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부문의 조직특성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장다정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55

        Creativity became the important driven force in most organizations. The creativity has an essential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development for their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how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public sector statistically effect on creative behavior in comparison with employe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corpor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creative activity in the public sector, the five factors have been found: goal clarity,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culture, Job traits and leadership. Though the study, this research will show which factors are the most affective to develop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the public sector. First of all,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the chapter two explains the concepts of crea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find out independent factors. Secondly, to understand the employe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corporation, the chapter three contains the properties, evaluation methods and the cases of creative behavior in the public organization. Third, in the chapter four the study sets up the model and hypothesis. Forth, the hypothesis is proved by the empirical analysis: how differently the employees recognize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ith t-test and which elements give an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with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final chapter, on the base of the result, this result suggests implications on improving creative behavio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finds out different perception among employees between government and public corporation 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most important common factors of organizational traits, open-systems culture and task significance have been found. However, there is the different perception between the employees of government and public corporation. Job goal clarity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civil service while chie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department leader-member exchange leadership are the most significant parts for working public corporation.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e three critical emphasizing points: the chief evaluation, empowerment, and creative education. The chief evaluation can make the people more active and creative because its results make members focus on changes; the empowerment has the employee pay more attention to their work; also, creative education as inventive problem solving can support them to enhance the skills to solve the problem on their task. According to study results, it is obvious that the clear job goal leads the better task ability only for public servants. However, the task significance, which helps most departments understand and compromise each other with the better performance, is the essence to bring creative behavior. Not only the achievements of members are associated with others but also the output keeps affecting each other. Thus, the civil service should extend its range of task and make its job goal clear.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empowerment to other staffs, a certain system should be set up in advance with sharing vision and needs in all public sectors. After all, the creative education should offer for all and new employees to avoid authoritarianism, centralism, cynicism and so on. Especially for the new members, the education must be provided at first. Learning inventive problem solving education allow new members to act more creatively, to have open mind, and to build confidence. To create open system culture, the public sector needs constant activities as workshop, seminar, and sharing vision. 공공부문은 국정기조에 적합한 중장기 전략을 설정하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창조경영을 위하여 조직적 특성을 변경한다. 환경의 변화와 고객의 기대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요인은 조직구성원의 창의성이다. 