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결된 정물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장연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동결된 정물의 사진 이미지 표현에 관한 작품과 그에 따른 이론 및 참고 작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정물사진을 거론하기에 앞서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서양 정물화의 개념과 역사를 알아보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장 밥티스트 시메옹 샤르댕(Jean Baptiste Simeon Chardin), 폴 세잔느(Paul Cezanne),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등 작가들의 주요 작품을 분석한다. 정물화는 작가 의도대로 소재를 선택하고 배열하고 공간에 어떻게 표현하는 문제나 형태와 색의 배열로서 정교한 균형을 이루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족 할 때까지 실험을 할 수 있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조형사가 생길 때마다 이것을 드러내는 방법의 하나로 정물화가 그려졌다. 그리고 1827년 사진사의 첫 장면이 정물로서 기록된다. 지금은 사라지고 도판으로만 남은 조셉 니세포르 니엡스(Joseph Nicephore Niepce)의 <식탁> 혹은 <정물>이란 이름의 엘리오그라프(L'heliographie)이다. 초창기 사진가들은 정물적 구성을 통해 자신들이 새롭게 탄생시킨 이미지가 예술적 감성으로 보이기를 원했다. 사진은 본질적으로 그 시대의 문화적 풍토와 관련을 갖는다. 1920년대 사진매체 자체가 발명될 당시의 상황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초기 정물 이미지는 사물의 형각이나 음각만 구분되는 정도였다. 1920년대 이후 현대 정물사진의 경향은 크게 미국의 순수사진과 독일의 신즉물주의로 대표된다. 순수사진과 신즉물주의는 피사체를 심도있게 세밀한 부분까지 재현하고 정물을 통해 작가 내면의 심상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사물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시선은 확연히 구분된다. 정물이 끊임없이 사진작가들에 의해 선택되는 이유는 인물이나 풍경 그 외에 다른 것들과 비교했을 때 형태가 단순하고 쉽게 식별이 가능하며, 시간과 공간적 제약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표현에 있어서도 대상의 가치 체제가 단일화 되어있지 않으므로 작가의 의도대로 다양하고 개인적인 표현이 가능하다. 현대 작가들은 정물을 통해 그 대상을 본질적으로 탐구하기보다는 상징화를 통해 작가의 내면과 이념을 표현해 내고 있다. 필립 퍼키스는 저서「사진강의 노트」에서 사진가가 열린 마음과 지성으로 사물을 충분히 관찰한 다음 그 주제를 온전한 매체로 기록할 때 우리가 ‘예술’이라고 부르는 무언가가 튀어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였다. 본 연구자는 예술사진에서 중요한 표현 대상인 정물을 통해 무의식 세계와 의식 세계를 투영시킨다. 오늘날 정물 사진은 디지털이라는 산업 시대에 기초를 두고 카메라를 이용한 표현과 컴퓨터를 통한 구성을 통해서 이미지를 새롭게 만드는 과정으로 변해왔다. 소재부터 촬영 방법, 출력의 과정까지 선택이 다양하게 폭이 넓어진 것이다. 이번 연구의 주요 표현 수단으로 마이크로 렌즈를 선택함으로서 피사체에 대한 직접적이고 객관적인 접근을 통해 대상을 상징화하며 단순한 현실과 사물의 재현이 아니라 본인의 주관적 이미지 표현을 시도하였다. 사물과 재현된 사진과의 관계는 작가의 주관적인 시각으로 연결된다. 작가의 사물을 표현하는 형태는 무언가를 연상하게 하여 상상의 세계로 들어가게 한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를 통하여 육안으로 보지 못하는 깊은 세계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얼음이라는 냉정하고 차가운 언어적 시각과 얼려진 오브제의 사진적 시각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고 영상화한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 오브제를 둘러싼 얼음의 단면적인 모습과 기포, 입자들이 꽉 차게 프레이밍하거나, 어는 특정한 일부분만 극대화하여 본인이 심상을 대변하는 이미지와 회상들을 결부 시킨다. This thesis is about the work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still-life photos and the theories and quoted authors. Before talking about the still-life of photography, I would like to mention the history and concept of the western still-life as the theoretical motive of my thesis that includes work analysis of Jean Baptiste Simeon Chardin, Paul Cezanne, Pablo Picasso, and so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till-life-paintings are a convenience that artist can pick the objectives to arrange and make several tries in different shapes and colors until the artist is satisfied. This is reason why Still Life was even taken as the very first work of the photography history in 1827. That is <La table servie> of Joseph Nicephore Niepce is which is now disappeared and remained only as a figure photographs of early years wanted to make their works look artificial and emotional as they created them with unanimated construction. Essentially, the photography is related with cultural background. The early still-life photography is developed from showing only the shapes or shadows to showing the culture of the era in 1920. After 1920s, the trend of the modern still-life can be divided 2 parts - Straight Photography and New Objectivity. Both of them also allowed the artists to express their emotion through the still-life detailed description. Especially, they have same photographic expression of detailed description construction and depth over naked ey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are totally different in the analyses view. The reason why the still-life photography is favored by the artist whose are not only to classify and include less culture meaning, but also have simple shape compared to a man or a landscape. Their strong points are easy to pick the material and to take picture whenever the artists want. At this moments, the photographer express their inside thought and idea using symbolizing method rather than researching essential of the object of still-life. Philip Perkis said in 「Teaching Photography」 that an 'art' is able to be created when the photographers see an objective sufficiently and record it as intact media. I would like to reflect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angle