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 관리감독자 산업안전 보건 교육프로그램 성과 영향요인 규명 및 영향력 분석

        이현경(Hyunkyung Lee),임예진(Yejin Lim),이명근(Myung-geun Lee) 한국기업교육학회 202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기업 관리감독자 산업안전 보건 교육프로그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 분석 및 고찰을 통하여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정요인들을 도출하고 기존 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를 기반으로 설문 문항을 재구성하였다. 연구는 ‘ㄷ’ 기관에서 실시하는 관리감독자 산업안전 보건교육을 이수한 서비스업종 관리감독자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한 뒤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관리감독자 산업안전 보건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교육기관 특성, 조직환경이었다. 그 중 교육성과 요인인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과 교육기관 특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고, 지각 현업적용도에는 학습동기, 교육기관 특성, 조직환경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즉 교육기관 특성은 관리감독자 산업안전 보건 교육프로그램 성과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관리감독자 산업안전 보건 교육프로그램의 후속 연구와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s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management supervisor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each factor. The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would potentially influence the outcomes through review of existing advanced studies and literature and redesigned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tools proven in ter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13 management supervisors from the service industry who have completed the industry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vided by “K” institution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nstitution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outcomes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Self-efficacy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nstitution, among oth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learning transfer were learning motivation,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nstitution,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in that order. In other words,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nstitution is the factor that has an overall impact on the outcomes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management supervis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needs to carry out follow-up studies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management supervisors and to develop more specific evaluation tools.

      • KCI등재

        지방인구정책의 문제점과 대안

        김한나(Kim, Hanna),고우림(Ko, Woorim),임예진(Lim, Yejin),정명구(Jung, Myunggu),조영태(Cho, Youngtae) 한국인구학회 2020 한국인구학 Vol.43 No.4

        본 연구단편은 우리나라 지방인구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현재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들은 물론이고 200개가 넘는 기초지방자치단체들도 차별성을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인구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거의 모든 지자체들은 인구정책의 목표를 출산장려로 놓고 있고, 지역에 따라 금액이나 조건에는 차이가 있지만 현금성 출산장려금을 주된 인구정책으로 수행하고 있다. 인구변동의 원인과 속도에 지역 간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와는 차별화된 인구정책 혹은 각 지자체별로 차별화된 인구정책의 방향과 내용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 고령사회기본계획이 진행된 지난 15년간 이처럼 천편일률적이면서도 실효성이 의심되는 인구정책을 대부분의 지방정부들이 수행해 왔다는 사실은 지방인구정책의 개념부터 시작하여 무엇을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점검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단편은 출산장려만이 인구정책의 모든 것인 것처럼 되어 있는 현재의 지방인구정책을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더욱 광범위한 개념의 인구정책을 제시하였다. 이제껏 지방정부가 추진해온 인구정책은 출산율과 총인구 수가 줄어가는 것을 ‘완화(mitigation)’하는 것을 목표로 해왔다. 본 연구는 오늘의 인구변동을 분석하여 지역의 변화를 미리 예측하여 어떻게 그 변화에 ‘적응(adaptation)’하는지, 혹은 아예 지역의 미래를 ‘기획(planning)’하는 것이 지방정부의 현실에 부합하며 더욱 절실하게 필요한 인구정책의 방향임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seeks to widen the scope of discussion by assessing both problems with and alternatives to local population policies in South Korea. Despite substantial differences in local contexts and characteristics 17 regional governments as well as more than 200 municip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implement fairly similar population policies. The primarily target of population policies in most local governments is to promote childbirth with exclusive focuses on providing various forms of cash-transfer programs, albeit differently in the amount of and requirements for financial benefits. Since the causes and pace of population changes differ at different local areas, local governments should develop and identify appropriate population polices that actually reflect their local contexts and circumstances. However, over the past fifteen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Basic Plans for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eing,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have carried out one-size-fits-all and seemingly ineffective population policies, which implies that it is the time to revisit the fundamental question from the concept to the what, why and how of population policy in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criticizes the exclusively childbirth-centered local population policies and provides insight into a more comprehensive concept of population policy. This study further points out that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have solely concentrated on ‘mitigation’ measures in response to fertility and population declines. Instea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ble to recognize and analyze current demographic signals in order to forecast beforehand the effects of population changes on local socio-economic development, which enables them to strategically prepare for ‘adaptation’ to imminent population changes or ‘planning’ for the future at the local level.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daption’ and ‘planning’ measures are more realistic and necessary population policy options for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 1 인 미디어 창작자를 위한 딥러닝 기반 작곡 어플리케이션

