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알파 시뉴클린의 세포외 유출 경로와 세포 스트레스에 의한 분비 증가에 관한 연구

        장아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파킨슨병의 대표적인 병리학적 변화는 중뇌 흑색질의 도파민 신경세포의 선택적인 소실과 살아있는 일부 신경세포에 Lewy body라는 단백질 응집체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백질 응집체는 알츠하이머병과 인간 광우병 등 다른 퇴행성 신경질환에서도 중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파킨슨병에서 발견되는 Lewy body의 주요 구성 단백질인 alpha- synuclein은 주로 세포질에 분포하지만, 최근 연구에서 소량이 소포 내로 이동하고 이들은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alpha-synuclein보다 응집이 잘되며, 이 응집체는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alpha-synuclein은 세포외 유출에 의해 분비되고, 이는 세포의 스트레스 조건에 의해 유도된 misfolding된 alpha-synuclein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Alpha-synuclein이 과발현된 세포에 온도저하를 통한 세포외 유출 억제와 Brefeldin A로 conventional 세포외 유출을 억제하여 alpha-synuclein의 unconventional 세포외 유출을 확인하였다. 영양결핍과 단백질 분해기작 방해 등의 스트레스 조건에 의해 alpha-synuclein의 misfolding을 유도하였을 때 alpha-synuclein의 세포외 유출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을 억제하였을 때 alpha-synuclein의 유출은 줄어들지 않았으며 이 사실을 통해 유출되는 alpha-synuclein 단백질이 새로 형성된 결함이 있는 단백질이 아니라 여러 스트레스 조건에 의해 misfolding이 유도된 기존의 단백질일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위 결과들을 통해 alpha-synuclein의 misfolding으로 인한 응집과 unconventional 세포외 유출을 통한 세포밖 분비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구조와 이를 유도하는 세포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arkinson's disease (PD) is a common neurological disorder characterized by loss of dopaminergic neurons in midbrain and the accumulation of proteinaceous deposits called Lewy bodies. Accumulation of protein deposits is a common pathological features of many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Huntington's disease, and Creutzfeldt-Jacob disease. Alpha-synuclein is the major component of Lewy body, which could form amyloid-like fibrils both in vitro and in vivo. Alpha-synuclein protein is mainly a cytosolic protein in neurons and little amount reside in vesicles. However, recent reports have shown that a small portion of this protein could be transported into vesicles and secreted out of the cells and that vesicular alpha-synuclein is more prone for aggregation. In this study, alpha-synuclein secretion occured through unconventional exocytosis by using inhibitors of general exocytosis and Brefeldin A-sensitive conventional exocytosis. The amount of secreted alpha-synuclein and its aggregation increased in stress conditions which induced misfolding of the protein, such as serum starvation or inhibition of proteasome- or lysosome-dependent protein clearance pathways.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ease of alpha-synuclein was not dependent on new protein synthesis, and the secreted proteins were not newly synthesized defective proteins but rather proteins already exist in the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ocytosis of alpha-synuclein is closely related to cellular stress conditions that induce misfolding and aggregation of the proteins.

      • 헤어디자인 구성요소의 상호 영향력에 관한 연구(질감, 형태, 색채를 중심으로)

        장아라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utual influence of hair design components (texture, form, color) and provide basic data which would be used in planning hairstyles. For data collection, CTS II was modeled. In addition, an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uch influence. For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ir design components (texture, form, color) were extracted through a theoretical research and a screen survey. After examining the features and types of information measurement tools, a research tool was designed to enable the collection of hair design component information.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research tools, Delphi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during screen and preliminary surveys, reflecting experts’ opinions. Lastly,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research tools through a pilot survey, a main study was carried out.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cross the country from March 29 to April 19, 2021. A total of 720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were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n addition,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were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For statistical analysis designed to resolve research questions,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independent and mutual influences among variables. The data acquired through a hypothesis testing path were recollected and suggested in CTS II Texture, CTS II Form and CTS II Color table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texture on hair design, ‘prickly texture’ was the largest, followed by ‘soft texture’ and ‘rough texture’ while ‘smooth texture’ revealed a relatively low influence. In terms the overall influence of texture on color and form, ‘prickly texture’ and ‘soft texture’ revealed high influence while a low effect was found in ‘rough texture’ and ‘smooth texture’. However, it would be useful to refer to specific influence when creating more professional styles. Second, in terms of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form on hair design, ‘triangle’ and ‘square’ were high while ‘round’ revealed a relatively low influence. Compared to ‘square’ and ‘triangle’, ‘round’ showed a lower effect. In terms of influence by texture and color, however, ‘round’ would have the most understandable influence. However,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form by color/texture were confirmed. For more elaborate styles, it is needed to refer to each influence. Third, in terms of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color on hair design, ‘blue’ was the largest, followed by ‘green’, ‘brown’, ‘black’ and ‘red’. However, such independent influence also differed depending on texture and form.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hair design components diff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utual components, which implies that it is required to apply such elements with understanding of their influence. This study suggested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mutual influence of hair design elements (texture, form, color) in CTS II Texture, CTS II Form and CTS II Color tables. In applying the influence of such hair design elements, it might be necessary to check the influence first and collect and apply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focused on hair design elements so that it has a limitation in explaining diverse hair design. In addition, it is not enough as an absolute alternative concerning personality, self-satisfaction or self-achievement. Therefore,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which can make up for such issue, and it is anticipated that a systematic system would be established for hair design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diverse aspects. 본 연구는 헤어디자인 구성요소 질감, 형태, 색채의 상호 영향력을 알아보고 디자인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인 ‘헤어디자인 구성요소의 영향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측정 도구 ‘CTSⅡ'를 모델링하였으며, 디자인요소의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연구 범위인 헤어디자인 요소 질감, 형태, 색채의 특성을 이론의 연구와 선별조사를 통해 추출하였고,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들의 기능과 유형을 살펴서 디자인요소들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연구 도구를 설계하였다. 연구 도구의 타당성을 수립하기 위해서 선별조사와 예비조사 과정에 델파이기법과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였고 최종적으로 예비조사를 진행하여 연구 도구의 신뢰성을 확인한 후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조사는 2021년 3월 29일부터 4월 19일까지 국내 전 지역에서 진행되었으며, 설문조사서 720부를 통계프로그램 SPSS 24.0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여 측정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상관분석을 통해 변수 간에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계분석은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변수 간의 ‘독립적인 영향력’과 ‘상호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고, 가설검정 경로를 지표 삼아 분석된 자료는 그 내용을 다시 취합하여 ‘CTSⅡ질감, CTSⅡ형태, CTSⅡ색채’의 표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에 질감이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력은 까칠한 질감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며, 그다음 부드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이 영향력을 보이고, 매끄러운 질감은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력을 보였다. 질감이 색채와 형태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력은 까칠한 질감과 부드러운 질감은 높은 영향력을 보이고 거친 질감과 매끄러운 질감은 낮은 영향력을 보이지만 보다 전문적인 디자인을 연출할 때는 세부적인 영향력을 참고하는 것이 유용해 보인다. 둘째. 디자인에 형태가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력은 삼각형과 사각형의 영향력이 높고, 원형은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력을 보였다. 원형은 사각형과 삼각형에 비교하였을 때는 낮은 영향력을 보였지만 질감과 색채에 따른 영향력을 참고하면 형태의 특성 중에 가장 무난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보인다. 그러나 색채와 질감의 영향을 받은 형태의 영향력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보다 정교한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영향력을 참고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디자인에 색채가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력은 파랑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이고 그다음 초록과 갈색이 높은 영향력을 보이며, 그다음으로는 검정, 빨강의 순서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독립적인 영향력도 형태와 질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헤어디자인 구성요소의 영향력은 상호 요소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러므로 디자인 설계에서는 요소들의 영향력을 알고 적용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헤어디자인 요소 질감, 형태, 색채의 상호 영향력에 분석결과는 ‘CTSⅡ질감, CTSⅡ형태, CTSⅡ색채’의 표로 정리하여 본론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디자인 설계에서 구성요소들의 영향력을 적용할 때는 각각의 요소의 영향력을 먼저 확인하고 분석 내용을 종합적으로 취합한 후에 적용하는 것이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헤어디자인 요소에 초점을 두는 연구로 진행되어서 다양한 디자인을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고, 헤어디자인 안에서도 사람들이 갖고 있는 개성이나 자아만족감 또는 자아성취감과 같은 사안에 절대적인 대안으로 보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요구되며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 디자인 활동에 체계적인 시스템이 마련되길 바란다.

