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원 방사선 치료시 Body Fix의 유용성 평가

        김영재(Young-Jae Kim),장영일(Young-Ill Jang),지연상(Yeon-Sang Ji),한재복(Jae-Bok Han),최남길(Nam-Gil Choi),장성주(Seong-Joo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에서는 간암 치료시 Body fix를 이용하여 4DRT를 실시할 경우 종양의 체적, 위치의 변화정도, 종양 및 정상조직의 선량흡수정도를 파악하여 Body fix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사전 연구에 동의한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ody fix의 착용 유무에 따라 각기 다른 4차원 모의치료영상을 획득하여 영상을 바탕으로 종양조직 및 정상조직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종양의 용적을 분석해본 결과 Body fix의 사용이 GTV는 0.17%, CTV와 PTV는 3.2% 정도 체적을 줄일 수 있었으며, 종양의 운동성은 AP방향에서 29.8%, UL방향에서 5.31%의 움직임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종양의 흡수선량 값은 Body fix를 사용한 경우가 다소(1.3%) 높았으며 정상조직(정상간, 위, 우측신장, 척수)의 흡수선량은 5% 정도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간암의 4DRT시 Body fix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fulness of body fix in 4DRT on Liver cancer trying to find tumor tissues volume and located variations, absorbed dose on tumor and normal tissues. Test subjects 23 patients were agreed these test. These patients have a 4 dimensional CT scan. We make an acquisition on patients CT image by two types -put on the body fix or not-. Average tumor volume reduced by 0.17% on GTV and 3.2% on CTV and PTV. Tumors variation reduces 29.8%(anterior and posterior, AP) and 5.31% (upper and lower, UL). The absorbed tumor doses under put on the body fix was a little higher(1.3%) than other. Normal tissues(normal liver, stomach, Rt. kidney, spinal cord) absorbed dose could be reduced approximately 5%. Therefore, using body fix on 4DRT for liver cancer patient is considered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MDCT의 3차원 볼륨렌더링을 이용한 복강축과 위창자간막동맥의 변위 형태에 관한연구

        이정근(Jeong-Keun Lee),장영일(Young-Ill Jang),장성주(Seong-Joo J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3 방사선기술과학 Vol.36 No.2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후 3차원 볼륨렌더링으로 재구성한 영상을 분석하여 복부대동맥에서 분지하는 복강축과 위창자간막동맥을 기준으로 해부학적 변위를 분류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복부 전산화단층혈관촬영을 시행한 613명 환자의 3차원 볼륨렌더링 영상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변위를 형태별로 분류한 결과 552명(Type Ⅰ, Ⅱ)은 정상 구조에 속하였고, 61명(Type Ⅲ∼Ⅻ)은 변위로 분류하였다. Type Ⅰ이 339명 (55.31%), Type Ⅱ가 213명(34.74%)으로 나타났으며 변위로 분류된 경우는 Type Ⅲ은 18명(2.93%), Type Ⅳ는 12명 (1.95%), Type Ⅴ는 11명 (1.79%), Type Ⅵ는 9명 (1.46%), Type Ⅶ는 6명 (0.97%)으로 나타났으며, Type Ⅷ∼Ⅻ는 각각 1명 (0.16%)으로 전혀 새로운 변위형태로 분류되었다. 결론적으로 복강축과 위창자간막동맥을 기준으로 변위를 분류한 결과 그동안 간동맥 중심의 해부학적 변위분류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던 9가지의 새로운 변위형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새로운 혈류지도를 만드는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ation which based on Celiac axis and SMA using by CT volume rendering images. 613 patients underwent abdominal CTA, there were 552 patients (99.05%, TypeⅠ, Ⅱ ) with normal anatomical form and 61 (9.95%, Type Ⅲ~Ⅻ) with variation. TypeⅠ was 339(55.31%), Type Ⅱ was 213 (34.74%), Type Ⅲ was 18 (2.93%), Type Ⅳ was 12 patients (1.95%), Type Ⅴ was 11 patient (1.79%), Type Ⅵ was 9 patients (1.46%), Type Ⅶ was 6 patients (0.97%), Type Ⅷ was 1 patient (0.16%), Type Ⅸ was 1 patient (0.16%), Type Ⅹ was 1 patient (0.16%), Type Ⅺ was 1 patient (0.16%), and Type Ⅻ was 1 patient (0.16%) into totally new types of variation. In conclusion, we could found 9 new types of variation by classifying based on celiac axis and superior mesenteric artery.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a new vessel map.

