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무용의 미디어 플랫폼 활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중화 전략을 중심으로

        임수진,YIM, Sujin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8 트랜스- Vol.5 No.-

        This study examines the popularization strategy of domestic dance field through media platform and examines it based on the interaction of cultural participants. What does popularization of dance ultimately mea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media-based popularization strategies? Can all of these attempts be understood as popularization strategy with same attribu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roadcasting media, which are used as the main medium of dance popularization strategy, and the online platform that recently attracts attention, and to focus on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cultural participants related to each media. Through this approach, media based activities turns out to be Mass Culture, controlled by businessman, capital, making it impossible for the creator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audience, and producing the cultural products planned by the businessman. On the other hand, an online community platform is classified as Popular Culture since it allows creator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audience without the direct involvement of the businessman and guarantees the rights of creation. Thereby it function as appropriate media platform and expand the discourse on popularization of dance in Korea. 본 연구는 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대중화를 시도하고 있는 국내 무용계의 현상을 살펴보고 이를 문화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고찰한다. 이는 무용의 대중화는 궁극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미디어를 매개로 한 대중화전략은 어떤 특징을 띄는가? 이러한 시도들은 모두 같은 속성을 지닌 대중화 전략으로 이해될 수 있는가? 라는 의문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를 위해 무용의 대중화 전략의 주요 매개로 사용되고 있는 방송매체와 최근 주목받는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의 특성을 살펴보고, 각 매체를 중심으로 관계 맺는 문화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과정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방송매체를 매개로 한 활동은 사업가(자본)에 의해 통제되고 조종됨으로써 창작자와 수용자(시청자)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불가능해지고, 사업가가 계획한 문화상품을 생산하는 데 그침으로써 매스컬처(Mass Culture)의 성격으로 분류됨을 밝힌다. 반면 사업가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창작자와 수용자의 직접적인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창작의 권리가 보장되는 성격을 지닌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은 포퓰러컬처(Popular Culture)로 분류됨으로써, 무용의 대중화에 관한 담론 확장 및 방법에 적절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기능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도날드 닷슨의 포퓰러컬처(Popular Culture)와 매스컬처(Mass Culture) 논의를 반영한 대중사회에서의 무용 문화연구

        임수진 ( Yim Sujin ),정의숙 ( Chung Euisook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5 무용예술학연구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dance culture facing mass society based on Dodnald Dodson’s article Differentiating Popular Culture and Mass Culture. According to him, what differentiate popular from mass is the influence and power of businessman and the money. In case of popular culture, businessman stays in distance from artists and public while they conduct direct communication. In mass culture, contrastively, businessman becomes decision maker who controls all details. In this type of culture, artists hardly obtain their creative autonomy. Based on this idea, we differentiate two representative trends in Korean dance culture, ‘community dance projects’ and TV show Dancing 9 , dealing with their public audiences. Through the article, we examine how participants of each culture communicate each other in order to suggest community dance projects as popular culture and Dancing 9 as mass culture. This study could be standard idea toward popularity when choreographers and dancers seek for communication with public.

      • KCI등재
      • KCI등재

        가정 잡지 『행복이 가득한 집』에 구현된 코리안 드림

        임수진 ( Yim Sujin ),이주은 ( Lee Joo-eu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7 한국문화연구 Vol.32 No.-

        이 논문은 가정잡지인 『행복이 가득한 집』에 실린 사진 이미지들을 한국의 도시 중산층의 취향이라는 맥락 안에서 분석한다. 『행복이 가득한 집』은 민주화의 열기가 뜨거웠던 1987년에 창간되었지만, 이 잡지가 추구하는 바는 거대서사 속의 군중이 아니라 개인과 가정이었다. 1990년대에 이 잡지는 주부독자층을 대상으로 개인의 취미생활과 가족중심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적극적으로 소개하여 인기를 끌었다. 특히 가십 위주의 인물기사를 피하여 타 여성지와 차별화하였고, 대신 감각 있는 인테리어스타일을 보여주는 사진이미지의 비중을 높였다. 이런 전략을 통해 『행복이 가득한 집』은 1990년대 한국 중산층 가정이 추구하는 코리안 드림을 재현하고 보급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 논문에서는 시각화된 코리안 드림을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첫째는 한국 사회에서 아파트라는 공간이 중산층 주부의 이상을 실현하는 장치라는 인식인데, 아파트 거주와 함께 집은 철저히 가족을 위한 사적 영역이 되었고 주부의 모성성은 더욱 내밀하게 집이라는 공간 속으로 스며들었다. 둘째는 아파트가 중산층 주부의 예술적 소양이 발휘된 이미지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주부의 문화행위는 개인적 취향의 차원을 넘어 가족의 행복에 방점을 찍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잡화적인 이미지를 통해 문화적 현상을 읽고자 한 점, 그리고 해석의 패러다임을 사회적 소외계층인 주부에 맞춰 본 새로운 시도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photographic images from the family magazine The Homeliving focusing on the taste of Korean middle class city dwellers. The Homeliving was published in 1987, a time when democratization was being strongly supported; however, this magazine pursued the individual and family instead of the crowd as a massive-scale narrative. During the 1990s, the magazine gained popularity by targeting the readership of homemakers and actively introducing individual hobbies and topics related to family-oriented lifestyles. Most notably, the magazine did not include gossip-oriented stories in order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women`s magazines, and it instead increased the proportion of photographic images presenting trendy interior styles. By employing such strategies, The Homeliving played a major role in embodying and spreading the Korean Dream that Korean middle-class households pursued during the 1990s. In this paper, the visualized Korean Dream is discussed in terms of three main points. The first point is the perception that husbands and wives should be self-reliant figures who equally enjoy their lives at home, and couple-oriented American family lifestyles were presented as models to this end in the magazine. The second point is that homemakers were represented as cultural actors who demonstrated artistic knowledge, rather than being presented as volunteers who assisted other family members. Homemakers` cultural acts also went beyond personal tastes and acted as a factor that highlighted family happiness. The third point is the image propagated by the magazine of families for whom cutting-edge gadgets had become a part of their lives, reflecting homemakers` determination to not lag behind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at it attempts to read a cultural phenomenon through miscellaneous images and makes a new attempt to take the paradigm of interpretation to homemakers, who are considered to be a socially marginalized group.

      • KCI등재

        숭고와 예술: 춤과 테크놀로지의 융복합공연 연구를 위한 새로운 미학적 탐색

        임수진 ( Sujin Yim ) 대한무용학회 2018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6 No.1

        This study focuses on the avant-garde experiment of technology based dance performance and discusses it by Jean-Francois Lyotard’s Sublime. Convergence performance pursues the aesthetics of the sublime, destroying the classical rules and customs of dance and focusing on visualizing invisible. Furthermore, it causes the audience to shock the uniformity of thought and to discover new rules, to escape the mechanical thinking pursued by modern society. The audience feels uncomfortable failing to understand the work at a glance, but by continuing the non-regulation, they finally experience the sublime by cracking the mechanical thinking and strengthening the think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