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 생활환경과 정책적 욕구

        임채완 ( Chae Wan Lim ),이소영 ( So Young Lee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5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3 No.1

        이 연구는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들의 한국사회의 정착 및 적응 생활환경을 살펴보고, 한국생활에 대한 만족도 및 정책적 욕구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자들이 임의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9지역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20일부터 9월 5일까지 설문조사(187부)와 심층면접(5명)을 실시·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주귀국 사할린한인은 기초생활수급 대상자로 지원된 생계비로만 생활을 하고 있다. 둘째, 이들은 한국에 있는 가족보다 사할린에 남아 있는 가족이 더 많으며, 대부분 임대아파트 또는 요양원에서 생활하고 있다. 셋째, 이들은 지역주민과의 소원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반면 지역사회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넷째, 90%이상의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들은 약을 복용하거나 치료를 받고 있으며, 의료환경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진료비에 부담을 느낀다. 다섯째,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들은 의료 및 건강문제에 가장 큰 어려움이 있으며, 생계비 지원 인상 및 제2의 이산가족문제 해결에 대한 정책적 욕구가 있다. 이들은 한국과 거주국을 자유롭게 다니고, 가족들이 한국을 자주 방문할 수 있는 귀환동포법 제정을 요구한다. 또한 이들은 생활편의 제공 및 응급 구호, 문화체육행사 등을 추진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 조례 제정을 요구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들이 큰 어려움 없이 한국에서 적응하여 살아갈 수 있도록 법·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satisfaction in living condition and policy needs of returned Sakhalin Koreans in process of adaption in Korean society. The researchers conducted survey of 187 persons in-depth interview of 5 persons returned Sakhalin Koreans targeting 9 local areas from May 20, 2014 for five day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turned Sakhalin Koreans do not base on supply and demand of their career as a living person, supported only cost of living. Second, they have more families left in Sakhalin than Korea, are living rented apart or nursing home. Third, their leisure activities are mainly sports, daily exercise tend with family member or friend. They may wish to form a relationship with the local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it seems to look actively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run by the community. Fourth, more than 90% are taking medicine or being treated. There is difficulty on communication with doctor to use the medical facilities, feel burden when need surgery. Fifth, there are the biggest challenges in the medical and health issues for returned Sakhalin Koreans, supported living coast raise and separate family need to solve this problem. They are free to go to Korea and residence, family members demand the law as if the can frequently visit Korea. They also require local governments enact regulations that may promote such offers and emergency relief, culture and sports events of living conven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aw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 need to be prepared for adaption without difficulty of returned Sakhalin Korea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디아스포라적 문화접변과 동반성장에 관한 연구 -일본 오사카지역 재일코리안을 중심으로-

        임채완 ( Chae Wan Lim ),선봉규 ( Bong Kyu Sun ) 한국민족연구원 2014 민족연구 Vol.0 No.60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acculturation of thediaspora in their host country after leaving their homeland and how theycontribute to the growth of communities in their host country. Therefore,this research, which is specifically limited to the Korean diaspora living inIkuno-ku, Osaka, Japan will examine their acculturation and how they coexistand develop in that process. The Osaka-Ikunoku Miyuki-dori Koreatown usedto be a densely populated ethnic community where only Koreans in Japan(old-comers) lived together, but it now becomes a multicultural communitywhere old-comers, new-comers, and Japanese live together. In addition, oneof positive points is that Japan runs various programs for symbiosis so thatmigrants including Koreans in Japan can live proudly as members of theircommunity. However, despite these multicultural symbiosis projects, it shouldbe noted that the politics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gainst Koreansin Japan is still prevailing in Japanese society. The Korean diaspora in Japan inhabiting Osaka Ikuno-ku give a lot ofimplications to us who are living in the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era. Most of all, today’s diaspora is not simply a member of the community buta positive actor who creates new energy that is necessary for the growth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Besides, to realize a coexistence andsymbiosis society, members of the community as well as governments andlocal governments should collect their common efforts. In this regard, the unilateral acculturation should be avoided in the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era because it causes unnecessary conflicts, thereby exacerbating social chaos and costs. To this end, it should explore prototypes of varied different cultures scattered in communities and develop programs through which people canacknowledge and experience cultural differences via exchange betweenmigrant cultures and the mainstream cultur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eshould not regard those projects just as one tourist product. However,community members should be equipped with an attitude toward participationand sharing. we should be aware of the fact that in the multiracial andmulticultural era, the diaspora is not only for the outsiders but also for theindispensable existence for the mutual growth of the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여성결혼이민자 다문화시민권리에 관한 사례 연구

