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과 개복 위절제술의 비교 분석

        임정택,김병식,정오,김지훈,육정환,오성태,박건춘,Lim, Jung Taek,Kim, Byung Sik,Jeong, Oh,Kim, Ji Hoon,Yook, Jeong Hwan,Oh, Sung Tae,Park, Kun Cho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목적: 정기 검진을 통한 위암의 조기 발견으로 조기위암은 늘어나는 추세이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맞춤 수술로서 국내에서도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교실에서도 2004년 4월부터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작하였으며, 2005년 1년간 122예의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을 시행하여 임상병리적 특징과 수술결과에 대하여 개복술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 조기위암으로 2005년도에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행한 119예와 2005년도 1~3월까지 개복 위절제술을 받은 126예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경과,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 간에 환자들의 연령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복강경군에서 여성의 비율이 더 많았고 신체비만지수가 더 높았다. 수술에 소요된 평균시간은 복강경군이 더 오래 걸렸으며(239.2 vs 123.3분, P<0.001), 첫 번째 가스배출은 복강경군에서 빨랐고(3.05 vs 3.70일, P<0.001), 식이의 진행도 복강경군에서 빨랐다(물: 2.86 vs 3.22일, 미음: 3.87 vs 4.19일, 죽: 4.84 vs 5.26일, P<0.001). 합병증 발생은 복강경군에서 4.9%로 개복군의 9.5%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고(P=0.179), 퇴원도 복강경군에서 빨랐으나(7.73 vs 8.25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229). 절제된 림프절의 수는 복강경군에서 평균 23.9개, 개복군에서는 23.1개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63). 복강경 수술 중 개복술로 전환 한 예와 양 군 모두 합병증으로 재수술 한 경우와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이 개복술에 비해 수술 시간이 길지만, 기타 식이의 진행이나 획득한 림프절의 수나 합병증의 발생 등에서 우세하거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복강경보조 위절제술도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술식이며, 종양학적으로 용인될 수 있다고 생각되나, 표준수술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무작위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re has been increased the number of early gastric cancer and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LAG), due to early detection through mass screening program. We started the LAG in April 2004 and performed 119 cases of gastric cancer in 2005, so we report a surgical outcome compared with that of open gastrectomy (OG). Materials and Methods: 119 patients underwent LAG in 2005, and for open group, 126 patiens of early gastric cancer were selected sequentially from January 2005 to March 2005. We compared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postoperative courses and complications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a length of hospital stay, distal resection margin and a number of retrived lymph nodes. The operation time was longer in LAG group (239.2 vs 123.3 mins, P<0.001) and a diet progression was faster in LAG group (first flatus: 3.05 vs 3.70 days, SOW: 2.86 vs 3.22 days, liquid diet: 3.87 vs 4.19 days, soft diet: 4.84 vs 5.26 days, P<0.00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statistically in postoperative discharge date (7.73 vs 8.25 days, P=0.229). The additional requirement of analgesic injection was less frequent in LAG group (2.97 vs 4.92 times, P<0.001). The harvested lymph node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23.9 vs 23.1, P=0.563). A complication rate was lower in LAG group (4.9% vs 9.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179). There was no mortality in both groups and no conversion to open gastrectomy in the LAG group. Conclusion: LAG can be performed safely and accepted in view of curative procedure in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But we need the follow up of long-term period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and recurrence, and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should be done to establish that LAG will be a standard opera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 KCI등재

        양극 산화 임플란트 표면 구조에 대한 염산 테트라싸이클린의 영향

        임정택,정종혁,권영혁,박준봉,허익,Lim, Jeong-Taek,Chung, Jong-Hyuk,Kwon, Young-Hyuk,Park, Joon-Bong,Herr, Yeek 대한치주과학회 2007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7 No.4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etracycline-HCI on the change of implant surface microstructure according to application time. Anodic oxidation surface were utilized. Implant surface was rubbed with 50mg/ml Tetracycline-HCI solution for ${\frac{1}{2}}min.$, 1min., $1{\frac{1}{2}}min.$, 2min., $2{\frac{1}{2}}min.$, and 3min. respectively in the test group. Then, specimens were processed for Ra Value tes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nodic oxidation surface roughness tests do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on conditioning with saline and Tetracycline-HCI. 2. The anodic oxidized surfaces showed the craterous structures. The surface conditioning with Tetracycline-HCI didn't influence on its micro-morphology. In conclusion, Anodic oxidation implant surface is stable to detoxificate with 50mg/ml Tetracycline-HCI of implant surface.

