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기 수준에 따른 소비자의 정보처리 : 정보단서 활용의 탐색적 연구

        장재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환기 수준에 따른 소비자의 정보처리 : 정보단서 활용의 탐색적 연구 Arousal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Exploratory Study of Using Information Cues 경영학과 장재훈 지도교수 이동대 소비자 행동 연구 중 환기에 대해서는 최근에 크게 주목받아 연구되고 있는 주제 중의 하나이다. 환기는 평범한 일상에서도 유발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소비자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각기 상이한 상황에서 소비자가 느끼는 환기 수준에 따른 정보처리의 연구가 ‘거꾸로 된 U자형 관계’ 와 ‘선형 관계’로 연구자마다 다르게 제시되어 왔는데, 환기 수준에 따라서 소비자가 느끼는 회상량과 정보단서, 브랜드태도, 광고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고, 그 유의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환기 수준에 따른 정보단서의 활용에 관해 알아보고자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환기 수준을 저환기-중환기-고환기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각기 다른 세 집단별로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난 후 환기 수준에 따른 회상과 소비자 태도에 관한 분석을 실험 1과 실험 2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환기 수준(저-중-고)에 따라 소비자의 정보단서 회상 정도는 환기 수준이 높아질수록 회상량도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환기 수준에 따른 회상량은 중심단서와 주변단서 모두 증가하는 선형의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단서회상은 환기 수준과는 무관하게 중심단서 회상량은 주변단서의 회상량보다 더 큰 값을 가졌다. 연구문제 2에서는 실험 1의 결과를 바탕으로 환기 수준에 따라 회상량과 광고종류(중심단서 위주 광고-주변단서 위주 광고)는 중심단서 위주 광고와 주변단서 위주 광고 모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렇다면 환기 수준에 따라 회상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면 브랜드태도와 광고태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확인하였는데, 분석결과 환기 수준의 주효과가 브랜드태도와 광고태도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을 밝혔다. 이는 환기 수준이 증가함에 따른 회상량의 증가(실험 1결과)는 브랜드태도나 광고태도에도 동일하게 증가(실험 2결과)하였다. 연구문제 3의 결과에서는 주변단서 위주 광고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환기 수준에 따라 증가하였고, 중심단서 위주 광고도 환기 수준에 따른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심단서 위주 광고와 주변단서 위주 광고가 환기 수준의 증가에 따른 브랜드태도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분석한 결과 모두 중심단서 위주 광고가 주변단서 위주 광고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브랜드태도에 상호작용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4의 결과에서는 제품종류(프린트기-향수)가 브랜드태도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환기 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태도와 광고태도에 관해서는 방향성만 확인했을 뿐 통계적 근거를 확보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은 첫째, 높은 환기 상황일수록 소비자의 회상량은 증가하기 때문에 기업은 환기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환기 수준이 높아질수록 소비자가 인지하는 정보단서는 중심단서와 주변단서 모두 증가하기 때문에 기업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광고나 판매촉진활동을 할 때, 중심단서와 주변단서를 적극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설득력 있는 정보전달을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소비자는 높은 환기 상황일수록 기업의 브랜드태도와 광고태도는 호의적으로 바뀔 수 있으므로, 환기 수준을 높여 소비자에게 특정 브랜드에 대한 강한 애착과 지속적 사용, 반복구매, 그리고 경쟁사보다 한 단계 높은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는 체험 마케팅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기업은 광고 제작 시 높은 환기 상황에서 주변단서 위주 광고보다 중심단서 위주 광고를 활용하여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브랜드태도나 광고태도를 더욱 긍정적으로 작용하게끔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기업의 체험 마케팅과 경험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의 환기 수준을 높여 브랜드태도와 광고태도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 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주요어 : 환기, 회상, 정보단서, 광고종류, 제품종류, 중심단서, 주변단서, 브랜드태도, 광고태도

      • 관성 센서를 이용한 Two-Rotor system 제어