      • Anti-obese effect of folium perillae extract : in 3T3-L1 cells and high fat diet-induced ICR mice

        장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Folium perillae extract (FPE) is used in Chinese medicine to treat a wide variety of ailments and in Asian cooking as a garnish. Leaf extract has shown anti-allergic, anti-inflammatory, and tumor-preventing effect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FPE on adipogenesis,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involved in lipid and energy metabolism in 3T3-L1 adipocyte in cell culture systems and on body weight gain and adiposity in mice fed a high-fat diet and treated with 300mg FPE/kg for 8 weeks. FPE (100, 250, 500 ?g/ml) suppressed 3T3-L1 differentiation, and FPE treated mice did not affect food intake but reduced body weight gain and adiposity in adipose tissue, which coincided with reduced expression of SREBP-1 and its target genes such as FAS, SCD-1 and GPAT. In addition, FPE significantly lowered serum TG, cholesterol, plasma glucose, plasma insulin and expression of PPAR-?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 (C/EBP?), 2 key transcription factors in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The FPE suppression of adipogenesis in adipose tissue together with its effect on lipid metabolism in adipocytes may contribute to lower body fat and body weight gain. Our findings suggest that FPE may have a potential benefit in preventing obesity.

      • 지역주민의 요구를 고려한 공공도서관의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장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급속한 산업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정보량이 급증하면서 현대 사회는 새로운 개념의 정보화 사회로 변모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정보 매체가 등장하였고, 컴퓨터 사용의 보편화와 함께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가 신속하고 쉽게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정보 환경 및 사회 환경의 변화는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형태의 정보이용방법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요구는 도서관의 환경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최근 지역문화 활성화의 개념이 강조되고 정보센터로서 공공도서관의 기능이 중시되면서 현대의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들의 문화˙교육 활동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현황은 다양한 기능의 공간배치에 있어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지 못하며 실내디자인 또한 획일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복합적인 기능들의 공간배치유형과 각 공간의 실내현황을 파악하고,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실내공간에 초점을 맞추어 요구사항을 파악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공간계획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례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사례조사대상으로는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공공도서관으로서 2000년 이후 건립되고 연면적 4,950m² 이상인 공공도서관 12개를 대상으로 각 기능별 공간배치, 가구배치, 디자인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설문협조가 가능한 6개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사용자 30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 1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t-test, One-Way ANOVA, Duncan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공도서관의 공간배치형태유형은 크게 건물형태, 입구 및 동선, 수직적˙수평적 상관관계로 분류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사례에서 교육˙정보˙문화기능이 하나의 층에 함께 배치되어 있는 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기능별로 살펴본 결과 문화기능만 독립되어 있는 문화분리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수평적 배치에서는 교육기능의 공간이 다른 공간과 연계되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가구배치특성을 살펴보면 종합자료실은 서가와 열람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정적인 형태의 열람중심형이 많았으나 사용자의 과반수 이상이 보다 자유로운 형태인 서가중심형을 선호하고 있어 현황과 일치하지 않았다. 문화강의실 역시 대부분 정적인 형태를 하고 있었는데 대부분 동향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자의 대부분이 단일대향형 또는 그룹대향형과 같이 마주보는 형태의 가구배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자정보열람실은 다른 실과 비교하여 자유로운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곳이 많았는데 실제로 사용자들도 정적배치형보다 동적배치형 또는 혼합배치형을 선호하는 경우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디자인특성을 살펴보면, 교육기능공간인 종합자료실과 문화기능공간인 문화강의실은 가구배치에 의해 모두 정적인 이미지가 나타났으며 주로 밝은 색상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단순한 이미지가 나타난 반면 정보기능공간인 전자정보열람실은 동적이고 현대적인 이미지가 나타났다. 전자정보열람실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간에서 실내이미지가 획일적이고 단순한 편으로 나타났다. 성별이나 연령에 따라 사용하는 공간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10, 20대는 주로 교육기능공간을 사용하는 반면 30, 40대는 주로 문화기능공간이나 정보기능공간을 사용하여 계층에 따라 사용하는 공간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공간별 만족도에서도 성별이나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의 만족도가 여성의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40대의 만족도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사용기능별 공간배치 선호유형을 살펴보면 교육기능 사용자의 경우 층별로 기능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배치하기를 선호하는 반면 정보기능 사용자와 문화기능 사용자의 경우 기능을 연계하여 배치하기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앞의 사례조사 결과와 같이 대부분의 도서관에서 교육기능과 다른 기능이 연계되어 있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선호도와 현황이 일치하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실내공간특성과 사용자의 만족도 및 요구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평면 형태나 면적, 창호 개구부 등 다양한 실내공간요소와 운영지침, 관리에 따른 실내공간특성을 조사하여 보다 세부적인 실내디자인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실내이미지조사에서 조명관계나 날씨, 사용된 재료의 재질감 등 실내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주변상황을 고려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공공도서관의 실내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fter the rapid advancement of the industrial and telecommunication sectors, society transformed into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Various mass media outlets appeared, and a wide range of people gained easy access to information through extensive computer usage. This change has brought a demand for a new method of accessing information, and brought changes to the environment of the library. Today's public libraries require a space to execute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local residents. However,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cannot accommodate the various functions thatthe users demand, and the interior design is uniform disregarding the preference of users.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look at the space design for various facilitie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terior, analyze the areas required by the users, and submit it as data in planning the space of public libraries.