      • 원위부 진행성 위암에서의 상장간막정맥(14v) 림프절 절제술의 적응증

        임정택,정오,김지훈,오성태,김병식,박건춘,육정환,Lim, Jung-Taek,Jung, Oh,Kim, Ji-Hoon,Oh, Sung-Tae,Kim, Byung-Sik,Park, Kun-Choon,Yook, Jeong-Hwan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1998년도에 제정된 일본위암학회의 위암취급규약 영문판 제2판에 따르면 원위부 위암에 있어 2군에 속하는 림프절 중 14v (상장간막정맥) 림프절도 포함되어 있으나 조기 위암에서는 14v 림프절의 절제가 제외되는 등 상황과 술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제되고 있다. 저자들은 원위부 진행성 위암에 있어 14v 림프절의 전이 정도를 조사하여 14v 림프절 절제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 림프절의 절제 적응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외과 위암팀에서 원위부 위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수술장에서 육안적 소견으로 진행성 위암으로 판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일본위암학회의 위암취급규약 영문판 2판에 정의된 D2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하고 림프절의 구획을 표기하였다. 각 림프절 구획의 위암 전이 여부를 확인하여 전이율을 계산하고, 6번 림프절의 양성율과 14v 림프절 양성율의 상관 관계와 14v 림프절 양성군과 음성군을 비교하여 14v 림프절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고 환자의 예후에 대한 장기 추적은 하지 않았다. 결과: 전체 환자는 50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6 ($30{\sim}80$)세, 남녀비는 1.63 : 1이었다. 47명(94%)에서 위원위부 절제술과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시행하였고 3명(6%)에서는 위원 위부절제술과 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다. D2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 후 림프절의 전이율이 가장 높았던 림프절은 3번(위소만부) 림프절과 6번(유문하림프절)이 54%)로 가장높았고 14v 림프절의 전이율은 10%로 다른 2군 림프절 중 7번 9번 림프절의 전이와 비슷하였다. 14v 림프절 양성군과 음성군을 비교하였을 때 전이된 림프절의 수와(평균 25.4개 vs 4.91개, P<0.001) 6번 림프절의 전이된 림프절 수에서(평균 6.5개 vs 1.42개, P<0.001) 차이를 보였고, 14v 양성군은 UICC 병기 3기 이상으로 음성군에 비해 진행된 위암인 경우가 많았다. 결론: 위암의 상태가 진행되어 있고 6번 림프절이 양성일수록 14v 림프절로의 전이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수술장 소견에서 3기 이상, 6번 림프절이 양성일 경우 14v 림프절의 절제가 필수이다. 그러나 14v 림프절 절제의 유용성에 대한 판단은 14v 림프절 절제하지 않은 군과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여 재발과 생존율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According to the 2nd English Edition of the Japanese Gastric Cancer Association (JGCA) in 1998, in case of distal gastric cancer, the 14v (superior mesenteric vein) lymph node (LN) is included in the N2 group. However, in Korea, a modified radical gastrectomy is performed, and a 14v LN dissection is not done as a routine procedure. Thus, we investigated the rate of metastatic 14v LNs, evaluated the necessity of dissection of the 14v LN, and searched for indications of 14v LN dis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4 to August 2005, we enrolled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e distal third portion of the stomach. We peformed a distal gastrectomy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as defined in the 2nd English edition of the JGCA classification. We calculated the positive rate of metastatic LNs of each station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rates of No.6 LNs and 14v LNs. We also compared the positive 14v LN group with the negative 14v LN group.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as 50, the mean age was 56 (range $30{\sim}80$) years, and sex ratio (Male/Female) was 1.63 : 1. In 47 (94%) cases, distal a gastrectomy with gastroduodenostomy was done, and in the remaining 3 (6%) cases, a distal gastrectomy with gastrojejunostomy was done. The most frequently metastatic LNs were nos. 3 and 6 (54%). The metastatic rate of the f4v LN was 10%,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LN no. 9. In the comparison of the 14v positive group with the 14v negativ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metastatic LNs (mean 25.4 vs 4.91, P<0.001) and the numbers of metastatic no. 6 LNs, (mean 6.8 vs 1.42, P<0.001), and if no. 6 LNs were metastatic, the possibility of metastasis to the 14v LN was 19.2%. In the 14v positive group, all cases were more than stage 3 by the UICC 6th edition. Conclusion: In cases of advanced cancer with metastasis to the no. 6 IN, there was a good chance of metastasis to the 14v LN. Thus, in the operative field, if the tumor is advanced to more than stage 3 by the UICC classification and the no. 6 LN is metastatic, a 14v LN dissection is necessary. However, the usefulness of a 14v LN dissection should be evaluated prospectively through an analysis of tumor recurrence and long-term survival.

