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서 단토의 컨템퍼러리 아트에 대한 분석 - ‘예술 패러다임’ 종말 이후에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

        장민한(JANG Min-Han) 현대미술학회 2019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3 No.2

        본 논문에서는 아서 단토의 ‘컨템퍼러리 아트’ 개념에 대해 분석했다. 아서 단토의 경우 컨템퍼러리 아트를 ‘예술의 종말’ 이후의 미술로 정의하고 있다. 연구자는 단토가 주장하는 ‘예술의 종말’을 일종의 패러다임의 변화로 규정했다. ‘예술 패러다임’ 개념을 도입하게 되면, 그가 말하는 ‘컨템퍼러리 아트’가 함축하는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컨템퍼러 리 아트가 모던 아트와 무엇이 다른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첫째, 연구자는 단토의 ‘컨템퍼러리 아트’를 예술 패러다임 종말 이후의 미술로 규정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그의 주장은 60년대 팝아트 이후의 미술에 대해 그 이전에 미술을 바라보던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 패러다임의 객관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 ‘예술 패러다임’을 ‘서사’와 ‘예술계’ 개념과 연결시켜서 설명했다. 둘째, ‘컨템퍼러리 아트’ 시기의 미술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워홀의 팝아트를 비교했다. 워홀은 ‘예술’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서 미술 제작을 했다고 볼 수 있고, 이에 반해 뒤샹은 실제 사물로 미술을 제작했지만 ‘예술’로서 경험은 실제 대상의 경험과 다르다는 점을 여전히 믿고 있었다. 셋째, 컨템퍼러리 아트 시대에는 ‘예술 패러다임’ 시대와는 다른 미술 실천을 요구한다. 미술제작, 미술 비평, 미술관 제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컨템퍼러리 아트의 시대에는 역사의 짐에서 벗어난 미술가들은 자신이 원하는 어떤 방식으로든 자유롭게 예술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예술 패러다임’ 시대의 비평이 ‘예술이 무엇인가’ 라는 이론적 반성에 구속된 비평이었다면, 컨템퍼러리 아트의 비평은 한 대상이 어떤 이유로 예술계의 구성원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컨템퍼러리 아트 시대의 미술관의 전시는 삶의 다양한 서사에 의해 결정된다. 이 시기의 미술관은 삶의 여러 가치를 통찰할 수 있는 소통 공간이 되어야 한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Arthur Danto"s concept of "contemporary art" is more persuasive than the other "Contemporary Art" argument, that focus on a topic or trend. Danto defines the contemporary art as art after the ‘end of art.’ I explain the "end of art" that Danto claims as a kind of paradigm shift. Introducing the concept of ‘paradigm’ could help clearly explain what he calls the ‘contemporary art’ and easily understand what is different from modern art. First, I explain why Danto"s ‘contemporary art’ is defined as art after the end of the fine art paradigm. His argument calls for a different way of looking at art from the 1960s. I explain the objective basis for this paradigm by linking it with the concepts of ‘narratives,’ and ‘artworld.’ Seco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meaning of ‘the end of the fine art paradigm, I compare Duchamp"s Readymade and Warhol"s Pop Art. Although Duchamp has produced the work of art which is perceptually indiscernible from real object, he believes it is still dominated by the fine art paradigm. On the other hand, Warhol knew that even though they were perceptual unidentifiable objects, artworks give different experiences from real objects. Warhol moved away from the fine art paradigm and created an artwork. Third, the contemporary art era calls for a different art practice from the era of the fine art paradigm. It calls for changes in the art production, art criticism, and museum system. In the age of contemporary art, artists who are freed from the burden of history are free to produce art in any way they wanted. while criticism in the age of the ‘fine art’ paradigm was constrained by the theoretical reflections of what art is, criticism today can be said to be the work of ascertaining what role it plays in the art world. Museum of art in the contemporary art age should be a communication space that can give insight into the various values of life.

