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림복지서비스 유형별 공공성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장주연(Chang, Chuyoun),유리화(Yoo, Rhee-hwa)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급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행정학 및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는 공공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을 정의하였으며, 전문가 조사를 통해 공공성의 평가 기준을 도출하고 국내 9개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시설을 대상으로 공공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9개 산림복지서비스 유형 중 ‘숲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산림레포츠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 평가결과의 명확한 해석을 위해 수익성에 대한 평가를 추가로 실시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자연휴양림, 치유의숲, 수목원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경우 공공성과 수익성이 모두 높게 평가되었고, 숲길과 산림욕장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는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은 서비스로, 수목장림, 숲속야영장, 산림레포츠 시설 등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공공성은 낮지만 수익성이 높은 서비스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산림복지서비스의 유형별 공공성과 수익성을 종합해보았을 때, 향후 정부 차원에서는 서비스의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아 지속적인 운영이 어려운 숲길과 산림욕장을 중심으로 산림복지서비스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목장림을 비롯한 산림레포츠시설, 숲속야영장, 유아숲체험원 등은 서비스 제공으로 발생 가능한 사회적, 환경적 영향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규제 기준만 제공하고 민간주체의 참여 및 민간시장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활발하게 운영 되고 있는 자연휴양림이나 치유의숲은 민간투자를 활성화시켜 운영관리에 대한 공적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supply strategies on forest welfare service. First, this study defines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with the concept of publicness mainly discussed in public administration study and social service field. Second, it presents assessment elements for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derived through experts’ survey and evaluates the publicness of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s in Korea. The evaluation shows that services on forest trails have the highest publicness, services on forest leisure sports have the lowest. In order to more clarify the outcomes, an additional survey for profitability among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 is conducted. It shows that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forest therapy and arboretum are high rated both publicness and profitability and services on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area are high rated in publicness but are low rated in profitability. Services on woodland cemetery, forest camp site and forest leisure sports are low rated in publicness but are high rated in profita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experts’ evalua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have to expend forest welfare services like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which have high publicness but are difficult to continue because of low profit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profitable services such as woodland cemetery, forest leisure sports, forest camp site and forest kindergarten, it has to be more open to private sector with expanding market, regulated only for minimizing social and environmental effects by services. Finally, as to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and forest therapy, government has to reduce public burdens on these services by promoting private investment.

      • KCI등재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방문선택속성에 대한 연구

        장주연(Chang, Chuyoun),유리화(Yoo, Rhee-hwa),린 주안 탈카센(Lynn Juan Talkase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자연휴양림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조사·분석하여 수요자 중심의 양질의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립자연휴양림 이용객을 대상으로 62개 방문선택속성을 제시하고 각 속성에 대해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중요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329명의 설문응답을 요인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운영관리’, ‘산림경관’, ‘서비스 이용편의성’, ‘편의서비스 제공’, ‘경영관리’, ‘환경관리’, ‘시설안전관리’, ‘숙박시설’, ‘생물종다양성’, ‘프로그램다양성’, ‘위생적인 편의시설’, ‘친환경 건축’의 12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산림경관’에 대한 속성이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이 공간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프로그램운영관리’요인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연휴양림 서비스 이용객 유형별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단체방문객이 가족이나 친구와 방문하는 이용객보다 자연휴양림의 ‘경영관리’영역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림치유 및 산림휴양서비스를 이용하는 집단이 ‘위생적인 편의시설’을 자연휴양림 선택 시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일반 국민들은 주로 산림복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할 때 산림환경 및 이용 편의와 연계되는 시설요소를 고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자연휴양림 서비스의 이용 목적에 따른 인식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보다 양질의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강한 산림환경과 시설이용 편의성을 확보해야 하되, 이용자 유형 및 목적에 특화된 프로그램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적극적인 이용을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basic data needed to provide user-oriented forest welfare service of good quality by surveying visitors and examining service use attribut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ividual choice of forest welfare service. To this purpose, a survey of visitors to the National Recreation Forest, a presentative forest welfare service of Korea,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 consisted of 62 service choice attribu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329 responses, choice attributes can be categorized into 12 factors;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scenic landscape and forest environment, convenience of service use, providing convenience service, overall management for good service, environmental management, facility safety management, comfortable and clean accommodation, biodiversity, variety of programs, hygienic convenience facility and eco-friendly architecture. It shows that‘scenic landscape and forest environ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visitors to choose recreation forest. On the other hand, ‘variety of programs’ and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were less important attribute in service choice. When it comes to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hoice attributes by visitors’ groups, the group visitors place great importance on ‘management’ related to insurance and manual which can be used in emergency. Also, people who want to use forest therapy and forest recreation service place great importance on hygienic convenience facility. To sum up, this study indicates that people primarily consider attributes of forest environment and facility related to use convenience when they choose and use forest welfare service. However, it also shows that attributes influencing visitors’ choice is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t purposes of visit.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forest welfare service of much better quality in the future, recreational forest have to manage forest environment sustainable and prepare specific programs depending on users’ needs and types.

