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낭시의 공동체 이론을 통해 본 <변강쇠가>의 한 성격

        장예원(Jang, Ye-Won),차충환(Cha, Chung-Hwan) 한국비평문학회 2016 批評文學 Vol.- No.62

        본고에서는 <변강쇠가>에 대한 기존 논의를 통해 <변강쇠가>의 기괴성이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공동체와는 다른 의미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포착하고, 이 문제를 좀 더 본격적으로 논의해 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시각으로 삼은 낭시의 공동체 이론을 개략적으로 이해한 뒤, 첫째, 옹녀와 강쇠는 서로가 마주보는 타자로서 그들의 만남과 삶은 낭시가 말하는 ‘공동-내-존재’에 가깝다는 것, 둘째, 작품에 나타난 기이함 혹은 결핍이 외존(外存)을 통해 ‘함께-있음’을 유도한다는 것, 셋째, 강쇠 주변인들의 죽음은 ‘유한성’의 징표로서 이것은 ‘함께-있음’ 또는 ‘공동-내-존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변강쇠가>의 기괴성은 단순히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공동체에 대한 저항 기제로서가 아니라 중심과 주변부라는 상호 배타적인 이원적 도식화가 지닌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는 것과 관계된다는 점, 기존의 이데올로기 체제에 수용되지 못한 작품 속 주체들은 단순한 주변인이 아니라 중심부 주체들과는 다른 방식의 삶을 소유하고자 했던, 새로운 ‘공동체성’을 지닌 독립적인 주체들이라는 점, 결국 <변강쇠가>는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공동체를 넘어선 그 바깥의 ‘함께-있음’을 지향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변강쇠가>는 기괴성, 기괴미가 가장 특징적으로 부각되어 있는 작품이다. 이는 동일성을 요구하는 이데올로기적 호명에 응답하지 않고 침묵하고자 했던 작가의 의지로 보인다. 하층 유랑민의 비참한 현실을 기존과는 전혀 다른 그로테스크 미학으로 창조함으로써 조선후기의 구조적 모순에 문제제기를 한 것이다. 이데올로기 자체가 한계인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이데올로기 안에서 불가능한 동일성을 추구하는 삶을 살지 않고, 바깥에서 외존을 향하며 진정한 ‘우리’로의 낯선 세계를 선택한 것이다.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talk deeply about the fact that characters and actions of <Byeongangseoga> and abnormality that appears throughout the piece has acted as a mechanism which pursues community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deological community. We will do so by looking at the existing articles on <Byeongangseoga>. First, we will briefly cover Nancy’s Theories of Community which was cited as a perspective of research, and then examine the three following aspects: 1. Ong-nyeo and Gang-soe are two different subjects that faces each other, and their meeting each other and lives are closed to a ‘Being-in-community (être-en-commun)’ 2. Abnormality or deficiency shown in the work induce ‘Being-in-common (être-avec)’ via ex-position (外存). 3. Death of Gangsoe and the surrounding figures is closely connected with ‘Being-in-common (être-avec)’ or ‘Being-in-community (être-en-commun)’ as a sign of finitude. Through presenting these aspects, the paper suggests three different ideas. First, abnormality of <Byeongangseoga> is not only acts as a defense mechanism against the existing ideological community but also relates to overcoming the fundamental limitation that mutually exclusive schematization contains. Second, the subjects that were not accepted to the preexisting ideology system are not just simple surrounding figures, but are independent characters that owns the new type of ‘community spirit’ and tries to live their lives in different ways. Third, ultimately, <Byeongangseoga> is a piece that pursues ‘Being-in-community (être-en-commun)’ which exceeds the notion of existing ideological community. It’s clear that <Byeongangseoga> owns abnormal and unfamiliar grotesque-beauty. It seems like the author did not want to respond to ideological calling that requires sameness by intentionally not saying anything. By transforming sad reality of the lower-class nomads into aesthetics of the grotesque, he presented the structural imbalances in late Joseon dynasty. To show that ideology itself is a limitation, they did not live a life that pursue unity which is impossible to obtain within the ideology, but rather they faced ‘ex-position’ and chose the strange world of true ‘we-ness’. This abnormal resistance is an aggressive action which refuses to respond to totalitarianism which use the enthusiasm of people to make ideology an absolute solution and force it upon them.

      • KCI등재

        김조규 시세계의 애도와 멜랑콜리 연구

        장예원(Jang Ye-won),이성천(Lee Seung-cheon)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7

