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5&6 금연프로그램의 청소년 금연 효과

        임은선 연세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에 의한 반복측정 유사실험연구로서, 새로 개발되어 현재 활발히 확산 중에 있는 “5&6 금연프로그램”을 흡연 청소년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인지적, 행위적, 생리적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6년 11월부터 2007년 3월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남녀고등학생으로 실험군에 28명, 대조군1에 19명, 대조군2에 53명 이었다. 대조군1에는 서울위생병원에서 제공하는 “5일교실 금연프로그램”이 적용되었고, 대조군2는 무중재 그룹이었다. “5&6 금연프로그램”은 5주 동안 6회, 매회당 120분씩 진행되었으며, 종속변수들은 중재 후 8주시점까지 총 4회 측정되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X2-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samples t-test, Paired t-test, One-way ANOVA, Repeated measures ANOVA, Repeated measures ANCOVA, Cronbach's coefficient alpha를 이용하였다.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5&6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인식이 더 증가할 것이다” 인 가설 1은 지지되지 않았다.2. “5&6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연자기조절효능감이 더 증가 할 것이다” 인 가설 2는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실험군은 대조군1과는 중재 후 8주 시점에서, 대조군2와는 중재 직후와 중재 후 8주시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3. “5&6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연이익이 더 감소할 것이다” 인 가설 3은 지지되지 않았다.4. “5&6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연손실이 더 증가할 것이다” 인 가설 4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실험군은 대조군2와 중재 직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다.5. “5&6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하루 흡연량이 더 감소할 것이다” 인 가설 5는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실험군은 대조군2와 중재 직후와 중재 후 8주시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다.6. “5&6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니코틴 의존도가 더 감소할 것이다” 인 가설 6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실험군은 대조군2와 중재 후 8주시점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면서 감소하였다7. “5&6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금연행위의 초기 변화단계에서 후기 변화단계로의 이동이 더 많을 것이다” 인 가설 7은 지지되었다. 구체적 으로 실험군은 대조군1, 대조군2와, 중재 직후와 중재 후 8주시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면서 후기 단계로 상승이동 하였다.8. “5&6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소변 코티닌이 더 감소할 것이다” 인 가설 8은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실험군은 대조군2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면서 감소하였다.본 연구결과, 실험군(5&6 금연프로그램)은 대조군2(무중재 대조군)보다 흡연자기조절 효능감, 흡연손실, 금연행위 변화단계를 증가시키고, 하루 흡연량, 니코틴 의존도, 소변 코티닌을 감소시키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실험군(5&6 금연프로그램)은 대조군1(5일교실 금연프로그램)보다 흡연자기조절효능감을 증가시키고 금연행위 변화단계를 후기 단계로 상승이동 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을 강조한 자기인식의 증진에 초점을 둔 “5&6 금연프로그램”은 지식과 금연동기를 강조한 기존의 금연프로그램 보다 청소년 금연행위의 시작 및 유지에 더 효과적이었다.

      • 어린이집 연장보육제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보육교사와 학부모를 중심으로

        임은선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연장보육제도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어린이집 연장보육제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기본보육교사, 연장보육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연장보육제도에 대한 기본보육교사, 연장보육교사, 학부모 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 연장보육제도에 대한 기본보육교사, 연장보육교사, 학부모 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연장보육제도를 시행하는 어린이집의 기본보육교사 185명, 연장보육교사 134명, 연장보육반 학부모 178명이며,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을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카이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응답 목록화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연장보육제도의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기본보육교사와 연장보육교사 모두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개선’이라고 하였고, 학부모는 ‘부모의 정서적 부담완화’라고 하였다. 이와 함께 연장보육제도의 수혜자에 대해서 보육교사 두 집단 모두 ‘기본보육교사’로 인식하였고, 학부모는 ‘학부모’ 자신으로 인식하여 정책의 목적과 일치하였다. 연장보육제도의 단점에 대해 보육교사 두 집단은 ‘탄력보육 인원이 초과될 때 보육교사 배치의 어려움’을 꼽았고, 학부모는 ‘연장보육시간 초과 시 보육서비스 이용의 어려움’을 꼽았다. 연장보육 운영체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기본보육교사는 ‘15시부터 또는 16시부터 연장보육을 운영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하였으나, 연장보육교사와 학부모는 ‘16시부터 또는 16시 30분부터가 적당하다’고 하였다. 신청자격 기준에 대해서는 보육교사 두 집단 모두 ‘현행기준 유지 또는 영유아 모두 자격 기준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학부모는 ‘현행기준 유지 또는 영유아 모두 자격 기준이 없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연장보육반 정원 및 탄력보육 정원에 대해서는 세 집단 모두 ‘교사 대 아동 비율이 낮을수록 보육서비스의 질이 높다’고 인식하였다. 연장보육반 편성에 대해 기본보육교사와 학부모는 ‘영아반과 유아반으로 편성’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연장보육교사는 ‘어린이집 상황에 따라 편성 또는 단일 연령반으로 편성’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연장보육의 환경 및 일과운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보육교사 두 집단은 모두 ‘전용 보육실과 돌봄 위주의 프로그램 구성’을 선호한 반면, 학부모는 ‘어린이집 상황에 따른 보육실 이용과 연장보육반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을 선호하였다. 연장보육반 저녁 급·간식에 대해서는 기본보육교사는 ‘필요하다’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비슷하였으나 연장보육교사는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학부모는 ‘필요하다’는 의견이 절대적으로 많았다. 저녁 급·간식 제공 방법에 대해서는 보육교사 두 집단은 모두 ‘각 어린이집과 학부모가 협의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하였지만, 학부모는 ‘어린이집에서 조리하여 제공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연장보육제도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보육교사 두 집단은 모두 ‘정확한 업무분담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학부모는 ‘정서적 안정감을 위한 환경조성’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그리고 재정적·행정적 지원으로는 세 집단 모두 ‘연장보육교사 채용 확대 및 보조인력 인건비 지원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지원’이라고 하였다. 마지막 개방형 답변에서 제시된 세 집단의 요구사항을 알아본 결과, 기본보육교사는 연장보육교사 채용 확대, 연장보육교사는 독립된 연장보육실 마련과 교사 본인의 근무환경개선, 학부모는 저녁 급·간식 제공을 주로 원하고 있었다.