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research and survey. The floor plans for different facilities, arrangement of furniture, and interior design were researched from 12 public libraries built from Seoul and Gyeonggi-do after the year 2000 and with a floor space exceeding 4,950m². Also, 302 people from 6 consenting libraries answered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test in SPSS for Win 14.0.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The floor plans for public librar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shape of the structure, entr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forms. In most cases, the facilities for education, information, and culture were arranged together on one floor. In the cases where it was divided by function, the majority of libraries had their cultural center separated from the other facilities. In a horizontal arrangement, the majority of libraries had their educational centers connected with other areas. In terms of furniture arrangement, most libraries had a reading-oriented area that separated the bookshelves, but more than halfof the users preferred a bookshelf oriented area with a free arrangement of furnitures. The cultural centers were mostly set up as quiet areas with eastern exposures. However, most users preferred the furniture arrangement to create a two-way exposure so that people could face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in electronic data rooms tended to be freer in contrast with the other facilities, and the users also preferred a dynamic arrangement. The furniture arrangement in the general areas and cultural centers created quiet images, and had a simple look due to a bright finish. However, electronic data rooms were more modern and dynamic. With the exception of electronic data rooms, most interiors had a simple and uniform image. The education center was used by most participants of the survey. Half of the surveys were taken by students and people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most of them used the educational center. Categorized by age, people between the ages of 10 and 30 mostly used the educational center, while those in their 30’s preferred the cultural center, and people in their 40’s mainly used the data center. Looking at the preferred arrangement of space, users who were mainly interested in education supported an independent spacing where each centerwas separated. Contrarily, users of the data center wanted to connect the facilities together. However, most of the libraries did not meet these preferences as most of them only had the educational center connected with other facilities. Users of the electronic data rooms reporteda higher satisfaction rate compared to the users of the other facilities, while the cultural centers and audio-visual rooms had the lowest satisfaction rate.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such as males generally being more satisfied than females, and people in their 40’s reporting the highest overall satisfac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and the users’ satisfaction. However, a research should follow covering the space of the library, windows, doors, entrances, and other elements of the interior, in addition to a research dealing with the management of the library. Also, there should be an objective and professional research addressing the image of the interior by looking at the lighting, weather, and the quality of the materials used.

      • Development of edible coating method using natural antibacterial substances to improve the quality and microbiological safety of fresh-cut apples during cold-storage

        장아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냉장보관 시 신선절단 사과 제품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기 위해 신선절단 사과에 대한 새로운 보존방법으로 식용 코팅법을 개발하였다. 알긴산나트륨, 키토산, 알로에베라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라게난, 아라비아검, 젤란검, 카사바전분,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등 다양한 식용코팅 베이스 성분과 기타코팅 성분과의 결합을 평가한 결과, 감자전분이 신선절단 사과에 최적화된 식용코팅 베이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선절단 사과의 감자 전분 기반 식용 코팅액(PS)에 대한 최적 조건은 감자전분 1%, 아스코르브산 1%, 염화칼슘 1%와 글리세롤2%가 선택됐다. 다음으로, 식용 코팅액에 천연 항균제를 첨가했을 때의 품질 유지 및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신선절단 사과는 자몽씨추출물 또는 바닐린이 0, 0.25, 0.5, 1% 함유된 PS에 1분 동안 코팅하고 10˚C 에서 15일 동안 저장했다. 그 결과 바닐린1%가 포함된 PS을 이용한 처리는 총 호기성 세균, 대장균, 효모, 곰팡이, 저온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바닐린 0.5 %가 포함된 PS을 사용한 처리는 7일의 저온 보관 동안 신선하게 자른 사과의 물리적, 감각적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바닐린 0.5 또는 1%가 함유된 식용 코팅액은 냉장 보관 시 신선절단 사과의 품질 및 미생물 안전성 확보에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방법은 신선하게 잘린 사과 제품의 저장 수명을 연장하는 새로운 보존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study, an edible coating method was developed as a novel preservation method, the purpose of which is to extend the shelf-life of fresh-cut apple products during cold storage. To that end, various edible coating base ingredients including sodium alginate, chitosan, aloe vera gel, carboxymethyl cellulose, carrageenan, arabic gum, gellan gum, cassava starch, corn starch, and potato starch and their combination with other coating ingredient were evalu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 coating composed of 1% potato starch, 1% ascorbic acid (AA), 1% calcium chloride (CaCl2), and 2% glycerol was chosen as providing the optimal conditions for a potato starch-based edible coating solution (PS). Next,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into the PS was examined. Fresh-cut apples were coated with PS containing 0, 0.25, 0.5, and 1% of grapefruit seed extract (GSE) or vanillin (VA) for 1 min and stored at 10˚C for 15 d. It was found that treatment of PS with 0.5, 1% VA was effective at inhibiting the growth of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yeast, mold, and psychrophilic bacteria. Additionally, it was also found that treatments using PS with 0.5 or 1% VA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 physical and sensory quality of fresh-cut apples during cold storage for 7 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group, with regards the quality and microbial safety of fresh-cut apples, involved the use of PS containing 0.5 or 1% VA. Given its effectiveness, this method could be used as a novel preservation method that extends the shelf-life of fresh-cut apple products.

