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 이주노동자 유입과 농촌성의 재구성 - 포천시 소흘읍을 사례로 -

        장유정 ( Youjeong Jang ),정예슬 ( Yeseul Jeo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한국인 농장주와 농촌 이주자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통해 농촌성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농촌성을 실체가 아닌 하나의 과정으로 전제하였다. 사례지역인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은 근교농업의 영향으로 대규모 시설채소 농업이 특화되어 있어 다국적의 이주자를 고용하고 있다. 16명 대상의 심층 인터뷰 결과, 소흘읍의 농촌성은 이주자의 유입으로 차이, 개방성, 다양성, 주체성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농장주는 전근대의 한계에서 탈피하고 이주자는 주변화된 위치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면모를 보인다. 그 과정에서 농장주와 이주자 간 가족관계와 고용관계라는 다소 이질적인 관계가 중첩되기도 한다.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이들의 관계는 농장주-이주자 간수직적인 경계를 불분명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코로나19로 외국 인력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소흘읍의 농촌성은 가변적이고 관계적인 것으로 재구성되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s of rurality through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Korean farmers and rural migrants. Rurality is assumed as a process rather than a substance. Soheul-eup, a town in Pocheonsi in Gyeonggi province employs migrants from many countries as it specializes in large-scale greenhouse vegetable produ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peri-urban agriculture.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16 participants are as follows. The rurality of Soheul-eup is characterized by difference, openness, diversity and subjectivity with the influx of migrants. Farmers are trying to do away with pre-modernity of rural area and migrants are becoming agents, ridding themselves of the marginalized position. Through this process, somewhat two different relationship, familylike relationship and employment relationship, overlap in the relation between farmers and migrants. Their dynamic changing relationship obscures the vertical boundary between farm owners and migrants. In addition to the recent increase in demand for foreign labor with the outbreak of COVID-19, the rurality of Soheul-eup continues to be reconstructed as variable and relational.

      • SCOPUSKCI등재

        제주지역 일부 20–30대 성인의 단백질 건강 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실태

        이효주(Hyoju Lee),장유정(Youjeong Jang),김수민(Sumin Kim),하경호(Kyungho Ha) 한국영양학회 202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7 No.2

        본 연구에서 제주지역 20–30대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자가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 실태 및 식생활을 파악하고, 1일 24시간 회상법을 실시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대상자 중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의 섭취율은 약 31%로 이중 약 72%는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자의 비율은 남성에서 58%로 여성 42%보다 높았으며, 신체활동 실천율은 섭취자에서 88%로 비섭취자 70%보다 높게 나타났다.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자 중 약 71%가 파우더의 형태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섭취자의 절반 이상이 근육 발달에 도움을 얻기 위해 섭취한다고 응답하였다.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자의 약 17%는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섭취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최근 1년동안 본인의 의지로 몸무게를 늘리려고 노력한 비율이 섭취자에서 비섭취자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다.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자는 비섭취자에 비해 식사로부터 단백질은 많이, 탄수화물은 적게 섭취하고 있었으며, EAR 대비 단백질을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는 비율도 섭취자에서 14%로 비섭취자의 26%에 비해 낮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할 때 제주지역 젊은 성인은 대체로 근육량 증가를 위해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식사로부터 이미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었다. 최근 젊은 연령층을 중심으로 고단백질 식사, 단백질 보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현재의 단백질 섭취수준과 필요량을 토대로 단백질 보충 여부를 올바르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단백질 보충 시 영양성분 확인을 통해 과잉섭취를 예방할 수 있는 영양교육 및 정책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Recently, high-protein diets have become highly popular, and the market for protein products has steadily increased in Korea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such products. However,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on the consumption of protein supplements (PS) or protein-fortified foods (PF). Thu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use of PS/PF among young adults in Jeju. Methods: A total of 350 adults (140 men and 210 women) aged 19–39 yea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June 2022 to May 2023. PS/PF use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Dietary intake was assessed using a 24-hour dietary recall. Results: Approximately 31.4% of the participants (n = 110) had consumed PS/PF for more than 2 weeks during the past year and 71.8% of them (n = 79) were still consuming these products (PS/PF consumers). The PS/PF consumers tended to be male and physically active (p < 0.05 for all).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PS/PF use was muscle gain (59.5%), followed by protein supplementation (19.0%) and body fat loss (13.9%), and the most frequent type of PS/PF consumed was powders (70.6%), followed by drinks (17.7%) and bars (8.8%). The PS/PF consumers tended to consume a high-protein low-carbohydrate diet compared to the non-consumers. The prevalence of consuming dietary protein less than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was significantly lower in PS/PF consumers (13.9%) compared to non-consumers (25.4%; p = 0.0316).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necessity of protein supplementa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dietary protein intake and individual requirements. The study also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guidelines for appropriate protein int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