      • 의약품이상사례보고시스템(KAER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노인에서의 대상포진 백신의 실마리 정보 탐색

        임은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수두의 원인이 되며 이후 재활성화하여 대상포진을 유발하는 신경성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로 대상포진의 원인이 된다. 대상포진은 극심한 고통과 피부 발진을 일으키며 대상포진이 사라진 이후에도 통증이 계속되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과 안구 대상포진을 동반하여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의료비 지출을 높이고 있어 범국가적으로 사회,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는 질병이다. 따라서 대상포진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사례에 대해 실마리 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The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and Risk Management, KIDS)의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Korea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KAERS)을 통해 수집한 의약품부작용보고원시자료(KIDS-KAERS Database, KIDS-KD)를 활용하여 백신접종 후 이상사례의 실마리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2005년부터 2019년까지 우리나라 만 65세 이상 대상포진 백신 접종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보고자료의 특성을 파악한다. 또한2005년부터 2019년까지의 대상포진 백신 접종 후 이상사례에 대해 불균형 분석을 통한 실마리 정보를 검색하고, 2005년부터 2019년까지의 대상포진 백신 접종 후 이상사례에 대해 Tree-based scan statistic을 통해 실마리 정보를 검색한다. 마지막으로 검색된 실마리 정보가 기존 사용상 주의사항에 반영되지 않은 예상치 못한 이상사례를 확인하여 대상포진 백신 접종에 따른 안전성을 확인한다. 실마리 정보 검색 결과를 통해 한국, 미국 및 일본의 허가사항에 반영된 실마리 정보를 확인하였으며, PRR과 IC 및 TBSS 모두에서 검색된 실마리 정보로는 물집발진, 가려움증, 주사부위발진 및 대상포진이 있었으며 PRR과 IC 또는 TBSS에서 확인된 실마리 정보는 발진, 홍반성 발진, 관절증, 콩팥통증, 하지통증, 통증, 주사부위가려움 및 명시안된헤르페스가 있었다. 관절증, 콩팥통증, 하지통증은 PRR과 IC 또는 TBSS에서 검색된 실마리 정보 중 허가사항에 포함되지 않은 새롭게 검색된 실마리 정보로 확인하였으며, 특히 PRR과 IC 및 TBSS 모두에서 실마리 정보의 강도가 높게 확인되었던 물집발진 또한 세 규제당국의 허가사항에 반영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고 실마리 정보의 강도가 높은 새롭게 검색된 실마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검색한 이상사례를 통해 대상포진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실마리 정보를 확인하고 조기에 모니터링 함으로써 백신 안전성 연구에 시의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백신 실마리 정보를 통해 대상포진 백신과 질병부담 혹은 경제성 평가의 근거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연구 활성화를 통해 대상포진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를 높여 대상포진 백신 접종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Varicella zoster virus (VZV) is the primary cause of chickenpox. It is a neurogenic human herpes virus that induces shingles by dormant in the ganglion and then reactivat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creen for signal detection about adverse event followings the shingles vaccination using the KIDS-KAERS Database (KIDS-KD)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and Risk Management (KAERS). KAERS data reporting Adverse events of Shingles vaccine use in the period from 2005 through 2019 were extracted. We used SAS 9.4 program and Treescan 1.4 version to calculate disproportionality distribution of drug-AE pairs. The adverse events were detected by all the three indices including PRR, IC and TBSS that defined as a signal. In addition, we identified whether the detected signals were listed on the domestic drug labels, FDA drug labels and PMDA drug labels. The adverse events that have the highest frequency of 20% in the report after shingles vaccination in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5 from 2005 to 2019. Herpes zoster was reported the most with 55 cases (11.85%), followed by injection site pain 44 cases (9.48%), injection site rash 40 cases (8.62%), injection site reaction 30 cases (6.47%). We found data mining was good tool for detecting new signals which were not listed on drug approval labels of in Korea, USA and Japen. However it is not means the signal including causality, clinical significance.