        장재훈 창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투로터 시스템(Two-Rotor system)은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된 두 개의 로터 어셈블리(Rotor assembly)에서 발생하는 양력이 원점을 중심으로 운동하는 3자유도(3DOF: Degrees of freedom) 비행체이다. 투로터 시스템을 연구하는 의미는 일반적으로 비행기가 착륙을 시도할 때 비행체의 좌우 균형을 유지하는 상황을 투로터 시스템으로 모델링할 수 있으며 수직이착륙 비행체(VTOL)의 이착륙 시 전후좌우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 또한 투로터 시스템과 유사하고, 특히 수직이착륙 시스템에서 좌우 날개가 동체에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와 투로터 시스템의 동역학 방정식이 같기 때문에 투로터 시스템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비행을 원활하게 제어하는 연구는 도전해 볼 만하지만, 쉽게 제어하기 어려운 모델이다. 기존의 투로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연구는 궤환 선형화 기법(Feedback linearization)을 통하여 비선형 시스템을 선형 시스템으로 만든 후, 두 개의 상태에 인가되는 하나의 제어 입력을 분리시키기 위해 시스템의 동역학 방정식을 수차례 미분하여 제어기를 설계 하는 방법과, T-S 퍼지 모델에 대한 제어기로 병렬분산보상 기법(PDC: Parallel distributed compensation)도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이 복잡해지고, 제어 법칙에 따른 연산량이 많아짐에 따라 구현이 어려운 점도 있다. 시스템을 구현하고 자세유지를 하기 위해선 시스템의 위치와 속도, 각도와 각속도 등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시스템의 자세를 측정하는 센서들 중에서 최근 관성 센서(Inertial sensors)를 이용한 ARS(Attitude reference system)장비가 로봇의 자세제어, 무인항공기, 항법시스템 등 광범위한 분야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ARS는 자이로 센서(Gyroscope)와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를 이용하여 자세를 계산하며, 일반적으로 고가형 장비이다. 저가형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센서를 사용해서 ARS장비를 구성하는 경우에 자이로 센서는 출력 각속도를 적분하는 과정에서 적분오차가 발생하고, 가속도 센서는 센서 회전축과 동체 회전축이 다르면 병진운동성분을 포함한 오차가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저가형 MEMS 센서를 사용한다면 이러한 오차의 보상 대책이 필요하며, 그 대책으로써 FIR 필터 기법이나 칼만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필터가 복잡해지고 고차항의 필터 연산량에 대비해 불안정한 특성을 보일 때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투로터 시스템의 자세 제어를 위해 비선형 동역학을 선형화하여 비교적 간단한 LQR(Linear quadratic regulator)제어기를 설계한다. 투로터 시스템의 상태는 저가형 MEMS 센서와 엔코더(Encoder)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엔코더의 추가적인 역할은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의 오차 보상에 대한 필터 설계 시 관성 센서가 추정해야 할 값으로써 사용된다. 오차 보상에 대한 필터 설계는 상대적으로 구현이 간단한 상보 필터(Complementary filter)를 사용한다. 상보 필터는 주파수 응답특성이 서로 다른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의 주파수 대역폭을 결합하는 방식이며 필터의 계수는 최소자승법(Least square)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 서울 도시습지 생물다양성 향상을 위한 복원 및 관리 기법 연구

        장재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습지 중 교란되었으나, 이후 복원 및 관리된 지역을 대상으로 복원 전 대상지 특성, 복원 계획 및 실행, 복원 후 관리, 복원 전·후 습지의 생물다양성 변화를 종합하여 서울시 도시습지 복원 및 관리 방안을 수립하였다. 도시습지 복원 및 관리 방안은 유형별 대표 대상지로 선정된 지역의 복원 및 관리 효과, 특성 등을 파악하고 도시습지 복원·관리 원칙과 방향을 종합하였다. 대상지는 현재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복원·관리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는 둔촌동 습지, 방이동 습지, 고덕수변 생태복원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입지특성 변화와 기반구조 분석을 통하여 도시습지 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대상지인 둔촌동 습지는 배후에 산림이 위치하고 용출수로 유지되는 특성이 있어 고립된 산지습지 형태이었다. 논과 밭으로 활용된 이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될 당시에는 묵논습지 형태로 변형되었다. 복원 당시 담수지 형태로 복원되어 내륙/웅덩이/농지연못습지 형태이었다. 방이동 습지는 과거 농경지 주변 성내천과 감이천 범람원으로 추정되는 퇴적지에 위치하였다. 주변 수계 영향을 받고 있는 지역으로 중도·저도 하천퇴적습지 형태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벽돌공장 원재료 채취를 위하여 토양을 굴착하고 이후 되메우는 작업으로 북측과 남측에는 저습지가 형성되어 묵논습지 형태가 되었다. 중앙부에는 1980년대 양어장으로 활용되어 농지연못습지 형태로 변형되었다. 고덕수변 생태복원지는 대규모 하천인 한강변에 입지하고 한강 영향을 받는 중도·저도 강변습지 형태이었으나, 둔치지역은 성토하여 수계 영향이 없는 상태로 변형되었다. 