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arning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Learners in Problem Based Learning

        Kyungwon Chang(장경원)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9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과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문제중심학습 운영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을 경험한 75명의 학습자들로부터 그들의 학습경험, 어려움, 그리고 요구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집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분석, 의견제시, 논의, 자료수집 및 분석, 해결안구성, 발표 등의 활동을 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문제 중심학습 경험을 통해 문제해결과정, 집단지성, 연구방법 등에 대해 학습하였고, 향후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많은 자료를 수집․활용할 것이라고 다짐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문제 이해 및 분석, 자료수집, 이해, 내용 선택, 문제해결안 도출, 발표 등 문제해결의 전 과정과 팀 활동 수행에서 어려움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넷째, 학습자들은 교수자들로부터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힌트, 예시, 피드백 등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종합하면,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하지만, 그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교수자가 이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기 원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원하는 도움은 대부분 문제중심학습의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교수자는 먼저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이 어떠한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 안내하고 격려해야 하며, 그 후에 문제중심학습이 지향하는 교육철학 범위 내에서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learners in problem based learning, in which learners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nd to derive problem based learning implementation strategies based on them. To do this, 75 learners who experienced problem based learning attended and presented their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suggestions. The learners’ experiences and though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learners did various activities to solve problems such as analyzing the problem, discussion, collecting and studying resources, making solutions, and presentation. Second, learners studied problem-solving skills, collective intelligence and so on from the experience of problem based learning and pledged that will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eam activities, and collect and use many resources in the next PBL class. Third, learners had difficulties in PBL such as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context of problems, collecting and selecting resources, making solutions, etc. Fourth, learners suggested that they require helpful tips, examples, feedback, and guidelines from their tutor. In summary, learners ha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in problem based learning but they struggled in those activities and they wanted to have assistance from a tutor. However, what learners wanted would depreciate the value of problem based learning. Therefore, the tutor should consider and explain to the learners the underlying difficulties within the course and the educational meaning and thus facilitate appropriate teaching based on the philosophy of PBL.

      • KCI등재

        대학수업에서 하크니스 토의 활용 사례 연구

        장경원(Chang, Kyun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The Harkness discussion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ased on student-led discussion and discussion-based learning.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of the Harkness discussion and to present the class case which were applied. Th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for the Harkness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make the Harkness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outcomes to be reached through the discussion, and design corresponding learning materials, tasks, and discussion methods. When implementing Harkness discussions, first, introduce Harkness discussion to students and present their study materials and assignments. Organize teams with 9-12 of people and arrange desks to make team members can see each other. Before the discussion, the instructor guides the discussion method, and roles as a learner and monitors with providing assistance if it is necessary. At the end of the discussion, the instructor provides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organize the discussion and share it. Based on these strategies, the class for the Harkness discussion was designed and applied, and the students’ opinions on the clas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in-depth discussions based on what they learned through pre-learning. Conversely, it was required to adjust the amount and difficulty of pre-learning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preparation and discussion. In addition to the evaluation opinions of the students, th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of the Harkness discussion were presented. This research expec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arkness discussion,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and class story introduced in this study could be a practical guideline to apply the Harkness discussion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universities. 하크니스 토의는 학생 주도 토의, 토의 기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다. 이 연구는 하크니스 토의를 대학수업의 토의 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해 하크니스 토의 수업 설계 및 운영 전략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사례를 제시한 사례연구이다. 하크니스 토의 운영을 위한 설계 및 운영 전략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하크니스 토의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토의를 통해 도달해야 할 구체적인 학습목표와 학습 성과를 결정하고, 이에 부합한 학습자료와 과제, 토의 운영 방법을 설계한다. 하크니스 토의를 운영할 때는 사전에 학생들에게 하크니스 토의에 대해 안내하고, 학습자료와 과제를 제시한다. 토의를 운영할 때는 9-12명을 기준으로 팀을 편성하고, 팀원들이 서로를 볼 수 있는 형태로 책상을 배치한다. 토의 시작 전 토의방법, 학습자와 교수자의 역할을 안내하며, 교수자는 토의활동을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한 경우 도움을 제공한다. 토의가 종료되면 토의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전략에 따라 하크니스 토의를 위한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한 후, 학생들의 평가 의견을 수집,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사전학습 기반 심도있는 토의가 이루어진 것에 매우 만족하였지만, 사전학습 과제의 분량과 난이도 조정, 예습 및 토의활동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을 요구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하크니스 토의 설계 및 운영 전략을 수정·보완하였다. 연구결과는 대학에서 하크니스 토의를 하나의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의 프로젝트학습 사례 연구: 학습자들의 학습경험을 중심으로

