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글어스와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웹기반 지리정보 표출시스템 개발

        임우혁,이양원,서용철,Im, Woo-Hyuk,Lee, Yang-Won,Suh, Yong-Cheol 한국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8 No.4

        최근 웹 GIS에 있어 큰 흐름 중의 하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FOSS)를 이용한 시스템 구축이다. 지리정보를 웹에서 처리하는데 있어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등장은 기존 상용소프트웨어의 기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구현모듈의 재사용과 시스템 확장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공간데이터베이스인 PostgreSQL/PostGIS와 동적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구글어스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의 효율적인 사각화를 위한 웹기반의 지리정보 표출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의 지도 시각화는 구글어스 플러그인 및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데이터를 KML(Keyhole Markup Language)로 자동 생성하여 구글어스 상에 다양한 지리적 형태로 시각화 할 수 있는 자바 모듈(KML Generator)을 구현하였다. 프로토타입 시스템은 우리나라의 LAI(leaf area index), 임상도 및 정곡생산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설계 및 구현된 웹기반의 지리정보 표출 시스템이 다양한 지리공간데이터의 시각화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One of recent trends in Web-based GIS is the system development using FOSS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Open Source software is independent from the technologies of commercial software and can increase the reusability and extensibility of existing system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Web-based GIS for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Google Earth and spatial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Google Earth Plug-in and Google Earth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were used to embed a geo-browser in the Web browser. In order to integrate the Google Earth with a spatial DBMS, we implemented a KML(Keyhole Markup Language) generator for transmitting server-side data according to user's query and converting the data to a variety of KML for geovisualization on the Web. Our prototype system was tested using time-series of LAI(leaf area index), forest map, and crop yield statistics. The demonstration included the geovisualization of raster and vector data in the form of an animated map and a 3-D choropleth map. We anticipate our KML generator and system framework will be extended to a more comprehensive geospatial analysis system on the Web.

      • KCI등재

        구글어스와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웹기반 지리정보 표출시스템 개발

        임우혁,이양원,서용철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8 No.4

        One of recent trends in Web-based GIS is the system development using FOSS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Open Source software is independent from the technologies of commercial software and can increase the reusability and extensibility of existing system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Web-based GIS for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Google Earth and spatial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Google Earth Plug-in and Google Earth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were used to embed a geo-browser in the Web browser. In order to integrate the Google Earth with a spatial DBMS, we implemented a KML(Keyhole Markup Language) generator for transmitting server-side data according to user's query and converting the data to a variety of KML for geovisualization on the Web. Our prototype system was tested using time-series of LAI(leaf area index), forest map, and crop yield statistics. The demonstration included the geovisualization of raster and vector data in the form of an animated map and a 3-D choropleth map. We anticipate our KML generator and system framework will be extended to a more comprehensive geospatial analysis system on the Web. 최근 웹 GIS에 있어 큰 흐름 중의 하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FOSS)를 이용한 시스템 구축이다. 지리정보를 웹에서 처리하는데 있어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등장은 기존 상용소프트웨어의 기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구현모듈의 재사용과 시스템 확장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공간데이터베이스인 PostgreSQL/PostGIS와 동적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구글어스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의 효율적인 시각화를 위한 웹기반의 지리정보 표출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의 지도 시각화는 구글어스 플러그인 및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데이터를 KML(Keyhole Markup Language)로 자동 생성하여 구글어스 상에 다양한 지리적 형태로 시각화 할 수 있는 자바 모듈(KML Generator)을 구현하였다. 프로토타입 시스템은 우리나라의 LAI(leaf area index), 임상도 및 정곡생산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설계 및 구현된 웹기반의 지리정보 표출 시스템이 다양한 지리공간데이터의 시각화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웹기반의 전지구적 기후환경변화 표출시스템

        임우혁(Woohyuk Im),이양원(Yang-Won Lee),서용철(Yongcheol Suh)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

        본 논문에서는 지구온난화와 같은 전지구적 기후환경변화 양상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웹 기반의 지리정보 표출시스템의 구현에 대하여 소개한다. 오픈 소스인 구글 어스(Google Earth)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웹 상에서 전지구적 공간정보를 시각화 및 공유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기온, 강수,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전지구적 시계열 데이터를 웹 상에 시각화함으로써, 보다 더 인터액티브한 방식으로 전지구적 기후환경변화 양상을 표출하여 사용자의 직관적 인지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수질 취약지역 및 관말에서 플러싱 적용 먹는물 수질 개선 효과

        고경훈,권지향,김인자,임우혁 대한상하수도학회 2011 상하수도학회지 Vol.25 No.3

        Several complaints from consumers on red or turbid waters were often filed at the same places although various efforts were made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drinking water plant. The red water problems were occurred due to corrosion of main water pipe, especially at extremity. The low concentrations of chlorine indicating poor water quality were detected at the problematic location. To solve the poor water quality at the extremity, flushing techniques, i.e., conventional flushing, unidirectional flushing, and continuous flushing, were recently practiced. In this study, effects of conventional flushing on water qualitie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urbidity and residual chlorine before and after flushing. In addition, more detailed analyses on water qualities at the tap water were conducted to learn reduction pattern during flushing. Five items fro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water distribution were used to obtain a relationship with water quality, washing duration or amounts of washing water. The flushing was effective to meet the National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with simple and relatively short time operation. The key operational parameter in flushing was amounts of washing water which should be estimated based on water quality of the consumer's tap wate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ual chlorine and pipe length implied that detention time in the pipeline was main cause of the complaints. More experiments on effectiveness of flushing are needed to determine reasonable strategies of flus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