연구대상지별 복원이전 생태적 특성, 복원 계획 및 실행 내용, 복원 후 관리 내용을 고찰하여 종합하였다. 둔촌동 습지는 지하수위가 높고 용출지가 위치한 지역으로 휴경된 후 물이 고여 습지자생초본이 세력을 형성하여 습지복원이 용이하였다. 따라서 수계를 복원하고 담수지를 조성하도록 복원 계획을 수립하여 복원하였다. 그러나 복원 계획 수립 시 목표종이 설정되지 않았으며, 복원주체인 서울시와 전문기관에서 체계적으로 복원되지 않고 민간에서 단기간 복원된 점이 한계이었다. 방이동 습지는 과거 토양이 굴취된 지역에 담수지가 형성된 후 습지 식생이 출현하여 습지 구조 및 기반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습지 복원은 주연부 관리, 식생 및 서식처 관리 등 습지 생태계 기능을 보완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복원 시 과도한 시설물이 설치되어 습지가 교란되었다. 고덕수변 생태복원지는 수변에 버드나무림이 분포하였고 한강을 서식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야생조류가 출현하였다. 둔치지역은 성토되어 경작지로 이용된 후 방치되어 귀화초본이 우점하였다. 성토된 둔치지역 복원 시 많은 시간과 비용 문제, 주변 양호한 생태계 교란이 우려되어 성토된 지형을 유지하고 식생을 도입하는 제한된 복원을 계획·실행하였다. 그러나 설계 및 시공에서 생태적 이해 부족에 의한 바둑판 형태의 식생 복원, 기존 경작토양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식생 복원된 한계가 있었다. 습지복원 후에는 생태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식생구조 및 야생동물 서식현황을 조사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시행하였다. 둔촌동 습지는 복원 후 다양한 습지식물이 출현하여 세력을 형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수변성 야생조류, 양서류, 곤충류가 출현하였다. 둔촌동 습지에서 복원된 동·식물 주요종은 오리나무, 통발, 두꺼비, 북방산개구리, 도롱뇽, 나비잠자리 등이었다. 방이동 습지는 복원 당시 시설물 유입 등으로 일년생식물 등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담수지를 서식기반으로 하는 야생조류 및 양서류, 곤충류의 종이 증가하였다. 방이동 습지에서 복원된 동·식물 주요종은 갈대, 수변성 야생조류인, 맹꽁이, 참개구리, 한국산개구리, 왕잠자리, 노란허리잠자리 등이었다. 고덕수변 생태복원지는 복원 후 귀화종이 증가하였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였고, 야생조류, 양서류 종이 증가하였다. 고덕수변 생태복원지에서 복원된 동·식물 주요종은 버드나무, 맹꽁이, 청개구리, 참개구리 등이었다. 도시습지 복원 및 관리 효과를 자연성, 다양성, 희귀성, 안정성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둔촌동 습지는 복원 초기 교란에 의해 자연성 평가의 귀화식물 피복율이 2002년 19.6%에서 2005년 23.4%로 증가하여 복원효과가 감소하였으나 이후 지속적인 관리로 인하여 2010년 11.9%로 감소하여 자연성이 증가하였으며 다양성, 희귀성, 안정성 평가에서도 둔촌동 습지 가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방이동 습지는 복원 전에 비해 다양성이 증가(야생조류 1.0517 → 1.2248, 곤충류 잠자리목 0.6833 → 0.8014)하였고, 양서류의 희귀성이 증가(보전가치평가 8점 → 19점)하였으나, 복원 당시 시설물 조성에 의한 습지 생태계 교란과 탐방객의 증가로 자연성과 야생조류 희귀성은 감소하였고 안정성은 복원 초 감소하였으나 이후 회복되었다. 고덕수변 생태복원지는 복원 초기 2003년에 자연성 평가의 귀화율이 16.1%로 증가하였으나 관리에 의해 2010년에는 14.5%로 감소하였다. 복원 초 식재된 식물의 영향으로 안정성이 크게 향상(다년생/일년생 면적비율: 20.0% → 408.0%)되었으며, 서식처 관리로 인한 야생조류 및 양서류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도시습지 복원 후 평가를 통하여 도시습지 유형별 복원 및 관리 특성을 종합하고 복원 및 관리 원칙과 방향을 수립하였다. 도시습지 복원 및 관리 원칙은 도시습지 대표 유형으로 선정한 대상지의 복원 전·후 모니터링 결과와 복원 및 관리효과를 토대로 설정하였다. 도시습지 복원 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충분한 기초 모니터링 자료 확보, 복원 실행 단계에서는 물리적 구조 및 기반 복원, 복원 후 관리 단계에서는 복원 초기 집중 관리를 원칙으로 설정하였다. 도시습지의 복원 및 관리 방향은 교란된 도시습지 생태계의 복원 시 습지 건강성 회복을 목표로 하며, 습지복원은 원상태를 고려한 복원이 되어야 하며, 목표 생물종을 선정하여 지속적인 적응 관리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서울시 도시습지 복원·관리 방안은 이론적 고찰과 도시습지 유형별 대표 대상지의 문헌고찰 및 모니터링 결과를 통하여 설정된 복원·관리 원칙과 방향을 종합하여 설정하였으며, 향후 복원 및 관리되어야 할 도시습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시습지는 복원이 필요한 지역에 대하여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모니터링을 시행하여 복원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복원 계획 수립 시 대상지 특성이 반영되어야 하며 복원 목표 및 목표종 설정이 필요하다. 도시습지는 복원 계획에 따라 복원 및 관리되어야 하며 각 단계별 도시습지 특성을 고려한 실행이 필요하였다. 복원 및 관리 실행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도시습지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모니터링을 통하여 도시습지 복원 및 관리로 복원된 종을 도출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통하여 도시습지가 지속적으로 보전·관리될 수 있도록 관리계획을 수립이 필요하다. 관리계획은 구체적인 관리 목표종이 설정되어야 하며, 습지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이 가능하도록 수립되어야 한다.