of view through the still-life that is important objective of the art work expression. Today, the still-life photographer has developed into an image of making photography as based on symbolized that are now variety of choices such as material process of printing and methods I tried to express my own subjective image by choosing micro lens on my works, not symbolizing the objectives directly and objectively and not representing the simple realities of life and objectives, of which the relationship is connected to photographer’s a subjective angle of view. Also, my own method of expressing objectives is associated with a certain imagination. Moreover, my works are concluded in 2 points using micro lens; the first point of works is to show the very detailed parts of the objective and the second is to create by the photographic view of frozen objet and frozen and linguistic view as a new image of ice. I also connected my life as images and old memories by the objective that showed texture of ice in a full frame iced parts and some specifically oversized iced parts.

      • 임금근로자의 고용불안이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장연주 부산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I attempt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age workers' job instability on the household income inequality by regions in Korea. For analysis of job instability, I employed two survival analysis techniques: the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to find the duration of continuous service and the probability of unemployment and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to estimate the determinants of job instability. And for the analysis of household income inequality I used two inequality decomposition methods: decompositions by factor components and regression-based decomposition by determinants of income. In this study, I used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waves 1 through 12 and work history data of wave 12.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the job instability analysis shows that the features of probability of unemployment are very different by workers' socio-economic and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Also the major factors of unemployment risk and hazard ratio are different by regions. Each regions' hazard ratio are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age structure, education structure, and gender as the factor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size of firm, labor union,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job status as the factor of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In general, the younger generation, workers with low level education, workers of household's mate, workers in small-business sector, and workers as a temporal employee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unemployment risk. While the middle aged workers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workers in larger enterprises with a labor union, workers in the construction, producer and social service industries, and workers as a regular position have a lower effects on unemployment risk. The various contributions of individual and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to explain the difference of unemployment risk by regions might be caused by the regional industrial and labor market structures. Busan's labor market has a higher instability of employment than other metropolitan regions, while the workers in Ulsan have relatively stable employment. Second, from the results of the household income inequality analysis, I also found difference contribution on the income inequality by income sources and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main worker. The various contribution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explain the inequality by regions might be caused by the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from the different industrial structures. Based on these findings, I can derive a policy implication that (1) national policy must target for regional specificity and individual hierarchy, (2) local governments should be more attention to ensure the job stability against unemployment risks in each region and (3) reducing the inequality in each region is important for the harmonized development of na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 유아 교사의 자아존중감, 회복 탄력성 및 교사효능감 간 관계