      • KCI등재

        동시대 미술의 가치평가에서 서사의 역할

        장민한(Min-Han Jang) 현대미술학회 2017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1 No.1

        본 논문은 아서 단토(Arthur Danto)와 노엘 캐롤(Noel Carroll)의 가치평가 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동시대 미술의 질(quality)에 대한 평가의 가능성과 한계를 설명하고, 다원주의시대에 적합한 가치평가 방식을 제안하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단토는 예술의 종말 이전에는 ‘예술의 거대 서사’의 다양한 버전이 주장하는 예술의 기준들, 즉 예술과 예술이 아닌 것을 나누는 기준들이 미술작품의 평가의 잣대로 사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술의 종말 이후에는 해당 작품이 작가의 의도에 적절한 ‘구현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그 작품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고 단토는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반해 캐롤은 해당 작품이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는데 성공했는지 여부에 따라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그는 해당 작품의 목표를 알기 위해서 그 작품이 속한 범주를 확인해야 하고, 그 범주의 목표의 성취 여부, 혹은 정도에 따라 작품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필자는 ‘개별 서사’ 에 근거한 평가 방식이 단토가 주장하는 ‘의미에 적합한 구현’이나 캐롤이 주장하는 ‘범주 상대적 평가’보다 동시대 미술의 가치평가를 하는데 더 유용하고, 우리의 비평 관행에 더 잘 맞는다는 것을 주장했다. ‘개별 서사’에 의한 평가방식은 해당 미술계의 구성원의 관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새로운 가치 속성을 제시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특정 비평가가 주목하는 가치를 미술계에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캐롤의 ‘범주 상대적 평가’보다 미술계 관행에 잘 맞는다고 필자는 주장했다. 이것을 주장하기 위해 2장에서는 단토의 가치평가 이론, 3장에서는 캐롤의 가치평가 이론을 분석했고, 4장에서는 필자의 ‘개별 서사’에 의한 평가 방식을 제안했고, 이것이 지닌 장점을 캐롤의 가치평가 이론과 비교하여 설명했다. The paper aims to explain the feasibility and the limits of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 contemporary art, and to propose a new method of evaluation in the pluralistic era through analysis of Arthur Danto’s theory and Noel Carroll’s theory. Before the end of art era, Danto argues that the various essences of art were used as yardsticks for the evaluation of works of art. After the end of the art, it is only said that we can assess the quality of the work by analyzing whether the artwork has suitable ‘embodied meanings’ for the author’s intentions. Carroll insists that the objective evaluation is possible based on whether or not the work has succeeded in achieving his own goals. On the contrary, I argued that the evaluation’s method based on ’Individual narratives’ is more useful in evaluating contemporary arts than Danto’s method or Carroll’s. I asserted that my method is better suited to the practise of the art criticism than their methods because my method actively reflects the interests of the members of the art community, and offers new values to the art world without difficulty at the same time. I analyzed Danto’s theory, In Chapter 2, and Carroll’s, in Chapter 3. I proposed my method of evaluation by ‘individual narratives’ and explained the merits of this method in Chapter 4.

      • KCI등재
      • KCI등재

        미술사에 있어서 서사의 역할

        장민한(Min-Han Jang) 현대미술학회 2013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7 No.2

        이 논문은 미술사에서 서사(narrative)의 역할에 대해 아서 단토(Arthur Danto)의 이론을 통해 분석한다. 미술의 역사기술에서 ‘서사’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미술의 역사기술의 타당성과 미술사의 다양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단토는 역사가의 다양한 개별 관심에 따라 서사가 각각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그는 미술사에 있어서는 팝아트가 등장한 이후 미술의 서사가 끝났고 그 서사가 가능한 객관적인 실재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언뜻 보면 역사란 특정한 개별 관심에 따라 다양한 서사로 구성될 수 있다는 단토의 역사철학과 ‘미술의 서사’는 객관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다는 단토의 미술사의 철학은 일관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필자는 ‘이상적 연대기’ 사례와 ‘서사문장’의 설명을 통해 서사가 역사의 필연적 형식이라는 점을 제시했다. 또한 필자는 단토의 미술사의 철학은 역사가의 개별적인 관심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서사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미술’(fine art)이 주인공이 되는 서사가 구성될 수밖에 없는 객관적 실재 구조가 서구에 있었다는 점을 주장한 것이고, 이를 근거로 단토의 미술사의 철학과 역사철학은 일관적이라는 것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미술의 종말 이후 서구에서는 다양한 관심에 기반을 둔 각종의 미술 서사가 있을 수 있고, 이것들은 전통적인 미적 가치의 서사인 전통적 미술사와 보완 관계를 이루고 진행된다는 점을 제시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 role of narrative in the history of art by means of Arthur Danto"s theory. It makes an attempt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validity of historiography in art"s field and the diversity for art history. On the one hand Danto claims a narrative is diversely constructed according to narrator"s various interests, on the other hand, he argues that the narrative of art had come to an end after pop art, in which there are objective historical structures. I argue that a narrative is the necessary form of historiography by virtue of making the explanation of Danto"s ‘ideal chronicle’ and ‘narrative sentence’. Danto"s thesis don"t mean that there cannot be another narratives except Danto"s narrative, but there is one grand narrative of ‘art’ in the West before pop art because of objective historical structures in West. I argue that Danto"s phiolosophy of art history is consistent with his historiography through analysing the relations of a narrative and an interest, reality.