        김보경 ( Bogyung Kim ),윤소지 ( Soji Yun ),이승희 ( Seunghee Lee ),임예진 ( Yejin Lim ),유견아 ( Kyeonah Yu ),임성현 ( Sunghyun L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1 인 미디어 산업의 성장으로 다양한 콘텐츠 제작의 증가와 함께 영상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BGM 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무료 음원은 한정되어 있으며 이미 많은 영상에 쓰여 시청자에게 흔한 느낌을 준다. 특히 MCN 에 소속되지 않은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은 개성 있고 영상에 어울리는 음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콘텐츠 제작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자가 직접 녹음하거나 악보를 스캔해 자신만의 음원을 제작할 수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 ‘플랫’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은 독창적이고 풍성한 콘텐츠를 만들 수 있으며, 음악적 숙련도와 관계없이 쉽게 음원을 만들 수 있어 작곡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딥러닝을 활용해 음악을 창작함으로써 인공지능 작곡 분야를 활성화하고 디지털 음악시장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가상자산의 가격 형성 요인: 감성 분석을 중심으로

        신정순 ( Jungsoon Shin ),최서연 ( Seoyun Choi ),한영아 ( Young-ah Han ),최한나 ( Hanna Choi ),임예진 ( Yejin Lim ) 한국재무관리학회 2022 財務管理硏究 Vol.39 No.2

        본 연구는 2019년 1월 1일∼2021년 12월 31일 가상자산의 거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비정형데이터인 뉴스 및 기사에서 가상자산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KNU 사전을 바탕으로 해당 자료에 나타난 감성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자기회귀모형과 패널회귀모형을 적용하여 가상자산 거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격 상승기가 시작되는 시점에 뉴스 및 기사의 빈도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본 연구의 분석 기간의 가상자산에 대한 감성은 대체로 긍정 감성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상승기 및 하락기의 긍정 및 부정 감성에 명확한 차이는 확인할 수 없다. 셋째, 변동성의 비대칭성과 레버리지 현상이 나타난다. 넷째, 부정 감성과 뉴스 빈도수는 가격변화에 시차를 두고 영향력이 있지만, 거래량의 변화에는 즉각적인 영향력 및 그 영향력의 지속성을 발견하였다. 반면, 투자 심리를 자극하는 요인인 부정 감성과 뉴스빈도가 가격과 거래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나, 방향성은 일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투자자의 감성이 가상자산의 거래에 미치는 영향력 및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비일관적인 영향력의 발견은 본 연구의 차별적인 결과이다. 한편, 가상자산의 가격 및 거래량 변동성은 가상자산의 거래 현황 및 특성이 반영된, 시장의 이상 반응(anomaly)이라 판단한다. 따라서, 가상자산의 거래에 있어서 투자자의 주의 및 금융 당국의 적절한 역할이 요구된다. We analyzed the trading of virtual assets that ranged from January 1, 2019 to December 31, 2021 using atypical data. To analyze, data related to virtual assets from news and articles, which are atypical, were collected and the sentiment in the data was estimated based on the KNU dictionary.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news and articles tends to increase at the beginning of the price increase period. Second, the sentiment on virtual assets during the analysis period of this study is generally positive. Third, our findings show the asymmetry of volatility and leverage effect in virtual assets trading. Fourth, negative sentiment and news frequencies have an influence over time on price changes, but those have an immediate influence and persistence of this influence on changes in trading volume. While, the impact of sentiment in trading is not consisten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equently this study considers the volatility of virtual assets as an anomaly in the virtual assets market. Thus, our study recommends an investor's attention and an appropriate role of financial authorities, in trading virtual ass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