        장경원 ( Kyungwon Chang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S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비대면 원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도 의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주도적, 협력적으로 학습하는 프로젝트학습의 실행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비대면 원격교육에서 이루어진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사례연구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운영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경기도 소재 A대학교에서 운영된 비대면 원격 프로젝트학습에 참여한 3개 반 학습자 80명이 제시한 주요 학습활동, 배운점, 그리고 어려움과 건의사항을 수집·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LMS, 화상회의 프로그램, 무료 통화 및 메신저 응용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팀 빌딩, 과제명확화, 자료수집 및 분석, 해결안모색 및 타당성검증, 발표 및 평가의 과정을 거쳤다. 둘째, 학습자들은 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내용지식을 습득하고, 팀활동방법, 의사소통방법, 문제해결방법에 대해 학습하였고 공동체의식, 책임감을 함양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비대면 원격교육에서의 프로젝트학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업, 팀, 개인차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수업 차원에서는 상호작용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원, 체계적인 수업계획과 운영이 필요하고, 팀 차원에서는 집단 사고활동과 팀 운영이 필요하고, 개인 차원에서는 공동체의식과 만족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비대면 원격 프로젝트학습의 설계와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환경을 고려한 프로젝트 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 협력학습을 위한 실행 전략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과정이 수업 시간 중에 실시간으로 진행되고 교수자에 의해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들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도구를 제공해야 한다. Non-face-to-face education is running under the situation of COVID-19. For meaningful learning to take place even in non-face-to-face distance learning situations, learner-centered and collaborative project based learning must be implemented.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case of project based learning in non-face-to-face distance education.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project based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outcomes, and sugges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from 80 learners who had distance classes during the first semester in 2020 due to COVID-19.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had processes of team building, task clarificati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olution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and Presentation and evaluation using LMS, Zoom, free call and messenger application. Second, learners reported that they acquired the content knowledge and learned the methods of team activity,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nd increased in community awareness, and responsibility. Third, learners claimed that successful non-face-to-face distance education needs to have improvement in the aspects of class, team, and individuals. At the class level, interactive technical support, systematic instruction planning and management are required. At the team level, group intelligence activities and team management are needed at the team level. At the individual level, community awareness and achievement is need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for online project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the project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environment. Second, there is a need for implementing strategies and support for online cooperative learning. Third, the entire process of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should be conducted in real time during class and monitored by the instructor. Fourth, tools to support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성인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장경원(Chang, Kyungwon),곽윤정(Kwak, Y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긍정적 탐색(AI)을 활용하여 성인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사례 연구로서 경기도에 위치한 평생교육 기관의 드림코치 양성과정에 참여한 창의인성교육 강사 23명을 대상으로 바른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였다.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성인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참여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긍정변화 프로세스로 ‘긍정적인 질문’을 통해 변화를 이끌어 가며, 발견하기, 꿈꾸기, 디자인하기, 다짐하기 등의 네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성인대상 인성교육은 자신과 타인의 인성에 대해 탐색하고, 실천의 가치를 알게 하였고, 21세기형 인성을 개발하는데 적절한 프로그램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성인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실천을 강조하는 인성교육의 지향점을 충족시킴으로써 구체적인 성인대상 인성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appreciative inquiry(AI)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dult character education program. 25 character education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Dream Coach development course provided by Gyeonggi-Do Provinci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and developed and implemented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themselves. The adult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sing AI was a positive change process based on discourse of the participants, and led change by asking positive questions and using four steps, Discover, Dream, Design, and Determine.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enabled adults to explore character of self and others, and understand the value of practice. In addition, the program had potentials for developing characters for the 21st century, met the needs of character education by emphasizing practice, and established concrete, found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adult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액션러닝을 활용한 체험학습 프로그램 사례연구

