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철쑥 군락의 내륙과 해안별 자생지 환경 및 종조성

        임채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전 지역에 자생하는 사철쑥 군락의 내륙과 해안별 자생지 환경 및 종조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1. 사철쑥은 한국 내륙과 해안 전 지역의 저지대 냇가 주변에 많이 자생하였다. 자생분포는 밀도 10 이하의 값, 피도 10∼30이하의 값의 군생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상대밀도는 21.50%, 상대피도는 26.59%를 나타내었으며 해안지역과 내륙지역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2.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사철쑥은 해발고도 200m이하에서 60%이상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경사도에 따라서는 10°이하에서 43.55%의 비율로 나타났다. 사면별로는 동사면이 24.1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북동사면이 17.74% 이었다. 3. 사철쑥의 자생지 토양은 사양토(sandy loam)가 많았고, 평균 pH는 6.73이었다. 유기물 함량은 평균 27.56gkg-1 이었고 P2O5는 평균 31.56mgkg-1 이었고, 양이온인 K, Ca, Mg, Na는 각각 0.30cmol+kg-1, 5.14cmol+kg-1, 1.40cmol+kg-1, 0.29cmol+kg-1 이었다. 이를 내륙과 해안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내륙지역 평균 pH는 6.25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36.83gkg-1, P2O5는 25.38mg kg-1 이었다. 양이온인 K, Ca, Mg, Na는 각각 0.29cmol+kg-1, 5.81cmol+kg-1, 1.57cmol+kg-1, 0.21cmol+kg-1 이었다. 해안지역 평균 pH는 7.15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16.70g kg-1, P2O5는 43.11mg kg-1 이었다. 양이온인 K, Ca, Mg, Na는 각각 0.35cmol+kg-1, 4.05cmol+kg-1, 1.28cmol+kg-1, 0.45cmol+kg-1 이었다. 4. 사철쑥과 혼생하는 식물은 58과 165속 239분류군이었고, 이 중 내륙지역은 53과 128속 179분류군이었고 해안지역은 38과 95속 120분류군으로 내륙지역이 해안지역보다 1.5배정도 많았다. 5. 식물의 과별 혼생식물은 화본과가 39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국화과, 콩과, 장미과 순이었다. 혼생식물 중 중요치가 가장 높은 식물은 쑥이었으며, 다음으로는 개망초, 망초, 돌콩 순이었다. 내륙지역과 해안지역별로 나눠봤을 경우 내륙지역에선 쑥의 중요치가 해안지역에선 망초의 중요치가 높게 나왔다. 6. 한국에서 자생하는 사철쑥은 사면별, 해발고도별 분포와 혼생식물의 생육양상으로 보아 저지대 냇가를 생육적지로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 native habitat environment and species composition investigation by inland and seashore of the Artemisia capillaris Thunb. in Korea. The findings are illustrated as under; 1. The Artemisia capillaris Thunb. was distributed by inland and seashore as wild in low area and riverside area in Korea. A distribution of habitat was grouped as below 10 for density and below 10∼30 for coverage. A relative density and a relative coverage are 21.50% and 26.59%,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between inland and seashore. 2. The Artemisia capillaris Thunb. was distributed 60% at altitude below 200m, and was distributed 43.55% at 10° slope area. Also east slope area was distributed 24.19% higher than other area, and next is 17.74% in north east slope area, respectively. 3. The soil of habitat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was found to be sandy loam with a mean pH of 6.73. Organic matter level was determined to as 27.56g kg^(-1). P₂O_(5) as 31.56mg kg^(-), K as 0.3.0cmol^(+) kg^(-1), Ca as 5.14cmol^(+) kg^(-1), Mg as 1.40cmol^(+) kg^(-1) and Na as 0.29cmo^(l+) kg-1 in the tested soil. When tries to divide in inland and the seashore area, inland area average ph was 6.25. Organic matter level was determined to as 36.83g kg-1. P2O5 as 25.38mg kg-. K as 0.29cmol+ kg-1, Ca as 5.81cmol+ kg-1, Mg as 1.57cmol+ kg-1 and Na as 0.21cmol+ kg-1 in the tested soil. The seashore area average ph was 7.15. Organic matter level was determined to as 16.70g kg-1. P2O5 as 43.11cmol+ kg-1. K as 0.35cmol+ kg-1, Ca as 4.05cmol+ kg-1, Mg as 1.28cmol+ kg-1 and Na as 0.45cmol+ kg-1 in the tested soil. 4. The Artemisia capillaris Thunb. with mixed plants was a total of 58 family 165 genus 239 species. The inland was with 53 family 128 genus 179 species and the seashore with 38 family 95 genus 120 species, and the inland consisted 1.5 times more than the seashore. 5. The mixed plants belonging to families were mostly the Gramineae consisting of 39 species, followed by the Compositae, the Leguminosae and the Rosaceae in an descending order. The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importance amongst the mixed plants which was followed by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Glycine soja respectively. The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grew more at inland, . The Erigeron canadensis grew more at the seashore. 6.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n altitude, slope, mixed plant and growth pattern, the most suitable areas were the low area and riverside area for the growth and distribution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in Korea.