      • KCI등재

        아서 단토의 미술비평에서 미의 역할

        장민한 ( Min Han Jang )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8 No.-

        이 글에서는 오늘날이 ‘미술의 종말’의 시기이고, 무엇이든지 미술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아서 단토(Arthur Danto)가 미술비평에서 미의 역할을 무엇으로 보는지 분석했다. 진과 선과 더불어 우리의 실제 삶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가치라고 할 수 있는 미가 동시대 미술의 해석에 어떤 역할을 하고, 예술적 탁월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해보았다. 필자는 단토가 기본적으로 ‘서사’와 ‘미적속성’이라는 틀로 미술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설명하한다고 주장했다. 서사를 통해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작품의 의미를 해석하고 예술적 탁월성을 찾아낸다. 그리고 해석과 관계없이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미적속성이 작가가 의도한 작품의 의미를 강화시켜주고 있다. 단토는 미도 숭고, 추 등과 같은 미적속성들 중 하나라고 보고 있다. 그 작품의 서사에 적용되는 미를 내적인 미라고 규정하고, 이것이 작품의 의미를 강화시켜준다고 본다. 그렇다고 해서 내적인 미가 예술적 탁월성을 항상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 한 작품의 미적속성이 작품 주제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는 데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더라도 그 작품의 탁월성에 대한 판단은 미적인 영역 이외의 도덕적, 정치적 판단 등을 고려해야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beauty`s role in art criticism by means of Arthur Danto`s theory. It makes an attempt to solve the problem of beauty`s roles in artwork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today. I try to apply the thesis of `perceptually indiscernible’ to the problems of beauty`s roles in artworks of today. We can no longer distinguish whether something is an artwork by visual inspection of artworks. His concept ‘artworld’ helps interpretate an artwork`s meaning and evaluate its values. His ‘artworld’ consists of the various discourses of reasons which are narratives for the meanings and the status of artworks of today. I argue that Danto tries to elucidate the meanings and values of artworks through ‘narratives’ and ‘aesthetic properties’ concepts. We can interpret invisible meanings of artworks and figure out artistic excellences by means of grasping narratives. Aesthetic properties play roles as inflectors which add feelings such as beauty, sublime and disgust to artworks`` meanings. Internal beauty can be understood under its relation with a narrative.

      • KCI등재

        다원주의시대에서 차용미술의 예술적 가치와 비평의 문제

        장민한 ( Jang Min-h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본 논문은 모든 것이 허용되는 다원주의시대에 차용미술(Appropriation Art)의 예술적 질(Quality)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타인의 이미지를 차용한 작품들의 예술적 가치를 규명하고, 차용미술에 적용될 수 있는 비평방식을 도출하기 위해 아서 단토(Arthur Danto)의 예술이론을 분석했다. 차용미술의 예술적 질은 차용이미지가 해당 작품이 의도하는 바를 구현하는 데 적절했는지 여부에 따라 평가가 가능하다. 차용미술의 비평은 차용 작품의 의미를 추론하여 차용이미지가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 설명하는 것이고, 이것을 통해 해당 작품의 평가의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필자는 동시대의 차용 작품들은 차용이미지를 수사적 장치의 하나로 이용하고 있고, 차용이미지가 해당 작품의 의미를 강화하는데 적절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 작품의 예술적 질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차용이미지를 수사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에는 첫째, 차용이미지를 오브제처럼 이용하는 방식이 있고, 둘째, 차용이미지의 표상 방식의 힘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The thesis started with a question of how to evaluate the artistic quality of appropriation arts in the Age of Pluralism. To analyze the artistic values of appropriation arts and to derive the method of criticisms that could be applied to appropriation arts, I analyzed Arthur Danto`s the theory of art. I deduced the artistic value of appropriation arts and the method of criticisms on them through analysing his theory of art. The artistic quality of appropriation arts can be assessed depending on whether the borrowed image was adequate to embody the artist`s intention. The criticism of appropriation arts is to infer the meaning of them and to explain the role of the borrowed image in them, thereby presenting a reasonable basis for the evaluation of the work. I have asserted that the contemporary appropriation arts use the borrowed image as one of the rhetoric devices, and that we can evaluate the artistic quality of the work depending on whether the borrowed image is adequate to enhance the meaning of the work. In addition, I have argued that there are two ways in the methods of using borrowed images as the rhetoric devices. Firstly, there is a way to change the context through the expansion or majority of borrowed images and secondly, there is a way to use the power of representation in the borrowed image.