      • The role of Nod-like receptors in immune responses of neutrophils and gastric epithelial cell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장아라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s a gram-negative, microaerophilic, and spiral-shaped bacterium that colonizes the gastric mucosa. H. pylori contributes to chronic inflammation of gastric mucosa that can lead to chronic gastritis, peptic ulcer, gastric adenocarcinoma, and gastric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Nucleotide oligomerization domain (NOD)-like receptors (NLRs) are typical members of the cytoplasmic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PRRs) expressed on immune cells and non-immune cells. NL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 by recognizing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PAMPs) and 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DAMPs). 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 2 (Nod2) is a representative member of the NLR family that recognizes the bacterial peptidoglycan-derivative, muramyl dipeptide (MDP). Among the inflammasome NLRs, NLRP3 and NLRC4 are activated by detecting various microbial molecules, inducing the production of IL-1β and IL-18. Activation of Nod2 and the NLR-subset inflammasome regulates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for host defense against pathogens. The IL-1B gene polymorphism is well known in gastric cancer, and neutrophils are recruited by H. pylori infection and a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gastric cancer. However, the mechanism of IL-1β productionn in H. pylori-infected neutrophils is not well known.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H. pylori induced IL-1 production in immune cells such as dendritic cells and macrophages via NLRP3 inflammasome. Furthermore, recruitment of neutrophils and macrophages was regulated by IL-1β in the gastric tissues of H. pylori-infected mice. However, the mechanism of IL-1β production in neutrophils by H. pylori is still controversial. Moreover, studies on PRRs including Toll-like receptors (TLRs) and Nod1 in gastric epithelial cells during H. pylori infection have been reported. Some little is known of the role of Nod2, therefore whether host and bacterial factors involved in the role of the NLRP3 inflammasome and Nod2 on the innate immune response in neutrophils and gastric epithelial cell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host and bacterial factor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H. pylori-induced IL-1β production in neutrophils. Thioglycollate-elicited neutrophils (pNph) and bone marrow-derived neutrophils (BMNs) were isolated from mice and infected with H. pylori at the indicated dose and time points. H. pylori-induced IL-1β production was abolished in NLRP3-, ASC-, and caspase-1/11-deficient neutrophils. An inhibitor assay revealed that various extracellular signals, including ATP/P2X7R, potassium efflux,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and release of cathepsin B were involved in IL-1 production in H. pylori-infected neutrophils, suggesting essential role for NLRP3 inflammasome in IL-1β production against H. pylori infection. Host TLR2, but not TLR4 and Nod2, was also required for transcription of NLRP3 and IL-1β as well as secretion of IL-1β. H. pylori lacking cagL, a key component of the type IV secretion system (T4SS), induced less IL-1β production in neutrophils than isogenic WT strain. Moreover, T4SS was involved in caspase-1 activation and IL-1β maturation in H. pylori-infected neutrophil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host TLR2 and NLRP3 inflammasome and bacterial T4SS are essential factors for IL-1β production in neutrophils response to H. pylori. It was investigated whether other bacterial factors contributed to IL-1 production in neutrophils in response to H. pylori. It was found that FlaA was essential for H. pylori-mediated IL-1β production in neutrophils, whereas vacA and ureA were dispensable. However, IL-1 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FlaA in H. pylori-infected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 (BMD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 pylori flagellin limitedly induced IL-1 production in neutrophils. Moreover, FlaA was involved in priming and inflammasome activation of NLRP3 in H. pylori-infected neutrophils. TLR5 and NLRC4, representative receptors of flagellin, were not required for H. pylori-induced IL-1β production in neutrophils. Instead, bacterial motility was essential for the production of IL-1β in response to H. pylori.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otility of H. pylori flagellin is required for regulation of both priming and activation of NLRP3 inflammasome in neutrophils. Finally, the role of Nod2 was investigated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s of gastric epithelial cells.