        임채완(Lim, Chae-Wan),이소영(Lee, So-Yo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0 No.-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시민으로서 갖는 문화적 권리 향유와 특별대표권리 의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시민권리를 살펴보았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정부기관 및 단체의 지원정책의 정보를 잘 알지 못하여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육아 문제 및 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하여 문화적 권리를 향유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들은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문화가정을 대표하는 국회의원 및 시의원의 지지 정도가 각기 다르다. 연구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영주권제도 개선 등을 통해 이들이 다문화시민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농촌지역은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에 대한 정보의 결핍과 농촌지역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관련정보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어려운 농촌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도시와는 차별화된 정책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sense and rights as multicultural citizen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Society. Thus,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 left their home country for social and economic reasons to find new settlements while their family members live in their country and they live as citize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their ethnic cultural identity. The role of their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is also examin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of marriage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of Kymlicka"s viewpoint of ‘liberal multiculturalism.’ A number of personal and institutions were conducted for In-depth Interviews to collect data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from June, 2013 to December, 2013.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propensity, support of congress and city councilor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different.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for supporting policies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in the rural area. Immigrant women has difficulty who live in the rural areas"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so government should need to seek differentiated policy.

      • [기조발제·KEYNOTE] 한반도 통일환경과 재외동포

        임채완(Lim, Chae Wan),바스타우바예바 알리야(Bastaubayeva Aliya)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5 No.6

        올해는 광복과 분단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남북한의 적대적 관계를 해소하고 민족통합을 실현하기 위해 한반도 통일은 반드시 이루어야 할 역사적 과제이다. 분단을 극복하고 평화통일을 실현함에 있어서 재외동포는 중요한 행위자로 등장한다. 이 연구는 해외 정착 재외동포의 저력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러한 저력을 기반으로 한반도 통일과정에서 재외동포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재외동포는 오랜 이주 역사와 현지적응과정을 거쳐 이미 한반도 통일에 일조할 수 있는 재외동포사회로 성장하였다. 그들은 대부분 한반도 통일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주변 강국에 정착하고 있으며, 모국 정치참여는 물론 현지에서의 정치력 신장도 적극 도모하고 있다. 또한 재외동포는 거주국에서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 네트워크를 구축해 모국으로의 기여도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재외동포는 거주국에서 여전히 민족정체성을 유지하고 민족문화를 계승함으로써 한민족 문화와 현지문화를 한 몸에 융합시키는 문화중개, 문화전환 역할을 수행해 새로운 통일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재외동포는 바로 이러한 인구규모와 정치적·경제적·사회문화적 저력을 기반으로 동북아 통일환경을 조성하는 행위자 역할을 하고 있으며, 나아가 남북한의 경제·문화 교류를 추진하는 중개자, 북한 개방을 유도하는 촉매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This year i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liberation and division of Korea. There are certainly historical challenges to overcome in order to achieve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liminate the hostile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s. In overcoming the challenges, overseas Koreans appear to be important actors in realizing peaceful reunific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otential powers of overseas Koreans as well as the roles of the Koreans in the reun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overseas Korean societies have grown to strong communities that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anks to their long migration history and successful settlement in their adopted countries. Many of them have established their economic and political statuses in the neighboring powerful countries that hav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n the issues of the Korean peninsula. Not only are they active in the domestic politics of their adopted countries, but they influence the policy-making of their home country. The global economic network built by overseas Koreans is another asset with which they contribute to their home country. Many of the overseas Koreans still maintain ethnic identity and culture that are blended with the local culture of their new home which allows them to take an intermediary role between their adopted country and motherland. They create a new culture for Korea’s reunification by performing the task of culture mediation and transition. Overseas Koreans continue to be important actors in the making of reunification environment of the two Koreas based on the size of their population and their socio-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potential powers. Furthermore, they are also playing a catalyst role for the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long with a role in inducing the opening of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