      • 전시박람회 전시자의 성과가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재훈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of the exhibition and fair exhibitor satisfaction and act accordingly, and also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fair to hold the exhibition to be involved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ed in exhibition fair is to give help to business. Research and research-related literature was conducted based on local surveys. Through research, exhibition and literature of the fair exhibitors to consider the item after a survey conducted by questionnaire, and an overall satisfaction and behavior exhibited in the fair and also about how to effect was to review existing research. The scope of this research study substance City. Spatial range was limited to the research program. The domestic substance range. And others, such as research and book references to research and demonstrate the scope of the research you want to qualify, and when. Spatial range in 2008 at the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in the exhibitor as a result of the demonstration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Also study the satisfaction of exhibitors with a total of 4 factors was derived. Factor 1: a new customer / product, two factors: sales to promote the status, factors 3: Information / interest, factor 4: competitive advantage / morale of the people were named, respectively. In this research exhibitors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education level,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group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analysis and the collective, common attributes, the number of participants, working department, position, job training, employment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size and expense to participate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and position in the group exists factor said.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junjun analysis exhibited the lowest level of education fairs for high performance of the analysi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exhibited more fair for the performance of highly said. In addition, the position, the higher the position, the difference analysis for the performance of the exhibition fair is expected to rank highl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o achieve the purpose of verification and research and exhibition fairs factors influence the overall satisfaction factor 1: a new customer / product, two factors: sales to promote the status, factors 4: competitive advantage / survey morale and, a re-participation factors influence factors: new customers / products, two factors: sales to promote the status, factors 3: Information / interest, factor 4: competitive advantage / affect the morale of all the factors analyzed The influence of referral to the verification of the factors 3: Information / interest appears to affect only factor was the contrast. These research results to the exhibition will show a very important lesson from the organizer and exhibitors, and use it in the future, these results in the display job fairs. Indirectly related to the use of all components, and involved the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 fair This will help you to be held. 본 연구는 최근에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전시박람회 분야의 발전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전시박람회 전시자를 위주로 조사?연구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전시박람회 전시자의 참가행태 및 행태 특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성과에 따른 전반적인 만족도와 재참가 및 추천의도 등의 행동의도에 대해 어떠한 영향관계가 성립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시자의 만족항목은 총 4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요인1: 신규고객/제품, 요인2: 판매촉진 현황파악, 요인3: 정보/관심, 요인4: 경쟁우위/사기진작으로 요인명을 각각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시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차이분석 결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성별, 연령, 교육수준을 통해 집단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력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분석되었고, 일반적인 특성인 참가횟수, 근무부서, 직급, 근무연수, 고용규모 및 소요경비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에서는 참가횟수 및 직급에 따른 요인별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준준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전시박람회의 성과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참가횟수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참가횟수가 많을수록 전시박람회의 성과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급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직급이 높을수록 전시박람회의 성과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연구의 가설검증 및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시박람회 전반적인 만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요인1: 신규고객/제품, 요인2: 판매촉진 현황파악, 요인4: 경쟁우위/사기진작으로 나타났으며, 재참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요인1: 신규고객/제품, 요인2: 판매촉진 현황파악, 요인3: 정보/관심, 요인4: 경쟁우위/사기진작으로 모든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추천의도에 관한 영향력 검증에서는 요인3: 정보/관심 요인만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전시박람회 참관객 및 방문객과 달리 전시박람회 전시자는 참가 업체 간의 정보 교류와 판매촉진 등 경쟁과 관련된 분야이므로 상대 업체를 견제하기 위해 만족도가 높을수록 오히려 추천의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전시박람회가 발전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1차적으로 중요하며, 그 이후 재참가가 용이하도록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전반적인 만족 이후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추천의도는 예상과 달리 비교적 낮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때 전반적인 만족 이후 행동의도인 추천의도는 큰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시박람회를 