      •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출국간의 가격경쟁구조 및 환율변화가 수출가격에 미치는 영향

        임은선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의 경우, 국가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 점점 그 수입액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외식산업의 발달과 웰빙(Well-Being) 열풍으로 인해 수산물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은 각 품종마다 특정 몇몇의 국가에서 주로 수입해오는 과점시장의 형태를 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과점 경쟁을 하고 있는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의 가격 경쟁 구조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각 수출국들이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에 따라 환율과 경쟁국가의 가격에 대해 받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증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우리나라가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주요 수출국들의 각 품종별 가격과 그 경쟁국들의 수출가격, 수출국 통화 1 단위당 원화의 교환비율인 원화표시 환율을 사용했다. 1997~1998년에 있었던 IMF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99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총108개의 표본을 사용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주요 수산물 수입어종은 냉동조기, 냉동갈치, 냉동아귀 인데, 각 각의 경우에 대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냉동조기 수입시장의 경우, 냉동조기를 주로 수출하는 국가는 중국, 베트남, 일본, 러시아, 카메룬 등이 있는데, 이들 중에서 중국이 우리나라의 수입 냉동조기 시장에서 약 99%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러시아, 카메룬의 자료가 실증분석을 할 만큼 충분한 자료가 존재하지 않았기에, 중국과 베트남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은 냉동조기의 가격 선도자(Price Leader)로서 베트남은 중국의 가격에 반응하는 가격 추종자(Price Follower)의 모습으로서 이 두 나라는 Leader-Follower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중국의 수출가격이나 베트남의 수출가격은 한국의 조기의 가격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시장 점유율이 큰 중국의 경우, 베트남의 가격보다 자체 환율의 영향에 더 크게 영향을 받았고, 시장 점유율이 낮은 베트남의 경우, 환율보다 시장점유율이 더 큰 중국의 가격에 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을 하였다. 우리나라 냉동갈치 수입시장의 경우, 냉동갈치를 주로 수출하는 국가는,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인디아, 파키스탄, 베트남 등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장점유율이 높은 중국을 포함하여, 중국의 가격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도네시아, 베트남의 수출가격의 가격경쟁 구조와 환율전가도를 살펴보았다. 실증 분석 결과를 통해,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중국의 수출가격은 다른 수출국들의 수출가격 변화율보다 환율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시장점유율이 낮은 수출 국가들은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중국의 수출가격변화에 대체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장점유율이 비슷한 인도와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와 일본, 인도와 베트남의 수출가격변화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우리나라의 냉동갈치 수입시장에서 서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경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중국의 경우, 환율전가도는 1보다 크기 때문에 완전전가가 나타났다. 중국, 파키스탄, 베트남의 경우를 제외한 시장점유율이 낮은 국가의 가격은 환율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냉동아귀 수입시장의 경우, 냉동아귀를 수출하는 국가는 중국, 미국, 캐나다, 브라질, 남아프리카이다. 대체적으로 미국의 냉동아귀 수출가격변화에 나머지 수출국가의 가격이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냉동아귀의 경우도, 앞의 냉동조기, 냉동갈치와 마찬가지로 시장점유율이 높은 수출국가의 가격 결정행태를 나머지 시장점유율이 낮은 국가가 따른 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미국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수출 국가들의 가격은 환율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국의 냉동아귀수출 가격의 환율전가도는 다른 품종과는 달리 낮았다. 이는 미국의 냉동아귀 수출가격이 다른 국가의 가격들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를 초래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일부 예외적인 부분들이 있긴 하였지만, 대체적으로 시장점유율이 높은 수출 국가는 다른 수출국가의 가격의 변화 보다, 자체 환율변동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였고, 시장점유율이 낮은 수출 국가는 자체 환율변동 보다는 시장점유율이 높은 수출국의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장점유율이 비슷한 국가들 사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격설정전략을 나타내었다. 즉, 한 수출국가가 가격을 상승(하락)하면, 다른 경쟁국은 가격을 하락(상승)한다. 대부분의 수출 국가는 우리나라 수산물 가격에는 대체로 큰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출 국가는 우리나라 가격보다 다른 수출국가의 가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산물을 수출하는 국가들의 수산물 가격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우리나라가 수산물을 수입할 때, 좀 더 유리한 방향으로 수입가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특정 수출국이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을 통해, 다양한 국가로부터 수산물을 수입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출국들이 가격을 결정할 때, 환율의 영향 뿐만 아니라, 수출국 사이에 나타나는 가격 경쟁 구조(시장점유구조)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있어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경쟁구조(시장점유구조)의 차이에 따라서 환율보다 경쟁국의 가격이 수출가격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은 이 연구의 조그만 성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Korea`s economy concerns the second money crisis because of the rapid increase of the exchange rate. The Korea`s economy which is very dependent on the foreign trade is mo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exchange rates. There are many literatures which analyze the effects of variations of the exchange rates on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such as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IT(Information Technology). But there have been no studies which try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variations of exchange rate on the primary industries, especially, fisheries` industry.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effect of price competition structure and the change of exchange rate on foreign fisheries exporting prices in Korea`s fisheries import market. This study utilizes OLS(Ordinary Least Squares Analysis) and VECM(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for the analysis in the market of frozen yellow corvina, hairtail, angler fish which are major fisheries importable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orting country which has the highest market share is mo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the exchange rates itself than that of the other exporting countries` price when it starts to set up its exporting price. And the exporting countries which have low market share are mo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price which country has the highest market share than that of price whose countries have low market share and those of their exchange rate. Also we can find out that the countries which have similar market share try to set up price -setting strategy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other words, one country tries to bid up its price, other countries response to rival country by lowering their prices. In the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most exporting countries aren`t affected by Korea`s fisheries` prices, the exporting countries in Korea`s fisheries import market are more sensitive to the prices of other exporting countries than that of Korea`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rice leader-follower model could be applicable to the Korea`s fisheries import market.

