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물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위한 Delft3D와 HABITAT 모델의 연계 적용

        임혜정 ( Hyejung Lim ),나은혜 ( Eun Hye Na ),전형철 ( Hyeong Cheol Jeon ),송호진 ( Hojin Song ),유호준 ( Hojun Yoo ),황순홍 ( Soon Hong Hwang ),류희성 ( Hui-seong Ryu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21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7 No.3

        This paper discusses a methodology where an integrated modelling framework is used to quantify the risk derived from anthropic activities on habitats and species. To achieve this purpose, a tool comprising the Delft3D and HABITAT model, was applied in the Yeongsan river. Delft3D effectively simulated the operational condition and flow of weirs in river. In accuracy evaluation of the Delft3D-FLOW, the Bias, Pbias, Mean Absolute Error (MA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and Index of Agreement (IOA) were used, and the result was evaluated as grade above ‘Satisfactory’. The HABITAT calculated Habitat Suitability Value (HSV) for the following eight species: mammal, fish, aquatic plant,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An Area was defined as a suitable habitat if the HSV was larger than 0.5. HABITAT was judged accurately by measuring th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CCR) and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 the CCR and AUC were 77% and 0.834, respectively, at thresholds of 0.017 and 4 inds/㎡ for HSV and individuals per unit area. This meant that the HABITAT model accurately predicted the appearance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by approximately 77% and that the probability of false alarms was also very low.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habitats, in the Yeongsan river, if the annual “lowest level” (Seungchon weir: 2.5 EL.m/ Juksan weir: -1.35 EL.m) was maintained, the average habitat improvement effect of 6.5%P compared to the ‘reference’ scenario was predicted. Consequentl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integrated modelling framework for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is able to support the remedy aquatic ecological management.

      • KCI등재

        그릿이 아동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임혜정(Hyejung Lim),유백산(Baeksan Yu)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2

        본고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초4패널 1, 2차 자료를 사용하여 아동들의 그릿수준과 주관적 웰빙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수의 국내 선행연구들이 아동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해왔으나 그릿의 개념을 아동의 웰빙 증진 가능성과 연계시킨 실증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수준에서 수집된 대표성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학교고정효과 모형을 적용, 주관적 웰빙 지표를 국제적 척도 기준에 맞춰 다각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의 그릿-흥미유지와 삶의 만족도 그리고 그릿-노력지속과 학교만족도와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분석된 결과는 누락변수 편의에도 일정 부분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그릿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개입이 적기에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그릿 증진방안을 제안하고, 가정 및 지역사회 지원의 필요성 또한 제기하였다. Despite the growing concerns about child well-being and mental health in many developed nation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grit influences child subjective well-being. Moreo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relied on cross-sectional analyses focusing on a single measure of child well-being such as life satisfaction or happiness. To address these issue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 multilevel school fixed-effects model framework employing various child well-being indicators (e.g., school satisfaction, peer/teacher relationships, subjective health). Results based o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2019)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hild grit-interest and life satisfaction, and grit-effort and school satisfaction. The observed findings are also robust to unobserved confounding.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

        특성화고 학생의 차별 경험과 학교만족도 관계에서 교사관계와 정신건강의 이중매개효과

        이자형(Jahyeong Lee),임혜정(Hyejung Lim)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2

        본 연구에서는 부산교육종단연구 3차년도(2018) 자료를 이용하여 특성화고 재학생들의 차별 경험이 교사관계, 정신건강 문제를 매개로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차별 경험은 교사관계와 학교만족도 각각에 대해 부적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교내에서 차별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우호적인 교사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학교만족도 수준도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차별 경험은 교사관계를 매개로 학교만족도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드러냈다. 즉 차별 경험을 많이 한 학생일수록 교사관계가 양호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학교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차별 경험이 교사관계 및 정신건강을 매개로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주는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차별 경험이 많을수록 교사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형성하게 하며 이러한 긍정적이지 못한 교사관계가 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심화시켜 결과적으로 학교만족도도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존중 학교 문화 조성 및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차별 경험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rawing on the 3rd wave data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2018,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n school satisfaction through teacher relationships and mental health.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oth teacher relations and school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experienced discrimination at school are not only unable to form friendly teacher relationships, but also are less satisfied with school. Secondly,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school satisfaction through teacher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e more students who experienced discrimination, the worse the teacher relationship and the lower school satisfaction may be. Thirdly, as a result of dual mediation effect analysis, teacher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more students experience discrimination, the more negatively they form their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and these undesirable teacher relationships weaken the mental health of the students, which reduces schoo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student discrimination issues are discussed, focusing on the creation of a school culture that respects students and the role of teachers.