      • TMO 기반 응용에 동적바인딩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객체그룹지원 Tool-Kit 개발

        임정택 ( Jeong-taek Lim ),장재호 ( Jae-ho Jang ),신창선 ( Chang-sun Shin ),주수종 ( Su-chong J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본 논문에서 우리는 분산응용의 처리를 위해 TMO(Time-triggered Message-triggered Object) 스킴 기반에서 효율적인 객체그룹 관리 및 객체들에 대한 동적바인딩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객체그룹지원 Tool-Kit(Distributed Object Group Supporting Tool-Kit, DOGST)을 개발하였다. DOGST는 임의의 분산응용에 대한 그룹관리 관점에서 응용의 구성객체들을 그룹으로 등록 및 철회관리, 접근보안 관리, 이름과 속성관리, 서비스 관점에서는 네이밍, 동적바인딩, 다중복객체지원, 부하균형화, 응용그룹 간의 연동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DOGST는 그룹관리 및 분산서비스를 지원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분산응용의 구현 시, DOGST를 이용하는 이유는 광역환경에 존재하는 분산응용들을 논리적인 단일 가상시스템으로 재구성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산응용의 그룹 관리를 통해 수행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DOGST로부터 수행성을 검증하기 위해, 분산시스템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또는 중복시킨 TMO들을 하나의 객체그룹으로 구현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각 서버객체들과 동적바인딩되는 과정을 보였다.

      • DOGF를 이용한 분산 프로그램 개발 Tool-Kit의 구축

        임정택 ( Jeong-taek Lim ),안동인 ( Dong-in Ahn ),신창선 ( Chang-sun Shin ),주수종 ( Su-chong J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분산응용을 개발하는데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해주는 분산 객체그룹 프레임워크(Distributed Object Group Framework)를 이용한 분산 프로그램 개발 Tool-Kit을 구축하였다. 본 Tool-Kit은 분산응용 개발자들에게 DOGF의 기능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객체그룹 운영자 GUI, 서버 프로그램 개발자 GUI,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개발자 GUI등 3가지 GUI로 구축하였다. 분산응용의 개발 시, 서버 프로그램 개발자는 서버 객체들 구현한 후 프레임워크에 등록 및 클라이언트에 대한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개발자는 자신에게 접근권한이 부여된 이들 객체 또는 객체그룹을 검색하여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응용 개발 시 이용되는 Tool-Kit과 DOGF의 상호동작을 정의하고, 분산 프로그램 개발 Tool-Kit을 구축하고, 간단한 분산응용을 이용해 Tool-Kit의 수행성을 보인다.

      • KCI등재

        Sub-GHz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0.18 μm CMOS 전력증폭기

        임정택(Jeong-Taek Lim),최한웅(Han-Woong Choi),이은규(Eun-Gyu Lee),최선규(Sun-Kyu Choi),송재혁(Jae-Hyeok Song),김상효(Sang-Hyo Kim),이동주(Dongju Lee),김완식(Wansik Kim),김소수(Sosu Kim),서미희(Mihui Seo),정방철(Bang-Chul Jung),김철영(Ch 한국전자파학회 201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9 No.11

        본 논문은 0.18 μm CMOS 공정을 이용한 Sub-GHz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전력증폭기 설계에 관한 내용이다. 가상 접지 노드를 용이하게 형성하며, 출력전력을 키울 수 있는 차동구조로 설계하였으며, breakdown으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cascode 구조로 설계하였다. 또한 출력전력과 Power Added Efficiency(PAE)가 최대가 되도록 트랜지스터 게이트 폭을 결정하고, matching network으로 인한 손실이 최소화하기 위해 EM simulation을 통하여 balun을 최적화하였다. 제작된 전력증폭기는 크기가 2.14 ㎟이며, 860~960 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49.5 dB 이상의 이득과 26.7 dBm의 최대출력을 가지며, 최대효율은 20.7 %이다. A power amplifier for subgigahertz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0.18-μm CMOS technology is presented. It is designed as a differential structure to form easily a virtual ground node, to increase output power, and to design a cascode structure to prevent breakdown. The transistor gate width was determined to maximize the output power and power-added efficiency(PAE), and the balun was optimized through electromagnetic simulation to minimize the loss caused by the matching network. This power amplifier had a gain of more than 49.5 dB, a saturation power of 26.7 dBm, a peak PAE of 20.7 % in the frequency range of 860 to 960 MHz, and a chip size of 2.14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