      •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영어 수업 모형 개발

        임은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develops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ttempts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field of education are increasing. This movement, dubbed “Education 4.0,” can be said to be a paradigm shift in education rather than a simple change in learning tools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education, and it aims to provide an adaptive learning experience. Adaptive lear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lso highly useful in English subjects. English is one of the subjects in which the issue of educational disparity is constantly being raised, and compared to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educational disparity has recently deepened. In this context, there is a demand to provide individual learners with individual learning experiences in order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in the English subject. Until now, level-specific classes have been proposed as learner-specific learning support measures in the context of public education,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level-specific classes are difficult to operate effectively due to the stigma effect and lack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each level.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eality of the limited budget and manpower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there were practical difficulties in practicing adaptive teaching and learning only with the efforts of individual teachers. However,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has been intensiv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enables adaptive learning support, and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establish a scientific and objective adaptive learning system based on learner data. This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adaptive education for individual learners. However, when synthesizing several previous studies, simply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does not guarantee the realization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o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frameworks to utilize it needs to be continued.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purpose of exploring instructional a model and strategies that instructors can practically use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English classes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nd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instructional model of English classes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Second, what is the instructional strategy of English classe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hird, is the instructional model vali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according to the type 2 model research method amo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First, an initial instructional model and strategy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review of prior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related experts. Next, in order to review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initial instructional model and instructional strategy, a total of two expert validations were conducted targeting three educational technology experts and three English education expe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t validation, the model and instructional strategy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applying this to the 3rd-grade class at B middle school in Seoul, the responses and opinions of 1 teacher and 28 learners were confirmed. Afterward, afte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is, the model and strategy were modified once more to finally derive an English instructional model and strategy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nal instructional model includes five stages as follows. 1)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pre-exploration and diagnostic evaluation, 2) before class, 3) during class, 4) after class, and 5) formative evaluation, which consists of 5 upper stages and a total of 20 detailed stages. An instructional model was developed. In the cas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7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25 detailed guidelines were developed to keep in mind throughout English classe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English teaching model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the instructor is important when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in English classes. Second, the English instructional model and strategy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learning. Third, in order to effectively design and implement English classes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environmental factors must be indispensabl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veloped a systematic instructional model for the us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in the context of English classes, and presents a specific instructional strategy for the effective use of the instructional model. One point, third, is meaningful in that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model were empirically verified by applying the instructional model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교육 분야에서도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 및 응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교육 4.0(Education 4.0)」으로 명명되고 있는 이러한 움직임은 인공지능 기술을 교육에 적용하려는 단순한 학습 도구의 변화라기보다는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개별 학습자에게 적응형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적응형 학습은 영어 교과에서도 활용 가치가 높다. 영어 교과는 교육격차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교과 중 하나이며, 코로나19 발생 전과 비교하였을 때 최근 교육격차가 더 심화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영어 교과에서의 교육격차의 해소를 위해서 개별 학습자에게 개별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까지 공교육 맥락에서 학습자 맞춤형 학습 지원 방안으로는 수준별 수업이 제안되어 왔으나, 수준별 수업은 낙인효과와 수준별 교수학습자료 및 방법의 부재로 인해 효과적인 운영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학교교육 현장의 한정된 예산 및 인력 등의 현실을 고려하였을 때, 개별 교사의 노력만으로는 적응형 교수·학습을 실천하기에 실질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이후 급격한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적응형 학습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인공지능 기술 분야에 집약적인 발전이 있었고,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여 학습자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구축하여 개별 학습자에게 적응형 교육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다만 여러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였을 때 인공지능 기반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단순히 활용하는 것만으로는 효과적인 교수·학습의 실현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한 교수설계적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영어 수업을 설계 및 실행할 때 교수자가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을 탐색하는 목적을 바탕으로 1-1)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영어 수업 모형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1-2)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영어 수업의 교수전략은 무엇인가, 2)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영어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은 타당한가와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방법 중 유형 2 모형 연구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선행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와 관련 전문가와의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초기 수업 모형 및 교수전략의 내적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교육공학 전문가 3인과 영어교육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총 두 차례의 전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였고, 전문가 타당화 결과를 바탕으로 모형 및 교수전략에 대한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를 서울 소재 B 중학교 3학년 수업에 적용해봄으로써 교수자 1인과 학습자 28인의 반응과 의견을 확인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뒤 이를 바탕으로 모형과 전략을 한 번 더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영어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1)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사전 탐색 및 진단평가, 2)수업 전, 3)수업 중, 4)수업 후, 5)형성평가와 같은 5개의 상위 단계와 총 20개의 세부 단계로 구성된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교수전략의 경우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영어 수업 전반에 걸쳐서 유념해야 할 교수전략 7개와 그에 대한 25개의 상세지침이 개발되었다.