 조성되어 왔다. 치르치크 강변은 상류(上流), 중류(中流), 하류(下流)지역(라이온)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한인들이 이들 지역에 정착한 이래 ‘치르치크’라는 강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한인 집단 거주지역이다. 필자는 지난 수년간 치르치크 강변 한인 깔호즈의 공동묘지에서 전승되는 한인의 전통명절을 조사하여 왔다. 전통명절 한식, 단오, 추석과 공동묘지에 대한 참여관찰과 민속지(民俗誌:ethnography) 조사를 통해 강제이주 현재까지 우즈베키스탄 한인 명절이 존재하는 양상을 고찰하였으며, 우즈벡 한인의 한식, 단오, 추석이 한인의 에스니시티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즈베키스탄 한인들의 명절 역시 소비에트 연방(the Soviet Union;USSR)이란 새로운 정치 환경에 적응하며 문화변동(Culture Change)을 거쳤지만 전승되어 왔다. 1937년 우즈베키스탄이란 전혀 새로운 자연환경과 문화 속으로 집단이주를 경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인들은 소속 국가에 적응하면서도 자신들의 전통을 잘 간직하여 왔다. 우즈벡 한인들은 소비에트 연방 시절부터 전통명절을 지내왔지만, 한인 고유의 월력체계를 서양의 그레고리력에 적용하여 명절을 기념하였다. 이 과정에서 현실과 전통사이에서 갈등과 혼란을 겪기도 하였다. 전통명절과 관련된 민족의 민속놀이는 사라졌지만, 명절 자체의 의미와 가치는 ‘집’이 아닌 ‘공동묘지’에서 ‘성묘’라는 방식으로 실천해 왔다. 노인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인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동묘지에서 ‘추모의 성격’을 갖는 명절 제례를 통해 한인들 사이의 친족애와 가족애를 강화하는 계기로 삼아왔다. 교육적 차원에서도 전통의 계승을 위해 젊은 세대와 어린 자식들을 데리고, 명절에 부모 형제자매의 두덤에 성묘하러 가는 풍습을 구현해 오고 있다. 치르치크 강변에 형성된 30여 한인 깔호즈에 한인들의 집거지역이 존재해 왔다는 것은 한인들이 전통문화를 유지할 수 있는 발판이 되었다. 중앙아시아 여타 국가의 한인 집단 거주지역에 비해 대도시와의 근접성은 비록 탈농촌화가 진행되어 왔지만, 오늘날까지 한인들이 전통명절을 지속시킬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탈농촌화와 더불어 노인세대가 남아 각 깔호즈의 공동묘지에서 전통문화를 지속시킬 수 있는 주체가 되어 왔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공동묘지’라는 공간에서 계승되어 온 한인의 전통명절인 한식, 단오, 추석은 한인들의 전통과 에스니시티를 강화시켜 온 추진체이자 한인으로서의 존재감을 상징적으로 표현해 준 동력이 되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동묘지와 ‘상두막’에서 노인세대들은 젊은 세대에게 가족애와 친족애 나아가 민족애를 심어주고 있었다. 여타 민족과는 다른 전통명절인 한식, 단오, 추석을 통해 한인의 전통명절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그 민족의 에스니시티를 표현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할 수도 있다는 점을 우즈벡 한인들은 너무나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공동묘지라는 공간이 갖는 비중이 중대함을 알 수 있다. Since the 1937 deportation by Stalin from the Russian Far East to Central Asia, Korean populations have built their homes based on about 30 collective farms (Kalhoz) dotted around the Chirchik riverbanks in Tashkent, Uzbekistan. There is in each of these Korean farms a cemetery containing graves exhibiting cultural traits of ethic Koreans settled in the country. The area around Chirchik River is generally divided into three Upper, Middle, and Lower Areas and contains Korean communities which began to form after the Soviet’s resettlement plans in the 1930s.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traditional seasonal festivals preserved by the Korean communities formed around the Chirchik River in relation with the cemeteries of the ethnic Koreans. The study carried out via on-site observations at the cemeteries on the seasonal festive days such as Hansik (“Cold Food”, on the 105th day after the winter solstice), Dano (“First Five”, on the fifth day of the fifth lunar month) and Chuseok (“Autumn Evening”, on the fifteenth day of the eighth lunar month) and ethnography researches on the festivities of the Korean communities in Uzbekistan and the influence of the festivities upon their ethnicity.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Korean communities in Uzbekistan have preserved the Korean seasonal festivals, adapting themselves to the cultural changes in a new political environment imposed by the Soviet Union. The extraordinary experience of the 1937 deportation which situated Koreans to a totally foreign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could not deter them from the preservation of their cultural heritage while accommodating the system of their new country remarkably well. Korean people in Uzbekistan kept the Korean heritage of traditional festivals even when they were under the Soviet rule according to the dates they established by adjusting their own Korean calendar to the Gregory calendar. The process caused a lot of conflict and confusion between tradition and reality, contributing to the disappearance of festival folk games and changes in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festivals by which festival ceremonies came to take place at their communal cemetery rather than homes. There have been conflicts between old and young generations over their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festivals, but the traditional memorial ceremonies held at their ancestral graves continued to play a crucial role in strengthening the sense of community and familial love. The tradition in which parents take their offsprings to the graves of their deceased families to celebrate the seasonal festivals together have positive educational effect upon their community. That the deported Korean people were able to form their own communities in about 30 collective farms around the Chirchik River became a great advantage for them to preserve the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Unlike the Korean communities in other Central Asian countries, those in Uzbekistan were easily accessible to large cities. The situation accelerated the pace of rural population decline but also helped the Korean communities preserve their tradition of commemorating seasonal festivals. The festivals such as Hansik, Dano, and Chuseok continued to be held at their communal cemetery have been a main power base for strengthening the tradition and ethnicity of Korean people and symbolic action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The communal cemetery and Sangdumak (funeral house) became important educational facilities where older generation taught their youngsters about love of their families, ancestors and the nation. The Korean communities in Uzbekistan show a great example that the tradition of celebrating Korean seasonal festivals such as Hansik, Dano, and Chuseok provides them with a precious opportunity to express or strengthen the ethnicity of Korean people. It was, of course, their communal cemetery that played the key role in maintaini