      • KCI등재

        산촌의 인구이동 추이와 특성

        장주연 ( Chuyoun Chang ),설아라 ( Ara Seol ),박소희 ( So-hee Park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2 산림경제연구 Vol.29 No.2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우리나라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산촌 지역의 인구감소율이 비산촌 지역의 인구감소율보다 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산촌의 인구감소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촌의 인구이동 추이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에서 제공하는 2015년∼2021년까지의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산촌으로 유입되거나 산촌에서 유출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산촌의 인구이동량을 산출하였다. 최근 7년, 산촌으로 유입된 총 인구는 113만명이고, 산촌에서 유출된 총 인구는 109만명으로 4만 3천명의 순유입이 일어났다. 시도별로는 인천, 경기, 강원, 대구·경북에서 순유입이 많이 발생하였고, 연령별로는 40대∼60대에서 순유입이 일어났다. 특히 60대 이상은 다른 연령대보다 ‘자연환경’으로 인해 산촌에 이주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지역적으로는 농촌보다는 도시에서 산촌으로 인구유입이 많이 일어났다. 순유입이 많이 일어나는 산촌 읍면의 경우 순유출이 많이 일어나는 산촌 읍면보다 대도시와의 거리가 가까운 특성을 가졌다. In Korea, the trend of population decline continues due to the low fertility and aging population. In particular, since the rate of population decline in mountainous areas is greater than that in non-mountainous region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respond to population decline in mountainous area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the population movem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ountainous areas. In this study, the amount of population movement in mountainous areas was estimated by extracting data flowing into or out of mountainous areas using the domestic population migration statistics data from 2015 to 2021 provided by the Micro Data Integrated Service. The total population that flowed into mountainous areas over the past 7 years was 1.13 million, and the total population that flowed out of mountainous areas was 1.09 million. A net influx occurred in mountainous areas. By province, Incheon, Gyeonggi, Gangwon, and Daegu and Gyeongbuk had the most net inflows. By age, the net inflow occurred in those in their 40s and 60s.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those in their 60s or older who said they had moved to the mountainous areas due to the ‘natural environment’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age groups. By region, more people migrated from urban areas to mountainous areas than from agricultural areas. In the case of mountainous areas where a lot of net inflow occurs, the distance from the big city is closer than that of mountainous areas where a lot of net outflow occurs.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산림 휴양 활동의 변화 요인