        장연주 광주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of early-childhood teachers, and examines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early-childhood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efficacy as well a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variables of teachers affecting the teacher-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correlation among self-esteem, resilience and teacher-efficacy of early-childhood teachers? 2. What is the effect of early-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and resilience on teacher efficacy?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total of 244 in-servic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class and are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s a tool for measuring self-esteem of early-childhood teachers, A research toold of Kang Jong-gu (1986), which standardized the self-esteem scale produced by Coopersmith (1967), was used. As a tool for measuring the resili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Korean resilience test tool (KRQ-53) translated and modified by Kim Ju-Hwan (2011) based on Reivich and Shatte (2003) 's Resilience Quotient Test(RQT) was used. As a tool for measuring teacher-efficacy of early-childhood teachers, A test tool, which revised to suit kindergarten teachers by Lee Bun-Ryoe(1999) based on Riggs and Enochs(1990)‘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TEBI)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or demographic analysis of the study subjects, and Cronbach α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resilience, and teacher-efficacy of early-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the early-childhood teachers influenced teacher-efficacy.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of early-childhood teachers The early-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sub-factor and teacher efficacy sub-factor, resilience sub-factor and teacher efficacy sub-factor, self-esteem sub-factor and resilience sub-factor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a early-childhood teacher, the higher the teacher's efficacy. Second, Early-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enhancing teacher-efficacy. Self-esteem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teacher-efficacy and sub-factors. Among these two factors, the influence of resilience was found to be greater. In conclusion,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resilience, and teacher-efficacy of early-childhood teachers, and self-esteem and resilience appear to be factors affecting teacher -efficacy. It suggeste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various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policy support to increase teacher-efficacy.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 및 교사효능감 간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개인의 내적인 변인에 대한 이해정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유아 교사의 자아존중감, 회복 탄력성, 교사효능감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2. 유아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공‧사립유치원에 재직하고 있으며, 학급의 담임을 맡은 현직 담임교사 총 244명이었다.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강종구(1986)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회복 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Reivich와 Shatte(2003)의 회복 탄력성 지수 검사(RQT)를 근거로 하여 김주환(2011)이 번역 및 수정한 한국형 회복 탄력성 검사 도구(KRQ-53)를 사용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한 과학 교수 효능감 검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TEBI)의 교사효능감 부분을 이분려(1999)가 유치원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시행하였고,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 ɑ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 회복 탄력성,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립한 연구 문제에 따라 도출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 및 교사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 하위요인과 교사효능감 하위요인, 회복 탄력성 하위요인과 교사효능감 하위요인, 자아존중감 하위요인과 회복 탄력성 하위요인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은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은 교사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인 중 회복 탄력성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 및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유치원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 증진을 통해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과 유형 연구