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Nod1 contributes to host defense against H. pylori infection, but the precise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Nod2 regulates host defense in gastric epithelial cells is unknown. Three human gastric epithelial cells (SNU638, MKN-45, and AGS) treated with MDP and H. pylori were used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Nod2 and Rip2, and downstream signaling pathway was identified. It was found that the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Nod2 and Rip2 were upregulated in MDP-treated human gastric epithelial cells. In addition, MDP induced NF-κB and MAPK-mediated IL-8 and antimicrobial peptide production in human gastric epithelial cells. Moreover, H. pylori induced the expression of Nod2 and Rip2 in a T4SS-dependent manner, but the expression was cell line-specific. Our findings suggest that Nod2 can regulate innate immune response in gastric epithelial cells. In conclusion, host TLR2 and NLRP3 inflammasome contributes to H. pylori-induced IL-1 production in neutrophils. In addition, T4SS and motility of flagellin are key bacterial factors that regulate IL-1 production in neutrophils in response to H. pylori. Moreover, Nod2 is involved in host immune response in gastric epithelial cells. MDP, a Nod2 agonist, induced Nod2-Rip2-mediated production of IL-8 and -defensin via activation of NF-κB/MAPK in human gastric epithelial cells. H. pylori also can induce IL-8 production in gastric epithelial cell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 exploring and preventing new treatment strategies for H. pylori infected diseases. Helicobacter pylori (H. pylori)는 그람 음성, 미세호기성의 나선형균으로 사람의 위장 질환의 원인이 된다. 노드 유사 수용체 (Nucleotide oligomerization domain (NOD)-like receptors, NLRs)는 대표적인 세포질 패턴 인식 수용체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PRRs)로 면역세포와 비 면역세포에서 발현된다. 노드 유사 수용체는 병원체연관분자패턴(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PAMPs)과 손상연관분자패턴(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DAMPs)을 인식하여 선천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노드 유사 수용체 중 하나인 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 2 (Nod2)는 세균의 세포벽 성분인 펩티도글리칸의 muramyl dipeptide (MDP) 부분을 인식한다. 노드 유사 수용체 중에서 NLRP3와 NLRC4는 다양한 미생물 분자를 인식함으로써 활성화된다. Nod2와 NLR 관련 수용체들의 inflammasome의 활성화는 병원균에 대한 숙주 방어를 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조절한다. 많은 연구에서 H. pylori는 NLRP3 inflammasome을 통해 수지상 세포와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 세포에서 IL-1β 생성을 유도한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H. pylori 감염 시 호중구에서의 IL-1β 생성 메커니즘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또한, H. pylori 감염 시 위상피세포에서 톨 유사 수용체 (Toll-like receptors, TLRs)와 Nod1을 포함한 패턴 인식 수용체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있지만 Nod2의 역할은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중구와 위상피세포에서 선천 면역 반응에 대한 NLRP3 inflammasome과 Nod2의 역할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호중구에서 H. pylori에 의한 IL-1β 생성에 관여하는 숙주와 박테리아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서 마우스에서 thioglycollate로 유도하여 복강 내 호중구를 분리하였고, 마우스 골수로부터 호중구를 분리하여 H. pylori를 지정된 농도와 시간 조건으로 감염시켰다. H. pylori에 의한 IL-1β 생성은 NLRP3-, ASC- 그리고 caspase-1/11-결핍 마우스로부터 얻은 호중구에서 완전히 감소하였다. 또한, NLRP3 inflammasome의 다양한 활성 인자인 ATP/P2X7R, potassium efflux, ROS 그리고 cathepsin B의 억제제 처치에 의해 H. pylori에 의해서 유도된 IL-1β의 생성이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호중구에서 H. pylori에 의한 IL-1β의 생성에 NLRP3 inflammasome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호중구에서 H. pylori 감염에 의한 NLRP3와 IL-1β의 전사와 분비는 TLR2에 의해서 조절되었지만, TLR4와 Nod2의 영향은 받지 않았다. H. pylori type IV secretion system (T4SS)의 핵심 구성요소 인 cagL 결핍 균은 호중구에서 WT 균보다 더 적은 IL-1β 생성을 유도하였다. 또한 T4SS는 H. pylori가 감염된 호중구에서 caspase-1 활성과 IL-1β 성숙에 관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숙주 TLR2와 NLRP3 inflammasome과 박테리아 T4SS가 호중구에서 H. pylori에 의한 IL-1β 생성에 필수적임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호중구에서 H. pylori 감염에 대한 IL-1β 생성에 다른 박테리아 요소가 관여하는지 조사하였다. 호중구에서 H. pylori에 의한 IL-1β 생성에 FlaA가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으며, vacA와 ureA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BMDCs에서 FlaA는 IL-1β 생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H. pylori flagellin이 호중구에서 제한적으로 IL-1β 생성을 유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H. pylori가 감염된 호중구에서 FlaA는 NLRP3 inflammasome의 priming과 활성을 조절하였다. 대표적인 flalgellin의 수용체인 TLR5와 NLRC4는 호중구에서 H. pylori에 의한 IL-1β 생성에 필요하지 않았다. 대신에, flagellin의 주요한 기능인 운동성은 호중구에서 H. pylori에 의한 IL-1β 생성을 조절하였고, 이는 NLRP3 inflammasome의 priming과 활성 조절에 박테리아 운동성이 필수적임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위상피세포의 선천 면역반응에서 Nod2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많은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에 대한 숙주 방어에 Nod1이 기여한다고 보고했지만, Nod2가 위상피세포에서 숙주 방어를 조절하는 정확한 분자 기전은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이를 위해서 세 종류의 사람 위상피세포주 (SNU638, MKN-45, 그리고 AGS)를 사용하여 MDP와 H. pylori에 의한 Nod2와 Rip2의 발현을 확인했으며, 하위 신호기전을 확인하였다. 위상피세포에서 MDP 처리에 의해서 Nod2와 Rip2의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MDP는 NF-κB와 MAPK를 활성화시켜서 IL-8과 antimicrobial peptides의 생성을 유도하였다. 또한, 위상피세포주 특이적으로 H. pylori는 T4SS에 의한 Nod2와 Rip2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In vivo에서 Nod2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서 WT과 Nod2-결핍 마우스에 H. pylori PMSS1를 경구 감염 시켰으며, 감염 4주 후 위 용균액에서 검출되는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cagPAI를 발현하는 H. pylori가 감염된 Nod2-결핍 마우스의 위 용균액에서 검출되는 세균 수는 WT 마우스에 비해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Nod2가 위상피세포에서 선천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숙주의 TLR2와 NLRP3 inflammasome과 박테리아의 T4SS와 flagellin은 호중구에서 H. pylori에 의한 IL-1β 생성에 기여하였다. 