        장경원(Chang, Kyungwon),박수정(Park, SooJ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2

        교육현장에서 체험학습이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다. 체험학습은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일련의 학습과제를 학생들이 직접 찾아가서 문제를 조사하고 토론하는 실제적인 과정을 통하여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교수학습방법이다. 그러나 체험학습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와 지도방법의 제공없이 실천만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험학습이 목적에 맞는 성과를 갖기 위해서는 적절한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액션러닝이 체험학습의 방법론으로 활용 가능한지 탐색하기 위하여 수도권 대학의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5박6일의 싱가폴 교육 체험 연수 과정을 액션러닝 프로그램으로 개발,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되어있다. 첫째, 체험활동 전 활동으로 팀별로 연수기간동안 무엇을 연구할 것인지, 팀별 연구주제를 정하는 활동이다. 둘째, 체험활동으로 이 기간 중에는 매일 아침에 팀별 미팅을, 일과 후에는 팀별 성찰모임을 실시하였다. 셋째, 체험활동 후 활동으로 연수기간 중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최종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참가자들은 체험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체험활동을 보다 의미있게 보낼 수 있었으며, 경험을 내재화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음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액션러닝이 체험학습을 위한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체계화된 연구와 실천이 필요할 것이다. Experiential learning has been carried out actively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experiential learning, students investigate and discuss learning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e curriculum objectives. But without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experiential learning, researchers have emphasized 'practice'. An appropriate methodology is needed to achieve the goal of experiential learning. This study assume that action learning is one of the methodology and selects Singapore education experience program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operated for 5 nights 6 days using action learning. Participants were consisted of 14 metropolitan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s in this program. The program consists of three steps: pre-activities, activities, and post-activities. First, in pre-activities, participants as a team determined what students study during Singapore school visits. Second, morning and evening reflection meetings were conducted in activities in the program. Third, they wrote and presented final reports based on data collected during the visits in post-activities. Participants confessed that they involved themselves in experiential learning more actively. They also emphasized that they had meaningful internalized experiences. Therefore, the systematic study and implementation will be required to use action learning for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future study.

      • KCI등재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수업연구 (Lesson Study)의 효과와 운영전략 탐색

        장경원(Chang, Kyun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활용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효과와 운영전략을 제시한 사례연구이다. Lesson Study는 교사들이 협력하여 수업을 함께 계획하고, 계획한 수업을 실행 및 관찰하고, 그 결과를 성찰하여 수업을 수정하는 협력적ㆍ적극적ㆍ성찰적인 수업 연구 활동이다. 예비교사들이 이수해야 하는 교직과목 중 수업 역량 개발과 관련있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강좌를 수강하는 57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2014년 2학기에 Lesson Study를 운영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예비교사들이 Lesson Study를 의미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PBL과 융합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Lesson Study 참여 후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성찰저널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Lesson Study를 통해 수업에 대한 생각을 정 리하고, 수업설계과정과 실제 수업의 특성을 학습할 수 있었으며, 다른 교사와의 협력적 문제해결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이 경험을 토대로 이후에 교사가 되었을 때 좋은 수업을 위해 동료 교사들과 협력하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할 것이며,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할 것이라고 하였다. Lesson Study를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한 것에 대해서는 수업운영 및 다른 수업에 대한 평가 경험과 자신의 수업 역량을 개발 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수업 시 연과 피드백을 위한 시간과 기회가 증가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Lesson Study는 현직교사들뿐만 아니라 예비교사들을 위한 좋은 교육방법이다. 따라서 수업역량과 관련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정, 교과교육론, 교과교육교재연구 및 지도법, 교육실습 등의 교과목에서 이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실습 교과목 운영 방법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lesson study for pre-service teachers’s professional development. Lesson study is a team-based mod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Lesson study cycle, teachers work in teams to plan, teach, observe, debrief, revise, reteach, and reflect a lesson. Lesson study was designed and conducted by fusing PBL in the ‘Educational technology and educational method’ course. 57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lesson study and wrote reflective journal about their learning experience. Highlights of reflection journal is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teaching philosophy, learned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 an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through lesson study.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have decided to collaborate with colleagues, systematically to design their lessons, and implement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hey evaluated that this course has the strengths of providing experience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lso, they demanded much opportunity to lessons experience. Lesson study is a good way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teachers. Thus it should be utilized in a variety of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especially ‘Teaching practice’.