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영어 수업 모형 개발 연구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영어 수업에서 활용할 때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영어 수업 모형 및 교수전략은 영어 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영어 수업을 효과적으로 설계 및 실행하기 위해서는 환경적 요소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영어 수업 맥락에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체계적인 수업 모형을 개발한 점, 수업 모형의 효과적 활용을 위하여 교수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점, 셋째, 수업 모형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모형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국악 음계 교수-학습법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임은선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thod of learning Korean music scales, a basic component of Korean music, joyfully and skillfully, via the investigator’s recognized necessity of making the founda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systematic and stepwise. Study subjects were 30 students in the second class of the fifth grade of Mohyeon Elementary School. For this, a Kodaly Method-used teaching-learning method of Korean music scales was examined, focusing on menari tone scale, yukjabaegi tone scale and changbutaryeong tone scale, which appear most frequently in folk songs in music textbooks.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 hand sign, a most easily practicable technique of Kodaly Method, was applied to menari tone scale. And applied menari tone scale was practiced via practice songs and then applied to Doumso folk song. Second, a physical sign of Kodaly Method was applied to yukjabaegi tone scale. And applied yukjabaegi tone scale was practiced via practice songs and then applied to Geomundo Baetnorae. Third, a scale ladder of Kodaly Method was applied to changbutaryeong tone scale. Anad applied changbutaryeong tone scale was practiced via practice songs and then applied to Nwilririya. Fourth, in order to test this study’s educational effec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class, respectively, focusing on interest in Korean music, understanding of Western music scales, and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Korean music scales before the class; and interest in the class of Korean music scales,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scales, and preference of Korean music. Collected data were used in teaching Korean music scal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60% of students knew Western music scales; whereas 23.3% of students knew Korean music scales. Therefore, students’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scales was very low. In this vein, in order to make students know Korean music,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education of music scale, one of the basic components of music. Second, from the aspect of techniques of Kodaly Method, 21.2% of students were pleased with hand sign-used learning; whereas 58.4% of them were pleased with physical sign-used learning and 18.2% of them were pleased with scale ladder-used learning. This finding seemingly suggests that education is carried out at student’s eye-level, via creative and active teaching methods, their interest will be greatly improved. Thir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scales showed that understanding it before the class was 23.3% and understanding it after the class was 88.2%, thus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a staggering 64.9%. This finding seemingly showed the fact that via this study’s teaching method of making students practice 5 sounds of every scale via stepwise practice songs of 2 sounds, 3 sounds, 4 sounds and 5 sounds in connection to Kodaly Method, students could understand component sounds systematically and grasp their characteristics well. Finally, a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of interest in the area of Korean music showed, the level of interest before the class was 23.3%, whereas the level of interest after the class was 87.3%. This finding showed the fact that teaching-learning is carried out systematically and interestingly, student’s perceptual change will be great. When teachers do away with such a stereotype that the basic theory of Korean music belongs to the special knowledge of professional Korean musicians, their teaching will have influence upon students. If teachers take interest in Korean music and then cultivate their capability for it, teaching Korean music scales is possible. When teachers work out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n apply it to students at their eye-level, the effect of learning will be maximized, even though the course is very difficult for students to learn. The investigator hopes study findings will provide help to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music scales and change the perception of Korean music step by step. 본 연구는 모현초등학교 5학년 2반 3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국악교육의 기초가 체계적이고 단계적이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지하여 국악 교육 중 국악의 기초 구성인 음계를 재미있고 익숙하게 학습하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교과서 내에 민요 가장 많이 나오는 메나리조 음계, 육자배기조 음계, 창부타령조 음계를 중심으로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하여 교수-학습법을 제시 하였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다이 교수법 중 가장 쉽게 익힐 수 있는 손기호를 활용하여 메나리조 음계에 적용하고 연습곡을 통해 음계를 익힌 후 도움소 민요에 적용해 본다. 둘째, 코다이 교수법 중 신체기호을 활용하여 육자베기조 음계에 적용하고 연습곡을 통해 음계를 익힌 후 거문도 뱃노래에 적용해 본다. 셋째, 코다이 교수법 중 사다리 음계를 활용하여 창부타령조 음계에 적용하고 연습곡을 통해 음계를 익힌 후 늴리리야에 적용해 본다. 넷째, 본 연구의 교육적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수업전과 수업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업 전에는 국악흥미도, 서양음계의 이해도, 국악음계의 이해도 및 선호도로 수업 후에는 국악음계수업의 흥미도, 국악음계의 이해도, 국악선호도로 나누어 분석하여 국악음계를 지도하는데 활용한다. 본연구의 수업 후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음계를 안다 60%와 국악음계를 안다23.3%에 대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국악음계에 대한 이해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을 보았을 때 국악을 알기 위해서는 음악의 기초구성이 되는 음계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기능면에서 보면 코다이 교수법에서 손기호를 활용하는 수업이 재미있었다는 21.2%로 나왔고, 신체기호를 활용하는 수업은 58.4%, 음계사다리를 활용한 수업은 18.2%로 나왔다. 창의적이고 활동적인 교수법으로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교육을 하면 학생들이 수업에 대한 흥미를 많이 느낄 수 있다. 셋째, 국악음계 이해도 영역에서 수업 전 설문결과와 수업 후 설문결과를 보면 각각 23.3%, 88.2%로 무려 64.9%나 국악음계에 대한 이해력이 높아짐을 볼 수 있다. 이는 각 학생들에게 2음, 3음, 4음, 5음 연습곡을 통하여 각 음계의 5음들을 단계적 연습곡으로 코다이 교수법과 연습을 시킨 결과 구성 음들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특징들을 잘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악 흥미도 영역의 설문 조사 결과에서 나왔 듯이 수업 전 23.3%의 낮은 수치에서 수업 후에는 87.3%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체계적이고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교수-학습을 했을 때 인식변화가 크게 달라짐을 볼 수 있었다. 국악의 기초 이론 학습이 국악 전문가 집단의 전문지식이라는 틀을 깨고 교사 스스로 노력을 해야 학습자들에게 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 가 국악에 관심을 갖고 그에 맞는 역량을 키워 나갈 때 국악음계 지도가 가능하다. 어려운 학문이라도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고 가르치게 되면 학습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국악음계 지도방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한걸음씩 국악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길 기대해 본다.