        장주연 ( Chuyoun Chang ),박소희 ( So-hee Park ),설아라 ( Ara Seol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4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제재로 인해 일상과 여가생활이 변화되면서 산림 휴양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산림 휴양 활동의 참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파악하고 그 변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이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산림 휴양 활동 참여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으로서 녹지공간 방문, 숲 야외활동, 산촌 여행에의 참여가 모두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유형의 산림 휴양 활동에서 20대보다 40∼60대의 참여가 더 크게 감소하여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 변화에서 연령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이후 숲 야외활동 참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수도권 거주자들은 비수도권 거주자보다 산촌 여행 참여가 덜 감소하였다. 이것으로 볼 때 코로나19 이후 산림 정책은 2030세대의 새로운 산림 휴양 수요에 대응하고 안전한 야외 활동의 공간으로서의 산림과 산촌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제공과 공간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ocial distancing affected daily life and leisure activities, including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identified changes in people’s participation in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participation. It collected data from 1,000 samples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it using a binary logit model with interaction terms. It was observed that there were decreases in the participation in visits to urban parks and green areas, outdoor activities in forests and mountains, and trips to mountain villages after the COVID-19 outbreak. People in their 40s, 50s, and 60s were more likely to de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all kinds of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than those in their 20s. Moreover, higher household income earners were more likely to decrease their involvement in outdoor activities in forests and mountains. With respect to the place of residence, the resi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less likely to de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trips to mountain villages than those outside this area.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online forest recreation information services and forest management are needed to meet the demands of forest recreation for young generations and diversify the function of forests and rural areas as a safe leisurely space.

      • KCI등재

        이해관계자가 바라는 산림의 미래와 정책 우선순위

        박소희 ( So-hee Park ),장주연 ( Chuyoun Chang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2 산림경제연구 Vol.29 No.2

        이 연구는 이해관계자가 바라는 산림의 미래에 도달하기 위해 산림 분야 미래 이슈의 선호도와 발생가능성을 평가하여 산림정책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래 워크숍을 통해 선정된 29개 이슈에 대해 국민과 산림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선호도-발생가능성 분석을 통해 지속·유지 전략, 집중 개선 전략, 대안 발굴 전략 낮은 우선순위에 속하는 이슈를 유형화하였다. 이해관계자가 바라는 미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산림복지서비스에 ICT 기술 활용, 바이오 임업을 위한 BT기술 개발, 도시숲 확대, 산림 수자원 및 탄소흡수원 증진, 기업의 ESG 연계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 정책을 2040년까지 지속·유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산림 개발 규제와 가상현실 산림복지서비스 정책은 이해관계자 간의 다른 선호로 인해 사회적 합의점을 찾기 위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ioritize forest policy for achieving desirable forest futures from stakeholders by evaluating their preference for issues in the forest sector in the future and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hem. To this end, surveys were conducted to evaluate 29 issues suggested in future workshop targeting the public and forest workers, and the issues were categorized into future strategies including ‘Keep Up the Good Work’, ‘Concentrate Here’, ‘New Alternative’, and ‘Low Priority’ using preference-possibility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application of ICT·BT for forest welfare services and bio-forestry, the expansion of urban forests, the enhancement of forest water resources and carbon sinks, and the corporate ESG-linked forest management by 2040. On the other hand, forest development regulations and virtual reality forest welfare service policies require continuous discussion to find a social consensus due to different preferences among stakeholders.

      • 커뮤니티 발전을 기반으로 한 지역순환경제 형성

        김재현(Jaehyun Kim),장주연(Chuyoun Chang) 한국지역개발학회 2014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4 No.1

        This is a case study in order to build local economic cycling system by applying to community development processes in Goesan, Chungbuk. The processes are 4 steps. The first step is to investigate local communities having long history. Second step is to survey local people living in that area. Third step is to investigate community assets which can be used to revitalize local community. Fourth step is to organize people who can make community development strategies and then act with the plans. These processes are new strategy of local community development in rural area. It is difficult to show visible outcomes in a short period and the processes are seriously affected by various circumstances around local community so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success, but the processes help local people develop the capability to respond and solve local problems. To carry out these processes for rural development in Korea, it is needed to build the system that various stakeholders in local area can participate and talk their ideas and learn together. Developing a local intermediary organization can be an option to apply the processes in local area.