      • KCI등재후보

        AI(Appreciative Inquiry)를 활용한 대학의 좋은 수업 특성 분석

        장경원(Kyungwon Ch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1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좋은 수업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이 연구는 사람이나 조직이 가지고 있는 최고와 최선을 것을 찾아 그것을 토대로 변화와 발전을 도모하는 긍정적 탐색(Appreciative Inquiry)을 활용하여 좋은 수업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긍정적 탐색은 발견하기(Discovery), 꿈꾸기(Dream), 디자인하기(Design), 실현하기(Destiny)의 네 단계로 이루어지지만, 이 연구에서는 발견하기(Discovery)와 꿈꾸기(Dream) 단계의 활동을 통해 좋은 수업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K 대학교 3학년 7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대학 재학 중 경험한 최고의 수업이 무엇인지 이야기하도록 하였고, 그들의 이야기를 공유한 후 학생들이 바라는 이상적인 수업의 모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이야기한 좋은 수업은 다음과 같은 14가지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1)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수업, 2)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 수업, 3)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수업, 4) 실제 사례를 제시한 수업, 5) 재미있는 수업, 6) 전문성이 잘 드러난 수업, 7) 학습 내용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수업, 8)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수업, 9) 사고 및 학습 방법을 배우는 수업, 10) 적절한 피드백이 있는 수업, 11)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수업, 12) 실제(적) 과제를 해결하는 수업, 13)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수업, 그리고, 14) 조별활동이 있는 수업이다. 이러한 특성을 공유한 후 학생들이 팀별로 도출한 이상적인 수업의 모습은 이 특성들과 거의 유사하였다. 학생들이 도출한 좋은 수업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 정리하는 것,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익히는 것 등의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대학에서는 교수자들이 이러한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What is good teaching at the university? Many studies have presented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at university. This study founded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using appreciative inquiry (AI) which is the cooperative co-evolutionary search for the best in people, their organizations, and the world around them. AI is composed of four stages (Discovery, Dream, Design, and Destiny); this study utilized the Discovery and Dream steps to find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For this purpose, 75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they recalled their best class experience and shared it with colleagues. Second, they made a “to be image” about good teaching.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n regard to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are: 1) easy explanation to understand, 2) applicable strategies suggested in actual context, 3) utilization of diverse materials, 4) presentation of real world examples, 5) fun, 6) expertise, 7) opportunity to take advantage of learning content, 8) opportunity to think, 9) opportunity to learn how to think and learn, 10) appropriate feedback, 11) opportunity to participate, 12) authentic problem solving, 13) free communication, and 14) group activities. Second, these 14 characteristics were consistent with the ideal teaching image. Therefore, professors have to learn about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collect the necessary materials to teach. Further, universities should operate systematic and helpful programs and support and encourage this system.