      • 평생교육 시각에서 본 비서교육의 현황과 과제 :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임채정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explores the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of secretary education by looking at the education demand of the secretaries who are viewed as few and marginalized with regard to lifelong education and corporate education. The only options that meet the growing needs for secretary education and training are the courses, mostly sporadic in nature, offered 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at universities or private training centers. It was not easy to find any studies that reviewed if these courses were practical or had any educational outcome. It is crucial that there are various programs that reflect the practical needs based on the demand analysis. These programs should also be designed, developed, implemented and assessed accordingly to further develop more efficient and diversified programs for secretaries. For this, the paper considered the current situation for the secretaries and executive assistants, status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nd relevant programs that are offered, and the future challenges. The paper also examined what kind of practical education and relevant programs can be utilized and are needed by the secretaries in the field, and what kind of factors there are that lead to job satisfaction or obstacles. Based on the analysis in this paper,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irst, secretaries assist corporate executives and the management to facilitate workflow and business.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job, there is a growing need for continued secretary education and training to ensure their job satisfaction, expertise development and career development. The opportunity for continuing and divers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not only as the courses provided by their workplace or offered independently by their representing organization, but also as the lifelong programs that reflect the interes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cretaries. For this to happen, it is essential to work with the secretary training organizations or lifelong education centers to build up the education network that is collaborative and symbiotic in nature. Second, the participation in secretary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ograms should be able to heighten the awareness of the professional nature of the job, thus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and serve as a chance to develop the expertise of the profession. Education is needed for all jobs for job satisfaction and specialization, and it is vital to analyze why secretaries need and prefer their career training and build on it continuously. Third, the analysis of the demand of the secretaries for education and training is a process that will lead to the significant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the relevant programs. The demand analysis should incorporate the practical and realistic input from those working in the field, to identify multi-faceted demands for the training with the relevant analytical tools and to design the programs to the maximum effect. Fourth, there is a need for a distinctiv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at considers the factors such as the nature of the institutions, participants and working conditions, due to the very nature of the job. It is also critical to provide the institutional support and offer various opportunities of learning by taking full advantage of the online system, replacement worker, off-days and weekends, so as to help develop the lifelong education and programs for secretaries. The demand analysis should reflect the special demographic factors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programs and to make it practically feasible for the secretaries to complete the courses. Fifth, the practical and