      • 놀이치료자의 완벽주의와 발달수준에 따른 군집별 심리적 소진의 차이

        임은선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완벽주의와 발달 수준에 따라 군집을 분류한 후, 각 군집 유형에 따라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장에서 놀이치료를 진행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259명이었으며, 완벽주의 척도, 발달 수준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단계 군집분석(Hair & Black, 2000)을 실시하였다. 연구절차는 전체 놀이치료자 집단과 초심 놀이치료자 집단, 숙련 놀이치료자 집단에 따라 각 3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고, 일원변량분석(ANOVA)으로 군집별 완벽주의와 발달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다음 군집별 심리적 소진 전체와 하위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등분산성 가정 여부에 따라 Scheffé와 Games-Howell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놀이치료자의 완벽주의와 발달 수준과 심리적 소진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놀이치료자(전체, 초심자, 숙련자)의 완벽주의와 발달 수준에 따라 군집을 분석한 결과 3개의 군집이 분류되었다. 전체 놀이치료자 집단은 ‘유연한 적응형’, ‘엄격한 능숙형’, ‘엄격한 미숙형’으로 명명하였고, 초심 놀이치료자 집단은 ‘유연한 적응형’, ‘엄격한 미숙형’, ‘엄격한 능숙형’으로 명명하였다. 숙련 놀이치료자 집단의 경우, ‘조율적 적응형’, ‘조율적 능숙형’, ‘유연한 적응형’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놀이치료자(전체, 초심자, 숙련자)의 완벽주의와 발달 수준에 따라 분류한 군집들 간에 심리적 소진 전체와 하위요인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심리적 소진은 전체 놀이치료자 집단의 경우, ‘엄격한 미숙형’, ‘엄격한 능숙형’, ‘유연한 적응형’순으로 확인되었다. 초심 놀이치료자 집단의 경우, ‘엄격한 미숙형’, ‘엄격한 능숙형’, ‘유연한 적응형’ 순으로 확인되었다. 숙련 놀이치료자 집단은, ‘조율적 적응형, ‘조율적 능숙형’,‘유연한 적응형’ 순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고갈은, 전체 놀이치료자 집단의 경우 ‘엄격한 미숙형’, ‘엄격한 능숙형’, ‘유연한 적응형’순으로 확인되었다. 초심 놀이치료자 집단의 경우, ‘엄격한 미숙형’, ‘엄격한 능숙형’, ‘유연한 적응형’ 순으로 확인되었다. 숙련 놀이치료자 집단은, ‘조율적 적응형’, ‘조율적 능숙형’, ‘유연한 적응형’ 순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내담아동에 대한 비인간화는, 전체 놀이치료자 집단의 경우 ‘엄격한 미숙형’, ‘엄격한 능숙형’, ‘유연한 적응형’순으로 확인되었다. 초심 놀이치료자 집단의 경우, ‘엄격한 미숙형’,‘엄격한 능숙형’, ‘유연한 적응형’ 순으로 확인되었다. 숙련 놀이치료자 집단은, ‘조율적 능숙형’.‘조율적 적응형’, ‘유연한 적응형’ 순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성취감의 감소는, 전체 놀이치료자 집단의 경우 ‘엄격한 미숙형’,‘유연한 적응형’, ‘엄격한 능숙형’ 순으로 확인되었다. 초심 놀이치료자 집단의 경우, ‘엄격한 미숙형,‘유연한 적응형’, ‘엄격한 능숙형’ 순으로 확인되었다. 숙련 놀이치료자 집단은, ‘조율적 적응형’,‘조율적 능숙형’, ‘유연한 적응형’순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성격 변인인 완벽주의와 상담역량변인인 발달 수준의 조합이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탐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after classifyi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fectionism and development of the play therapist, the difference in psychological burnout according to each type of group was verifi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9 play therapists who were conducting play therapy in the field, a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perfectionism scale, the developmental level scale, and the psychological burnou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two-step cluster analysis (Hair & Black, 2000)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research procedure was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total play therapist group, novice play therapist group, and skilled play therapist group, and differences in perfectionism and developmental level were confirm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n,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psychological burnout and sub-factors by cluster,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and Scheffé or Games-Howell post validation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assumption