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궁예의 미륵관심법을 통한 정국운영과 그 의미

        임평섭 전북사학회 2014 전북사학 Vol.0 No.45

        Existing view about Gungye government was in argument on if the government is political power unions among powerful families. Especially, main trend was an opinion where life and government of Gungye were understood from viewpoint of political power unions among powerful families. Accordingly, ‘Maitreya Buddha’ came to the forefront as part of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This was applied to analyze function and character of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viewpoint is well disclosed in interpretation of Gwangpyongseong which was a representative government organization in Gungye era. That is, there is contradiction in opinion about Gwangpyongseong, one is that Gwangpyongseong is an organization to represent powerful families, the other is that it played a role to assist autocratic royal authority of Gungye like Jipsabu in Silla. But such existing analysis interpreted characteristic of Gungye government where ‘Maitreya Buddha’ came to the forefront, as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or ‘individual tendency’. So it is pointed out that important factor is overlooked in understanding Gungye and Gungye government. Accordingly, the study tried to analyze in what form ‘Maitreya Buddha’ thoughts and national direction as ‘Buddhist nation’ which were core events in Gungye government were reflected to life of Gungye and Gungye government. Through this, it could be drawn that ‘Maitreya Buddha’ of Gungye had been continuously strengthened in the life of Gungye, not dramatic event in the year 911 for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this affected identity and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 of Taebong, ‘Maitreya Buddh's Land’.

      • KCI등재후보

        관람객의 창조적 접근을 위한 박물관 내?외부 장소성 확장과 현재적 맥락화 - 전곡선사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임평섭,김미소 한국박물관학회 2016 博物館學報 Vol.- No.30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의는 현대인들의 문화?여가 수요를 충족시킴은 물론 박물관에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문화경관과의 결합을 통해 박물관 내부에 위치한 문화유산이 관람객으로 하여금 창조적으로 이해되는 과정을 제시하고 자 한다. 특히 강조하고자 하는 개념은 문화유산의 “현재적 맥락화”이다. 이는 박물관 외부에 위치 한 문화경관을 단순히 재현?이용하는 것이 아니며, 문화경관에 담긴 다양한 기억의 층위를 문화 유산에 대한 관람객의 주체적인 해석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에서는 모범사례로써 전곡선사박물관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곡선사박물관은 아슐리안형 주 먹도끼라는 대표 유물과 전곡리 구석기유적이라는 문화경관을 박물관 내?외부에서 적극 활용하 고 있다. 전곡선사박물관이 갖는 강점은 적극적인 “현재적 맥락화”의 활용이다. 박물관에서는 아슐 리안형 주먹도끼에 담긴 의미와 가치 창출을 위해 전시 기법과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관람객에 게 유물이 현재적 맥락에서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유물에 담긴 단순한 의의 및 가치를 일방향적으로 전달하는 것과는 구분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박물관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현재의 시점에서 의미를 줄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특히 박물관을 둘러싼 문화경관과 결합할 때 관람객에게 문화유산에 담긴 가치와 다양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문화경관에 담긴 다양한 기억을 문화유산과 결합한 현재의 행위와 경험 으로 전환할 때 관람객은 주체적인 창조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660년 전후 신라의 대외위기와 장의사 창건