institutional follow-up system is needed to boost the morale and work efficiency. It may be done by implementing the extra credit system for career promotion and accreditation of the learning experiences, which also include learning for personal interest. This stu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why secretaries and executive assistants require continuing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and how secretary education and training contributes to the job security, career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paper also examined what kind of practical and helpful courses are needed in the field by the secretaries, and what kind of factors there are that lead to job satisfaction or obstacl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developing the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that promote the expertise of the profession, as well as to boosting secretary education and encouraging the corporate programs for secretary training. Keyword: Lifelong education, continuing education, secretary education, refresher course, corporate education, secretary, education program,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평생교육과 기업교육의 소외집단으로 비춰지고 있는 비서들의 교육요구를 통하여 비서교육의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연구하고자 시작되었다. 비서들의 교육은 대부분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과 사설전문교육기관에 의한 단발적 교육이 대부분이었으며, 그들이 현업에서 활용가능하거나 교육적 성과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관련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소수의 기관에서 비서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시점에서, 현직 비서들의 제대로 된 교육요구분석을 통해 현실에 맞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재적소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개발, 실행과 정확한 평가도 이루어짐으로써, 비서직군의 다양하고 효율성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사용에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 기업의 대표 혹은 상사의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그들을 보좌하는 비서들의 경우 직무만족 및 전문성개발, 경력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비서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그 교육은 회사에서 주관하거나 비서대표기관의 단발성 교육 외에 비서의 개인적인 관심과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프로그램으로써 지속성과 다양성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비서교육기관 간의 연계나 평생교육기관과의 시설 및 프로그램의 연계를 통해 상호 협력적이고 상생적인 교육 네트워크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비서교육에 대한 참여나 교육프로그램의 발전은 비서직의 전문성 인식을 제고하여 비서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고, 비서직군의 전문성을 개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직무만족을 위해서나 업무전문화를 위해서나 누구에게나 교육이 필요하기에, 비서들이 비서교육을 선호하는 이유를 분석하여 교육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한다. 셋째, 비서의 교육요구 분석은 비서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는 과정이다. 비서직군 종사자들의 교육프로그램 요구분석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져 비서교육에 대한 다각적 요구가 분석틀을 사용하여 각종 교육 프로그램에 적절히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넷째, 비서직군 업무현장의 특수성 등을 감안하여 기관의 특성, 교육대상의 특성과 근무여건 등을 고려한 차별화 된 교육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비서들의 다양한 학습의 기회제공을 위해 온라인 시스템 활용, 대체인력활용, 휴가활용, 주말시간활용 등 평생교육 및 비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도 필요하다. 비서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맞춘 요구분석으로 프로그램의 질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을 현실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외적인 부분까지 프로그램 요구분석에 반영되어야 한다. 다섯째, 비서들의 사기 고양과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개인적인 관심영역을 포함한 학습경험을 인정하는 제도 등을 마련하여 승진 등에 가산점을 부과 하는 등, 실질적이고 제도적인 장치인 사후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평생교육 시각에서 비서직군에게 계속교육은 왜 필요하며, 비서교육이 비서의 고용형태 안정과 직무만족에도 얼마나 도움이 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이고 활용 가능 한 교육요구는 어떠하며, 그 외의 다양한 직무만족 요소와 장애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비서직군의 전문성 향상을 도울 수 있는 실용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비서직군의 교육 활성화와 기업에서의 비서직 전문성 계발에 도움을 주는 연구라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주요어 : 평생교육, 계속교육, 비서교육, 재교육, 기업교육, 비서, 교육프로그램, 직무만족.