      • KCI등재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장기적 임상 경과-65세를 기준으로

        이한올(Han-Ol Lee),장성주(Seong-Joo Jang),김인수(In-Soo Kim),한재복(Jae-Bok Han),박수환(Soo-Hwan Park),김정훈(Jeong-Hun Kim),장영일(Young-Ill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일차적인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를 시술 받은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들에서 임상적 특성, 관상동맥 병변 및 중재술의 특성, 병원 내 및 1년 사망률과 주요심장사건(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의 발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6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0일까지 모 대학병원 심혈관센터에서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진단받고 흉통 발생 12시간 이내 관상동맥 조영술 및 일차적 PCI를 시행 받은 환자 1,974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65세 이상의 I군(1,018예, 연령 73.8±5.99세, 남자 : 여자 =574 : 821)과 65세 이하의 II군(956예, 연령 52.8±7.96세, 남자 : 여자 = 444 : 135)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는 I군에서 더 높았고, 흡연력, 고지혈증, 가족력은 II군에서 높았다. PCI표적 병변은 I군에서 좌주관지(2.7 vs. 1.6%, p=0.007)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다혈관병변(54.5 vs. 41.0%, p<0.001)도 I군에서 많았다. 병원 내 사망(8.4 vs. 1.9%)과 MACE(20.1 vs. 14.0%)는 I군에서 많이 관찰되었다(p<0.001).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 결과 65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 1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인자는 내원 시 혈중 creatinine 1.3 mg/dL 이상, 뇌혈관 질환, 수축기 혈압<100 mmHg, Killip class II이상, 다혈관 질환, 그리고 좌심실 구혈률<40%로 나타났다.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has been found to be superior, in terms of hospital mortality and long-term outcome, compared with thrombolytic therapy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owever, the clinical benefits of primary PCI have not been precisely evaluated in elderly patients.1,974 patients (Group I: n=1,018, age≥65years, 73.8±5.99years; Group II: n=956, age<65years, 52.8±7.96years) who underwent primary PCI for AMI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06 and 2010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linical,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for hospital and one-year survival. Group I had a higher percentage of women,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multi-vessel disease and lower prevalence of current smoking, hyperlipidemia, familial history than Group II. Culprit lesions were at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eft circumflex artery, right coronary artery and left main artery in 42.8% vs. 45.0%, 34.1% vs. 29.6%, 14.6% vs 14.6, 2.7% vs. 1.6%, respectively (p=0.007). Stent diameter was smaller in group I (3.17±0.39 vs. 3.29±0.42mm, p=0.001). In-hospital mortality was higher in group I (8.4 vs. 1.9%, p<0.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s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one-year clinical follow-up (20.1 vs.14.0%, p<0.001).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ystolic blood pressure<100mmHg, serum creatinine≥1.3mg/dL, Killip class> I, multivessel diseas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40% and cerebro vascular disease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one-year motality in patients over 65 years after PCI.