of equal 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tudy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developmental level of play therapists and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lust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fectionism and development of play therapists (all, beginners, and experts), three clusters were classified. The entire play therapist group was named 'flexible adaptive type', 'strict proficient type', and 'strict immature type', and the novice play therapist group was named 'flexible adaptive type', 'strict immature type', and 'strict proficient type'. did In the case of the skilled play therapist group, they were named 'adjustable adaptive type', 'adjustable proficient type', and 'flexible adaptive type'. Third, the differences in overall psychological burnout and sub-factors were verified between the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fectionism and development of play therapists (all, beginners, and experts). In the case of the entire group of play therapists, psychological burnout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strict immature type', 'strict proficient type', and 'flexible adaptive type'. In the case of the novice play therapist group, it was identified in the order of 'strict immature type', 'strict proficient type', and 'flexible adaptive type'. The skillful play therapist group was identified in the order of 'adjustable adaptive type', 'adjustable proficient type', and 'flexible adaptive type'.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strict immature type', 'strict proficient type', and 'flexible adaptive type' in the case of the entire play therapist group. In the case of the novice play therapist group, it was identified in the order of 'strict immature type', 'strict proficient type', and 'flexible adaptive type'. The skillful play therapist group was identified in the order of 'adjustable adaptive type', 'adjustable proficient type', and 'flexible adaptive type'. Next, the dehumanization of the client child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strict immature type', 'strict proficient type', and 'flexible adaptive type' in the case of the entire play therapist group. In the case of the novice play therapist group, it was identified in the order of ‘strict immature type’, ‘strict proficient type’, and ‘flexible adaptive type’. The skillful play therapist group was identified in the order of ‘adjustable proficient type’, ‘adjustable adaptive type’, and ‘flexible adaptive type’. Finally, the decrease in personal achievement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strict immature type', 'flexible adaptive type', and 'strict proficient type' in the case of the entire play therapist group. In the case of the novice play therapist group, it was identified in the order of 'strict immature type', 'flexible adaptive type', and 'strict proficient type'. The skillful play therapist group was identified in the order of 'adjustable adaptive type', 'adjustable proficient type', and 'flexible adaptive type'. As su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in depth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perfectionism, a personality variable of play therapists, and developmental level, a counseling competency variable, on sub-factors of psychological burnout.