        임평섭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3 서울학연구 Vol.- No.93

        장의사는 신라 무열왕 시기에 장춘과 파랑이라는 신하를 위해 세운 사찰이다. 장의사는 신하를 위해 창건했다는 목적과 함께 백제 병합을 시도하고 있는 660년 을 전후한 시기에 세웠다는 시기적인 특징이 주목된다. 이와 더불어 장의사 창건 설화에 언급된 백제와 밀접한 장소가 아닌 한강 이북이라는 다소 동떨어진 장소 를 선정한 것은 특별한 정치적 의도가 있었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 글에 서는 장의사의 창건 목적과 장소적 특징을 당시 신라가 직면했던 대외위기 상황 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특히 신라가 백제를 병합하는 사이에 전개된 고구 려의 공세 강화라는 상황에서 한강 이북이 가지는 장소적 맥락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새롭게 밝혀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춘과 파랑은 신라와 백제의 접경지역인 아산-온양 방면에서 활동한 이들이며, 7세기 중반 백제와 고구려의 당항성 공격으로 신라가 처한 위기 상황에서 활약하였다. 장춘과 파랑이 한산주 의 접경지대에서 백제, 고구려의 공세를 막아내다 전사한 시대적 배경은 660년을 전후한 신라의 대외상황과 유사했다. 이것은 백제 부흥군의 반격과 고구려의 한 강 이북 공세에서 장춘과 파랑을 다시금 소환하였던 배경으로 작용했다. 무열왕 은 고구려에 대한 방어가 취약했던 한강 이북 방면에 장의사를 창건하여 국가 수 호와 위기 극복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는 한편, 사찰의 군사적 기능을 활용하고자 했다. 이것은 신라가 백제와 고구려를 병합하는 戰時에 장의사가 중요한 상징적 기능을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Found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yeol of Silla, Janguisa Temple was built for the Jangchun and Parang.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the temple, the timing of its construction is noteworthy, as it was built during a time of war around 660. Furthermore, the choice of a somewhat distant location in the north areas of the Han River, rather than a location close to Baekje as mentioned in the story of the temple’s founding. In this article examine the purpose of the founding of the temple and the location of the site with a focus on the external crisis faced by Silla at the time. In particular focus on the con- text of the north areas of the Han River, noting the Goguryeo’s offensive during Silla’s annexation of Baekje. Through this concluded that Jangchun and Parang were active in the Asan-Onyang area and played a role in the crisis situation faced by Silla due to the defiant attacks of Baekje and Goguryeo. The situation in which Jangchun and Parang were killed while fending off Baekje and Goguryeo attacks in the borderlands of Silla’s Hansanju Province was similar to the situation in Silla around 660. This served as the backdrop for the recall of Jangchun and Parang during Goguryeo’s offensive the north areas of the Han River during Silla’s annexation of Baekje. By locating the temple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Han River, where Goguryeo’s defenses were weak, King Muyeol sought to emphasize his commitment to national defense and overcoming external crises, while also utilizing the temple’s military capabilities. This suggests that the temple played a symbolic function in addition to its important role during the war to unite Baekje and Goguryeo.

      • KCI등재

        신라 지증왕의 정국 운영과 「포항냉수리신라비」 : 5세기 말~6세기 초 신라의 대내외 정세 변화를 중심으로

        임평섭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1 新羅文化 Vol.58 No.-

        In the article, I examined a relation adjustment of Silla toward Goguryeo in the 5th~the early 6th century, looking into the content of the Pohang Naengsu-ri Silla monument. In particular, the key subject of the paper is a conflict. The first approach is an issue about how the sentence “Two previous king’s judgement” could be interpreted. “前世二王敎” has been understood as one of the important evidence to settle the dispute. It seems to have been similar kinds of conflicts in other regions of Silla. The second question is associated with the involvement of people living in the royal capital (王京) in the conflict that occurred in a local region. The monument of Jinima village is the only established case in the period, even though there have been different conflicts in other areas. I analyzed that the conflict in Jinima village would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ests of the royal capital. I took account of the comprehensive situations surrounding the monument. I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relations between Goguryeo and Silla was changed in the century. Maripgan's period, continuing interruption and assault of Goguryeo had a big influence on Silla. At the same time, King Soji and King Jijeung promoted to pioneer a new route toward the Eastern sea. Due to the route, the regional people could acquire economic benefits that were responsible for the conflict in Neangsu-ri. Establishing Naengsu-ri Silla monument implies a symbolic behavior that reflects King Jijeung's endeavor to control political struggles immediately after his enthronement.

      • KCI등재

        신라의 산천제사와 진흥왕 순수비 입석 목적의 연관성 - 북한산비를 중심으로 살펴본 巡狩행적에서의 祀-

        임평섭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4 新羅文化 Vol.43 No.-

        Main issue related to purpose of establishing Jinheung’s Sunsu Memorial Stones is assertion told ‘monument of territory expansion’. But many problems related to this are being pointed out. Especially, it is pointed out that Memorial Stones made to be read is located in halfway up the mountain where its readability is poor. It is noteworthy that Bukhan mountain stele, Mawoonryeong stele, Hwangchoryeng stele etc. are found out in halfway up the mountain except for Chang-nyoung stele. This is location selection which is rare in Korean history. So, this means that purpose of establishing Jinheung’s Sunsu Memorial Stones should be investigated, giving careful attention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From examining content of the Memorial Stones, it could be known through names of followers for a security squad for King (隨駕人名) described on end part of the Stones that people to play a role of memorial services were in attendance on a King. Bukhan mountain with Bukhan mountain stele was a place where Baekje royal family held memorial service with sacred meaning several times before King Jinheung occupied the area. It means that Jinheung’s visiting to such place in person was one of very important deeds in the process of Sunsu(巡狩). Accordingly, characteristic of ‘mountain’s location should be investigated under relationship with ‘the rites for mountain and stream’ which was unique in Silla. In such a place, memorial services would be held by Local powerful Gentry continuously. To control this, royal family in Silla made such memorial services be included to national memorial services. Accordingly, through meaning of such the rites for mountain and stream, it is guessed that the rites for Bukhan mountain newly occupied in King Jinheung reign would be the rites for mountain and stream. Through this, public sentiment was settled in Hangang and Hamgyeongdo areas where influences of Local Gentry were strong through the rites for mountain and stream while the rites would be held as part of centralization policy to include Local Gentry into central organization in Silla. It is interpreted in the process that Jinheung’s Sunsu Memorial Stones is a product of political thoughts of royal family in Silla then times, which played a role to reflect symbolism that Local Gentry is included to Silla.