      • Digital X-ray장비 구축 검진차량의 웹 기반 무선 네트워크 환경 구축 전과 후의 비교분석

        류영환,권대철,구은회,동경래,최성현,장영일,Ryu, Young-Hwan,Kweon, Dae-Cheol,Goo, Eun-Hoe,Dong, Kyung-Rae,Choi, Sung-Hyun,Jang, Young-Ill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2010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Vol.12 No.2

        A total of 200 hospital employe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January 2009 to June 2010. For the survey, each participant was given necessary items for external health exams.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for the survey regarding wireless networks. There was a need for educating data processing workers in the medical field regarding fundamental information prior to wireless network construction. The reason is high scores would be collected, which would reflect knowledge regarding data processing used at hospital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paper charts and electronic charts. However, low scores were obtained which reflected knowledge regarding the differences between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nd Mini-PACS. Time for each patient was shortened to a maximum of three minutes and minimum of one minute for treatment and transmitting medical images when comparing pre and post wireless network construction(p < 0.01). Scores from the pre and post construction survey increase 1.98, 1.65, and 1.43 points for activity in the health screening area, usage of space in the health screening vehicle, and patient information storage respectively(p < 0.05). The number of patients receiving external health screenings twelve times was 3,655 prior to construction of a wireless network system. However, the number increased to 4,265 after construction. The increasing percentage was 17% in total. Prior to construction, X-ray images were taken 527 times, but after construction of a wireless network, this number growed to 1,194 and it was 116% increase. The loss of patient's medical treatment charts was reduced from 19.8% to 18.7% after construction. We believe that educating medical workers on Mini-PACS and Mini-OCS Systems will not only increase their efficiency but also make patients receiving better treatment.

      • KCI등재

        소아 CT 촬영시 방사선 피폭과 저감화 방법

        이정근(Jeong-Keun Lee),장성주(Seong-Joo Jang),장영일(Young-Ill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

        소아 CT 촬영시 피폭선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조건을 찾기 위하여 pediatric phantom을 이용하여 소아방사선량을 비교·분석하였다. 관전류변동제어(tube current modulation:TCM) 방식과 low dose CT protocol(LDCTP)에 따라 소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검사는 brain, chest, abdomen-pelvis 부위를 전산화 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한 3개의 검사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거의 모든 MDCT 장치는 volume CT dose index(CTDIvol), dose length product(DLP)와 유효선량평가 결과를 기록, 보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환자들의 방사선 노출 및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이다. 방사선 노출 위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적정화 및 정당화 원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관전압(kV)에 따른 TCM 방식을 사용하였을 경우 kV가 낮아질수록 유효선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low dose CT protocol을 사용한 경우가 유효선량이 상대적으로 더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균 유효선량은 brain, chest, abdomen-pelvis CT의 결과가 독일의 reference dose 보다 각각 47%, 13.8%, 25.7%로 더 낮게 나타났고. 영국의 reference dose와 비교해도 55.7%, 10.2%, 43.6%에 불과했다. 결론적으로 선량 감소를 위해 주의할 것은 body-weight based tube current adaption을 포함한 TCM, 그리고 LDCTP 등 모든 선량 감소 방안을 이용하여야 한다. Recently pediatric CT has been performed by reduced dose according to tube current modulation이라고, this fact has a possibility more reduce a dose because of strong affect depend on tube current modulation. Almost all MDCT snow show and allow storage of the volume CT dose index (CTDIvol), dose length product (DLP), and effective dose estimations on dose reports, which are essential to assess patient radiation exposure and risks. To decrease these radiation exposure risks, the principles of justification and optimization should be followed. justification means that the examination must be medically indicated and useful. Results is using tube current modulation이라고 tend to the lower kV, the lower effective dose. In case of use a low dose CT protocol, we found a relatively lower effective dose than using tube current modulation. Average effective dose of our studies(brain, chest, abdomen-pelvis) less than 47%, 13.8%, 25.7% of germany reference dose, and 55.7%, 10.2%, 43.6% of UK(United Kingdom) reference dose respectively. when performed examination for reduced dose, we must use tube current modulation and low dose CT protocol including body-weight based tube current adaption.