        장연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보험상품의 구조가 복잡·다양화되고 다양한 판매채널이 등장하면서 소비자는 보험 구매의사결정을 할 때 다양한 상품에 대한 방대하고 전문적인 정보를 탐색하고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되었다. 정부에서는 정보공시제도를 실시하는 등 정보제공 측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행 보험상품 정보공시제도는 실효성이 낮다는 한계점을 지적받고 있다. 이는 보험상품의 정보제공 정책이 주로 규제적 측면에서 정보제공자가 제공해야 할 의무에 대해 규정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시행되어 왔으며, 소비자에 대한 배려는 상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이다. 보험소비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 실효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정책의 대상자인 소비자의 입장에서 제도를 설계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 보험소비자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의사결정을 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활용하는지 등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의사결정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일반적인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왔으며, 보험 분야의 연구는 주로 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에서 서비스 품질, 소비자 만족 등 의사결정의 결과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소비자의 관점에서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을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기존의 연구들은 실제 보험소비자가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현상을 충분히 규명하지 못하고 있어 보험소비자의 적합하고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보험상품은 일반 재화와는 구분되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보험상품의 특수성으로 인해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은 일반적인 소비자 의사결정과정과 다를 수 있다. 또한,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은 상황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적 조건들과 실제 의사결정과정을 통합하여 살펴보는 맥락적 접근이 유용하다. 따라서, 보험소비자가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경험하는 현상을 소비자의 시각에서 맥락적으로 살펴보고 구매의사결정과정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제안하여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논의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험소비자가 의사결정과정에서 경험하는 현상의 맥락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맥락 안에서 개별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병용한 통합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먼저, 최근 3년 이내에 질병보장중점보험과 연금보험에 가입한 경험이 있는 의사결정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보험소비자가 처한 개인적 및 사회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고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적 및 감정적 현상에 대해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모형을 토대로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최근 3년 이내에 질병보장중점보험이나 연금보험에 가입한 경험이 있는 의사결정자 1,0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의사결정 전략을 기준으로 소비자를 유형화하여 유형별로 의사결정과정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유형별 특성은 무엇인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은 보험소비자가 처해 있는 상황적 조건 하에서 직면한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채택하고 수행하는 과정이었다. 보험소비자는 보험상품의 특수성으로 인해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보험 유통환경과 정보제공환경의 소비자친화성에 대한 인식의 수준에 따라 경험하는 어려움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 자신감, 관여도, 가용한 자원 등 각 소비자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경험하는 어려움이 완화되거나 가중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직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채택하는 적응전략도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보험소비자의 경험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구매의사결정을 위한 노력으로 귀결되었고 대리인과의 관계정립, 구매 후 만족·불만족, 구매 후 행동, 정부의 지원 및 업계의 개선에 대한 기대 등의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을 설명하는 데에는 소비자가 처한 상황적 요인에 따라 의사결정 전략을 수정하여 상황에 적응하는 방식으로 의사결정을 한다는 상황의존적 의사결정이론이 적합하며,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맥락적 접근이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보험소비자들이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채택하는 전략은 대면 유통채널의 활용, 비대면 유통채널의 활용, 소비자주도적 정보원천의 활용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고 구매하는 채널활용 전략과 의사결정의 연기·중단과 노력절감 의사결정 등 인지적 부담을 줄이려는 전략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결과는 보험소비자가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채택하는 전략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려는 욕구와 인지적 노력을 최소화하려는 욕구를 어떻게 절충했느냐에 따라 달리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은 행동론적 의사결정이론 중 비용편익적 접근법을 적용한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보험소비자들이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주된 현상은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이었으며,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주로 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정보전략을 취하고 있었으나 그 효과는 효율적이지 못했다. 보험소비자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각각 활용가능한 의사결정 전략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수행하지만 그 결과가 모두 바람직한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험소비자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구매의사결정과정의 어려움은 보험 정보제공정책의 총체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보험상품에 대한 정보제공은 특정 채널에 대한 개선만으로는 부족하고 보험소비자들이 주로 활용하는 정보채널에 대한 다각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은 보험상품의 특수성이나 보험 유통환경 및 정보제공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의해 가중되거나 완화될 수 있다. 