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변환기의 국제정치경제질서: 패권과 신자유주의 질서의 변환

        임혜란 ( Hae Ran Lim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2 한국과 국제정치 Vol.28 No.1

        이 글의 목적은 미국 패권이 쇠퇴하고 새로운 패권국가가 등장할 것인지, 동시에 미국 패권을 지탱해온 자유주의 질서는 붕괴할 것인지 논의하는 데 있다. 특정 패권과 특정 이념은 필연적으로 동일한 것이 아닐 수 있으므로, 미국 패권과 자유주의 질서 붕괴 여부는 별개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미국 패권은 비록 상대적인 경제력의 쇠퇴에도 불구하고, 힘의 제도적 역량, 소프트파워와 같은 요소가 중요하게 됨에 따라 패권 도전국가와 경쟁을 지속하는 상태로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로 신자유주의 질서의 기초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무역수지 적자와 같은 글로벌 불균형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과 중국이 벌이고 있는 환율전쟁은 사실상 패권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임을 잘 알 수 있다. 국제무역질서의 WTO 체제는 2000년대 들어 선진국과 개도국 간 의견 차이로 답보상태에 빠졌으며, 2008년 위기 이후로는 오히려 보호무역주의가 확대되고 있다. 지역초월적 양자주의는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서 경쟁 중인 미중 간 힘의 갈등을 잘 반영한다. 포스트 신자유주의의 기본적 골격은 자유주의의 시장원리를 유지하며, 금융위기의 재발 방지를 위해 국가의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생산영역에서는 산업정책과 같은 합리적 계획의 유용성을 자유주의의 원칙에 포함시킴으로써, 경쟁과 형평성을 균형적으로 이루고자 할 것이다. 위기 이후 자유주의 질서는 그자체 쇠퇴하기보다는 보다 다양한 중층적 방식으로 자유주의 질서를 확대시켜 나갈 것이다. 포스트 신자유주의 질서는 패권갈등이 지속되면서 혼란과 위기가 재발할 가능성이 크며, 확대된 자유주의 질서를 어떻게 다양한 축의 국가들이 함께 조정?관리해나가느냐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questions of whether the American hegemony has declined and the liberalism upon which the U.S. power depended has also decayed. This study analyzed these two questions separately, since specific hegemony and specific ideas are not necessarily the same. It is more likely for the U.S. to prevail and compete with challenging states despite the relative economic decline of the hegemony. The neoliberalism upon which the U.S. hegemony based began to decline around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The currency war between the U.S. and China reflects the hegemonic conflict for seeking power. The WTO order became at a standstill because of the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he across regional bilateralism through the FTA competition shows the power confront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to extend the sphere of influence and network in Asia-Pacific area. In the post-neoliberal period, the market will be shrunken, the role of the state will be increased, and the importance of the industrial policy will be addressed within the liberal order. The liberal order will be transformed in an extended form and will be survived rather than decayed in the post-neoliberal period. However, the new post-neoliberal era will be faced with some challenges such as the necessity of governance and coordination among major states in a context of increasing level of conflict and disorder of hegemonic competition.

      • KCI등재

        한국 대․중소기업 양극화 현상의 정치경제

        임혜란(LIM HAE RAN) 21세기정치학회 2010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the polarization of the LEs (Large Enterprises)-SMEs (Small-Medium Enterprises) industrial structure in Korea with a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The SMEs began to be increased in terms of numbers, production, and value added in Korean economy since 1980s. This has to do with the fact that many employees became self-employed after the rise of unemployment, rapid liberalization and structural adjustment since democratization. The LEs and SMEs had been structurally interac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ubcontracting relationship. By applying the new institutional approach to this study, three factors could be suggested as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the limited success or failure of the SMEs policies as follows: SME's exclusion from the winning political coalition, the absence of the political role of interest groups for SMEs, and the exploitative subcontracting relations between the LEs and the SMEs. The state did not put real efforts to prohibit the exploitative subcontracting system and to pursue coordinative as well as communicative discourse.