      • KCI등재

        단토가 예술을 `깨어 있는 꿈`이라고 정의한 이유는? - 예술적 수사로서 은유, 양식, 미적 속성

        장민한 ( Jang Min-han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2

        이 논문에서는 단토가 예술을 `깨어 있는 꿈`이라고 정의한 이유를 분석했다. 단토의 새로운 정의는 기존의 `구현된 의미`라는 자신의 예술 정의를 대체하는 정의가 아니라, 예술작품이란 예술가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수사적 장치를 담고 있는 대상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 필자가 보기에 단토는 외연이 너무 넓다는 비판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구현된 의미`가 뜻하는 바를 좀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깨어 있는 꿈`이라는 정의를 도입한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필자는 단토의 대표 저서인 『일상적인 것의 변용』, 『예술의 종말 이후』, 『미의 남용』에서 단토가 말하는 수사적 장치를 찾아서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단토의 이전예술 정의의 한계와 `깨어 있는 꿈`이라는 정의에서 단토가 주장하려고 했는 바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예술적 재현의 고유한 속성을 보여주는 은유와 양식을 분석했다. 이것들이 단토가 말하는 `깨어 있는 꿈`을 위한 수사적 장치로 이용된다는 것을 제시했다. 4장에서는 예술작품의 미적 속성들을 예술적 수사라는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The paper analyzed why A. Danto defines a work of art as `a wakeful dream`. Through this, I assert that Danto`s new definition does not replace his old definition and Danto introduced it to emphasize art works as having rhetoric devices. I insist that Danto defined arts in a new way to refute the argument in which it is too broad to classify arts by Danto`s definition of art and, to clarify his old definition. To draw this conclusion, I sought to analyze artistic rhetoric devices in his books, 『The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place』, 『After the End of Art』, 『Abuse of beauty』. In chapter 2, I analyzed the weak points of Danto`s previous art definition, and what was meant by `a wakeful dream.` In Chapter 3, I analyzes the metaphors and styles of arts that shows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artistic representation. In Chapter 4, I analyzed the aesthetic properties of works of art from the viewpoint of artistic rhetoric. I assert that they are used as rhetoric devices for `a wakeful dream.`

      • KCI등재

        다원주의시대의 미술감상 교육에서 비평의 역할: Arthur Danto의 예술이론에 입각한 미술비평방법 제안

        장민한 ( Jang Min-ha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7 예술교육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A. Danto의 예술이론을 기초로 하여 동시대 미술 감상교육에 적합한 비평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은 다양한 가치가 공존한다는 의미에서 다원주의시대이면서 동시에 무엇이든지 미술이 될 수 있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미적 속성이 없는 미술작품도 등장하고 그 작품들 중 몇몇 작품은 높은 예술적 질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그런데 오늘날은 아직까지 이런 작품의 감상에 적합한 비평방법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필자는 첫째, 미술감상과 비평은 전혀 다른 종류의 활동인데, 실제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명확하게 구분이 되지 않아서 감상이 줄 수 있는 유익한 교육 효과를 놓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둘째, 현재 올바른 미술감상을 위해 교육 현장에 도입된 비평방법론이 형식주의 경향의 작품들에 대한 설명에는 도움을 주지만, 미적 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작품들의 설명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주장했다. 셋째, 이를 해결하기 위해 A. Danto의 예술이론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미술비평방법론을 제시했다. 이 방법론은 다원주의 작품들을 모두 포괄해서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점을 주장했다. 이 방법론이 실제 미술감상과 비평 교육에 적용될 수 있고, 학생들의 감상교육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주장했다. 이 연구는 A. Danto의 예술이론과 그 밖의 비평이론들, 그리고 다양한 미술교육자들의 감상교육 문헌들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한 논문임을 밝혀둔다. Based on Danto’s the theory of contemporary art, this thesis aims to propose suggestions for criticism’s methodology for the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s. Today is the era of pluralism. Yet, there is no way to adequately criticize such paintings with no aesthetic property. First,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are totally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which point to the fact that they miss the educational effects of appreciation because they are not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the actual art lessons. Secondly, the methodologies introduced at the site for the art’s appreciation do not help illustrate the works with no aesthetic property. Thirdly, based on Danto's theory of art, I proposed a new theory of art criticism. This methodology can be applied to actual art appreciation and critique education, and is sure to aid students in their appreciation’s classes. The study analyzes the works of art theory and reviews of art educator's appreciation of art education, and reveals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일반 공중 없는 공공미술의 두 흐름