      • KCI등재

        AI(Appreciative Inquiry) 기반 수업 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장경원(Chang Kyungw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AI는 개인이나 조직이 가지고 있는 강점과 긍정적 경험을 토대로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본 연구는 AI가 가진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수업 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먼저 AI의 4D 단계를 진행하기 위한 긍정주제를 선정하였는데, 대주제는 ‘수업의 달인’이고, 하위 주제는 의사소통, 수업방법, 전문지식, 개인의 특성이다. 선정된 긍정주제를 중심으로 AI의 프로세스인 4-D 프로세스를 운영하기 위한 세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첫째, 발견하기 단계에서는 교사들이 자신의 강점을 찾도록 하였으며, 1:1 교차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여 최고의 수업 경험을 취재하여 공유하였다. 둘째, 꿈꾸기 단계에서는 월드 카페 방법을 활용하여 자신들이 꿈꾸는 수업의 달인이 된 모습을 상상하게 하였다. 셋째, 설계하기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수립하였다. 넷째, 다짐하기 단계에서는 수립한 계획을 실천하기 위한 개인의 실천 다짐을 작성, 발표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 교사들은 서로의 성공사례를 공유하면서 많은 수업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얻고, 활발히 활동하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점이 매우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AI기반 수업 역량 개발 프로그램은 이후 교사들의 수업역량 개선을 위한 방법론 및 교사와 예비교사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ppreciative Inquiry is the cooperative co-evolutionary search for the best in people, their organizations, and the world around them. This study developed the program for improving teaching skills based on Appreciative Inquiry. In order to develop the AI program, this research project selected “Mastery of teaching” as a ‘positive core’. “Mastery of teaching” consists of the communication, teaching methods, specialized knowledge, and personality. The program consists of four steps: Discovery, Dream, Design, and Destiny. First, in the discovery step, participants search and share their own strengths and the best teaching experience by using a 1:1 cross-interview method. Second, in the dream step, they discuss and draw their future vision by utilizing the World Cafe method. Third, in the design step, they make concrete ideas for action plans. Fourth, in the destiny step, they established a personal commitment to the practice. After the program, they evaluated how the program would be useful to develop teacher competency.

      • KCI등재후보

        배움 중심 수업을 위한 수업컨설팅 사례 연구

        장경원(Chang, kyungwon),이륜(Lee, Ryu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8 No.3

        배움 중심 수업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있지만 실제로는 많은 교사들이 배움 중심 수업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배움 중심 수업이 수업컨설팅의 주요 의뢰 과제인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배움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기 원하는 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수업컨설팅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수업컨설팅은 컨설팅을 의뢰한 교사와 컨설턴트 3명이 함께 과제를 해결한 액션러닝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구체적으로는 의뢰인의 과제 명확화 → 블랭크차트 작성 →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 → 성공사례기반 실행전략 수립 →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수업 → 평가 및 성찰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수업컨설팅의 첫 번째 단계는 과제명확화로, 컨설턴트들이 의뢰교사에게 다양한 질문을 제시하여 의뢰교사가 원하는 배움 중심 수업의 모습이 ‘모둠 활동 시 모둠원들이 모두 참여하는 수업’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컨설턴트들은 모둠원이 모두 참여하는 모둠활동 운영 전략에 대해 문헌 및 사례연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의뢰교사의 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실행결과, 학생들과 교사 모두 만족하였으며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컨설턴트와 의뢰교사 모두 배움 중심 수업과 컨설팅 과정 및 방법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컨설팅 사례는 수업컨설턴트에게 수업컨설팅의 과정과 방법론을 안내할 것이며, 배움 중심 수업을 원하는 교사들에게 배움 중심 수업을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수업컨설팅이 의미 있는 활동이 되기 위해서 반드시 실제 수업에서 실천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Many teachers are interested in, but do not know how to implement ‘Instruction for Learning’. For this reason, they should request a consultation for ‘Instruction for Learning’. This is the case study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wants to instruct for learning. Instructional consulting team consisted of a consultee and 3 consultants. They solved the consultee’s problem utilizing action learning. Problem solving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1) Clarifying the consultee’s task, 2) Making blank chart, 3)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4) Execution strategy based on key factors, 5) Developing a syllabus, 6) Instruction, and 7) Evaluation and reflection. These processes can be summarized in four steps : clarification of problem, research for problem solving, search for solutions, and execution and evaluation. In clarification of problem phase, consultants defined the problem is ‘make the class that all group members join the group working the class’. In research for problem solving phase, they derived learning tasks using blank chart. In search for solutions phase, they designe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struction for Learning’. In the last step, consultee implemented his class in accordance with designed syllabus. This study presents for consultants instructional consulting process and methodology and for teachers good case about ‘Instruction for Learning’.