        이 논문은 김조규의 시세계에 나타난 ‘애도’와 ‘멜랑콜리’의 정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고가 이러한 접근 방법을 개진하는 이유는 김조규 시세계의 전반적 성격이 애도와 멜랑콜리의 정서적 측면에서 일관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실제로 김조규의 시세계는 시기별로 로맨티시즘/모더니즘/리얼리즘 기법을 차용하고 있으면서도, 각각의 시기에 발표된 작품들은 일정하게 애도와 멜랑콜리의 정서를 동반한다. 그의 시는 감상적 실향의식을 강하게 내포하는 초기 시에서부터, 민족/민중의식 지향의 리얼리즘적 성향이 드러나는 후기 시에 이르기까지 애도와 멜랑콜리가 주도하는 정서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의 작업에서 애도와 멜랑콜리에 대한 심리/철학적 개념 분석 및 문학적 차용의 가능성에 대한 실질적 전제 작업은 필수적이다. 일제 식민지라는 재난적 사건과 ‘애도’라는 정동은 문학사의 측면에서 상호연관성을 지닌다. 식민지 문학인들에게 일제강점기는 ‘상실’이라는 공동적 속성이 강조될 수밖에 없으며, 애도란 이 ‘상실’에서 발생되는 중추적 정동인 까닭이다. 물론 국권 상실이라는 심각한 상황은 사회적 차원의 애도 가능성을 일차적으로 폐쇄하고, 급진적으로 강제한다. 제국과 식민이라는 모순적 현실에서 사회적 차원의 애도란 그 자체로 체제 저항의 이데올로기적인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 시기 김조규의 시편들을 ‘문학적’ 애도의 상징적 의미망 속에서 이해할 수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일제강점기 그의 시는 조국과 자기존재의 근원적 뿌리를 상실한 시적주체의 공허감을 자주 사회변혁에 대한 의지로 변환하는 까닭이다. 그러므로 그의 시에서 상실의 정서는 단순한 ‘병리적’ 감정이 아니다. 그것은 폐허가 된 세계를 향하는 시적 주체의 정직한 대응자세이자 정서적 결과물이다. 시인에게 멜랑콜리의 시적 차용과 예술적 형상화는 특정한 시대를 반영하는 사회문화적 차원의 실천행위이자 미학적 정서의 표출이었던 셈이다. Kim Jo-gyu"s oetic sirit and asects of oetry show various changes deending on the eriod. In revious studies, the transformation of diversity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sentimental romanticism and modernism oetry in the early 1930s, and nationalist oetry during the reign of Korea. In addition, discussions will be conducted on the creative techniques and subject consciousness of each eriod, focusing on the literary trend of romanticism, modernism and surrealism, and realism techniques, the consciousness of home imrovement, self-consciousness of intellectuals, and diasora consciousness of nomads. However, while Kim Jo-gyu"s oetic asect basically ursues modernism, it seems that the sentimental dislaced consciousness that he showed at the beginning, that is, the melancholy sentiment, was maintained. Based on the remise that it is more aroriate to see the realist tendency toward national consciousness or eole"s consciousness as revealed in the later oetry as a oetic tendency revealed with the addition of the specific exerience of staying in Manchuria, the inner emotion of his loss consciousness Focusing on,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hanges of melancholy in more detail. First of all, Kim Jo-gyu"s oems originated from comassion for the nation and feelings of debt. The sense of emtiness that the fundamental roots of self-existence were lost due to the loss of the motherland was linked with a new image using various oetic materials. In other words, in terms of subject matter and subject, the sorrow of the colonial youth can be said to be the main emotion. Nevertheless, in Kim Jo-gyu"s early oems, a historical ersective that contains assion and ambition for social transformation is revealed, and the fundamental driving force for it is mourning work based on inner emotion rather than extroverted elements such as ideology or social intellectuals" calling. Mourning is a work in which the subject internalizes the value of loss through loss and transforms one"s life into a sace of creative lack. However, the imortant fact is that in the disaster situation of Jaanese colonization, since social mourning is already imossible, ersonal mourning is also imossible. However, oetic subjects who try to overcome the imossibility through oetic shae aear.

      • KCI등재

        노래 가사 감정 분석법이 보컬 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감정의 바퀴’를 활용하여

        장예원(Ye Won Jang),한경훈(Kyung Hoon Han) 한국대중음악학회 2022 대중음악 Vol.- No.30

        가사와 선율로 대중들과 소통하는 보컬은 가사와 선율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가사에 대한 집중도 향상과 가사를 통한 감정 전달력이 높아야 한다. 본 논문은 보컬의 감정 표현력 및 전달력 향상을 위해 노래 가사 감정 분석법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가사 속 정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노래 가사 감정 분석 프로그램을 위한 이론으로는 심리학자 로버트 플루치크(Robert Plutchik)의 감정의 바퀴(Emotions of Wheel)를 활용하여 가사 분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참여자들은 가창곡의 형식에 따라 두 가지 혼합 정서를 선택하였고, 이를 통해 가창자가 가사에서 표현해야 할 감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용음악학과 보컬 전공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참여자들은 가사 속 의미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가사와 감정에 대한 집중력 또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전 설문, 문답형식의 답변서, 그리고 효과성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도출되었다. Singing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through lyrics and melody. However, to effectively deliver lyrics and melody, concentration and the ability to convey emotions must be high. This thesis aims to develop a method of emotion analysis for song lyrics to improve vocal music’s emotional expression and delivery power. Furthermore, it will use it to understand the emotions conveyed by the lyrics. The lyrics analysis program used psychologist Robert Plutchik‘s as its theoretical underpinning. The participants could understand the emotions the singer should express in the lyrics through a mixture of two emotions selected according to the song’s form. The By applying the program to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and Vocal Major, the participants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lyrics. Moreover, their concentration on lyrics and emotions also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