조직 창의성을 통해 업무방식을 능률적으로 개선하며 예산을 절감하고, 부가가치를 높여 국민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창의적 행동은 어떤 조직이더라도 기관의 발전과 생존을 위해 필요한 핵심원동력이다. 창조경영을 강조하고 창의성의 의미가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창의적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공부문에서 어떤 조직적 특성을 개선하면 좋을까?”란 연구 질문을 시작으로 공공 조직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창의적 행동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문의 조직특성(목표, 리더십, 조직구조, 직무특성, 조직문화)이 창의적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의 인식을 비교한 경험적 연구이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장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창의적 행동의 개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조직특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3장은 공공부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 비교를 위하여 한국 공공부문 특성과 평가방법을 파악하였으며 창의적 행동 사례를 살펴보았다. 4장은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분석틀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5장은 4장에서 설계한 연구를 실증 분석하였다.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를 구분하여 각 조직적 특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t-test를 통해 비교분석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6장은 연구결과의 요약과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공부문에서 창의적 행동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의 창의적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조직특성을 살펴보았고 경험적 분석결과에 따른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직특성에서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의 인식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각 기관의 특성과 평가방법이 상이하고 공무원과 근로자라는 역할차이가 분명하여 나타나는 현상을 파악된다. 둘째, 공공부분에서 공통적으로 창의적 행동에 영향력을 강하게 미치는 핵심 요인은 발전문화와 과업의 중요성이었다. 즉, 조직특성에서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에게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개선해야 하는 요인은 아이디어를 도출하면 격려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돕는 개발문화와 본인의 업무가 다른 부서에 영향을 끼치는 과업의 중요성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한위임을 통한 재량권 확대와 효과지표 공유가 필요하다. 또한, 권한위임을 할 때 직무 범위를 넓히고 하나의 효과지표를 공유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체계마련, 규칙정립이 필요하다. 불합리하고 비상식적인 결과지표를 타부서 및 타기관과 공유한다면 하께 협의하고 소통하는 장을 마련하게 되어 과업의 중요성이 높아져 창의적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공무원은 직무목표가 명확할수록 창의적 행동이 향상되었으나 공공기관 종사자들은 기관장의 거래적 리더십, 부서장과 구성원의 교환관계리더십이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공공기관은 매년 기관장의 리더십과 중장기발전기여 부분을 평가받기 때문에 업무 개선, 비전 공유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지만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정책업무와 부서 업무의 지표를 통한 평가를 받고 있어 제안을 통해 아이디어가 도출되더라도 실제 반영되기 어렵다. 중앙부처와 지역자치단체의 기관장도 평가를 실시한다면 구성원들의 비전 공유, 워크숍, 세미나 등 활동을 실행하여 기관목표, 직무목표를 명확하게 인식하게 되고 리더십의 영향력도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개발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을 갖고 새로움을 제도적으로 받아드릴 수 있는 구성원들의 오픈마인드, 부서장과 기관장의 배려 리더십, 도전을 허락하고 이해하는 담대함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적합한 창의 교육이 개발되고 워크숍을 통한 새로운 제도 마련과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이 되어야 기존에 갖고 있는 권위주의. 집권주의, 냉소주의 등을 타파할 수 있다. 신입사원교육에 창의문제해결교육과 능동적인 사고를 갖출 수 있는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기관장과 부서장들도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산하고 제도적으로 도입하도록 창의문제해결교육이 함께 실시되어야 하겠다. 따라서 효과지표 공유를 통한 권한위임과 기관장의 리더십평가는 과업의 중요성과 직무 목표를 명확하게 하여 창의적 행동을 높일 수 있으며 기관장의 관심을 높여 아이디어 제안이 많이 생산될 수 있으며 제안이 실질적으로 도입되도록 체계가 마련될 것이다. 또한, 창의교육 실시와 공감대 확산은 구성원들이 업무에 나타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이 가능하고 관리자에 대한 불신, 변화의 불안함, 업무에 대한 무력감을 나타

      • Cloning and expression patterns of genes by microarray following FGF signal blocking in Xenopus embryo : 초기 Xenopus 배자에서 FGF 신호전달 억제에 따른 Microarray에 의한 유전자의 클로닝고과 발현 양상

        장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FGF ( Fibroblast growth factor )는 기관형성, 증식, 분화, 세포 이동, 혈관 형성, 상처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 년동안 Xenopus 배자에서 FGF는 중배엽 유도능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전 연구에서 외배엽의 절편이 정상적인 epidermal 로 가는 운명을 DNFR (Dominent –negative FGF receptor) 의해 변하는지에 대해 연구를 했다. Animal cap 에서 DNFR에 의한 FGF 신호 전달 차단으로 endoderm 유도에 관련된 유전자를 포함한 다양한 유전자를 알기 위해 DNFR 을 주입한 animal cap을 Microarray 수행을 통해 이러한 유전자 들의 대한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이들 세가지 유전자인 X-Vimentin 4 , X-Claudin 1, Alpha tubulin at 84B 를 선택하여 Xenopus laevis 의 배자 형성 동안에 이들의 기능을 밝히기 위해서 분리 동정을 하므로 그들의 각각의 기능을 유추해 보고자 한다. 각각의 유전자의 sequence 비교 , 발현 양상, 다른 동물 모델 참고 문헌을 분석한 결과 X-Vimentin 4 는 신경에 관련되고, X-Claudin 1 은 배자 축에 영향을 주며, Alpha tubulin at 84B는 세포의 이동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 적외선 분광 관측을 통해 본 우리은하 중앙분자구름대의 물과 메탄올 얼음 분포