      • KCI등재

        미국의 신통상정책과 이념의 역할 / 미 , EU 통상마찰의 재조명

        임혜란(Hae Ran Lim) 한국EU학회 2002 EU학연구 Vol.7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ideas` in the new U.S. trade policy with focus on the strategic trade theory. The U.S. trade policy had been characterized by the shift between free trade and protectionism. Since the 1970s, however, the new U.S. trade policy has been multifaceted with addition of stances on fair trade vs. strategic trade. The continuing economic crisis and the losing competitiveness of the U.S. economy demanded a new idea of trade policy, and the failure of supply side economics during the 1980s led the way to the strategic trade theory. Strategic trade theorists argued that sources of problems were not internal but external; i.e., other countries` unfair trade practices. The strategic trade theory functioned as an intellectual basis for government intervention and industrial policy in high-tech industry and even in upgrading other traditional industrial sectors. Trad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the EU surrounding the Airbus exemplifies how strategic trade policy followers scuffle with each other. While the firms, Airbus and Boeing, kept passive attitudes in fear of revenge from the other side, the governments across the Atlantic aggressively criticized each other and almost led the conflict to a trade war. This somewhat contrasting attitude between the industrial sector and the government sector shows that `ideas` and beliefs of policy makers can have big influence on the decision of trade policy, regardless of pressure from the industrial sector.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생산세계화와 동아시아 지역생산네트워크의 재편

        임혜란(Hae-Ran Lim)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3 평화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생산세계화가 동아시아 지역생산네트워크 체제를 어떻게 새롭게 변화시켰는지 고찰하였다. 생산주기이론과 안행형 모델은 동아시아 지역생산분업구조를 일본중심의 수직적 분업구조로 설명해왔다. 그러나 이 모델의 문제점은 국가간 산업의 이전 가능성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 그리고 국민경제를 분석수준으로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생산세계화가 보다 가속화되면서 산업간 분업이 아닌 생산과정의 분업이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이는 곧 생산의 분절화와 수직적 생산구조의 해체를 가져왔다. 동아시아 지역생산네트워크는 안행형모델이 한계를 보이면서 생산의 분절화를 반영하는 대나무형모델로, 그리고 광역집적지역과 같이 경제활동이 집중화되는 현상인 수련형 모델로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동아시아 지역생산네트워크의 기존무역구조는 일본중심의 삼각무역구조가 그 기본적 특징이었다 그러나 중국이 최적지의 조립생산기지로 떠오르게 되면서 일본 및 NICs 국가들은 중간재와 부품수출을 하고, 중국은 수입된 부품을 최종 조립하며, 최종재는 미국으로 수출되는 새로운 삼각분업구조가 형성되었다. 생산세계화 이후 중국은 자동차 및 정보산업 분야에서 생산가치사슬의 중심에 서 있는 것 같지만 고부가가치 생산사슬의 부문은 미국과 독일을 비롯한 선진국과 동아시아 선도국가들이 보다 핵심적 역할을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된다. 만일 고부가가치 부문인 부품 제조 생산부문을 중국이 차지하게 된다면 중국중심의 생산가치네트워크로의 이행가능성도 타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of production on the regional production network in East Asia. The flying geese model and the product cycle theory tried to explain the vertical production network led by Japan. These models assumed the possibility of industry transfer among nations and put the national economy as the level of analysis. However, the complex and rapid change of industrial change has fragmented product process, and decentralized the locus of manufacturing activity, and shifted the organizational setting in which production takes place from the firm to the network. The flying geese model became irrelevant in an era of globalization, instead it has been shifted into the bamboo capitalism model which shows fragmentation of production, to the water lily model which reflects the aggregation of economy. The trade pattern has been changed from the Japanese-centered triangular trade pattern to Chinese-centered triangular trade pattern. Although China seemed to become the leading center of production network in automobiles and IT sectors, however,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Germany still played a key role in the high value-added production value chain network in high tech industry.