      • KCI등재

        진흥왕 집권 초기의 정치구도와 한강 유역 진출

        임평섭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9 新羅文化 Vol.53 No.-

        Numerous studies, associated with Silla’s expansion on Han river, have focused on which routes Silla went into Han river basin, and competitive relationship over the region among three kingdoms. Even Silla’s advance on Han river has tended to appreciate Silla as a betrayer, based on the argument, like “Secret Contract of Goguryeo-Silla”. Thus, the movement of Silla have been depreciated, without considereration about Silla’s internal condition.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points out Silla’s expansion on Han river, examining political relations between a situation from his initial regent period of King Jinhueng and political powers. In particular, this paper newly tried to interpret political forces’ motions in terms of “Generation”, contrast to precious studies’ approach, which have defined them as an allies or a counterforce to King with a dichotomous view. Each political group would has been held different points about Silla’s expansion into Han River, due to their different generation experience. Especially, Different from the Political forces, who lead political situation in the initial reign of King Jinheung, Some political groups, who got a power later, had a more aggressive point to the expansion into north. In the process, it seems that King Jinhueng took the lead in the expansion, trying to mediate arguments between each generations.

      • KCI등재

        아랍․페르시아와 신라의 교류 - 무슬림 집단의 신라 내 거주 가능성에 대한 문헌적 검토 -

        임평섭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2 新羅文化 Vol.60 No.-

        이 글은 이슬람권 문헌자료에 기록된 신라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여 신라와 아랍․페르시아의 교류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특히 신라의 풍습, 문화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쿠쉬나메』와 이슬람 세계에 유입된 신라산 물품을 기록하고 있는 『도로 및 왕국 총람』에 주목하였다.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라에 대한 지리, 물산, 문화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하고, 신라를 바다 너머에 있는 이상적인 세계로 묘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서역 물품이 유입된 신라와 일본에서 이슬람 세계에 대한 기록이 드물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는 아랍․페르시아인과 신라인이 당나라 내지(內地)의 번방(藩房)에 머무르며 특산품 구매를 목적으로 접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한적인 정보만이 교환되었기 때문이다. 무슬림 상인의 신라 내왕(來往)을 뒷받침하는 주요 근거인 『삼국유사』의 처용설화를 보더라도 그를 무슬림이라고 해석할 만한 결정적인 근거가 없다. 따라서 현재 남아 있는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아랍․페르시아인이 신라에 방문하여 직접 교류를 시도했다거나, 당나라의 혼란을 피해 신라로 도피했다는 해석은 분명하게 밝히기 어렵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신라 진흥왕대 州의 廢置와 巡狩

        임평섭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6 新羅文化 Vol.48 No.-

        A remarkable study was conducted on the Silla's hierarchical system in mid- and ancient era, stone installation time and purpose of Jinheungwang Sunsubi.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Jinheungwang Sunsubi from the aspect that it was a monument of patrolling the area by Jinheungwang. It is because the fact that they moved not only standing stone related to patrol but also the province attracts our attention. In particular, it‘s required to give attention to the patrol in present northeast district Hamgyong area in addition to Bukhansanbi in Han River basin which was mainly treated for territorial expansion and Sunsubi of Jinheungwang. In this process, this study intends to make an analysis by dividing it into two directions of different political, soci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 Through abo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s for patrolling the Han River basin, Jinheungwang personally climbed Bukhansan to investigate Goguryeo and neighboring information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y of advancing to northern area. Meantime, it is seen that as for northeast direction, Jinheungwang made them, which had strong native characteristics, accompany him for participation in ceremony in order to not only strengthen his authority but also stabilize the area of strong autonomous featur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movement of the province during Jinheungwang's patro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n political problem.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Jinheungwang's patrol was an important political activity which showed his noticeable strategic aspect as well as territory confirmation and settlement of the public sentiment.

