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카타 우파니샤드』의 Purusa 개념에 대한 고찰

        임혜정 ( Lim Hye Jeong ),정승석 ( Jung Seung Suk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49

        『카타 우파니샤드』에서는 Purusa와 Atman을 동의어로 혼용하면서도 Purusa에 비중을 두어 자아에 대한 차별 관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일원론적인 자아관의 지향점은 Purusa가 Brahman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향점을 표방하는 과정에서 Purusa는 상당히 혼잡스러울 정도로 다양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그 정점에는 `속성이 전혀 없는 Purusa`가 있다. 그리고 이것은 고전 상키야에서 순수한 정신의 원리로 상정한 Purusa와 합치한다. 『카타 우파니샤드』에서 `엄지 크기의 Purusa`는 `내적 자아`인 동시에 `생명으로서의 Atman`이다. 개아 또는 영혼으로 불릴 수 있는 이것이 『카타 우파니샤드』의 일원론에서는 Brahman의 별칭인 최고아로서의 Atman 또는 Purusa와 동일한 것으로 귀결된다. `엄지 크기의 Purusa` 또는 내적 자아에 상당하는 대아(위대한 Atman)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키야의 이원론에서 `엄지 크기의 Purusa`는 미세신(suksma-sarira)에 상당한다. 『카타 우파니샤드』에서 대등한 위상으로 언급하는 통각, 순질, 지아(인식의 Atman)가 고전 상키야에서는 통각으로 병합되었으며, 끝으로 범아일여의 범(Brahman)에 해당하는 적정아(적정의 Atman)는 고전 상키야의 Purusa와 상응한다. 이상과 같이 『카타 우파니샤드』의 Purusa 개념은 자아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포괄함으로써 고전 상키야의 Purusa 개념이 애초에 함축하고 있었던 원천적 관념을 시사해 준다. 『카타 우파니샤드』는 비교적 간결한 문헌이지만, 이를 통해 상키야의 Purusa가 일부 주석자들 사이에서 또는 후대에 Atman과 동의어로 당연시되었던 배경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The terms Purusa and Atman are used synonymously in the Katha Upanisad, but the concept of Purusa is emphasized to reveal discrimination toward the notion of Self. Moreover, with regrad to the inclination of Self in the monistic realms, there seems to be an intent to interpret the term `Purusa` as equivalent to `Brahman.`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is point of view, Purusa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ways to be quite congested, but at its apex is Purusa, which has no property at all. Consequently, this coincides with Purusa, which is assumed to be the principle of pure spirit in the classical Samkhya. The Self-concept in the Katha Upanisad combines the process of intensification of meditation with the object or subject in the cognitive process. It is revealed in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① indriya → artha → manas → buddhi → mahan Atman → avyakta → Purusa ② indriya → → manas → sattva → mahan Atman → avyakta → Purusa ③ →van-manas → jnanatman → mahan Atman → santatman On the other hand, the Bhagavad-gita suggests this process as a stage of indriya → manas → buddhi → Atman. According to classical Samkhya, the subject of recognition evolves from indriya → mind → ahamkara → buddhi → Purus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Katha Upanisad contains the Self-concept that can be covered by Purusa from the Bhagavad-gita to classical Samkhya. The notable concept here is the `thumb-sized Purusa`, likened to a dwarf. In the Katha Upanisad, the thumb-size Purusa is indicated as an `inner self` just as, at the same time, it indicates `Atman as life.` Thisconcept, which can be identified as the individual self or spirit, is ultimately identical to Atman or Purusa as the supreme self―the alias of Brahman ―in the monism of the Katha Upanisad . It is likewise true of the `thumb-sized Purusa` corresponds to the `supreme Atman,` the inner self. The term `thumb-sized Purusa,` however, also corresponds to `suksma-sarira` in the dualism of Samkhya. In the Katha Upanisad , the terms of Buddhi, sattva, and `Atman of awareness`, which are referred to in an equilibrium phase,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buddhi` in classical Samkhya. Finally, `Atman of titration`, which corresponds to Atman, or one`s true self (Atman), which is identical to the transcendent-self `Brahman` (Brahman of `Brahman-Atman-aikya`)―corresponds to the term `Purusa` in the classical Samkhya. To sum up the matters, the concept of Purusa in the Katha Upanisad, encompasses various awareness of the concept `self` that the concept of Purusa in the classical Samkhya suggests the foundational ideas originally implied Even though the Katha Upanisad is a relatively concise literature, this text can provide for later commentators and later generations a glimpse into the contextual background of the term `Purusa` in classical Samkhya, revealing that it is used with as a synonym for `Atman`.