      • KCI등재

        사회연결망분석을 이용한 새만금유역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구조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미선(Miseon Kim),김재현(Jaehyun Kim),장주연(Chuyoun Chang),정렬(Jeongryeol Ja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1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7 No.2

        본 연구는 통합수자원관리 관점을 바탕으로 새만금유역관리와 관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파악하고 그들 사이의 네트워크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유역관리를 위한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축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새만금유역의 이해관계자 및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한 결과, 현재 유역관리 거버넌스 구축의 초기단계로 수질관리와 관련한 이해관계자들 간 네트워크의 범위가 넓지 않고 중앙정부 및 전라북도 등 매크로 레벨 중심의 매우 단순한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과 예산, 정보공유 부분에서 전라북도와 전북발전연구원이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었으며, 정보공유 및 논의 네트워크에서 새만금유역 7개 시·군 및 지역 주민레벨의 네트워크는 구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새만금 수질관리에 이해관계자로서 참여해야 할 주요 주체인 기초자치단체 및 주민들의 역할과 책임이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조는 결국 수질관리의 권한과 책임이 중앙정부나 지방행정의 매크로 레벨에 집중되어 있어 통합수자원관리와 거리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행정주도의 수질관리는 지역의 인적역량강화 및 지원제도의 발전을 저해하게 되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더 어려워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앞으로 새만금유역관리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 전라북도 및 시군을 중심으로 마이크로 레벨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공유 및 지원제도 구축, 이에 대한 홍보와 교육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 folds. One is to identify stakeholders of watershed management in Saemanguem area. The second one is to analyze networks among those stakeholders. Results of social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the range of network is narrow and the structure is too simple. Stakeholders in Macro-level, Jeonbuk provincial government and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were core of networks to share information and discuss problems concerning watershed management, but Micro-level stakeholders, 7 regional offices in Saemanguem and local people didn’t have any networks to talk about watershed management. This situation brings the result that the structure of watershed management networks is concentrated on Macro-level stakeholders. To develop good governance for watershed management in Saemanguem area, it is necessary for local people and administration to educate and publicize about watershed management. The empowerment system to lead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is also needed.

      • KCI등재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산림일자리정책 변화과정 분석

        김명관 ( Myeong Gwan Kim ),김주미 ( Ju Mi Kim ),오도교 ( Do Kyo Oh ),태유리 ( Yoolee Tae ),장주연 ( Chuyoun Chang ),김재현 ( Jae Hyun Kim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2 산림경제연구 Vol.29 No.2

        산림일자리는 노동집약적 특성과 함께 서비스 산업 등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분야이다. 본 연구는 일자리 문제가 이슈화된 외환위기 시대의 김대중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산림일자리정책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동과정을 거쳐 산출되었는지, 시대적 상황에서 어떠한 역할과 성과를 창출해 냈는지를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IMF 외환위기, 경제위기, 코로나19 팬데믹이 정책결정자로 하여금 일자리문제를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하게 한 주요 요인이 되었다. 둘째, 정책혁신가로서 역할을 한 주체는 산림청과 시민사회, 학계가 각 정권별로 주도를 달리했다. 셋째, 산출된 정책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정책혁신가의 개입으로 다시 보완, 개선되어 한단계 상향된 버전의 정책으로 재산출 되었다. 그 결과 정책의 창이 열렸고 산림복지, 휴양, 교육 등의 산림복지서비스 일자리가 확대되었고, 산림분야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통해 지역과 연계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산림정책이 산촌과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지역의 활력을 도모하며,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시민사회와 파트너십을 통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산림일자리정책이 운영되어야 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산림일자리정책의 효율성과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 제언을 하였다. Forest job is a field with great potential to create various types of jobs, such as service industries, along with labor-intensiv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how Korean forest job policy has been changed historicaly and edtablished, and what kind of roles and achievements have been created from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when foreign exchange crisis and the job issue occurred, to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using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F foreign exchange crisis, the economic crisis, and the COVID-19 pandemic became a major factor that made policy makers recognize the job issue as a problem to be solved. Second, the Korea Forest Service, civil society, and academia which played as role as policy innovators was different byeach government. Third, the established policy was supplemented and improved again with the intervention of a policy innovator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it was re-produced as an upgraded version of the policy. As a result, a window of policy was opened, and jobs in forest welfare services such as forest recreation, and education were expanded, and new jobs linked to the region were created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in the forest sector. In conclusion, in order for forest polices to solve problems in mountain villages and regions, promote regional vitality, and provide practical help, forest job policies which pursue social values through partnerships with civic groups should be operated. Based on the above, policy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future forest job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