개최하는 개최자 및 전시자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이며, 이를 활용하여 앞으로 이러한 결과는 전시박람회 개최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되는 모든 구성요소 및 관련자들이 참고하여 발전적인 전시박람회를 개최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미용실 종업원 특성, 가격, 물리적 환경이 소비자의 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재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서비스 산업의 성공은 서비스산업이라는 표현 그대로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여부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최근 서비스시장 개방이라는 변화의 흐름 속에서 생존을 위한 서비스의 경쟁력 우위 확보는 서비스 산업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요조건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실의 경쟁력 회복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 세가지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미용실의 전반적 서비스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서 서비스 제공자의 특성과 서비스의 가격 및 서비스의 물리적 환경을 제시하고 전반적 서비스품질과 이들간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최근 학자들간에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전반적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간의 인과적 선차성의 문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전반적 서비스 품질의 평가를 통해 형성된 고객만족이 과연 마케팅의 최종성과라고 할 수 있는 재구매의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전반적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서 종업원 특성과 서비스 가격 및 물리적 서비스 환경에 관련된 여러 이론 및 실증연구를 살펴보았고, 실증연구로서는 전반적 서비스 품질과 관련하여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이론연구로부터 도출된 전반적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평가요인과 고객만족, 재구매의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이와같이 오늘날 모든 서비스 기업이 궁극적으로 경영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경쟁자에 비해 차별화 할 수 있는 탁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이것을 통해 기업은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재창출하여 경영성과의 근간을 마련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외에도 미용실의 지역간비교, 지역내비교를 통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미용실 이외의 금융, 외식사업, 진료기관등과 같은 타 서비스 산업의 경우도 미용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서비스의 주요 기능을 연구해야 한다. 아울러 서비스를 구성하는 제요인에 대한 심도 높은 연구와 서비스 산업을 둘러싼 시대적 배경등 외적 요인에 대한 다각적인 인과관계등 이 분야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더욱깊이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 장내 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가스가 대장 통과 시간에 미치는 영향

        장재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Methane gas, which is produced by enteric microflora has been known to be associated with constipation predominant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Also, the severity of constipation seem to correlate with degree of methane production checked by lactulose breath test. In other words, small bowel transit is delayed in those with methane producer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hydrogen gas which is produced by fermentation of carbohydrates in the colon is yet to be understood. There have been reports of increased hydrogen gas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such as ulcerative colitis, but their correlation and pathophysiology is not clear.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methane and hydrogen gases which are produced by enteric microflora, affect motility on small bowel. However, their effect on the colon and colon transit time have not been studied. In this study, we measured colon transit times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before and after the infusion of methane, hydrogen, and methane-hydrogen mixed gas in guinea pigs.Ten centimeters of the proximal colon or distal colon of guinea pig is harvested and put in the peristaltic bath containg Kreb’s-Henseleit (K-H) solution. The bath was maintained at 37℃ and saturated with 95% O2 + 5% CO2 which is control gas. After stabilization for 60 minutes, an artificial pellet made in accordance to guinea pig’s feces is put into the oral side of the colon. Baseline transit time is checked for comparison of each gas. Thereafter, methane gas, hydrogen gas, methane-hydrogen mixed gas, and control gas is infused (0.25 ml/min) into the peristaltic bath through a closed circuit. Time required for artificial pellet to reach the anal side is measured in seconds. An average measurements were derived for every 2 cm.The mean % changes for control, methane, hydrogen, and methane-hydrogen mixed gases in the proximal colon are 101.7 ± 55.6%, 100.6 ± 43.5%, 53.5 ± 36.4%, and 184.9 ± 87.8%. Hydrogen ga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olon transit time (p<0.05). In the distal colon, the mean % changes for control, methane, hydrogen, and methane-hydrogen mixed gases are 98.7 ± 2.6%, 97.8 ± 9.3%, 90.0 ± 8.1%, and 109.8 ± 18.3%, accordingly. Only hydrogen gas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olon transit time (p<0.05).Hydrogen gas promoted colon transit in the proximal colon by 46.5% , and by 10% in the distal colon. This study has shown that bowel gas from enteric microflora, especially hydrogen gas can affect colon transit time, as well as small bowel motility and transit time described by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faster colon transit shown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with hydrogen gas suggest that hydrogen gas and its metabolites might play a role in pathophysiology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such as ulcerative colitis. This study will give a clue to further understanding the effect of bowel gases in the colon and inflammatory bowel diseae. 