        장민한(Min-Han Jang) 현대미술학회 2014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8 No.1

        이 논문에서는 오늘날 공공미술은 일반 공중이 아니라 특정집단이나 공동체를 목표로 삼아 제작된다는 입장에서 공공미술에서 발생하는 충돌을 분석하면 더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오늘날의 공공미술은 그 목표에 따라 ‘공공장소의 미화를 위한 미술’과 ‘공적 관심의 미술’로 나눌 수 있고, 양자 모두 특정 공중에게 혜택이 돌아간다는 점에서 공중일반이 아니라 특정한 공중을 목표로 설치되고 진행된다는 점을 제시했다. 공중 일반이 아니라 특정한 공중을 목표로 삼아 공공미술이 제작된다는 입장에서 공공미술에 대한 논쟁에 접근한다면, 공공미술에서 발생하는 충돌에 대한 적절한 해법을 좀 더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제시했다. 그리고 공공미술의 성과를 일반 공중이 어떻게 경험했는지에 따라 해당 공공미술을 평가하는 것보다 그 공공미술이 실제로 목표로 삼았던 특정 공중들이 그 의도를 얼마나 만족스럽게 반응하는지 분석하여 평가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것을 주장했다. This paper aims to argue that we can settle the dispute of public arts today effectively if we analyze public Arts of our time not from the general public"s point of view, but from the particular public"s point of view. We can divide public arts today into ‘the beautification of public place’ and ‘the enhancement of public interest’ according to its goals. I argue that both of two types of public arts today don"t work for general public, but work for various particular public in fact. And I argue that it is not right to evaluate public arts from the general public"s point of view, but it is proper to evaluate public arts from basis of the artist"s intention and the particular public"s satisfaction.

      • KCI등재

        다원주의 시대에서 극사실 회화의 미적 가치와 비평의 문제

        장민한 ( Min Han J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오늘날이 다원주의 시대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극사실 회화의 미적 가치를 규명해보고, 그것이 1960년대 이후의 미국과 한국에서 각각 하이퍼리얼리즘과 극사실 회화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작업과 어떻게 다른지 고찰해보았다. 그리고 오늘날 극사실 회화의 가치평가와 비평의 특징에 대해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다원주의 비평 일반의 특징을 규명해보았다. 오늘날의 극사실 회화의 가치는 완벽한 환영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왜곡된 환영을 만들어내어 작가가 추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다. 미국의 하이퍼리얼리즘 작가도 사진과 같은 완벽한 환영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작업을 한 것이 아니라 단순한 환영이 줄 수 없는 수사적 효과를 목표로 했다. 이 점에서는 한국의 극사실 회화와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나 다양한 상징성을 강조한 한국의 극사실 회화와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의 한국의 극사실 회화는 모더니즘 패러다임에서 극사실 작업을 한 70년대 극사실 화가와 달리 다원주의 패러다임에서 환영 이미지를 만든다. 다시 말하면 오늘날의 극사실 회화 작가는 미술의 거대 서사 속에서 자신의 작품을 위치시키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개별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환영 이미지를 이용한다. 그 환영 이미지의 가치는 정당화할 수 있는 담론이나 서사가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오늘날의 극사실 회화는 다른 양식의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작품의 가치와 질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해당 작품의 목표가 무엇이고 그 작가가 고안한 극사실적 장치가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절한지의 여부에 따라 그 작품의 가치와 질을 판단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aesthetic value of Korean Hyperreal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pluralism and to compare it with the 60s American Hyperrealism and the 70s Korean Hyperrealism. I argue that the aesthetic values of Korean Hyperrealism today depend upon not making a perfect illusion, but achieving artist``s goals and effects in which he makes a illusion. It``s important to make a difference between reality and artist``s illusion in Korean Hyperrealism in the age of pluralism. And I try to elucidate the meaning of the criticism and evaluation in the Age of Pluralism. The task of criticism today is to identify the meanings and explain the mode of their embodiment. In other words criticism is just to give the discourse of justification to classify something as art. To evaluate a artwork is to determine the ranking within its artworld in which it plays a role as a artwork. The meaning of the artworld is the historically ordered world of artworks. The 70s artists in Korean Hyperrealism create artistic realities in the paradigm of Modernism, on the other hand Korean Hyperrealism artists today select an illusory devices to achieve their artistic aims in the paradigm of Plu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