이는 보험소비자가 인식하는 보험상품의 특수성의 수준을 낮춰주고 보험 유통 및 정보제공 환경을 소비자 친화적으로 조성해줌으로써 보험소비자가 구매의사결정 시 경험하는 어려움의 수준을 낮춰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보험소비자는 구매의사결정 시 활용하는 전략에 따라 완화되는 어려움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보험소비자가 직면한 어려움이 무엇인가에 따라 효과적인 의사결정 전략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이 완화되는 효과는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략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경험의 질에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즉, 같은 전략을 채택한다고 하더라도 전략을 수행하는 과정의 질이 의사결정과정과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보험소비자가 전략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경험의 질을 제고하는 방안이 보험소비자가 직면한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곱째,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은 구매의사결정에서 주로 활용하는 전략에 따라 비대면 유통채널 활용형, 대면 유통채널 활용형, 하이브리드형, 멀티채널 활용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의사결정과정의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유형별로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보험소비자의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한 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여덟째, 소비자 자신감, 관여도, 가용한 자원의 중재적 요인은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을 완화시키거나 가중시키는 데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며, 보험소비자들의 전략 선택 및 의사결정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이는 소비자 자신감과 관여도를 높임으로써 효율적인 의사결정의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가용한 자원을 충분히 제공해줌으로써 의사결정 전략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홉째,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은 일반적인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 차별적인 특성을 보였다. 보험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소비자가가 경험하는 공통적인 현상은 보험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이었으며 이는 보험상품의 특수성이 근본적인 원인이었다. 보험 구매의사결정과정의 중재적 요인은 각 범주에 포함되는 하위범주 및 개념의 내용이 일반적인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의 경우와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리인과의 관계 정립이나 전환비용에 대한 인식이 구매 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결과는 금융서비스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기존의 단편적인 연구결과를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 상황에 적용하여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해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둘째,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탐색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함께 사용하여 보험 구매의사결정과정의 특성이 반영된 새로운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셋째, 실제 보험소비자가 의사결정 시 활용하는 전략을 기준으로 소비자를 유형화함으로써 정책적 및 실무적 측면에서 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방안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정책적 및 실무적 측면과 후속연구의 측면으로 나누어 제언하였다. 정책적 및 실무적 측면에서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유형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 정책을 실시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보험상품관련 정보를 제공할 때에는 내용, 형식, 절차의 측면에서 소비자의 시각에 맞추어 설명의 의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보험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때 보험소비자가 인지하는 무형성을 낮춰줄 수 있는 정보제공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보험상품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소비자가 인지하는 복잡성의 수준을 낮추고 보험상품에 대한 보험소비자의 이해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대리인들이 보험비자와 의사소통을 할 때에는 소비자의 의사결정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접근을 통해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여섯째, 보험소비자에게 필요한 유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신뢰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의사결정을 회피하는 소비자 유형은 왜 의사결정을 회피하며 이러한 유형은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보험소비자가 어떤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어떤 전략을 활용하며, 그로 인해 어려움이 어느 정도 극복되었는지 등 어려움과 전략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보험상품 유형에 따라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보험이해력과 교육경험 등 보험소비자의 지식 및 경험관련 요인이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항공사의 친환경 이미지가 소비자의 항공사 재이용, 추가비용지불,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연주 韓國航空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항공 운송 활동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CO2의 배출량도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세계 운송 에너지의 95 %가 여전히 화석 연료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이에 항공사는 효율적인 연료 사용을 위한 연료 관리 프로그램 운영, 연료 소모율이 개선되고 탄소 배출량이 저감된 친환경항공기도입, 주기적인 항공기 엔진 물 세척 등 업계 특성에 맞게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다양한 친환경 활동을 통해 친환경 항공사라는 이미지 구축에 힘쓰고 있다. 