배경: 장내 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여러 가스들 중 메탄가스가 변비 우세형 과민성 장 증후군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메탄 가스에 의해 소장 통과 시간이 지연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대장에서 탄수화물의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수소 가스는 아직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 궤양성 대장염등의 염증성 장질환에서 수소 가스 농도가 높다는 보고가 있지만, 수소 가스가 대장에 주는 역할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목적: 장내 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 가스, 수소 가스 및 메탄과 수소 혼합 가스가 기니 픽 대장 통과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기니 픽의 대장을 근위부와 원위부 대장으로 구분하여 95% O2 + 5% CO2 혼합 가스가 공급되고 온도가 37℃로 유지되는 Krebs’-Henseleit (K-H)용액을 채운 욕조 양측단에 연결하였다. 기니 픽 대변의 형태와 굳기를 유사하게 만든 인공 배설물을 구측단에 넣은 후, 연동 펌프를 통해 장 내강 내로 K-H 용액과 95% O2 + 5% CO2 가스를 관류시켜 인공 배설물이 항문측으로 이동한 시간을 2 cm 간격으로 구하여 평균값을 구했다. 또한 메탄 가스, 수소 가스, 혹은 메탄과 수소 혼합 가스를 각각 0.25 ml/min의 유속으로 관류시키며 인공 배설물이 이동하는 시간을 구하였다. 결과: 근위부 대장에서 대조 가스군, 메탄 가스군, 수소 가스군 및 메탄과 수소 혼합 가스군의 대장 통과 시간 (% change)은 각각 101.7 ± 55.6%, 100.6 ± 43.5%, 53.5 ± 36.4%, 184.9 ± 87.8%로 수소 가스군에서만 대장 통과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09). 원위부 대장에서 대조 가스군, 메탄 가스군, 수소 가스군 및 메탄과 수소 혼합 가스군에서 대장 통과 시간은 각각 98.7 ± 2.6%, 97.8 ± 9.3%, 90.0 ± 8.1%, 109.8 ± 18.3%로 수소 가스군에서만 대장 통과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10). 결론: 메탄 및 메탄과 수소 혼합 가스는 근위부 및 원위부 대장에서 대장 통과 시간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고, 수소 가스는 근위부 대장 통과 시간을 약 46.5% 유의하게 촉진 시켰으며, 원위부 대장에서는 대장 통과 시간을 약 10% 촉진 시켰다. 본 실험을 통해 장내 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 가스, 수소 가스 혹은 메탄과 수소 혼합 가스 중 수소 가스가 근위부 및 원위부 대장에서 대장 통과 시간을 촉진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미각 정보 시각화를 위한 시각언어 연구

        장재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마케팅, 예술, 디자인 등에서 이용자의 오감(五感)을 자극하여 감성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하나의 감각보다 다양한 감각에 호소하는 커뮤니케이션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불러일으키고,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가능한 것은 공감각이라는 감각의 전이 때문으로, 공감각은 하나의 감각에 대한 자극이 두 가지 이상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보는 것, 즉 시각을 통하여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정보를 간접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사람들은 음악을 듣기 전 앨범 표지로 음악의 느낌을 상상하고, 음식의 패키지로 맛을 예측하며, 향수병의 모양으로 향기를 짐작하는 것들을 말한다. 최근 식생활 수준의 발전은 다양한 식문화를 만들었고 사람들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음식을 언제든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음식은 먹어보기 전에는 그 맛을 선뜻 파악하기 힘들다. 국내의 한 연구는 웹사이트에서 장(醬)류의 맛을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제품의 품질을 알 수 없는 온라인 스토어에서 판매의 증진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아직 경험하지 못한 제품에 대한 미각 정보를 필요로 하며, 해당 정보의 제시는 판매촉진과도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미각 정보와 시각적 요소의 적절한 시각적 매핑을 통한 시각언어를 개발하고 그것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감각과 지각, 맛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관련 사례를 분석하고. 형태와 색상을 추출하여 조형 요소를 활용한 미각 정보 시각화 그래픽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설문을 통해 그래픽에서 연상되는 맛을 확인한 결과, 짠맛, 쓴맛, 떫은맛에서 연상의 정도가 떨어져 그 이유를 분석하고 그래픽을 수정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였다. 작품은 정보그래픽과 제품의 패키지 및 음식 브랜드, 레스토랑의 시각적 매체 및 미각상실자와 유아의 교육 도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oday's marketing, it can be easily found that sensuous experiences are provided in art and design by stimulating the five senses of users. Communications that appeal to a variety of senses rather than a single sensation can bring new experiences to people and enhance their effectiveness. This phenomenon is possible because of the transition of the sense of synesthesia. Synesthesia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stimulation of one sensation causes two or more senses. This means that you can obtain auditory, olfactory, taste and tactile information indirectly through vision. For example, people imagine the feeling of music from the album cover before actually listen to it, or they predicting the taste of food from its package, and guessing the fragrance from the shape of a perfume bottle. Recent developments in eating habits have created diverse food cultures, and people have been able to consume food at their disposal at any time.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taste of food before actually eating it. One domestic study has shown the increase in the sales of soy sauce in an online store by visualizing the flavor of it in a graph on a website where people can not know the actual quality of products. This shows that people need certain taste information on products they have not experienced, and that the provision of the information can be also linked to sales promo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verify a visual language through appropriate visual mapping of taste information and visual elements. To achieve this, this paper analyze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sensation, perception, and taste and related cases. At the same time, it has proposed a taste visualization work using modeling elements which uses whose shape and colors are extracted from the data. Moreover,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nfirm the taste associated with the graphic. From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actual degree of association with the salty and bitter taste and astringency is quite low. Therefore, the researcher revised the graphic once again with the data. Finally, the study suggests several application instances. The work could be utiliz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information graphics for people who lost their taste. Or it could be also used for the packages of products, food brands, visual identity for restaurants.