또한, Nod2는 위상피세포에서 H. pylori 감염에 대한 숙주 면역 반응에 기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된 H. pylori에 대한 면역 반응의 이해는 H. pylori 감염 질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모색하고 예방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우관중 작품을 응용한 현대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장아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역사적으로 예술은 고상하고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분야로 여겨져 왔으나 현대사회에서는 그 예술의 장벽이 무너지고 실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회화, 건축, 조각 등의 순수 예술이 패션, 영화, 광고와 같이 다양한 상업분야와 융합되어 점점 그 경계가 모호해지고 새로운 예술적 창작의 한 분야가 되고 다양하게 쓰이며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순수 예술과 디자인 분야가 협력 및 융합적 교류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의 예술성을 창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의 장점에 주목하여 순수 예술 작가의 작품을 분석하고 이를 아트메이크업으로 표현함으로써 작가의 표현 영역을 미용 예술 분야로 확대시키고자 한다. 그리고 회화양식을 아트메이크업에 적용시켜 순수 예술의 아름다움을 응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메이크업으로 재창조함으로써 아트메이크업의 예술적, 미적 요소와 미적 감각을 폭넓게 활용한 즉 순수회화의 예술양식을 접목시킨 융합 예술의 독창적인 사례를 만들어 내고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양의 색채와 서양의 회화기법을 융합하여 새로운 표현기법을 나타냈던 우관중(吴冠中)의 작품을 모티브로 하여 아트메이크업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새로운 메이크업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아트메이크업을 더욱 색다르게 인식시키고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예술적 차원에서 창작의 표현 방법의 새로운 시도를 통해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아트메이크업의 정의 및 특성과 종류, 재료 및 도구, 표현기법과 우관중의 생애, 작품의 시장가치 및 작품 세계를 고찰하였다. 작품 세계는 연대별로 각 시대의 대표작을 연구하였으며 연대별 작품 6개를 선정하여 1950년대는 서민의 삶, 1960년대는 자연의 경관, 1970년대는 도시와 색, 1980년대는 수묵화와 색, 1990년대와 2000년대는 전통 수묵화와 추상표현주의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우관중작품을 응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다양한 문화, 건축인테리어, 생활분야에 활용된 사례를 총 5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우관중작품의 연대별 특성 분석을 통해 메이크업에 응용하여 아트메이크업 총 6개의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회화작품에 반영된 우관중의 색채를 분석하여 메이크업작품의 색채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50년대의 작품은 주로 유화와 수채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섬세하게 연출하였다. 색감은 전반적으로 그린색을 띄며 일반인의 일상생활과 사람들의 삶에 초점을 맞추어 서민의 삶을 느낄 수 있는 작품들이 소개되었다. 따라서 메이크업작품은 1950년대 그림을 바탕으로 하여 전반적으로 자연스럽게 그라데이션기법을 활용한 차분한 그린색조를 사용하되 눈썹은 브라운으로 연출하고, 아이메이크업은 그린과 옐로를 주조색으로 사용하여 그라데이션기법을 통해 표현하였다. 우관중작품의 주조색으로 선정된 그린, 카키, 옐로의 대표 3가지 색상을 메이크업에 적극 반영하여 표현하였다. 우관중작품의 3가지 색상의 색차 값에서 그린은 L* 64.99, a* -16.45, b* 29.99, 카키는 L* 61.48, a* 4.69, b* 14.91, 옐로는 L* 76.07, a* -9.13, b* 36.81이며, 아트메이크업 작품의 같은 3가지 색상의 색차 값은 그린은 L* 70.17, a* -2.16, b* 10.92, 카키는 L* 67.78, a* 6.07, b* 10.48, 옐로는 L* 73.27, a* 3.46, b* 18.92이었다. 따라서 두 영역의 색상을 비교해 본 결과 L*, a*, b* 값 중 a*와 b*의 값의 차이가 나타났다. 1960년대의 작품 역시 주로 유화와 수채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과 선을 많이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이에 메이크업작품에서 눈썹은 점묘법을 활용하여 연출하고 아이메이크업은 그린색조로 연출하되 전체적으로 차분한 느낌의 누드 톤으로 피부를 표현하였다. 그린, 옐로, 화이트의 대표 3가지 색상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메이크업에 적극 반영하여 주 색상으로 표현하였다. 우관중작품의 주조색으로 선정된 3가지 색상의 색차 값에서 그린은 L* 47.27, a* -2.41, b* 8.32, 옐로는 L* 76.78, a* 3.02, b* 31.02, 화이트는 L* 82.70, a* 1.01, b* 2.14이며, 아트메이크업 작품의 같은 3가지 색상의 색차값은 그린은 L* 71.80, a* -2.53, b* 8.50, 옐로는 L* 69.96, a* 7.13, b* 21.49, 화이트는 L* 87.86, a* 1.37, b* -3.83이었다. 따라서 두 장르의 색상을 비교해 본 결과 L*, a*, b* 값 중 L*의 값의 차이가 나타났다. 1970년대의 작품은 유채화에서 수채화로 바뀌었으며 점, 선, 면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 시기로 나타났다. 따라서 메이크업 작품에서 레드의 색상을 분할된 조각으로 구성하고 원근법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우관중작품의 주조색으로 선정된 3가지 색상의 레드, 블랙, 옐로를 메이크업에 적극 반영하여 주 색상으로 표현하였다. 우관중작품의 3가지 색상의 색차값에서 레드는 L* 47.72, a* 36.90, b* 23.41, 블랙은 L* 34.34, a* 8.91, b* 6.69, 옐로는 L* 52.93, a* 20.36, b* 31.69이며, 아트메이크업 작품의 같은 3가지 색상의 색차값은 레드는 L* 56.45, a* 24.28, b* 18.33, 블랙은 L* 46.38, a* 12.08 b* 14.69, 옐로는 L* 64.32, a* 12.06, b* 24.94이었다. 따라서 두 장르의 색상을 비교해 본 결과 L*, a*, b* 값의 차이가 모두 나타났다. 1980년대의 작품은 중국 장소성(江苏省)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의 자연경관을 추상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점과 선을 주로 활용하여 표현하되 점은 불규칙적으로 흩어진 듯 표현하고, 선은 주로 곡선을 활용하여 자연의 경관을 표현하였다. 메이크업작품에서는 모델얼굴의 아이브로우를 완전히 덮어 페이스페인팅기법으로 표현하되 점과 선으로 레이어를 강조하여 추상적으로 자연경관을 연출하고자 하였다. 우관중작품의 주조색으로 선정된 2가지 색상을 메이크업에 적극 반영하여 주색상으로 표현하였다. 우관중작품의 2가지 색상의 색차값에서 그린은 L* 34.69, a* -14.94, b* 3.66, 옐로는 L* 83.41, a* -9.43, b* 36.03이며, 아트메이크업 작품의 같은 2가지 색상의 색차값은 그린은 L* 79.73, a* -1.81, b* 3.76 , 옐로는 L* 77.68, a* 1.86, b* 22.96이었다. 따라서 두 장르의 색상을 비교해 본 결과 L*, a*, b* 값 중 L*와 a*의 값의 차이가 나타났다. 1990~2000년대의 작품은 테마가 풍경, 동물, 문자 등 여러 가지로 분석되었다. 주로 밝은 색상을 조합하여 표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각적 효과와 예술적 매력을 추구하였다. 그 색상은 더 대담하고 표현력은 과감해진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메이크업작품의 색상으로 시각적인 효과를 강조하여 연출하고자 하였으며 유성페이스페인팅 재료를 이용하여 역동적인 메이크업을 연출하였다. 우관중작품의 주조색으로 선정된 그린, 옐로, 블랙, 레드 4가지 색상을 메이크업 작품에서는 주조색으로 적극 반영하여 원색적인 색상을 리듬감 있게 표현하였다. 우관중작품의 4가지 색상의 색차값에서 그린은 L* 62.47, a* -27.81 b* 18.28, 옐로는 L* 76.68, a* -0.22, b* 59.71, 블랙은 L* 26.09, a* 0.68, b* 0.99, 레드는 L* 46.47, a* 53,63, b* 16.25이며, 아트메이크업 작품의 같은 4가지 색상의 색차값은 그린은 L* 33.62, a* -8.27, b* 4.29 , 옐로는 L* 82.30, a* -3.89, b* 31.31, 블랙은 L* 54.78, a* 3.37, b* 1.79 , 레드는 L* 45.38, a* 41.94, b* 21.89이었다. 따라서 두 장르의 색상을 비교해 본 결과 L*, a*, b* 값 중 L*와 a*의 값의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메이크업 작품 중 `Dreaming your wonderland`는 우관중작품의 주조색으로 선정된 레드, 그린, 옐로의 대표 3가지 색상을 적극 반영하여 주색상으로 표현하였다. 우관중작품의 3가지 색상의 색차 값에서 레드는 L* 43.09, a* 40.62, b* 19.95, 그린은 L* 35.29, a* -10.41, b* -9.94, 옐로는 L* 73.75, a* -4.09, b* 58.34이며, 아트메이크업 작품의 같은 3가지 색상의 색차 값은 레드는 L* 56.33, a* 26.03, b* 17.16, 그린은 L* 31.64, a* -1.04, b* -11.01, 옐로는 L* 73.16, a* -0.79, b* 38.88이었다. 따라서 두 장르의 색상을 비교해 본 결과 L*, a*, b* 값 중 a*의 값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가 추후 연구자들에게 아시아를 대표하는 작가인 우관중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예술 회화 작품들을 분석하여 이를 아트메이크업 기법으로 활용·표현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이로 인해 보다 다양한 기법과 방식들이 개발되어 새롭고 창의적인 아트메이크업 작품이 제작되기를 기대해 본다.