      • 상황 스크립트를 사용한 모의 및 실제상황 중재가 정신지체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임채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상황 스크립트를 사용한 모의 및 실제상황 중재가 정신지체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정신지체교육전공 임채정 본 연구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지닌 정신지체 아동들을 대상으로 상황 스크립트를 사용한 모의 및 실제상황 중재가 4가지 의사소통 기능(요구하기, 단정짓기, 대답하기, 인사하기)의 습득과 유지, 일반화에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에 있는 일반 유치원과 일반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3명의 경도 정신지체 아동으로 이들 아동들은 모두 의사소통적, 인지적 결함을 가지고 있으며, 감각 및 신체장애가 없는 아동들이다. 선정된 각 아동의 사전검사로 K-WPPSI, 취학전 아동의 수용-표현 언어검사, 그림어휘력 검사를 실시한 결과 아동들의 생활연령은 7세에서 9세이고, 경도 정신지체아동들로 언어연령이 생활연령에 비해 모두 3세에서 7세정도 지체되어 있다. 실험기간은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에 기초선 7회기, 중재 12회기, 일반화 검사 4회기를 실시하고 유지검사는 훈련종료 2주후에 4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상황 스크립트를 사용한 모의 및 실제상황 중재에서 특정활동에서의 교수효과를 알기 위해 두 가지 활동(슈퍼마켓에서 물건사기 활동과 패스트푸드점에서 주문하기 활동)을 선정하였다. 활동의 장소로는 복지관의 조기교육실과 지역사회의 슈퍼마켓과 패스트푸드점에서 이루어졌고 각 활동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 범주는 요구하기, 단정짓기, 대답하기, 인사하기의 4가지 범주에 제한하였다. 중재는 모의상황에서의 중재와 실제상황에서의 중재로 이루졌으며, 각 중재는 평가 10분과 중재 15분으로 총 25분 동안 실시하였다. 스크립트 활동 내에는 논리적으로 순서화되어 일정한 순서로 제공되는 4가지 의사소통 기능을 표현할 수 있는 총 12번(각 기능당 3번)의 기회를 자연스럽게 포함시켰다. 의사소통 기능 표현이 정반응일 경우는 사회적 강화로 언어적 칭찬을 제공하고, 오반응일 경우는 언어적 촉진, 부분 모델링, 전체 모델링을 촉진의 위계적 순서에 따라 제공하였다. 각 회기당 목표기능을 표현할 수 있는 총 12회의 기회에 대한 아동의 수행을 측정하여 총점 12점에 대해 10점 이상(83% 이상)을 연속적으로 3회기에서 나타날 때를 의사소통 기능의 습득 준거로 정하고 아동이 습득 준거에 도달하면 중재를 종료하였으며, 아동이 6회기의 중재를 제공받고도 이 준거에 도달하지 못하면 중재를 종료하였다. 각각의 회기는 비디오에 녹화되었으며 녹화한 비디오 테이프를 보면서 아동의 반응을 기록하였다. 3명의 아동에 대한 관찰자간의 신뢰도의 평균은 96.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상황 스크립트를 사용한 모의 및 실제상황 중재는3명의 정신지체 아동들이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요구하기, 단정짓기, 대답하기, 인사하기 기능)을 습득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상황 스크립트를 사용한 모의 및 실제상황 중재를 통해 습득된 3명의 정신지체 아동들의 의사소통 기능(요구하기, 단정짓기, 대답하기, 인사하기 기능)은 유사한 다른 장소에서도 일반화되었다. 셋째, 상황 스크립트를 사용한 모의 및 실제상황 중재를 통해 습득된 3명의 정신지체 아동들의 의사소통 기능(요구하기, 단정짓기, 대답하기, 인사하기 기능)은 중재가 종료된 2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제안으로는 첫째, 3명의 정신지체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정신지체 아동에게 일반화시키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정신지체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충분한 연구기간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 중 4가지만을 선정하여 효과를 연구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전반적인 의사소통 기능에 확장하여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물건사기 활동과 음식주문하기 활동을 슈퍼마켓과 패스트푸드점에서만 실시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다른 종류의 가게나 식당에 적용하는 것에 제한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사회에서의 효과를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s of Vivo and Simulation Training on Communicative Function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Using Contextual Script Chae Jung Lim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Kong 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Eun Hee Paik,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vo and simulation training for communicative function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using contextual scrip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 1. Does combined vivo and simulation training using contextual script have an effect on improving communicative func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2. Does combined vivo and simulation training contextual script have an effect on generalizing communicative func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3. Does combined vivo and simulation training using contextual script have an effect on maintaining communicative func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regula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he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subjects was used in this study. The Intervention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comprised of two contextual script routines(grocery shopping and ordering food in the fastfood store). Four communicative functions(request, conclude, answer, greet) were utilized for strategic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Vivo and simulation training using contextual script had an effect on improving communicative func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2. Vivo and simulation training using contextual script had a setting generalization effect. 3. Vivo and simulation training using contextual script had a temporal maintenance effect during 2 weeks after training.