        장다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은하 중심(Galactic Center; GC)의 중앙분자구름대 (Central Molecular Zone; CMZ)에 위치한 천체들의 근적외선 및 중적외선 분광 관측 분석을 통하여, 이 지역의 얼음 분포와 천체들의 화학적 특성을 알아봄에 있다. 천체 관측은 하와이 마우나케아에 있는 Infrared Telescope Facility (IRTF) 망 원경과 SpeX 분광기를 이용하였다. 관측된 천체는 총 119개이다. 표본 천체들은 평균 33 등급의 소광 값을 가졌으며, 이에 비례하는 3.4 μm 탄화수소 흡수대의 광학적 깊이 값이 나타났다. 대다수 천체들이 M 형 스펙트럼과 일치하는 형태를 보였고, 온도가 낮은 거성 별에서 나타나는 2.3 μm CO 흡수대를 나타내었다. 약 10 %의 천체에서 강한 물(H2O) 얼음 흡수대가 나타났고, 그중 6개의 천체에서 3.535 μm 메탄올(CH3OH) 얼음 흡수대가 나타났다. CH3OH 얼음 흡수대의 광학적 깊이 값이 젊은 항성체(Young Stellar Object; YSO) 판별에 사용된 15.4 μm CO2 얼 음 흡수대의 광학적 깊이 값과 비례하였으며, 이는 15.4 μm CO2 얼음 흡수대가 CO2 얼음과 풍부한 CH3OH이 혼합되어 나타나게 됨을 뒷받침해 준다. 본 연구의 관측 결과는 젊은 항성체의 외피(envelope)의 시선 방향에 놓인 배경 거성을 통하여 중앙분자구름대에 CH3OH 얼음이 젊은 항성체에 국지화되어 존재함을 제시해 준다. To study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Molecular Zone (CMZ), the central 300 pc region of the Galactic Center (GC), we obtain 2–4 μm spectra of 119 red point like sources using NASA IRTF/SpeX at Maunakea in 2009, 2011, and 2017. We find that most of the sample spectra show CO bandhead absorptions at 2.3 μm, tagging them as bright (super-)giants. Despite this photospheric signature, however, about 10% of the sample exhibit a strong absorption at 3 μm from H2O ice, which makes them distinct from the rest of the sample with significantly weaker absorptions. Six of them also show signatures of CH3OH ice absorption at 3.535 μm. Furthermore, the amount of CH3OH ice correlates with the 15.4 μm absorption of CO2 ice, which was postulated to build up by ice mixture with CH3OH. This observation suggests that they are background (super-)giants in projection to an extended envelope of a young stellar object or a dense cloud core in the region, and supports our previous notion of localized CH3OH-rich ices in the CMZ.

      • 퀴어 영화에서 재현되는 젠더 수행 :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장다정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 1956~)의 ‘수행성(performativity)’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 퀴어 영화에서 재현되는 젠더 이미지들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주체 설정의 폭력성이 매체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재현되는지 살펴보고, 전복적인 젠더 수행을 하는 인물들의 사례를 통해 이들의 전복적 젠더 수행이 어떻게 정형성을 파괴하며 이러한 정형성의 파괴가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가변적 주체’, ‘수행성’, ‘패러디(parody)와 드랙(drag)’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한 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27편의 퀴어 영화 대부분이 공유하는 보편적인 젠더 이미지를 추출하고 논의에 맞게 분류하고 분석한다. 그리고 이 영화들 중 <가장 따뜻한 색, 블루 (2013)>, <메종 드 히미코 (2005)>, <나쁜 교육 (2004)> 세 편의 퀴어 영화를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보편성을 파괴하는 전복적인 사례들에 대해 논의한다. 버틀러는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의 전통적인 구분법에 저항하며, 또한 자율성과 일관성을 주축으로 하는 기존의 주체 개념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버틀러는 행위 속에서 가변적으로 구성되는 행위자, 즉 호명에 완전히 복종하지 않고 잉여 부분을 둠으로써 완전한 복종도 완전한 저항도 아닌 복종을 하는 주체를 이야기하며 근대적 주체 개념의 해체를 지향한다. 주체의 존재를 전제하는 퍼포먼스(performance)와는 달리 오랜 시간 동안 계속되는 반복의 과정인 수행성(performativity)은 주체의 존재를 전제하지 않는다. 주체는 고정적이고 완결된 상태로 선행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를 통해 가변적으로 구성되며,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 중에 작동하는 것이 반복적인 수행이다. 여기서 버틀러는 다르게 반복하기를 중요하게 본다. 기존 구조를 모방하되 원본성을 조롱하고, 권력에 속하지만 권력의 이분법을 뒤흔드는 문란한 복종이나 비복종의 방식으로 논의한다. 또한 드랙과 같은 패러디적 수행은 수행자의 육체와 수행된 젠더 사이의 분열을 강조함으로써 모든 젠더 정체성의 모방적 본성을 폭로한다. 버틀러에게 있어서 젠더는 패러디적인 속성을 지닌다. 모방의 대상, 원본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원본이 아니라 이상적인 관념의 패러디에 불과할 뿐이라면 원본에 우위를 두는 것은 무의미하다. 남성/여성의 이분법 자체도 실상은 남성성/여성성이라는 관념, 즉 진정한 남성이나 진정한 여성이라는 이상적인 관념만이 존재할 뿐이다. 특히 매체에서 재현되는 젠더 이미지는 기존의 이분법적인 규범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규범에서 벗어난 존재들까지 규범 내부에 포섭시키곤 한다. 예를 들어 퀴어 주체의 젠더 수행의 경우에는 퀴어라는 속성 자체의 전복성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퀴어 영화에는 비전복적인 이미지가 많이 존재한다. 