      • KCI우수등재

        금융세계화와 대만의 대응

        임혜란(Haeran Lim)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5

        본 연구는 금융세계화에 대한 대만의 대응을 금융자유화와 금융개혁 과정 중심으로 나누어 분석하며, 대만 나름의 독특한 대응과정을 대만 발전모델의 초기 제도적 조건 그리고 국내 이익집단의 정치적 동학에 의해 설명하고 있다. 대만의 금융자유화 과정은 점진적이며 단계적인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는 대만 발전모델의 제도적 특정이라고 할 수 있는 금융독점체제의 수혜자인 국민당 기득권 계층의 선호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대만국가의 태생적 특성은 금융영역에 있어 보수 안정적인 정책목표를 강조했으며 이러한 대내적 안정성이 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의 여파를 피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경제구조의 복잡화, 정치적 민주화 이후 기존 국민당 정권의 권력독점이 대만 원주민으로 배분되면서 이들에 의한 금융자유화 및 탈규제 과정이 추진된다. 신규은행허가는 다원화된 정치권력과 금융기관의 유착관계를 심화시켰으며, 자유선거경쟁에 따른 자금필요 등에 의해 부실채권 양상 등 비효율적인 금융체제 문제를 가져왔다. 최근 대만 금융체제의 재규제 문제가 금융개혁의 핵심으로 부각되었지만, 기존 발전국가에서 독립성을 유지했던 대만 중앙은행의 위상이 저하됨에 따라, 그리고 금융개혁의 규제대상자가 곧 규제자라는 구조적 모순으로 인하여 금융개혁과정이 지연되고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aiwan’s response to financial globalization by focusing on the process of financial liberalization and financial reform, which could be explained by institutional conditions of early developmental state and political dynamics of domestic interest groups. The sequential and gradual process of financial liberalization results from the historical legacy of ‘pariah state’, monopolization of financial system, and the structural power of KMT regime. However, as the economy got complicated and political system became democratized, the pluralized power groups including the Taiwanese entrepreneurs and politicians demanded for the deregulation of the financial system. Changes in power structure that came with democratization increased political intervention in the financial liberalization. It also led to the distortion of financial system such as the excess number of banks and the entry of unqualified financial institutions. The re-regulation as a focal point of financial reform became important, however, it has been delayed due to the decreased power of independent status of CBC and the fact that the regulator became the regulat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아프리카 모잠비크의 산업전환과 발전국가모델의 적용가능성

        임혜란 ( Hae Ran Lim ),유혜림 ( Hye Lim Yoo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5 韓國 政治 硏究 Vol.24 No.2

        본 연구는 아프리카 모잠비크의 산업전환 과정을 통해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모잠비크는 풍부한 지하자원 매장국이라는 비교우위와 달리 2000년 이후 제조업, 중화학공업 중심의 산업전환 패턴을 시도했으며, 경제성장과 정치안정을 병행해 왔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사례를 보여준다. 모잠비크 정부가 국유화와 민영화 과정을 통해 기득권 계층과의 연합을 돈독히 함으로써 정부역량을 지속하였고, 산업정책을 통해 기존 자원분포와는 다른 역동적 비교우위를 창출해 내는 등 모잠비크에서도 동아시아 발전모델에서 강조된 특징들이 일부 관측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사회 협력 네트워크가 기득권에 포획되거나 협력이 존재하지 않아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특징 중 하나인 ‘배태된 자율성’(embedded autonomy)은 취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제조업중심의 산업전환은 정부와 다국적기업 중심으로 진행되어 모잠비크 국가기업의 발전과 연계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여준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political economy of Mozambique’s industrial transformation and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model. Mozambique drew scholarly attention as it maintained 7% average GDP growth since 2000, achieved both economic growth and political stability, and drove HCI-centered manufacturing industrial transformation rather than using its static comparative advantage from abundant natural resources. Some features of East Asian developmental model are also found in the Mozambican case: state capacity during democratization and privatization through political coalition with the vested interest, and active governmental intervention in industrial transformation with industrial policy to create dynamic comparative advantage. However, embedded autonomy of East Asian model was weak as cooperation network between the state and the society was captured by the vested interest. Furthermore, the Mozambican government preferred joint ventures with MNCs over domestic companies in promoting industrial transformation. As a result, unlike East Asia, the industrial transformation was not linked to further development of other domestic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