      • KCI등재

        약물방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후 스텐트 혈전증 발생 환자의 임상경과

        김인수(In-Soo Kim),정명호(Myoung-Ho Jeong),한재복(Jae-Bok Han),장영일(Young Ill Jang),장성주(Seong-Joo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약물방출 스텐트 (drug-eluting stents, DES)는 일반금속 스텐트에 비하여 재협착을 현저하게 줄었지만, DES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한 스텐트 혈전증 (stent thrombosis, ST)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혈전증 유형의 정의는 Early ST ; (EST)은 30일 이내, Late ST ; (LST)은 31일 이상에서 1년 이내 그리고 Very late ST ; (VLST)은 1년 이상으로 분류 하였다. 스텐트 세대별 (시장 출시와 스텐트 디자인, Polymer 향상에 따른) ST발생빈도, 임상 양상 및 예후를 알아보았다. 2003년 6월부터 2013년 6월까지의 전남대학교병원 심혈관센터에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은 10,273명 중 ST 발생은 134명(1.30%) 이었다. 세대별 발생빈도는 1세대에서 81명 (0.79%)으로 높았으며, 세대별 ST 유형은 1세대에서는 VLST의 발생률이 높았고 (p=0.002), 2세대에서는 EST와 LST의 발생률이 높았지만 (p=0.025), 3세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78). ST로 인하여 사망한 14명은 EST 10명 (18.2%), LST 2명(8.3%), VLST 2명 (3.6%)로서 EST에서 사망률이 높았다 (p=0.042). DES 시술 후 발생하는 ST는 1.3%이였고, VLST는 1세대 스텐트에서 많았으며, 입원 중 사망률은 EST에서 높았다. Stent thrombosis after successful drug-eluting stent(DES) implantation has been reported in around 1% of patients in clinical trials. However, the increased risk of ST associated with DES remains a matter of concern. From 1 June 2003 to 30 June 2013, we investig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in-hospital outcomes in 10,273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the Heart Center of CNUH. Overall incidence of ST was 1.30% (134 patients). The incidence of ST according to the stent generations and the timing of ST (n= total, early vs. late vs. very late) were 0.79% (n =81, 26 vs. 12 vs. 43) in first-generation, 0.38% (n=39, 21 vs. 9 vs. 9) in second-generation and 0.14% (n=14, 8 vs 3 vs. 3) in third-generation, (p=0.70). The mortality from 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arly ST group compared to the late and very late ST groups (18.2% vs. 8.3% vs. 3.6%, p=0.042). Overall incidence of ST after DES implantation was 1.30% (134 patients). The in-hospital mort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arly ST group compared to the late and very late ST groups.

      • KCI등재후보

        CT 검사에서 대동맥박리(aortic dissection)의 발생빈도에 관한 고찰

        동경래(Kyung-Rae Dong),최성관(Sung-Kwan Choi),장영일(Young-Ill Jang),노상호(Sang-Ho Ro)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8 방사선기술과학 Vol.31 No.2