일탈적이고 비주류적인 이미지도 매체 안에서 계속 반복되다 보면 기존의 질서에 순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이미지가 정형화되는 것은 아니며, 정형화된 이미지를 벗어나 전복적인 수행을 하는 인물들은 ‘트러블’을 일으키지만, 이러한 트러블은 그 자체로 강력한 행동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퀴어 영화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근대적 주체 개념의 폭력성은 퀴어 주체만의 문제가 아니다. 성폭력의 문제, 에이즈 문제 등 윤리와 인권에 관한 문제도 포함되며 더 나아가 성소수자 뿐만 아니라 사회 각층의 소수자, 그리고 언제라도 배제될 가능성을 안고 살아가는 현대 사회의 모든 주체들, 즉 우리 모두의 문제가 될 수 있기에 버틀러의 논의가 일으킨 젠더 ‘트러블’에 대한 문제의식은 그 자체로 큰 의의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 Lewin 모형과 Leavitt 관리전략을 통한 정부조직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 중앙부처 혁신인사담당 공무원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장다정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외부·내부 환경 변화에 맞춰 조직변화들의 도입은 조직을 성장하고 발전하게 한다. 그러나 적합한 조직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 체계적인 변화관리가 없다면 그 조직은 쇠퇴할 수밖에 없다. 조직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사회 환경, 정치적 변화, 국민의 요구 등을 반영한 능동적이고 합리적인 변화관리가 필요하며 체계적인 변화관리는 국가 경쟁력을 갖게 하여 정부의 성장을 가져오게 할 것이다. 작은 정부론, 공공 선택론, 신자유주의가 맞물리면서 과거 정부의 특성에 따라 변화는 개혁, 쇄신, 혁신 등으로 사용되었다. 참여정부는 변화사례들을 혁신이란 이름으로 각 부처에 도입하도록 장려하여 조직을 변화시켰다. 조직의 생산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사례들이 조직내부에 도입되면서 어떻게 변화관리가 이뤄졌고 어떤 반응과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으로 본 연구는 구성되었다. 연구의 주된 목적은 정부 중앙부처의 변화 사례들을 Lewin의 변화모형과 Leavitt의 변화관리전략에 적용하여 분석해 보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환경변화에 따라 조직이 어떤 변화관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어떤 관리전략을 선호하며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와 변화단계의 요인들을 도출하고 범주화하여 Lewin의 변화단계를 이용하여 변화과정을 모형화해 보고자 한다. 또한 변화요인들이 어떤 것이 있고 효과적으로 변화를 추진하기 위해 어떤 관리수단들을 사용해야 하는지 리비트(Leavitt)의 변화관리전략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중앙부처 중 11부처 16명의 혁신인사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개방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나온 분석결과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레윈과 리비트의 이론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변화경험과 변화에 대한 의식에 기초하여 모형화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리비트 이론을 적용해 본 결과 기존에 관리전략으로 보지 않던 “문화”가 관리 수단으로 포함되었다. 구조, 기술, 행태, 업무, 문화를 관리전략으로 보아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단순히 문화를 종속적인 변화로 보던 과거와는 달리 혁신인사담당공무원들은 문화를 변화단계에서 주지해야하는 관리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신바람 나게 일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조직 구성원의 문화적인 접근이 체계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레윈의 해동, 변동, 재결빙 변화단계마다 변화요인이 존재하는데 설문결과 관리전략별 혁신사례에 상관없이 조직 내부 구성원들은 변화에 저항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선행 연구에서 본 것과 같이 변화에 대한 장애요인이 항상 존재한다는 맥락과 일치하며 참여정부의 혁신변화를 각 부처에 도입될 때 평가를 위한 변화가 이뤄져 부처내부의 합의 없이 외부의 변화자극으로 도입하여 혁신 피로감, 저항, 갈등 등이 더욱 발생한 것으로 보이므로 해동단계에서 변화의 필요성이 내부에서 나타나도록 교육 및 세미나를 통해 변화를 인지하게 하여 변화를 수용하게 해야 한다. 셋째, 리비트의 전략관리 방법인 구조, 기술, 행태를 나누어 중앙부처별 사례를 정리해 봄으로써 각 부처의 핵심 사항을 알 수 있었고 어떤 특징들을 갖고 있는지 조망해 볼 수 있었다. 대부분 중앙부처의 혁신담당공무원들은 구조, 기술의 변화에 더욱 관심을 갖고 있으며 문화와 행태의 변화관리를 핵심사항으로 보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구성원의 행태 및 가치체계인 문화를 변화시킬 수 없다면 그 조직의 진정한 발전은 불가능함으로 함께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따라서 조직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계획적인 변화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변화단계를 조사하여 변화요인과 관리전략을 도출하여 미진한 부분을 채울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조직 구조, 기술, 행태적 접근이 균형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이 모든 접근의 근본적인 바탕이면서 지렛대 역할을 하는 조직 문화형성도 전략적이고 계획적으로 함께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Adoption of organizational changes along with changes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makes an organization improved and developed. Without systematical management of changes that could present proper changes of organization; however, the organization can not last any longer. Get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not only in the organization, but in the government as well is also vital. The government should manage the active and rational changes, which reflect people’s demand, political changes, and social changes and so on. This systematic management will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lead to the government growth. As following tendency of the prior government (Small government, Public choice, Neo-liberalism), the term “change” has been defined as reform, renovation and innovation. The administration of