소비자의 재이용 의도, 추가비용지불 의도, 구전 의도에 대한 연구는 서비스 산업분야 연구에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아 꾸준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 이미지가 소비자의 재이용 의도, 추가비용지불 의도,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친환경 만족도와 친환경 신뢰도에 의해 어떻게 매개되는지 연구된 바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극-조직-반응(S-O-R) 프레임 워크를 바탕으로 항공사들이 구축해 나가고 있는 친환경 이미지가친환경 만족도와 친환경 신뢰도를 통해 소비자의 재이용 의도, 추가비용지불 의도, 구전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앞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항공여행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의 일반 내국인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9년 5월 27일부터 2019년 6월 5일까지 약 10일 동안 실시하였고 350부를 배포하여 319부를 회수 하였으며, 불확실한 표본을 제외한 302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Ver 22.0을 사용하여 모형 적합도와 확인적 요인, 타당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은 항공사의 친환경 이미지가 소비자의 친환경 만족도와 친환경 신뢰도에 의해 항공사 재이용 의도, 추가비용지불 의도,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모델은 국제선 항공여행 경험이 있는 일반 내국인 여행객 302명의 샘플을 사용하여 경험적 사실을 토대로 한 행동의도를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항공사의 친환경 이미지는 항공사에 대한 친환경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사의 친환경 이미지는 항공사에 대한 친환경 신뢰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사에 대한 친환경 만족도는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항공사에 대한 친환경 만족도는 추가비용지불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항공사에 대한 친환경 만족도는 구전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항공사에 대한 친환경 신뢰도는 재이용 의도에 유의하지 않는 부(-)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항공사에 대한 친환경 신뢰도는 추가비용지불 의도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항공사에 대한 친환경 신뢰도는 구전 의도에 유의하지 않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항공사의 친환경 이미지는 항공사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과 태도를 형성하여 해당 항공사에 대한 재이용 의도, 추가비용지불 의도, 구전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지금까지 항공사의 친환경 이미지와 관련된 여러 연구가 있었지만, S-O-R 프레임을 활용하여 친환경 만족도와 친환경 신뢰도에 기인한 재이용 의도, 추가비용지불 의도,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지는 못했다. 본 논문은 소비자에게 인식된 항공사의 친환경 이미지가 주관적 개인 감정인 친환경 만족도, 친환경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감정에 기인하여 재이용, 추가비용지불, 구전 등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 것에 그 의의가 있다. 핵심어: 친환경 이미지, 친환경 만족도, 친환경 신뢰도, 재이용, 추가비용지불, 구전 의도

      •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 요인 분석 :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장연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통합학급 담임을 기피하거나 심리상 거부감을 가지게 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통합학급 담임을 기피하는 영역별(교수·학습, 행·재정, 생활지도, 구성원과의 사회적 관계)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교육경력, 통합학급 운영경험 유무)에 따라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요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대구·경북 지역 초등학교 교사 1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한 설문지 중 12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의 면담 자료 및 설문지를 바탕으로 본 연구목적에 맞는 문항을 선별하고 이를 재구성하였으며, 최종 연구대상인 125부의 설문지는 SPSS(ver. 2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교수·학습, 행·재정, 생활지도, 구성원과의 사회적 관계 4개 영역별 평균과 표준편차, 각 문항별 점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기피정도에 따른 기피순위를 분석하였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기피요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구체적인 차이는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기피수준은 전체적으로 중앙값인 ‘보통이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 기피순위를 살펴보면 교수·학습영역에서 기피수준이 가장 높았고 생활지도, 행·재정, 구성원과의 사회적 관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전체 평균 이상으로 나타난 기피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수·학습 영역에서 나타나는 기피요인은 장애학생의 수업참여 유도와 모둠활동 지도의 어려움, 장애학생으로 인한 교수·학습 활동 제한과 비장애아동의 상대적 방치, 수업준비의 부담,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의문, 전문가의 지원 및 도움 부족, 장애학생을 위한 평가기준 부재 및 교구·교재 부족이 있다. 생활지도 영역에 해당하는 기피요인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지도, 돌출행동과 안전사고 위험성, 행동수정 및 기본생활습관지도의 어려움, 사회성 기술지도 한계, 학급규칙 일관성 약화, 교내활동 참여유도, 사제동행 및 임장지도와 반복지도의 어려움이 있다. 행·재정 영역의 기피요인은 통합학급 자체업무 과중, 상담 및 고민해결 전문가 부재, 학교업무분장 배려 부족이 있으며, 구성원과의 사회적 관계 영역에서는 통합학급 학부모와의 관계와 교육주체간의 중간자 역할수행의 어려움으로 인한 기피요인이 있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하여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구성원과의 사회적 관계 영역에서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통합학급을 기피하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육경력이 21년 이상인 교사집단은 교수·학습 영역의 어려움으로 인해 경력 10년 이하 교사집단보다 통합학급 담임배정을 더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학급 운영경험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기피요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일반학급 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에게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연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지식이 미비한 현실을 감안하여 1급 정교사 이상의 전문성을 갖춘 경력교사가 통합학급을 우선적으로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요어 : 통합학급 교사,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 교수·학습 영역, 행·재정 영역, 생활 지도 영역, 구성원과의 사회적 관계 영역