      • 유아교육과 피아노 실기교과 운영사례 및 효과적인 교수전략 방안

        임혜정(Hye Jeong Lim)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2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예비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실기교과 운영사례 및 효과적인 교수전략 방안에 관한 연구로, 본 연구자의 피아노 실기교과 운영사례 및 교수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유아교육과 피아노 실기관련교과 교수자의 효과적인 교수전략 모색에 기여하고자함이 그 목적이다. 본 연구자의 운영사례에서 나타난 주된 문제 또는 개선의 필요는 교육환경, 개인별 수준 고려, 학생의 특성 고려, 효과적인 연습을 위한 지원이었다. 이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는 학생의 연습을 위한 충분한 환경의 지원, 개인별 수준에 맞는 수준별 지도의 방법 적용, 학생의 능력과 특성을 고려한 개인별 밀착지도, 학생들의 효과적인 연습을 지원하기 위한 지도 영상 제공 등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operation of practical piano course and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ourse. Its purpose is to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practical piano course by presenting cases of operation of practical piano courses and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of the researcher. The main problem as well as the need for improvement in the researcher's case study w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dividual level consideratio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support for students' effective practice. Effective strategies to solve this problem include providing sufficient environment support for students' practice,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for each level based on each student’s level, close individual instruc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and providing instructional videos to support students' effective practice.

      • KCI등재

        변위된 미맹출 상악 견치의 교정 치험례 : CASE REPORT

        임혜정,최남기,김선미,양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3

        상악 견치는 가장 긴 치근을 가지며 저작기능과 함께 하악의 측방운동을 유도하고 심미적으로도 치열궁의 구각부위에 위치하여 교합관계의 조화와 대칭을 유지하는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악 견치는 발육기간이 가장 길며 형성되어 맹출하기까지 복잡한 경로를 갖기 때문에 다른 치아보다 매복의 빈도가 높다. 이러한 매복치를 치료하기 위해 임상의는 관찰을 하거나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 자가치아이식, 발치 등 다양한 치료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외과적 노출과 교정치료는 견치를 교합선상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접근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증례 보고는 구개측으로 매복된 상악 견치를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치아이동을 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The maxillary canine is especially important as it has the longest root, provides guidance for lateral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masticatory function and is a key in esthetics due to its position. Maxillary canine has the longest time to develop and a complex route from the place of formation to the site of eruption, and so it is prone to impaction more than other teeth. The clinician should consider the various treatment options : (a) No treatment and observation, (b)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action (c) autotransplantation (d) extraction. Surgical exposure of the canine and orthodontic treatment to bring the tooth into the line of occlusion is considered the most desirable approach. This case presents the results of treatment for impacted maxillary canine by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ooth movement.

      • KCI등재

        상악 전치부에 발생한 여러 유형의 치아 외상 : CASE REPORT

        임혜정,최남기,양규호,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1

        외상으로 인해 완전 탈구와 함입성 및 정출성 탈구가 병합되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2003년 7월에 10세 2개월의 여아가 상악우측 측절치의 완전탈구와 상악우측 중절치의 함입성 탈구, 상악 좌측 중절치의 정출성 탈구로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일 외상치아를 외과적으로 재위치시켰으며 레진 강선 고정을 시행하였다. 외상 2주 후 완전탈구된 상악우측 측절치는 근관치료를 시행하였다. 외상 3개월 후 방사선사진 상에 상악 좌우측 중절치의 치근 외흡수가 관찰되었으며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근관치료를 시행한 후 치근 외흡수가 정지되었다. 1년 4개월 동안의 관찰기간 동안 병적인 변화없이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추후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It is rare that the complete avulsion, intrusive luxation, and extrusive luxation occurred by trauma at the same time. In July, 2003, 10-year and 2 month-old-girl was referred t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e to complete avulsion of upper right lateral incisor, intrusive luxation of upper right cental incisor and extrusive luxation of upper left central incisor. Traumatized teeth were surgically repositioned and fixated with resin-wire splint at the same day. Endodontic treatment of avulsed tooth was performed 2 weeks after trauma. A radiograph was taken 3 months after trauma, which demonstrated root resorption of both upper central incisors. External root resorption was arrested by the root canal therapy with calcium hydroxide. It showed good results for 1 year and 4 month but further follow-up is needed to check root resorption and ankylosi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