      • KCI등재

        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이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4~고3 시기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이선영 ( Lee¸ Sun Young ),임혜정 ( Lim¸ Hyej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4

        학습자 중심 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학생의 행위주체성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이 구체적인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으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또한 성장 중심적인 관점에서 학습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과 자신의 수업태도에 대한 인식 변화 추이를 종단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 2010> 초4패널 1∼9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9년간 모든 조사에 참여한 학생 2,430명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국어교과에서 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이 국어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학생이 인지한 수업태도가 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에 비해 조금 높게 나타났지만 국어 교과 교사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태도는 전 학년에 걸쳐 지속적인 하향세를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이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단순회귀모형 및 통제변수(성별, 가구소득, 가족구조, 부모학력, 교우관계, 자아개념, 부모학습지원, 독서시간, 국어 자율학습 시간 및 사교육 시간)를 투입한 모형에서 학년이 올라가고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교사의 수업에 대한학생의 인식이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학생의 성장에 따라 전반적으로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태도가 동시에 낮아지지만 교사의 수업에 대한학생 인식이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증대되는 극명한 대비를 나타냈다. 이는 국어 교과에서 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의 긍정적 인식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이외에도 전 기간에 걸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긍정적 반응이 나타났고 자율학습과 독서 시간은 유의한 관계를 보인 반면 사교육 시간의 효과는 전기간에 걸쳐 나타나지 않은 점은 국어 교과의 특성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Recently, the need for learner-oriented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with raising interest on learners' perception during classes. This is because the teacher's role in improving the student's agency is reflected in the students’ perception toward the teacher in practical classes. In order to understand learners from a growth-oriented perspective, it is also necessary to take a comprehensive look at the changes in the learner's perceptions of the teacher and the learner’s attitude throughout their schooling. This study used the 1st to 9th data set from the primary 4th Panel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in 2010 (SELS: 2010-2018) to examine trends in the effect of the student's perception toward teachers on attitude in Korean clas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ttitude in classes from 4th grade to 12th grade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perception toward teachers, but both showed a steady downward trend over the entire school year. In addition, the analysis with a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and another model with control variables (gender, household income, family structure, parent education, friendship, self-concept, parent learning support, reading time, Korean language self-study time, and private education hour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toward teachers on class attitude showed that the influence increased as students advanced through their schooling. Overall, the level of perception toward the teacher and attitudes in Korean classes decreased as students advanced through the school year. This was in stark contrast to the increasing influence of the perception toward teacher on class attitudes. This suggests that a positive perception of teachers in Korean classes is very important. In addition, it is noteworthy that female stu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in class compared to male students over the entire period. Although self-study and reading tim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hou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during the school year.

      • KCI등재

        서울시 고3학생들의 수학성취에 대한 개인 및 중·고등학교수준 영향요인 검증 : 교차분류무선효과 모형의 적용

        노언경 ( No Unkyung ),임혜정 ( Lim Hyejung ),손수경 ( Son Soo Kyoung ),김수혜 ( Kim Suehye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영향요인을 개인 및 학교수준에서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교급을 동시에 고려한 교차분류무선효과모형(CCREM: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교육의 최종 성취도인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도에 대해 개인수준 및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교수준 요인의 영향력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먼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고등학교 시기의 사교육 시간과 자기주도학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학교 시기의 교우관계와는 부적인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시기에 교사의 학생성취에 대한 기대 및 학교수준의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분위기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 관련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dividual and school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using data from 4th wave to 9th wave of the 4<sup>th</sup>-grade panel in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SELS: 2010). In particular, we apply the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CCREM) into unpacking the black box of achievement gap from a detailed perspective of the input- Process-output model in which various factors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at both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Because the SELS 2010 cohort students were cross-classified by the middle school as well as by the high school, the CCREM approach properly accounts for the cross-classified data structure. Drawing on a methodological rigor of the CCREM, our study analyzes multiple membership random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Key findings of our study demonstrate that mathematics achievement of 12th grader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 what extent students have spent in private tutoring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Also,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high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he SELS 2010. Meanwhile, those with a strong peer attachment in the middle school years are likely to show a low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erms of school effect, we find that teacher’s expectations and school climate seriously matter for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further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achievement gap in Seoul city.

      • KCI등재

        초등학생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2011년과 2019년 시기별 독서시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선영 ( Lee¸ Sunyoung ),정명은 ( Jeong¸ Myungeun ),임혜정 ( Lim¸ Hyejung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1 No.-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초등학생 독서시간의 매개효과가 2011년과 2019년의 기간에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표본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 2010)』과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초4 패널 2차 자료로 2011년 기준 2,378명, 2019년 기준 2,607명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이다. 연구 결과 첫째, 2011년과 2019년 모두 스마트폰 의존도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부적 효과를 나타냈다. 그런데 통제변수를 투입한 모형에서 2011년에는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고 2019년에는 유의했다. 그리고 독서시간을 추가로 투입한 모형에서 독서시간은 2011년과 2019년 모두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정적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학업성취도에 대한 스마트폰 의존도의 영향력을 독서시간이 얼마나 완화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2019년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의 13.9%를 독서시간이 완화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스마트폰 의존도가 심각해지는 시점에 독서시간의 교육적 의미와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국어교육에서 초등학생의 독서활동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및 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identify how the mediated effects of reading tim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changed over the period 2011 and 2019. The samples of this study ar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2,378 students as of 2011 and 2,607 as of 2019, from the secondary data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2010) and 2018 (KCYPS 2018)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both 2011 and 2019, dependence on smartphone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when control variables were put in the model, the influence of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in 2011, but it was significant in 2019. In addition, in the model in which additional reading time was input, reading time was identified as a positive factor that increases academic performance in both 2011 and 2019. In addition, as a result of checking how much reading time relieves the negative impact of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t was confirmed that reading time alleviated 13.9% of the negative influence of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 2019. At this time wh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usage time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ir smartphone dependence becomes serious, the educational meaning and importance of reading time was confirmed once again, suggesting tha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to promote the reading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