          목 적: 혈관의 내층과 외층을 급속히 해리시키는 예후가 매우 위험한 질환으로 대동맥 박리증(aortic dissection)의 임상적 진단을 위해 CT를 시행하여 대동맥 박리 증으로 판명된 환자 수와 연령별로 발생 빈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BR>  방법 및 대상: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2년간 C대학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CT를 시행한 환자 112명을 대상으로 연도별로 증감 추세를 조사해 보고, 성별, 연령별, 진료과별로 조사 해 보았으며, 정확한 관찰을 위해 CT scan 후의 재구성 영상인 MIP와 SSD 그리고 VRT영상을 획득하여 CT와 일반 Chest PA 상을 비교하여 결과를 조사 연구하였다.<BR>  결과 및 결론:<BR>  1. CT를 시행한 환자 112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검사건수는 2005년도 37명으로 41.9%를 보였고, 2006년도는 65명으로 58.1%로 2005년에 비해 2006년에 1.4배 증가되었다.<BR>  2. CT를 시행한 환자의 성별분포는 남성이 45명으로 40.1%, 여성이 67명으로 59.9%를 차지하고 있고 남성 45명 중 대동맥 박리증 환자는 9명으로 20%, 여성은 67명 중 21명으로 31.3%로 대동맥 박리증 환자가 남성에 비해 여성이 1.6배 많이 발생되었다. 또한 검사자 수도 남성에 비해 여성이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BR>  3. CT를 시행한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30세 미만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으며 41세에서 80세까지가 전체에 88.3%를 차지하였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대동맥 박리증 질환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발생빈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BR>  4. CT를 의뢰한 과는 응급의학과에서 46명(41.1%), 순환기 내과에서 37명(33.0%), 흉부외과에서 13명(11.6%), 기타 과에서 16명(14.3%)으로 응급의학과와 순환기내과가 전체의 74.1%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동맥 박리증 질환의 환자는 주로 응급실로 내원하는 매우 위험한 질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BR>  5. 대동맥 박리 환자 30명 중 22명(73.3%)은 일반 X-ray상 정상으로 판독되었고, 8명(26.7%)만이 일반 X-ray상 이상소견이 나왔다. 따라서 대동맥 박리 질환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CT를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Aortic Dissection is very dangerous, prognostic disease, which the bloodstream flow out of the true lumen of the aorta by the bursting of aortic intima resulting in a rapid dissociation of inner and outer layer from the media. It is difficult to diagnose aortic dissection clinically by normal X-ra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frequency by age and number of patients who are identified to be aortic dissection by CT(Computed Tomography) scan.<BR>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the trend of yearly fluctuation, gender, age, and department of clinical research of the 112 patients who conducted CT scan in C- University Hospital for two year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6. The MIP and SSD which reconstructed CT image and the VRT image were obtained for the accurate observation. The result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normal X-ray and CT scan.<BR>  Results and Conclusion:<BR>  1. The yearly check of 112 patients conducted CT scan showed 37 people(41.9%) in 2005, and it was increased to 65(58.1%) in 2006 by 1.4 times.<BR>  2. The gender distribution of patients given a CT scan showed 45 males(40.1%), and female 67(59.9 %). The aortic dissection patients were 9(20%) out of 45 males, 21(31.3%) out of 67 females and women were 1.6 times more than men. Women are also 1.5 times more than men in the number of examinee.<BR>  3. The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who conducted CT scan revealed that there was no patient under 30 years old while 88.3% of all patients were through 41 to 80 years old. The higher the age was, the higher the occurrence of aortic dissection was. The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frequency of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BR>  4. The departments that requested CT scan were the emergency department 46(41.1%), circulatory internal medicine 37(33.0%), chest surgery 13(11.6%), and others 6(14.3%). The combined ratio of emergency medicine and circulatory internal medicine was 74.1% of all. The results show that the aortic dissection is a very dangerous disease whose patients visit mainly via the emergency room.<BR>  5. The aortic dissection patients had normal X-ray readings in 22(73.3%) out of 30, and only 8(26.7 percent) are abnormal in the X-ray diagnosis. Therefore, the CT scan needs to be enforced in order to assess accurately the disease of aortic dissection.