      • KCI등재

        디자인씽킹 활용 수업에서의 학습경험 분석 :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장경원(Kyungwon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이 연구는 디자인씽킹으로 운영된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경험과 수업에 대한 건의사항을 파악하여 디자인씽킹 활용 수업의 가치와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경기도 소재 A 대학교의 교직과목인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과목을 디자인씽킹으로 설계, 운영하였다. 이 교과목에 참여한 61명의 학생들은 현직 교사가 의뢰한 ‘교육과정 재구성’ 과제를 6주 동안 디자인씽킹 과정에 따라 해결하였고 그 경험을 성찰일지에 기록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수집한 후 Nvivo1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디자인씽킹에서의 학습경험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디자인씽킹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경험은 다음과 같다. 공감 단계에서 학생들은 학교 현장을 경험하고 이해하는 활동이 의미있었고, 과제 의뢰자 섭외, 자료수집과 분석이 어려워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과제 정의 단계에서 학생들은 공감과 연계하여 과제를 이해하는 활동이 의미있었지만 그 과정이 어려웠고, 이를 위해 충분한 시간과 참고자료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서 학생들은 아이디어 도출과 정리 과정이 의미있었고, 과제해결에 필요한 지식 습득 및 아이디어 제시가 어려워 이를 위한 시간과 참고자료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프로토타입 개발 단계에서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그 과정에서 주제에 대해 학습한 것이 좋았고, 그 과정에 어려움이 있어서 시간과 참고자료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테스트 단계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작성한 결과물에 대해 현장의 의견을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았지만 직접 실행해 보지 못한 아쉬움과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결과를 수정할 때 어려움이 있어서 추가 시간 제공 및 좀 더 원활한 상호피드백이 이루어지길 희망하였다. 결론 디자인씽킹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경험으로부터 디자인씽킹의 가치를 도출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으로서의 디자인씽킹의 가치는 학생들에게 실제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 협업 기회, 그리고 혁신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향후 디자인씽킹 활용 수업이 널리 활용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및 관련 분야와의 네트워크 형성, 과제해결에 필요한 프로토콜과 도구 선정과 지원, 과제해결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class using design thinking by identifying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suggestions for the class using design thinking. Methods The ‘Curriculum and Education Evaluation’, a teaching subject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through design thinking. 6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course solved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task requested by an incumbent teacher according to the design thinking process for 6 weeks and recorded their experiences in the reflective journal. After collecting the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the students, the Nvivo 11.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learning experiences in design thinking and draw implications. Results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re as follows. In the empathy stage, students engaged in meaningful activities to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field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needs of the field, and requested support for thi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recruit project clients and collect and analyze data. In the task definition stage, the activity to understand the task in connection with empathy was meaningful, but the process was difficult, and they requested sufficient time and reference materials. In the idea generation stage, students meaningfully experienced the process of generating ideas and organizing them, and it was difficult to acquire knowledge and present ideas for task solving, so they requested time and reference materials for this. In the prototype development stage, students said that it was good to learn while materializing ideas, but it required time and storage materials. In the test stage, students said that it was good to be able to check the opinions of the field about the solution. However, they said that they regretted not being able to directly implement their solution, and that it was difficult to modify the result, so sufficient time and feedback were needed. Conclusions The value of design think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real world, collaborate, and practice the process of innova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form a network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related fields, select and support task-solving protocols and tools, and provide sufficient time for design thinking application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