      • 아버지의 부모역할만족도와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장연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satisfaction and discipline style on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The research subjects were 206 children aged 3-5 years old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s well as their fathers, who were evaluated through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parenting satisfaction of fathers, this study used the “Parenting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On-kang Cho and Bok-hee Cho (1994). Next, this study used Dong-hui Lee (2004)’s adaptation of “PSD (Parenting Style Dimension)” of Clazada and Eyberg (2002) to measure the fathers' discipline style as well as used Jung-ran Lee (2003)’s tool to measure the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examine the tendency of general variables in measurement variables.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hierarchical multi-level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discipline style on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r the general tendencies of fa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discipline style, and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fa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was “Yes” or higher, and fathers used the most logical explanations, coercive punishment, and neglect as the most common discipline styles. The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was higher than the median score.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fa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discipline style affected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In other words,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improved as parental role satisfaction increased and the discipline styles of logical explanation and neglect decreased. In conclusion, fa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discipline styl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본 연구는 아버지의 부모역할만족도와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3세∼ 5세 유아 206명과 그들의 아버지였다. 아버지의 부모역할만족도, 아버지의 훈육방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질문지로 측정하였으며 아버지들이 평정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측정변인의 일반적 변인의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부모역할만족도와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부모역할만족도와 훈육방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아버지의 부모역할만족도는 ‘그렇다’ 수준이상으로 높았고, 아버지의 훈육방식은 논리적 설명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강압적 체벌과 방임 순의 훈육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중간 점수보다 높았다. 둘째, 아버지의 부모역할만족도와 훈육방식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아버지의 부모역할만족도가 클수록, 아버지의 훈육방식 중 논리적 설명과 함께 방임 형태의 훈육방식이 적을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버지의 부모역할만족도와 훈육방식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 초등학교 인공지능 수업을 위한 언플러그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장연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이 일고 있고, 그 중심에는 인공지능 기술이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현재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자,동시에 다양한 분야에서 가장 많은 수요를 가진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생활 속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제품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으며, 기업은 빠르게 기술 혁신을 이루어내지 못하면 도태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렇게 기술의 발전이 국가의 당락을 좌우하는 시대에 들어섬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9년부터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에 대해 관해서는 센서의 동작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로봇의 움직임을 간단히 제어하는 정도에 그치게 되어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인공지능을 상상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초등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언플러그드 컴퓨팅 기법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인공지능 수업을 위한 언플러그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조사 단계, 분석 단계, 설계 단계, 개발 단계, 개선 단계로 총 5단계에 걸쳐 진행하였다. 먼저 조사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및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본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수정하는 데 의견을 준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관련 요구조사도 실시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조사 단계에서 학생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해내었다. 이와 함께 본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내용과 교수․학습 환경을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평가 방안을 설계한 뒤 차시별 프로그램의 개요를 설계하였다. 프로그램은 교수․학습 환경을 분석한 결과를 고려하여 총 6차시로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먼저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자료로는 학생용 활동지 및 교사용 교수․학습 과정안, PPT, 동영상 등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자료 개발 후에는 평가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전문가 평가와 소집단 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개선할 점을 도출하여 프로그램 개선에 반영하였다. 개선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은 일주일에 2차시씩 3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을 마친 후에는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및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기 위한 설문 조사와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은 전문가집단으로부터 효과성 및 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및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언플러그드 교육 프로그램을 예시로 하여,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면 학생들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춘 인재로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인공지능, 인공지능 수업, 언플러그드 컴퓨팅 * 본 논문은 2019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경조증 태도 및 긍정 예측 검사의 타당화 : 양극성 장애 증상과 기분 기복에 대한 통합적 인지 모형의 검증