      • KCI등재후보

        약물용출 스텐트를 이용한 관상동맥중재술 후 재협착의 독립적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김인수(In-Soo Kim)한재복(Jae-Bok Han),장성주(Seong-Joo Jang),장영일(Young-Ill J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0 방사선기술과학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약물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에 관한 독립적 인자를 확인하고 MDCT로 측정된 calcium score가 재협착 발생의 예측인자로써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6년 5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MDCT상 관상동맥 협착이 발견되어 약물 용출 스텐트를 삽입 받은 환자 1,131명 중 추적검사로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되었던 178명(남자 159명, 여자 19명, 평균 연령 61.7, 연령분포 51~71세), 190개소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재협착 여부에 따라 두 군(비협착군 133병변, 재협착군 57병변)으로 나누어 비교 ․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상진단명은 진구성 심근경색이 비협착군 3예(2.3%), 재협착군 5예(8.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0.040), 급성 심근경색증, 불안정 협심증, 안정 협심증의 유병률은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에서 병변 혈관의 위치는 재협착군에서 좌주간지 병변이 더 많았다(0.8% vs. 5.3%, p = 0.047). 스텐트 직경은 재협착군에서 유의하게 작았으며(3.3±0.4 mm vs. 3.1±0.3 mm, p = 0.004), 스텐트 길이는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상 혈관의 초기 협착 정도는 재협착군에서 더 심했으며(86.1±11.4% vs. 91.5±9.2%, p = 0.001), 복잡 병변(B2/C형)은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연령은 재협착군에서 더 높았고(60.2±9.9세 vs. 65.8±9.0세, p = 0.0001), 흡연력과 고지혈증은 비협착군에서(42.1% vs. 19.3%, p = 0.003, 23.3% vs. 8.8%, p = 0.019), 그리고 당뇨병은 재협착군에서 많았다(21.8% vs. 52.6%, p = 0.0001). 심초음파로 측정한 좌심실 구혈률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MDCT coronary artery calcium scoring는 비협착군 371.2±500.8, 재협착군 389.3±458.3로 차이가 없었고, 목표혈관과 좌주간지, 좌전하행지, 좌회선지 및 우관상동맥 각각의 calcium score 역시 양군 간 차이가 없었다. 다 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좌주간지병변(OR = 168.0, 95% CI = 7.83-3,604.3, p = 0.001), 남성(OR = 36.5, 95% CI = 5.89-2,226.9, p = 0.0001), 당뇨병의 존재(OR = 2.62, 95% CI = 1.071~6.450, p = 0.035)가 약물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이었다. 따라서 관상동맥 협착에 대해 약물용출 스텐트를 삽입 받은 환자에서 스텐트 내 재협착의 발생은 좌주간지병변, 남성, 당뇨병의 존재와 관련이 있었으나, MDCT로 측정된 calcium score는 재협착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로써 기능은 없었다. We sought to confirm an independent factor about in-stent restenosis (ISR)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drug-eluting stent (DES) and know a possibility as a predictor of measure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by MDCT. A total of 178 patients (159 men, 61.7±10.0 years of age) with 190 coronary artery lesio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ut of 1,131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with DES implantation for significant stenosis on MDCT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2006 and May 2009. All lesio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the presence of ISR : group I (re ISR, N = 57) and group II (no ISR, N = 133). Compared to group II, group I was more likely to be older (65.8±9.0 vs. 60.2±9.9 years, p = 0.0001), diabetic (21.8% vs. 52.6%, p = 0.0001), have old myocardial infarction (8.8% vs. 2.3%, p = 0.040), left main stem disease (5.3% vs. 0.8%, p = 0.047), and smaller stent size (3.1±0.3 mm vs. 3.3±0.4 mm, p = 0.004). Group II was more likely to be smokers (19.3% vs. 42.1%, p = 0.003), have dyslipidemia (8.8% vs. 23.3%, p = 0.019).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esion complexity, and stent length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otal CAC score was 389.3±458.3 in group I and 371.2±500.8 in group II (p = 0.185).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CAC score in the culprit vessel, left main stem,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eft circumflex artery, and right coronary artery.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left main stem disease (OR = 168.0, 95% CI = 7.83-3,604.3, p = 0.001), male sex (OR = 36.5, 95% CI = 5.89-2,226.9, p = 0.0001), and the presence of diabetes (OR = 2.62, 95% CI = 1.071-6.450, p = 0.035)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ISR after DES implant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DES implantation for significant coronary stenosis on MDCT, ISR was associated with left main stem disease, male sex, and the presence of diabetes. However, CAC score by MDCT was not a predictor of ISR in this study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