      • 정상 및 비정상 층류 화염장 해석

        임채정 한양대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시간에 종속적이고, 밀도가 변화하는 비압축성 유동의 경우에 있어서 단일 격자 알고리즘과 국부 적응 격자 세분화 방법을 통하여서 유동을 수치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투영 공식에 기초를 두고 있다. 반응 유동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는 중간 속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확산-대류 방정식을 먼저 풀고 이러한 속도 값들을 발산 구속항의 속도장이 0인 공간에 투영시킨다. 반응 유동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물성치의 전개 방정식을 먼저 갱신시키고 그리고 발산구속항을 강화시킨 시간에 종속적인 타원 방정식을 풀게 된다. 적응 격자 세분화 방법에서는 시간과 공간에 대해서 동시에 세분화된 격자를 가진 직각 격자를 사용하였다. 격자 계층의 접합 방법은 성긴 격자에서 시간에 대해서 갱신되고 세부 격자에서는 성긴 격자에서의 같은 시간이 될 때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 갱신되고 각기 다른 계층에서의 데이터들이 동기화(synchronized)된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격자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2차원 공동유동과 단순 반응 기구를 가진 메탄-공기 층류, 축대칭 화염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적응 격자 세분화 방법에 있어서는 2중 주기 전단층에 대해서 계산을 하였다.

      • 센다이 프레임워크로 보는 기후 위기 거버넌스 연구 :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임채정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기후 변화에 취약한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지역의 나우루,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키리바시, 팔라우 5개국의 재난 대응 현황을 센다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각국의 주요 특징을 바탕으로 센다이 프레임워크의 이행 여부를 비교 및 분석하여 해수면 상승으로 기후 위기를 겪고 있는 타 국가들의 기후 변화 적응 정책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비교 및 분석의 틀은 센다이 프레임워크의 4가지 행동 우선순위인 ‘재난위험의 이해’, ‘재난위험 거버넌스의 강화’, ‘재난위험 경감을 위한 복원력 투자’, ‘더 나은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대응책 마련’을 기준으로 한다. 각 세부 내용의 이행 여부에 따라 상/중/하로 평가한다. 이를 위해 본 연 구에서는 학술지, 학위논문, 정책자료, 연례보고서, 연구보고서와 기사 등의 자료를 근거로 문헌 고찰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난위험의 이해’에서는 기후 위기로 인해 발생하는 재난의 위험 진단과 대응에 필요한 요소인 데이터와 교육을, ‘재난위험 거버넌스의 강화’에서는 정부와 시민 사회의 역할을, ‘재난위험 경감을 위한 복원력 투자’에서는 경제와 보건에 해당하는 내용을, ‘더 나은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대응책 마련’은 복구, 재활 및 재건의 이행 여부를 다룬다. 이는 센다이 프레임워크 2015-2030의 시행 기간이 약 50% 되어가는 상황에서 중간 점검으로써의 의의를 가진다. 또한 기후 위기 대응 국제 전략의 이행을 높이는 방안을 확인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saster response status of 5 countries in the Republic of Nauru, Marshall Islands,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Kiribati and the Republic of Palau in the South Pacific Micronesia region, which ar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hrough the Sendai Framework.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implementation of the Sendai Framework based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ion policies in other countries suffering from the climate due to rising sea levels. The framework of the comparative analysis is based on 4 priorities : Understanding disaster risk, Strengthening disaster risk governance to manage disaster risk, Investing in disaster risk reduction for resilience, Enhancing disaster preparedness for effective response, and to ≪Build Back Better≫in recovery, rehabilitation and reconstruction. It is evaluated as upper, middle, and lower depending on whether each detail is implemented.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study based on data suuch as academic journals, thesis, policy data, annual reports, research reports, and articles. ‘Understanding disaster risk’ deals with data and education necessary to diagnose and respond to disasters caused by the climate crisis,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in ‘Strengthening disaster risk governance to manage disaster risk’, economy and health in ‘Investing in disaster risk reduction for resilience’, and whether recovery, rehabilitation and reconstruction are implemented in ‘Enhancing disaster preparedness for effective response, and to ≪Build Back Better≫in recovery, rehabilitation and reconstruction’. This is significant as an interim inspection in a situation where about 50% of the Sendai Framework implementation period is being implemented. It also intends to contribute to identifying ways to increase th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