        장연주 한양사이버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통합적 인지 모델(Integrative Cognitive Model: ICM; Mansell, 2007; Mansell, Morrison, Reid, Lowens, & Tai, 2007)은 내적 상태에 대한 모순적이고 극단적 긍정 및 부정 평가가 양극성 장애와 기분 변동을 설명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ICM을 기반으로 양극성 장애를 특징짓는 인지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로 개발된 것이 경조증 태도 및 긍정 예측 검사(Hypomanic Attitudes and Positive Predictions Inventory: HAPPI)이다. 본 연구에서 HAPPI를 대상으로 요인 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확인하고, 양극성 장애에 대한 경쟁 이론에 대비한 증분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1에서 성인 432명을 대상으로 서열 자료 분석에 최적화된 WLSMV(평균 및 분산 조정 가중 최소 제곱)추출과 Geomin 회전을 적용하여 HAPPI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요인 구조의 적합성을 성인 362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ICM과 부합하게 2요인이 얻어졌는데, 첫번째는 내적 상태에 대한 부정 해석 요인이었고, 두번째는 긍정 해석 요인이었다. HAPPI의 요인 구조는 통합인지모델 이론과 일치하였다. 4개월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 성인 225명에게 HAPPI, 현재(ISS, ASRM) 및 과거의 양극성 증상(MDQ, BSDS), 행동 활성화 체계 조절 곤란(Extended BIS/BAS) 그리고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 양식(RPA) 확장판 등을 실시하고, 상관 분석 및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HAPPI가 BIS/BAS나 RPA와 같은 경쟁 이론 변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양극성 증상을 유의하게 예측 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행동 활성화 체계 조절 곤란(Extended BIS/BAS),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 양식(RPA) 확장판, 양극성 스펙트럼 진단 척도(BSDS), 기분 장애 질문지(MDQ), 알트먼 자기평정 조증척도(ASRM), 내적 상태 척도(ISS)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적절한 수렴 및 준거 관련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양극성 장애의 핵심 인지를 측정하는 HAPPI가 과거 및 현재의 양극성 증상을 예측하는 증분타당도가 있음을 확인했다. 끝으로 HAPPI의 임상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현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 하였다. Validation of Hypomanic attitudes and Positive Predictions Inventory(HAPPI) : Verification of Integrative Cognitive Model of Bipolar Disorder and Mood Swings Chang , Yonjoo Department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Human Service Hanyang Cyber University The Integrative Cognitive Model (ICM; Mansell, 2007; Mansell, Morrison, Reid, Lowens, & Tai, 2007) proposed that ascribing personal, extreme appraisals to changes in internal state is key to the development of the symptom of bipolar disorders and mood swings. The Hypomanic Attitude and Positive Predictions Inventory (HAPPI) was developed to measure these appraisals, the characteristic cognition of bipolar disorders based on the ICM. I test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HAPPI and the incremental validity against the Competing theory for bipolar disorder. In Study 1, I applied WLSMV and Geomin rotation optimized for analyzing the ordinal data to perform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HAPPI, and the suitability of the models obtained through EFA was verified again through a confirmed factor analysis with 362 adults. As a result, two factors were revealed in line with the ICM, the first was the negative appraisal factor of the internal state and the second was the positive appraisal factor. In addition to the factor structure being consistent with the theory, HAPPI has shown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ipolar Spectrum Diagnostic Scale (BSDS), Mood Disorder questionnaire (MDQ), Altman Self-Rating Mania scale (ASRM), and Internal condition scale (ISS) to confirm appropriate convergent validity. In study 2, HAPPIs, present (ISS, ASRM) and past bipolar symptoms (MDQ, BSDS), extended BIS/BAS and Extended RPA were surveyed to 225 people, and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Korean version of HAPPI would significantly predict bipolar symptoms even after controlling competing theoretical variables such as BIS/BAS and RPA. The HAPPI, which measures the key cognitive mechanism of bipolar disorders, has identified an incremental validity that predicts past and present bipolar symptoms. Finally, the implications for clinical use of HAPPI were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