      • KCI등재
      • 얼리액세스 게임의 성공 전략에 관한 연구

        장준희(Joon-Hee Jang),임형철(Hyeong-Chul Lim),김효남(Hyo-Nam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본 논문에서는 게임 개발의 한 형태이자 새로 도입된 개발 형태 중에 가장 떠오르고 있는 얼리액세스 개발 형태에 대해 서술하며, 얼리액세스 개발 방식의 공통적인 성격과 성공했던 게임들의 사례를 통해 앞으로 게임 개발자들에게 지양해야 할 부분과 반영해야 할 부분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으며, 어떤 방향의 개발을 거쳤던 게임이 흥행하지 못했는지를 연구, 분석을 통해 얼리액세스 만의 방식을 통해 개발자, 소비자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도로시설 전개도 및 외관조사망도 자동화 기술

        장준희 ( Jang Jun He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1

        본 논문은 결함검출 대상 구조물을 촬영한 2차원 이미지를 3차원 모델로 형상화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로 다수의 중첩된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두 번째로 상기 다수의 2차원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처리 방법을 통하여 결함 검출에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및 가공 단계, 세 번째로 가공 된 2차원 이미지로부터 결함으로 검출될 가능성이 높은 경계선(윤곽선)만을 단계, 네 번째로 상기 경계선 검출된 2차원 이미지로부터 특징점(future points)과 이미지를 다각도로 매칭하여 3차원 좌표(x, y, z)를 가지는 3D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고 이를 경계선에 집중시켜 표면 아래 균열, 박리, 박락 등의 결함이 존재함을 확인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3D 포인트 클라우드로부터 3D 결함 검출 모델링을 생성하여 결함부의 폭과 길이 및 깊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외관조사망도 등으로 문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