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영재 심화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교사와 영재아의 평가 비교 연구

        장영숙(Youngsook Jang),조석희(Seokhee Cho) 한국영재학회 2000 영재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valu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degree of students' improvement in terms of creativity after participating in enrichment programs for the gifted. Two topics in each of the Language Art and Mathematics were implemented to gifted students in grade 2 and 3 in one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Kyung-Ki province and one private gifted education center for 12 times during the summ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young gifted students could monitor their performances very well and the evaluation of their creativity were consistently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ir teachers who taught them. They were significantly more positive regarding their creativity in mathematics than in Language Art. The results imply that young gifted children can evaluate their creativity reliably and consistently. Therefore, the teachers should try to understand and consider their own evaluation about their creativity in plann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gifted. In the following studies, it is necessary to have pro- and post-test data on creativity collected by diverse methods and to include older students as subjects to see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generalizable to older students.

      • KCI등재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다중지능과의 관계 연구

        장영숙(Jang You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다중지능이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다중지능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남아는 논리수학 지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는 공간 지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 지능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서 낮게 나타났다. 남아와 여아간에 다중지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논리수학 지능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 지능, 공간 지능, 언어 지능, 대인 지능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다중지능을 분석한 결과, 남아와 여아 어머니 모두에게서 대인지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연 지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다중지능의 관련성을 탐색한 결과, 유아의 다중지능의 모든 영역과 어머니의 다중지능의 모든 영역 간에는 상호 의미있는 상관이 있었으며, 유아의 다중지능의 각 영역은 그 해당 영역에서의 어머니의 다중지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MI) and their mothers' multiple intelligences(MI). Subjects were 248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Seoul.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were measured by MIDAS for Kids, and mothers' multiple intelligences were measured by MIDAS. Data was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le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 in logical 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the lowest score in naturalist intelligence. On the other hand, female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 in spatial intelligence and the lowest score in naturalist intelligence. When female children and male children were compared in eight areas of intelligences, female children represented more high abilities in linguistic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while male children showed the high score in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Second, mothers of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 in interpersonal intelligence. Naturalist intelligence was the weakest intelligence for them. Thir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and mothers' multiple intelligences represented that the eight areas of intelligen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each ocher. Fourth,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in each area of multiple intelligences was affected by their mothers' intelligence in the same area.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관심사에 따른 총체적 언어교수법의 신념과 실제의 차이 연구

        장영숙(Jang YoungSook),황윤세(Hwang Yoonse),최미숙(Choi Mi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유치원 설립유형에 따라 교사의 관심사와 총체적 언어교수법에 대한 신념과 실제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교수활동에 대한 이해 및 효율적인 교사교육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광주ㆍ전남지역의 유치원교사 214명을 선정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유치원교사의 관심사는 총체적 언어수법에 대한 신념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못했다. 둘째, 전체 교사와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교사의 관심사 중 성숙관심사가 교사의 총체적 언어 교수법의 실제를 의미 있게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생존, 강화, 갱신, 성숙관심사 집단 모두, 관심사가 높은 집단에서 총체적 언어 교수법의 신념점수보다 실제점수가 높게 나타나 기관유형별로 교사의 관심사 정도에 따라 총체적 언어교수법에 대한 신념과 실제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concerns and the whole language approach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were 214 kindergarten teachers in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Kindergarten teachers' concern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predicting teachers' belief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nterestingly,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maturity concer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predicting teachers' practice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n addition, in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groups which show higher scores in survival, consolidation, renewal and maturity concern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lief and practice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들의 자아개념과 교사역할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장영숙(Jang You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개념이 교사역할에 대한 인식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3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졸업반 학생들 134명이다. 연구결과, 예비 유아교사들의 자아개념은 가족 자아개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 자아개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예비 유아교사들은 일과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을 가장 높게 평정하였으며,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역할을 가장 낮게 평정하였다. 또한,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교사역할에 대한 인식도 높았는데, 특히 정체 자아개념은 다양한 영역의 교사역할에 대한 인식과 의미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recognition of teacher’s role in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34 would-be graduat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ho were engaged in three-year-course college and four-year-course university located in K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was measured by using the instrument originally developed by Song(l997). The questionnaire invented by Cho and Saracho(1997) was also used to measure teacher’s rol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elf-concept had a highest score while emotion self-concept showed a lowest sc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year-course preservice teachers and four-year-course preservice teachers in physical self-concept, emotion self-concept, identity self-concept, and academic self-concept, and total self-concept score. Second, three-year-cours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counselor as the most important role, while four-year-course preservice teachers strongly emphasized the teacher’s role of a daily activity plann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ree-year-course preservice teachers and four-year-course preservice teachers i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role as a curriculum designer.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the recognition of teacher’s role. Especially, identity self-concept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the recognition of teacher’s role.

      • KCI등재

        일반논문 : 유치원 기관유형별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역할수행의 관계

        장영숙 ( Youngsook J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기관유형(공립, 사립)에 따라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역할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유치원 기관유형별로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역할수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297명(공립유치원 교사: 142명, 사립유치원 교사: 155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 정도는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공립과 사립유치원 경우 모두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역할수행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공립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하위변인 중 자기효능감과 자율성은 창의적 역할수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립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하위변인 중 의사결정과 자기효능감은 창의적 역할수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powerment and creative performance by kindergarten type. The subjects were 297 kindergarten teachers that were comprised of 141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155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empowerment.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d higher scores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empowerme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creative performance.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d higher scores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creative performance. Third,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empower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creativ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was predicted by their self-efficacy and autonomy, while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was predicted by their decision-making and self-efficacy.