      •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장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823

        대학도서관은 특정 전공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의 학습 및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관이다. 다양한 전공특성의 이용자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5년 이후 대학도서관에 주제화가 처음 도입되었다. 이용자 중심의 적극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도서관 환경의 변화로 국내에서 주제화 서비스를 도입한 대학은 현재 70여개로 늘어난 상황이다. 이는 주제별로 세분화 된 운영 및 서비스 뿐 아니라 자료실의 장서배치와 자료실 공간운영에도 변화를 가지고 왔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학도서관은 일반열람실 위주의 공부방 기능에 치우쳐 도서관의 본질적 기능이 약화되어 있는 현실이다. 즉, 자료의 열람 및 대출이나 이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공간보다는 개인자료를 이용하는 학습 장소로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이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진행되었으며, 일반열람실 이용에 치우쳐 있는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주제자료실 환경을 조성하여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전공특성을 고려하여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공간계획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는 대학도서관 건립과 리모델링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해 도서관에서의 공간계획요소를 추출하고 전공에 따른 중요도 차이를 기반으로 공간평가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사례의 공간특성 평가를 통해 주제자료실을 유형화 하였다. 전공특성에 따른 중요 요인을 파악하고 실제 사례의 이용자 평가를 통한 만족도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공간계획을 제시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한 조사대상 대학도서관은 서울소재 4년제 총 14개 대학의 15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학도서관 이용자 4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통계분석을 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χ²검정, t-검정, F-검정, 요인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에서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간계획요소는 기능적, 사회적, 심미적, 물리적 4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기능적 요인은 이용행태에 영향을 주는 공간 및 가구의 배치특성이며 사회적 요인은 프라이버시 수준을 나타내는 심리환경 특성으로 개인열람석의 형태 및 개인열람공간 면적 등이 있다. 심미적 요인은 미적 감성에 영향을 주는 디자인 특성으로 장식요소, 그래픽디자인 등의 요소가 있으며, 물리적 요인은 시각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 및 마감재 등의 통합 이미지를 나타내는 요소이다.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자연과학계열 전공자는 물리적 요인과 심미적 요인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았으며, 인문사회계열 전공자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인에 대해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용자의 전공특성 간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 공간계획시 자료실의 학문 주제에 따른 이용자 전공특성을 고려하여 차별적으로 공간계획요소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전문화 되어 있는 전공특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의 장서를 주제별로 구분하여 이에 따라 자료실 공간을 운영하고, 주제와 관련된 전문사서를 배치하여 이용자와의 접근성을 높이도록 한다. 현재 많은 대학도서관에서 주제화 서비스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대부분 단일건물의 중앙도서관에 장서를 단순히 십진 분류법 순으로 수장하고 주제전문사서가 공용사무실에 위치하여 주제자료실 이용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소극적 공간운영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주제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료실 공간을 주제별로 구분하고 각 주제자료실 내부 또는 주제자료실에서 접근이 용이한 공간에 주제전문사서 공간을 계획해야 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주제자료실은 공간특성 분석을 통해 유형화 될 수 있다. ◾주제자료실과 다른 기능 실들의 공간구성 관계에 따라 기능분리형, 기능연계형, 기능복합형으로 구분된다. 각 공간을 분리시켜 배치한 기능분리형 도서관의 비율이 많았으나, 최근에 신축되거나 리모델링 된 도서관은 각 기능의 공간을 서로 연계하여 개방적으로 계획하는 기능 연계형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자료실의 자료공간과 열람공간의 상대적 면적비율에 따라 자료대출형과 자료열람형으로 구분된다. 개관한지 오래된 도서관 일수록 열람공간 면적이 작은 서가 위주의 자료대출형 비율이 높았다. 이는 연간 장서 증가량에 따른 서고면적의 부족 현상으로 인해 열람공간이 점차 자료공간으로 변용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자료공간의 서가방식을 이동식 밀집배가(Movable Compact Shelving)방식으로 부분적 교체하는 등 열람공간의 면적 확보를 유지하면서 장서량을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배가방식 도입으로 열람공간의 면적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제자료실의 자료공간과 열람공간의 배치관계에 따라 서가중심형(서가중앙형, 서가분리형)과 열람중심형(열람중앙형, 전체형, 그룹형)으로 구분된다. 실 중앙에 서가가 밀집된 서가중앙형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 유형은 대량의 장서 보관량이 확보되고 서가 주변으로 위치한 열람공간의 채광이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열람공간이 폐쇄적으로 계획되고 다양한 열람형태를 제공하기 어려워 다른 유형의 가구배치 방식과 부분적으로 혼합하여 열람공간의 선택폭을 넓힐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자료실 열람공간의 공용열람석과 개인열람석 비율에 따라 개인열람형, 공용열람형, 열람분배형으로 구분된다. 열람공간은 4인용 이상의 개가형 책상 위주로 계획된 공용열람형의 비율이 높았으나 이용자들은 개인영역 확보를 위해 다른 사람과 간격을 두어 좌석을 이용하고 있어 실제 공용열람석의 효율은 개인열람석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열람석 계획시 좌석수를 늘리기에 앞서 개인열람석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이용자 평가는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주제자료실 이용목적이 다르게 나타났다. 자연과학계열이나 인문사회계열은 개인자료를 위한 개인학습 위주로 자료실을 이용하는 반면 예체능계열은 수장 자료를 열람하는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인문사회계열은 기능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자연과학계열은 사회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인문사회계열이 공간계획에서 특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요인과 자연과학계열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심미적, 물리적 요인에 대해서는 각각 낮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용자의 요구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자연과학계열과 인문사회계열은 유사하게 나타났고 예체능계열은 차이가 있었다. 자연과학계열과 인문사회계열은 주제별 자료실 간의 연계와 열람공간의 개방화, 열람책상의 프라이버시 보호 등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는 공통점을 보였다. 반면 예체능계열은 독립적으로 분리된 주제자료실을 선호하고 주제자료실 내의 열람공간에서도 자료공간과의 시야가 차단할 수 있는 공간구분을 요구하여 전공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전공특성과 이용자 평가를 통해 도출한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공간계획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연과학 주제자료실은 인문사회 주제자료실과 부분적으로 연계하여 개방형 자료실을 제공하고, 연계된 공간에 자연과학 주제자료실 이용자와 인문사회 주제자료실 이용자가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직원 카운터 및 주제전문사서 서비스 공간을 설치한다. 실의 중앙에는 서가가 밀집하도록 하되 가장자리는 낮은 서가를 이용하여 공간의 시각적 여유를 주도록 한다. 서가와 서가 사이에 부분적으로 공간을 확보하여 위요감을 느낄 수 있는 그룹형 열람공간을 제공한다. 실에서의 열람공간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계획하되 면적비율이 실 전체 20% 이상이 되도록 한다. 열람공간은 개방적으로 계획하되 공용열람가구의 비율을 늘리고, 개인열람가구는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이 강한 캐럴(carrel)형 열람석을 높은 비율로 배치한다. ◾인문사회 주제자료실은 자연과학 주제자료실과 부분적으로 연계하고, 연계된 공용 공간에 휴게 및 독서가 가능한 개방형 라운지를 계획한다. 열람공간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구성하되 실 전체 면적의 15% 전후로 계획하고 중앙에 밀집된 서가영역인 자료공간의 면적 비율을 높게 계획한다. 열람공간은 1인용 책상 및 Bar형 책상 등 개인열람가구의 비율을 늘리고 그룹으로 이용 가능한 가변적 스터디룸을 설치하되 유리소재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예체능 주제자료실은 다른 주제자료실과는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좋다. 중앙도서관 건물 내에서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계획하거나 단과대학에 독립적으로 계획한다. 예체능계열 이용자는 전문도서관 형태로 분리된 공간구분형에 대한 선호가 높았는데 이는 현재 법학도서관이나 의학도서관 위주로 운영되는 전문도서관 형태에서 예체능 전문도서관 계획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다. 실의 중앙은 개방성 있는 열람공간을 계획하고, 벽면이나 파티션, 서가 등을 이용하여 자료공간과 분리된 별도의 열람공간을 계획한다. 또한 주제자료실 내 예체능 주제전문사서 공간을 계획한다.

