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 미래 공공공간의 AI 서비스에이전트 개발을 위한 AI 서비스 시나리오 발굴 ; AI 서비스에이전트 유형을 기반으로

        장도담 ( Dodam Jang ),연명흠 ( Myeong-heum Yeoun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연구배경 공공공간은 다수에게 개방되어 다양한 활동과 커뮤니케이션이 촉발되는 공간으로 다양한 형태의 개별 혹은 공통의 경험이 창출되며 공공 커뮤니케이션과 메인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공공공간 속 인공지능의 활용은 공간의 가치를 양적으로 팽창시키고 질적으로 심화된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하며 공공공간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해와 경험, 기존 AI 서비스에이전트특성 등을 고려한 AI 서비스디자인 적용은 공공공간의 AI 서비스를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할 수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근 미래의 공공공간 AI 서비스에이전트 개발을 목적으로 사용자 시나리오를 도출한다. 먼저 공공공간의 구성요소를 사용자조사로 도출하였다. 이어 AI 서비스의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한 AI 서비스에이전트의 대표 형태와 선행연구고찰을 통한 AI 시스템 및 솔루션 분류를 종합하여 함께 분류표를 제작하였다. 이후, 앞서 수집한 각각의 사례를 분류표에 대입하고 사례 간 구성 모습의 관계성을 찾아 AI 서비스에이전트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5가지 AI 서비스에이전트 유형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AI 서비스에이전트 유형을 바탕으로 참여적 워크숍을 진행하여 근 미래 공공공간 AI 서비스에이전트 활용 방안을 시나리오 및 스토리보드로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공공공간에 AI 서비스에이전트를 개발 및 도입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공공공간 AI 서비스에이전트 유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공간별 AI 서비스 시나리오를 스토리보드로 구체화하여 실제 공공공간에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거나 이미 개발된 유사서비스의 활용을 고려할 수 있는 AI 서비스의 확장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Background Public spaces are spaces where various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are triggered,creating individual or common experiences, and public communication and services are mad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in public spaces expand the value of public spac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The AI service, which takes into account user experience and AI service agent characteristics, can newly expand the value of AI service in public space. Methods This study draws user scenarios to develop AI service agents in public space in the near future. The elements of public space were derived from a user survey. Subsequently, an analysis table was produced by synthesizing the representative type types of AI service agents derived through a case analysis of AI services and the classification of AI systems and solutions from previous studies. Since then, five representative AI service agent types have been drawn. Through the example of AI service agents in public space. Finally, based on the type of AI service agent, a scenario and storyboard were proposed to utilize the agent for the near future public space AI service through participatory workshops. Results and Conclusion A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introduce AI services in public spaces and derived types of AI services in public spaces. In addition, by embodying AI service scenarios by space into storyboards, we foun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AI services that could introduce new services in real public spaces or take into account the utilization of similar services already developed.

      • KCI등재

        농촌경관 생태계서비스 가치를 고려한 관리지표 개발

        박미정,장도담,전정배,최진아,임창수,김은자,Park, Meejeong,Jang, Dodam,Jeon, Jeongbae,Choi, Jinah,Lim, Changsu,Kim, Eunja 한국농촌계획학회 2017 농촌계획 Vol.23 No.4

        The interest on rural ecological landscape has recently grown on the part of policy makers for rural development. While considerable efforts and resources have been invested to preserve and utilize rural landscape, we still lack a systematic means to quantify and evaluate ecosystem service value of the rural landscape and management status. So this study suggests rural ecological landscape management indicator considering ecosystem service value. It consists of 28 criteria and 107 subcategories, which can be applied to rural village. And We have applied ecosystem service value assessment and resident's management status on three villages, Moondang village, Yonggye village, and Sesim village.

      • 휴대형 자가발전기의 사용성 및 활용성 증대를 위한 UI 및 UX 개선

        여정진(Jeongjin Yeo),홍정표(Jungpyo Hong),장도담(Dodam Jang),한솔(Sol Han),김혜일(Hyeil Kim),양윤석(Yoonseok Yang)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휴대형 자가발전기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Pulling 방식의 발전기 개발을 목표로, 새로운 생체역학적 구동 메커니즘의 적용을 통한 충분한 출력 성능 및 사용성과 활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체의 동작을 이용하여 구동한다는 특수성을 고려한 새롭고 효과적인 구동메커니즘의 적용, 독특한 사용 방법과 사용 환경을 면밀히 고려한 UI 및 UX 결과, 1. 양손의 그립감 향상, 2. 야외활동을 고려한 부착가능형태, 3.상시착용이 가능한 형태 등의 디자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휴대형 자가발전기는 자가발전기술의 사용성과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design for novel human-powered generator with higher output performance by applying a new biomechanic driving method. We applied design strategies for effective and convenient power transfer from human body to generator. There was also consideration for extended portability. Among many results, 3 design plans were finally obtained which improved the grip-ability for both hands, portability and usability in outdoor activity, and even wearable. The human-powered portable generator sugges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 usability and utilization of generator. Further study considers the integration of sound and haptic feedback to make it fun experience to generate electricity through UI & UX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