      • KCI등재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의 매개효과

        장영숙 ( Jang Youngso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공립과 사립 유치원 9곳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2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질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공분산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 자기조절력, 또래유능성, 유치원 적응의 최종 구조적 관계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지능은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 그리고 유치원 적응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도 유치원 적응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은 의미있는 매개변인이었다.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치원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더불어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도 함께 높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kindergarten adjustment in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258 children who attended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Incheo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 SPSS 25.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significantly affected self-regulation, peer competence, and kindergarten adjustment positively and that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kindergarten adjustment positively.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ed their kindergarten adjustment indirectly through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The study revealed that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were significant mediators of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kindergarten adjustment in young children. To support young children’s kindergarten adjustment, educators should make efforts to enhance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peer competence as well as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주도적 그룹게임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푸름 ( Pureum Kim ),장영숙 ( Youngsook Ja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주도적 그룹게임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M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이다. 실험집단은 8주 동안 매주 2회씩 총 16회에 걸쳐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주도적 그룹게임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교사 주도적 그룹게임을 제공하여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조망수용능력 전체와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영역인 타인의 의도조망, 타인의 사고조망, 타인의 감정조망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창의성 전체와 창의성의 하위영역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서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게임 활동을 실시 할 때, 교사 주도적인 그룹게임 활동보다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주도적인 그룹게임 활동을 더 많이 제공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효과가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ildren-directed group games using picture book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and creativity.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50 five-years-old children in M Kindergarten located in Incheon. Among them, 25 young children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25 young children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children-directed group games using picture books 16 times for 8 week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carried out the teacher-directed group gam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 18.0 program. The study finding a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young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aking abilities of other’s intention perspective, other’s thought perspec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 that were the subfactors of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cre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that were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directed group games using picture books gav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and creativity. The stud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ot of children-directed group games using picture books in order to enhance young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and creativity.

      • KCI등재후보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가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윤 ( Jiyoon Kim ),장영숙 ( Youngsook Ja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가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J유치원 만 4세 유아 40명이다. 실험집단의 유아 20명은 10주 동안 매주 2회씩 총 20회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를 하였으며, 비교집단의 유아 20명에게는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가지 방법으로 놀이가 이루어지거나 단순한 구조적 놀잇감을 이용하여 놀이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는 유아의 놀이성 및 놀이성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는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여러 흥미영역에서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하여 구성놀이를 진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비구조적 놀잇감을 더 많이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four-year-old children in P kindergartens located in Ansan city, Gyeonggi Province. Among them, 20 young children were assigned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20 young children were assigned in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20 times for 10 week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layed by using the unstructured play materi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 21.0 program. The study findings a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cluding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and sense of humor.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layfulness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ity including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 Theref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affects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creativity. The stud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diverse unstructured play materials in order to enhanc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ity.

      • KCI등재후보

        LT협동학습을 통한 갈등상황 극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김진희(Jinhee Kim),장영숙(Youngsook J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LT협동학습을 통한 갈등상황 극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대인문제해결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두 곳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6명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실험집단 23명의 유아에게 10주 동안 매주 2회 총 20회 대집단 활동 시간에 LT협동학습 모형을 통한 극놀이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 23명의 유아에게는 갈등상황 동화를 듣고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T협동학습을 통한 갈등상황 극놀이를 실시한 결과,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영역인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T협동학습을 통한 갈등상황 극놀이는 대인문제해결사고 전체와 하위 영역인 대안적 해결사고, 결과예측사고, 수단-목적 사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LT협동학습을 통한 갈등상황 극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대인문제해결사고의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education fields by investigating how the conflict structured dramatic play applying LT (Learning Together) Cooperative Learning Model affects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6 five-year-old children in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wenty-three children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remaining 23 children were assigned to a comparative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flict structured dramatic play applying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implemented 20 times for 10 weeks. For the comparative group, the activities with the conflict structured storytelling and discussion were implemen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children fro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cores than the children from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domain of pro-social behavior including leadership, helping, communication, proactive consideration, attempting to approach, sharing, empathy and controlling.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domains except causative thinking between the two groups. The children fro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hildren from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domain of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including alternative solution thinking, sequence prediction thinking, and means-goal thinking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conflict structured dramatic play applying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s may help to increase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 KCI등재

        전통놀이에서의 강제결합법 적용이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문지현 ( Mun¸ Jihyeon ),장영숙 ( Jang¸ Youngso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놀이에서의 강제결합법 적용이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H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4세 2학급을 각각 실험집단(20명)과 비교집단(20명)으로 선정하여 총 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은 10주 동안 주 2회씩 총 20차시의 강제결합법을 적용한 전통놀이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기존의 일반적인 전통놀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검사의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유아는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창의성 전체 점수와 하위 구성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유아는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놀이성 전체 점수와 하위 구성요소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성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 감각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전통놀이를 실시할 때, 창의적 사고기법 중 하나인 강제결합법을 적용하면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pplying the forced relationship technique to traditional play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layful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four-year-old children attending two classes of a public kindergarten in Gyeongido. The 20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raditional plays by applying the forced relationship technique twice a week for ten weeks. The 20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performed ordinary traditional play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ANCOVA using SPSS 22.0.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cre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four subfactors of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playfulness.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bett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on the five subfactors of playfulness: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sense of hum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pplying the forced relationship technique to traditional plays could be effective means of enhanc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layfu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