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들의 진로결정 동기요인 분석

        장민지(Jang, MinJi),정태섭(Jung, TaeSub),장영환(Jang, YoungHwan),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The stud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in Gyeonggi from March to June, 2017 to investigate motive factors to career decis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l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nternal motivation factors than femal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vocational aptitude and teaching 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internal motivation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in external motivation factors. Seco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tutoring, academy, and education service professors other than teacher trai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did not have teaching experience,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ith experience of teacher training showed that the administrative task among the external motivation factors were significantly negative motivation factors tha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had no teaching experience.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nal motivation factor and external motivation factor according to grade. In general,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positive internal motivation factors, and especially charm and teaching charm were the most positive internal motivation factors. In addition, stability as a vacation and civil servant was positive external motivation factor, but preparation and acceptance of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test was analyzed as negative external motivation factor. 본 연구는 교직을 선택하는 동기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소재 사범대학교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예비과학교사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내적 동기요인이 여성 예비과학교사들보다 더 높았으며, 내적 동기요인 중 직업적 적성과 교수효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적 동기요인에 대한 성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현장실습 이외 과외나 학원, 교육봉사 교수경험이 있는 예비과학교사들은 교수경험이 없는 예비과학교사들보다 내적 동기요인 중 교직의 매력에 대한 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학교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예비과학교사들은 외적 동기 요인 중 행정업무가 교수경험이 없는 예비과학 교사들보다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동기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른 내적 동기요인과 외적 동기요인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예비과학교사들은 교사로서 내적 동기요인은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보람과 교직의 매력이 가장 긍정적인 내적 동기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학과 공무원으로서 안정성이 긍정적인 외적 동기요인이었으나 중등 교원 임용시험에 대한 준비와 합격여부는 부정적인 외적 동기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성별, 학년, 교수경험에 따른 예비과학교사의 교직인성 분석

        장영환(Jang, YoungHwan),장민지(Jang, MinJi),정태섭(Jung, TaeSup),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교직인성이란 교사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성품과 태도를 의미 하는데, 이를테면 교육에 대한 흥미와 교육관, 신념 등과 같은 정의적인 영역을 뜻한다. 본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의 교직인성 차이를 성별, 학년, 교수경험에 따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예비과학교사의 교직인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교직인성 중 윤리의식은 4학년이 1학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학교 현장실습을 비롯하여 그 외 교수경험이 있는 예비과학교사의 교직인성이 교수경험이 없는 예비과학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다양한 교수경험을 갖도록 지속적으로 교사양성기관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교직인성을 함양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된다. Teachers disposition means desirable attitude that teachers should have, such as interest and view of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related to preservice science teacher s dispositions according to gender, grade level, teaching experience. For that, we constituted a survey on the basis of references about teachers dispositions from March 2017 to June 2017 and carried out survey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n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spositions was found according to gender. Second, The mean score of senior students’ dispositions was higher than that of freshmen’s disposition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 s dispositions according to grade level.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spositions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Preservice science teacher who experience of teaching someone showed the higher mean score than those who did no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uld continuously develop programs at teacher-training institute so that they can have various teaching experiences, and thus increase teaching dispositions.

      • 인공지능 미술 작품이라는 사실의 인지 여부가 감상자의 작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유혜수(Hyesu Ryu),장민지(Minji Jang),최서희(Seohee Choi),김창순(Changsoon Kim),임예슬(Yeseul Lim),장윤석(Younsuk Jang),한데민(Demin Han),윤재영(Jaeyoung Yun)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공지능의 활동 영역이 인간고유의 영역이던 예술 창작으로 확대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나온 예술 작품의 가능성과 이를 바라보는 대중의 평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작품 감상 시 인공지능 작품이라는 사실의 인지 여부가 작품 감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인지 여부에 따라 피실험자를 ‘인지’ 그룹과 ‘비인지’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한 인공지능 미술 작품 10 개를 감상하고 평가하게 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인지 그룹은 평균 2.71 점(5 점 만점), 비인지 그룹은 3.26 점으로 비인지 그룹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호감도, 감정이입도, 작품 의도, 작품 가치를 묻는 객관식 네 문항에서 네 문항 모두 비인지 그룹의 점수가 인지 그룹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평가에 대한 이유를 묻는 인터뷰에서 인지 그룹은 비인지 그룹 보다 인공지능 미술 작품에 감정과 의도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미술 작품이라는 사실이 작품 감상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인공지능 미술 작품이 본 가치와 무관하게 평가가 절하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예비 과학교사들의 진로결정유형에 따른 동기요인, 교직인성, 진로성숙도 분석

        정태섭(Jung, TaeSub),장영환(Jang, YoungHwan),장민지(Jang, MinJi),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진로 결정 요인인 동기요인, 교직인성,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유형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유형에 따른 외적 동기요인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결정·편안 유형과 결정·불편유형이 미결정·불편 유형 보다 내적 동기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결정·편안 유형이 미 결정·편안 유형보다 내적 교직인성과 사회적 교직인성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공동체적 교직인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진로성숙도 중에서 직업에 대한 인식은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편안 유형보다 유의 미하게 높았으며, 자신에 대한 평가는 결정·편안유형이 미결정·편안 유형과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직업에 대한 태도는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결정·편안 유형은 진로성숙도의 직업과 관련 지식 중 직업에 필요한 능력에 대한 지식이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요구하는 교육 수준에 대한 지식은 미결정·편안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하는 일에 대한 지식은 결정·편안 유형이 미결정·편안 유형과 미결정·불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예비 과학교사들의 내적 동기요인, 직업에 대한 인식, 직업에 대한 태도, 진로성숙도를 높여 교사로서 진로를 빨리 결정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교사 교육에 임할 수 있도록 이와 같은 진로 결정 요인을 진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 극 반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otivational factors, teaching personality, and career maturity, which are determine factors of career of pre-science teach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type. The stud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in Gyeonggi from March to June, 2017, an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rnal motive factor for the type of career decisions, and the decision-comfort and decision-discomfort typ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ternal motivations than indecision-discomfort types. Second,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internal and social teaching personality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communicative teaching personality than the indecision-discomfort type. Third, among the career maturity, the job recognition of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self evaluation of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discomfort type, and job attitude the decision-comfor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decision-discomfort. Fourth, among job knowledge the career maturity, the decision-comfort type’ Knowledge of the job skills required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the decision-comfort type’ knowledge of the education level required was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 type, and the decision-comfort type’ knowledge of what to d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decision-comfort/discomfort typ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these determine factors of career in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