      • 화장품 소재로서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노화 효과 연구

        장아 건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1823

        The natural material is a very important part in developing the cosmetics source following the beauty industry development; since the function of functional cosmetics using them is diversified and their safeness is also secured, the consumer preference is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nutrients, antioxidant, whitening, antiaging effects of wormwood extract which has been used diversely in the long history of mankind, an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bioactive effect as the functional cosmetics material. The mass production of the wormwood is easy because its environment adaptability is outstanding and its economic feasibility is excellent.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mong several kinds of wormwoods was chosen to divide into the leaf, stem, and root, and each part was extracted by the hot water and the methanol to use for the experiment. When it comes to the formation and content of the free amino acid, in case of water extract, the leaf and stem were 16 kinds each and the root was 11 kinds. In the methanol extract, 13 kinds of leaves, 11 kinds of stems, and 2 kinds of roots were confirmed. Also, when it comes to the protein non-composing free amino acid compound, 7 kinds of leaves, 6 kinds of stems, and 2 kinds of roots were confirmed in the water extract, and 2 kinds of leaves and stems and 1 kind of root were confirmed in the methanol extract. Also, 2 kinds of leaves and roots, and 3 kinds of stems were confirmed in the formation and content of the free sugar. When it comes to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he leaf was the highest in the hydrothermal extract and the root was the highest in the methanol extract. When it comes to the total flavonoid content, the leaf extract was the highest in the hydrothermal extract and the root extract was the highest in the methanol extract. When it comes to the phenolic acid and flavonoids formation and content analysis, in case of phenolic acid, 7 kinds were confirmed in the hydrothermal extract leaf, 6 kinds in the stem, and 7 kinds in the root. The amount of 4-hydroxybenzoic acid was the largest in the leaf and root, and the amount of chlorogenic acid was the largest in the stem. However, in the methanol extract, 9 kinds were confirmed in the leaf, 8 kinds in the stem, and 4 kinds in the root. The number of chlorogenic acid was the biggest in the leaf and stem, and the number of t-coumaric acid was the biggest in the root. When it comes to the flavonoid ingredient, 1 kind of leaf, 2 kinds of stems, and 3 kinds of roots were confirmed in the water extract, and the amount of taxifolin was the biggest in the leaf, stem, and root. In the methanol extract, 2 kinds of leaves, 4 kinds of stems, and 4 kinds of roots were confirmed. The amount of taxifolin was the biggest in the leaf, stem, and root. 2 kinds of leaves, 4 kinds of stems and roots were confirmed in the methanol extract, and the amount of taxifolin was the biggest in the leaf and stem, and the amount of quecertin was the biggest in the root extract. Although the concentration dependent result was not drawn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arried out to know the anti-oxidative efficacy, when it comes to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tetrazolium, the leaf, stem, root extracts of the hot water and methanol extract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reatment concentration. It is likely to be attributed to the effect of much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ained in the extract and the role of the natural preservatives and natural antioxidant is expected in producing functional cosmetics. Also, th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the A. princeps var. orientalis showed a generally a little high or similar tendency compared with the arbut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cytotoxicity on HaCaT cell line, the toxicity did not appear in the hydrothermal extract and the meager activity was confirmed. When it comes to the methanol extract, the 16% cytotoxicity was confirmed when treating more than 80 μg/mL in the leaf, and 5% in the 100 μg/mL treatment concentration in case of the root, but it did not appear in the stem. The elastase and the collagenase inhibition activity of A. princeps var. orientals-part extract of the hot water and methanol increased in its efficacy in proportion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for the sake of antiaging efficacy. As a results, The extracts of each part of A. princeps var. orientalis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methanol showed antioxidant, anti - aging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depending on the treatment concentration. Therefore, it can be used variously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뷰티산업 발전에 따른 화장품 원료 개발에 있어서 천연물 소재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이들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들은 그 기능이 다양하고 안전성도 확보되어 소비자 선호도가 높다. 본 연구는 환경 적응성이 매우 우수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경제성이 뛰어나며 인류의 오랜 역사속에서 그 활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온 쑥 추출물의 영양성분, 항산화, 미백,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생리 활성 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쑥의 종류 중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를 선택하여 잎, 줄기, 뿌리로 구분하였고, 부위별로 열수와 메탄올로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 및 함량은 물 추출물의 경우 잎과 줄기는 각각 16종, 뿌리 11종이었고,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잎 13종, 줄기 11종, 뿌리 2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단백질 비구성 유리아미노산 화합물은 물 추출물의 잎에서는 7종, 줄기 6종, 뿌리 2종이 확인 되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잎과 줄기 2종, 뿌리 1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리당의 조성 및 함량에서 잎과 뿌리는 2종, 줄기에서는 3종이 확인되었다. 총 polyphenol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잎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메탄올 추출물은 뿌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열수추출물의 총 flavonoid 함량은 잎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뿌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enolic acid와 flavonoids 조성 및 함량분석에서는 phenolic acid의 경우 열수 추출물의 잎에서 7종, 줄기 6종, 뿌리에서는 7종이 확인되었고, 이들 중 잎과 뿌리에서는 4-hydroxybenzo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줄기에서는 chlorogenic acid가 가장 많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잎이 9종, 줄기는 8종, 뿌리에서는 4종이 확인되었고, 이들 중 잎과 줄기에서 chlorogenic acid가, 뿌리에서 t-coumaric acid가 가장 많이 존재하였다. 또한 flavonoid 성분은 물 추출물에서 잎은 1종, 줄기 2종, 뿌리 2종이 확인되었고, 이중 잎과 줄기 뿌리는 taxifolin이 가장 많이 존재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잎 2종, 줄기와 뿌리 각각 4종이 확인되었고, 이들 중 잎과 줄기는 taxifolin이 가장 많았으며, 뿌리 추출물에서는 quecertin이 가장 많이 존재하였다. 항산화 효능을 알기 위해 시행한 DPPH radical 소거활성에서는 농도의존적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으나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FRAP 환원능은 열수와 메탄올 추출물의 잎, 줄기, 뿌리 추출물 모두 처리 농도가 증가 할수록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이는 추출물에 함유된 다량의 polyphenol과 flavonoid의 영향으로 여겨지며 기능성 화장품 제조에 있어 천연 방부제 및 항산화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쑥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대조구인 arbutin과 비교하였을때 전반적으로 약간 높거나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항노화 효능을 위한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 활성 또한 열수와 메탄올의 쑥 부위별 추출물의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그 효능이 증가하였다. HaCaT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열수 추출물의 경우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미한 활성이 확인되었다. 메탄올 추출물은 잎은 80 μg/mL 이상 처리시 16%, 뿌리의 경우 100 μg/mL 처리농도에서 약 5%의 미약한 세포독성이 확인되었으나 줄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열수와 메탄올로 추출한 쑥의 각 부위별 추출물은 처리 농도에 따라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에 대한 기능성이 확인되었으며, 미백효과도 있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