      • 아시아공원 식재 특성 및 경관기능 향상을 위한 식재구조 개선방안 연구

        장재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시아공원내 녹지지역의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을 분석하여 녹지공간 기능에 적합한 식재개념을 설정하고 경관향상을 위한 식재구조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내용은 크게 아시아공원 식재지역 공간기능 구분, 식재개념 파악을 위한 현황조사 및 분석과 아시아공원 경관향상을 위한 식재구조 개선이었다. 현황조사 및 분석 중 녹지의 공간기능은 공원시설물과 주변현황을 조사하여 완충공간과 경관공간을 구분하고 공원 이용현황을 조사하여 녹음공간을 구분하였다. 녹지공간 식재개념은 식재지역 교목층 식생상관을 고려하여 우점종을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비교를 통해 상이한 지역을 도출하여 식재구조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된 식재개념 중 경관식재지는 블록별 주제를 부여하였고, 식생경관 평가 틀을 이용하여 경관식재지역의 경관특성을 서술하였다. 식재구조 개선은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공간기능에 따른 적정 식재개념을 구분하고 공간별 식재구조 개선방향을 설정하여 각 공간별 적정 식재구조를 제시하였다. 공간기능 구분을 살펴보기 위하여 공원시설물, 공원 주변현황과 공원이용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녹지공간 구분결과 경관공간은 시설물와 펜스의 위치를 바탕으로 파악하여 5개 공간을 설정하였고 완충공간은 공원인접 현황과 주변현황을 파악하여 3개 공간, 녹음공간은 공원 이용자 현황을 통하여 3개 공간을 설정하였다. 경관공간은 대상지 주 보행로와 동ㆍ서측 마운딩지역에 위치하였고 녹음공간은 북측광장 및 북측 공원 진입부 지역, 잔디식재지에 위치하였으며 완충공간은 대상지 경계부에 주로 위치하였다. 녹지지역의 식재개념은 우선 아시아공원 식재종 분포를 조사분석한 결과 잔디식재지(14.1%), 소나무(12.6%), 은행나무(12.1%)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외 수종은 낮은 비율로 분포하였다. 공간기능과 단위블록을 기준으로 주요 지역에 정밀 식재구조 조사를 위한 방형구 조사구 39개소, 벨트트란섹트 조사구 4개소를 설정하여 조사하였고 현황조사결과 평균 녹지율은 71.34%, 평균 녹지용적계수는 2.40㎥/㎡, 평균 식재밀도는 교목ㆍ아교목층이 0.04주/㎡, 관목층이 0.06주/㎡이었다. 식재구조 분석결과 각 공간별 수종의 차이는 없었고 교목 위주의 단층식재가 대부분이었다. 식재종 분포 및 정밀 식재구조 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식재개념은 경관식재지가 아시아공원 전체면적의 54.7%로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녹음식재지는 8.5%이었고 경관+녹음식재는 6.0%, 완충+경관식재는 0.6%이었는데 녹음기능과 완충기능의 식재지역에 경관식재가 되어 경관식재지에 비해 녹음식재지와 완충식재지의 비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식재지역은 공간기능을 고려하지 않고 대상지 전역에 경관식재가 되어 있어 공간기능에 따른 적절한 식재개념이 설정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관평가는 식재종 분포와 정밀식생구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블록별 주제를 설정한 경관공간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경관평가 결과 주제를 설정한 지역은 대체로 공간의 통일성은 높았으나 다양성은 낮은 지역이 대부분이었다. 일부 다양성이 높은 공간은 식재단위가 협소하고 수목 자체의 계절적 특징이 우세요소로 작용하여 수목식재지의 전체적인 통일성이 낮은 상태이었다. 식재구조 개선은 공간기능을 고려하여 식재개념에 적합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경관공간은 각 수목의 경관적 특성을 분석하여 식재지의 주제 설정 후 주제에 적정한 수목을 선별하여 식재하고 교목ㆍ아교목층 수목과 관목층 수목의 다층구조 조성을 제안하였다. 산책로 및 주 보행로 등 이용자가 많이 모이는 지역과 인접한 경관공간을 중심으로 꽃, 단풍이 아름다운 수목 식재를 제안하였다. 녹음공간은 이용객 조사를 통해 이용강도에 따른 식재밀도를 조정하여 이용강도가 높은 지역은 수관폭, 지하고가 큰 수종을 식재, 이용강도가 낮은 지역은 수관폭, 지하고가 비교적 작은 수종을 식재하도록 제안하였다. 완충공간은 교목ㆍ아교목층 수목과 관목층 수목이 층위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조성하되 수종 선정시 지하고가 낮고 지엽이 치밀한 수종을 선정하여 높이에 따라 수종을 2종 이상 배치하여 시각적인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et a planting concept suitable to the green space within Asian Park by analyzing the spatial functions of the green space and examining planting concepts, and to suggest new measures for the betterment of the view of the park. The research of this study consists of classifying the functions of each planting area in the park, examin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park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isting planting concept, and improving the existing planting concept for the betterment of the view of the park. In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park, this study has categorized the spatial functions of the green space into buffer space and landscape space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s of the park and its surroundings, and identified shade space in terms of the present status of utilizing the park. This study has found out the dominant species by examining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tree layers of the planting areas and indentified the defects of the present planting concept by comparing the spatial functions with the concept. With the result, this study has assigned a theme to each block of the landscape space and described characteristics of each landscape block with a tool of assessing scenic beauty. In order to improve the present planting structures, this study has indentified a proper planting concept according to the spatial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field research and presented proper planting structures for each of the spaces.