      • Some applications and properties of generalized fractional calculus operators to subclasses of analytic functions

        임은선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프랙셔널 적분연산자, 프랙셔널 미분연산자, 일반화된 프랙셔널 적분연산자, 일반화된 프랙셔널 미분연산자의 정의를 소개하고, 앞서 정의된 합성곱을 이용하여, 각각의 연산자들에 관한 성질과 관계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종속과 일반화된 프랙셔널 미분연산자를 사용하여, 잘 알려진 부분족들의 일반적인 형태인 함수들의 족 를 정의하고, 함수들의 성질들 (계수문제, 왜곡정리, 적분보존문제, 근방이론 등등)을 조사하였다. 제2장에서는 일반화된 프랙셔널 미분연산자와 연관된 부분족 을 소개하고 이 족에서 단엽함수의 계수를 추정하였으며 또한 왜곡정리, 적분보존문제, -근방이론, 합성보존문제 등을 증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일반화된 프랙셔널 미분연산자를 적용하여 단엽함수의 새로운 족을 소개하고 이 족에 대한 다양한 종속이론 결과를 얻었으며 또한 이 족에 대한 계수추정, 왜곡정리, 적분보존문제, 극점, 근방이론, 유한고정계수들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Noor 인테그랄 연산자에 의하여 정의된 몇 가지 새로운 부분족들을 소개하였으며 이 족들의 포함관계성질들이 연구되었다.

      • 생활폐기물 관리를 위한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폐기물 수거경로계획과 소각시설 입지선정을 사례로

        임은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fast increase of solid wastes is pushing the limits of available waste disposal facilities, causing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in urban areas. Moreover, despite the sizable government spendings for this end, the lack of an efficient wastes management plans have complicated the situation. Thus it is crucial to develop an appropriate model of solid wastes manag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in public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conceptual framework of SDSS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olid wastes management by applying the methods of GIS(Geographical Informational System), which are often employed to solve complex spatial issu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designing an SDSS with a capability of streamlining decision-making process of solid wastes management and site selection for incinerators.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ecessity and needs of SDSS in management of solid wastes has been reviewed in order to construct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ystems of wastes collection and disposal mechanism. Second, SDSS for solid wastes collection system as a prototype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more efficient solid waste collection service which is viewed as one of most important public service in urban area. The GIS based regional partitioning and arc routing methods are applied for solid waste collection districting and vehicle routing-scheduling. Third, SDSS is applied into the study area for the site selection of incinerators which is considered the typical example of NIMBY(not in my backyard) syndrome by using AHP techniques and multi-criteria evaluation method. SDSS for solid wastes management, based on the GIS and model building approach, has the functions of database input, search and query, data modification, display system, which further lead to establish spatial analytic methodology of wastes treatment by sources, wastes collection districting, vehicle routing scheduling, and site selection for incinerators. The decision makers can use SDSS as an analytic model to make easy communications and flexible responses to environment changes. The characteristics of SDSS for solid wastes manage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DSS can provide computer based environment with multi-functions of data input, storage, processing, displaying in considering the information of the wastes by sources, attributes, and local environment. Second, it is a GIS based system which is able to support decision making process with spatial analytic techniques and algorithm. Third, SDSS contains a easily displaying function with graphs, maps, and reports for easy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Forth, it supports the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environment for many decision makers in different interests such as non government organizations interested in environment-related matters, local government officers, local residents, firms, academic institutes, and ot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gives two important remarks. First, solid waste collection districts which are delineated by regional partitioning methods are able to increase efficiencies and cut costs in performing solid waste collection services. Also the output of vehicle-scheduling from the analysis of arc routing provides more efficiently and quickly manage the scheduling of the residential solid waste collection routes, reducing costs with minimal deadheading costs. Second, GIS based multi-criteria evaluation method is able to extract a more flexible and objective solution for selecting suitability sites for waste incinerator. Also this method would be a core part of SDSS by supplying decision makers with the important and flexible informations for the site selection, especially locally unwanted facilities. However, despite an effort to develop conceptual framework of SDSS for solid wastes management, some limitations and research agenda can be addressed in order to orient more practical problem-solving system. First, more micro scale data collection should be necessary to give more efficient wastes collection services, as well as to establish more complete databases with spatial information and its attributes. Second, more researches should be extended and integrated to cover wide area of wastes management. Third,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an architecture which is multi-participant and collaborative. Fourth, it may be allowed to openly share and directly use NGIS digital maps as well as the basic census unit map which will be construct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