      • KCI등재

        신라하대 원랑선사 대통의 위앙종 수용과 월광사 주석

        임평섭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7 No.-

        This article mainly looks into the life and thoughts of Wŏllang-sŏnsa Dae-Tong who acted as a Zen monk in the late period of Silla. Even though Dae-Tong was born into a poor family as well as came from a frontier, He finally gained fame with a human network, even accepting the newest Zen thoughts from the Tang Dynasty. Nanghye muyŏm and King Kyŏngmun who made a relationship with Dae-Tong were famed people at the same time. Besides, Wiang-sect was the most popular Buddhist thought representing the Zen sect in the 9th century of the Tang Dynasty. However, it has been little research on him so far. The article is supposed to consider three aspects to examine the life and thoughts of Dae-Tong. Firstly, It closely examines Dae-Tong’s birthplace and some regions he was actively engaged after he became a Buddhist monk. Tonghwa-bu, for instance, was placed at the northwestern frontier of Silla which is estimated as Ch’wisŏng-gun now. In addition, the current direction of Daneom-sa temple in which he dwelled is assumed in Chulwon. Secondly, It focuses on an ideological feature of Wiang-sect that Dae-Tong learned in the Tang Dynasty. Among one of the unique practices of Wiang-sect, he accepted Patriarchal Seon especially and followed that kind of practice. Lastly, It is remarkable his dwelling in Wolgwangsa Temple and his relationship with King Kyŏngmun. Dwelling in Wolgwangsa Temple placed at the northern mouth of Gyeripnyeong(鷄立嶺), he put his energy into educating the local people. King Kyŏngmun also gave preference to his endeavor to strengthen royal control of local regions. From the research, it is looking forward to developing both more research on how Patriarchal Seon of Southern School Seon flowed in the 9th century and the periodic meaning. 이 글은 신라 하대에 활동한 선승인 원랑선사 대통(816~883)의 생애와 사상을 살펴본 것이다. 대통은 신라 변방의 지방민이자 한미한 가문 출신이었지만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당나라에서 최신 선사상을 수용하여 명망을 얻었다. 대통이 교류하였던 낭혜 무염과 경문왕은 당대의 명사였으며, 그가 수행한 위앙종은 9세기 중반 당나라의 선종계를 대표하는 사상이었다. 그렇지만 대통에 관해서는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대통의 생애와 사상에 관한 핵심적인 사안을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대통의 생애는 크게 입당과 귀국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대통의 출신지와 함께 그가 출가한 이후 활동했던 지역에 대한 분석이다. 대통의 출신지인 통화부는 신라의 서북방 국경인 취성군이며, 그가 출가한 이후 활동한 단엄사는 지금의 철원 방면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둘째로, 대통이 당나라에서 배웠던 위앙종의 사상적 특징과 관련한 내용이다. 위앙종의 수행 방법 가운데 대통은 특히 조사선을 수용하여 이를 실천하였다. 귀국 이후의 활동 가운데 두드러지는 것은 월광사 주석과 함께 경문왕과의 관계이다. 계립령 북부 입구에 있는 월광사에 주석한 대통은 주변 지역의 교화에 힘을 쏟았다. 지방사회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는 경문왕은 이러한 대통의 활동을 우대하였다. 대통에 관한 연구를 통해 9세기 신라 남종선의 조사선 수용 흐름과 함께 월광사가 가지는 시대적 의미 또한 살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신라 선덕왕대 良志의 불사활동과 역할

        임평섭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3 新羅文化 Vol.63 No.-

        이 글은 7세기 신라 승려 양지의 불사 활동과 역할을 선덕왕 대의 시대적 맥락에서 새롭게 살피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양지의 작품과 활동을 근거로 그를 서역 또는 남방계 외국인으로 보거나 예술가 또는 장인의 역할을 담당한 승려로 이해하였다. 동시에 양지가 선덕왕 시기에 활동했다는 기록에도 불구하고, 석장사에서 발굴된 유물 연대나 사천왕사의 신장상을 근거로 그가 7세기 후반~8세기 전반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양지의 작품에 중점을 둔 선행 연구에서 나아가 이 글은 문헌사적 관점에서 양지의 활동에 접근하였다. 이를 통해 양지가 만든 것으로 전하는 영묘사 장육상이 선덕왕 시기에 제작된 배경과 해당 불사 활동에 참여한 양지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양지사석조를 검토한 결과 양지의 역할은 예술가보다는 불사에 참여한 승려로서의 면모가 강조되었다. 이러한 측면은 양지의 활동 가운데 영묘사 장육상을 조성할 때의 일화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선덕왕은 내우외환의 상황에서 왕실 사찰인 영묘사에 장육상을 조성하여 민심을 결집하고,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양지는 뛰어난 재주와 수행을 기반으로 공역에 동원된 이들에게 불사 참여가 가지는 불교적 의미를 강조하였다. 이것은 성안의 남녀가 자발적으로 불사에 참여하여 장육상을 완성하였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선덕왕이 도모하고자 했던 정치적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을 주도한 양지는 성안의 남녀에게 불교를 널리 전파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양지는 왕실과 귀족 중심으로 불교가 신봉되던 신라 사회에서 왕실의 후원을 바탕으로 일반 민에게까지 불교를 알릴 수 있는 역할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