Roh Moo-Hyun, dubbed as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changed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by adopting precedents named “innovation” to each department. The main idea of this study is from questions of how the changes were managed and what kinds of effects and responses it brings as the government has adopted precedents into the department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analyzing the cases of changes by applying Lewin's prototype of changes and Leavitt's managing strategic change. In detail,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ich strategies the organization uses the management of changes, prefers using as its environment changes and what the consequences are. Also, this study will discuss which factors have affected the changes, categorize those factors by using the Lewin’s model. Through the Leavitt’s strategy of change management,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useful methods of managing changes in order to produce effective results and to discover other factors that influence changes, so that this study could suggest policies of changes to build the developing organiz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as well as by interviewing 16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innovation and human personal affairs in 11 of the department of central government. The brief results of analyzing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able to analyze cases with theories of both Lewin and Leavitt. Also,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m based on interviewees’ consciousness of changes and their experiments. As a result of applying Leavitt’s theory, however, "culture" which has never been a considerable strategy of changes, is included with means of management. As this study was able to conclude that interviewees consider structures, techniques, behavior, works and ‘cultures’ as strategies of management, and many servants working in human resources think that culture is in a valuable posi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ast when they considered culture just as a dependent variable. Therefore, systematic cultural approach for members of organization is needed such as setting up the culture ‘work with smile’. Secondly, according to Lewin’s model, there are unfreezing, changing(moving) and refreezing in each stage and it was able to find that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resist the changes regardless of cases of innovation in each level. As most previous researches, the result of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re is a barrier toward the changes. When the department innovates its organization by pressure of Roh Moo-Hyun’s administration, there was no agreement from internal organization but evaluation of changes. So the members would suffer from the exhaustion of innovation, resistance of changes and confliction of roles and in the level of unfreezing training and seminar may assist the members to realize necessity of changes and to accomplish innovation without resistances. Thirdly, the findings presented here suggest that each case of a central office should know core factors and vital trait, by categorizing the cases as strategic management-structure, technique and behavior. In Central government, the officer in charge of innovation and personal affairs was more interested in structure approach and technique approach rather than personal behavior and culture. Unless members of organization carry out behavior and culture, the public organization should not be able to make true change. It is essential that public organization sectors should cope with everything to manage strategic change. As a result, in order to increase effectiveness,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e organization should find changing factors and manage the strategy systematically. Furthermore the organization has to find out the factors and manage every change in each stage and the subsequent fill up the lack of factors and change method. It is suggested that organizational change includes a good portion of the change management for enhanced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to achieve required level of successful change.