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spatial functions of the park, this study has inquired into its establishments, surroundings, and the present status of utilizing the park. In classifying the green space, this study has set five spaces as scenery spaces based on the locations of its establishments and fences and three as buffer spaces considering its surroundings, and three as shade spaces based on the present status of utilizing the park. The landscape spaces are mainly located in the east and west mounding areas and near the main footpath, and the shade spaces are located at the north square and in the entrance area of the north park and the lawn area. And buffer spaces are mainly located along its surroundings. As to the planting concept of the green space, the result of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the plants in the park showed that grass accounted for 14.4%, Pinus densiflora for 12.6%, Gingko biloba for 12.1%, and other plants for the rest. To research specific planting structures of major areas in terms of the spatial functions and blocks of the park, this study has established 39 quadrats and 4 belt- transects.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park showed that average rate of green space was 71.34% and green volume coefficient was 2.40 ㎥/㎡. As to planting density, tree layer and sub-forest tree layer were 0.04/㎡, shrub layer were 0.06/㎡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planting structures of the park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spaces yet tree-dominant single layer planting constituted most of the structures. This study also has conducted a research on the distribution of the plants and the planting structures of the park. An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landscape spaces accounted for 54.7% of the entire area of the park, which is a very high percentage. The shade spaces accounted for 8.5%. Landscape + shade places accounted for 6.0% and buffer + landscape spaces for 0.6%. Since some of the spaces functioning as buffer and shade spaces have become part of the scenery spaces, their percentages were lower than the landscape spaces’. The result of analyzing and comparing the spatial functions and planting concept showed that the landscape spaces were scattered all over the park without considering the spatial functions, meaning that the park hasn’t been arranged by the right planting concept measuring its spatial functions. For landscape evalu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landscape spaces to whose blocks themes were assigned based on the result of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the plants and the specific planting structures. The result of landscape evaluation showed that most of the areas to which themes were assigned had a unified look yet lacked diversity. Areas where there were a variety of plants lacked unity as an arboretum because the range of the types of the trees was limited and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trees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improve its planting structures, this study has suggested a new planting concept considering the spatial functions of the park. For the landscape spaces, this study has suggested that each block of the spaces be assigned a theme and proper trees be selected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each tree. And the layers of trees and sub-trees must be horizontal with the shrubbery layer. And trees with beautiful leaves and flowers must be planted in the areas where people crowd such as esplanades, footpaths and others. For the shade spaces, planting density must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frequencies in use of the spaces. In the areas having a high frequency in use, plants with a big width and branching height must be planted and conversely, in the areas having a low frequency in use, plants with a small width and branching height be planted. For the buffer spaces, the layers of trees, sub-trees, and shrubs must make a horizontal line. And plants whose branching height is low and whose branches and leaves are dense must be planted in order to show a visual distinction by planting more than two species of trees depending on h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