      • Studies on the effect of intracerebral transplantation of stem cells in a rodent model of ischemic stroke

        장다정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23

        Strok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in the world. After any insult or injury by stroke, the response of the brain can lead to lost neuron and uncontrolled inflammatory process, which impair survival of endogenous stem cell and inhibit spontaneous cure process. Unfortunately, there is no currently effective therapy available to cure ischemic stroke. Cell therapy still contains many unsolved problems for clinical application, but stem cells have been raising attention as a potential source to replace lost neurons caused by a blockage of blood flow. This study focuses on evaluation of therapeutic effect of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animal models of ischemic stroke through following cell types: human neural stem cell,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uman neural progenitor cell derived from hESC, and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derived from somatic cells. These cells were delivered intracerebrally after a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ulsion (MCAo) in rats. Stem cells were able to mobilize toward infarct region from transplanted site, and the migrating cells were non-invasively track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igration of transplanted cells in the brain was also measured histologically. They indicated different patterns of neural differentiation and showed their different capacity for repair and regeneration of injured brain tissue and functional recovery through behavior tests in animal models of ischemic stroke.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ransplantation of stem cells has influence on replacement of injured brain tissue, enhancement of endogenous neurogenesis, and reduction of inflammatory response due to ischemia stroke. These discoveries emphasize the need for understanding features of diverse stem cells and their potential to improve motor function of the impaired hindlimb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stroke. 뇌졸중은 세계에서 가장 흔히 일어나는 질병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뇌졸중으로 인한 뇌 손상은 신경세포의 소실과 염증 반응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뇌에서 일어나는 자발적인 신경 재생이 억제되고, 병적호전을 저해한다. 불행하게도 현재까지 뇌졸중을 치료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극히 제한적인 상태이다. 세포 치료법은 임상적용에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점을 가지고 있지만,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는 손상된 신경 세포를 대체 하는 잠재적인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는 허 혈성 뇌졸중 동물 모델에 다양한 세포 이식 (신경 줄기세포, 제대 혈, 배아 줄기세포에서 유래된 신경 전구 세포, 유도 만능 줄기세포) 의 치료효과를 알아보는 데 주력하였다. 본 연구는 네 가지의 다른 줄기세포들을 뇌졸중모델에 이식 하였을 때, 생체 내에서 신경분화의 특성 및 효율성을 알아보았고, 또한 이러한 세포이식을 통한 손상된 뇌조직의 재생과 그로 인한 행동 개선을 다양한 관점으로 관측하였다. 뇌에 직접적으로 이식된 줄기 세포들은 자기공명영상법을 이용하여 생체 내에서 모니터링 함으로써, 경색부위로 이동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를 조직학적인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식한 줄기세포들로 인해 내생적 신경세포들의 재생 증진과 뇌졸중으로 유발되는 염증반응들이 감소한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입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다양한 줄기세포들의 각각의 특성과 세포 이식을 통한 뇌졸중 치료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심어: 뇌졸중, 줄기세포, 신경줄기세포, 제대혈, 신경전구체 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동물 모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