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lipid mixture enriched by ceramide NP with fatty acids of diverse chain lengths contributes to restore the skin barrier function impaired by topical corticosteroid

        임성하 한국피부장벽학회 2020 한국피부장벽학회지 Vol.22 No.2

        Background: The stratum corneum (SC) consists of corneocytes, intercellular lipids, and corneodesmosom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a ceramide with a single chain fatty acid, not with diverse chain lengths. Objective: We evaluated whether a lipid mixture enriched by ceramide NP with fatty acids of diverse chain lengths can restore the skin barrier impaired by topical corticosteroid. Methods: 27 healthy adult males were recruited. Topical corticosteroid was applied on both the forearms and, either the test cream that contains a lipid mixture or a vehicle cream was applied on the left or right forearm, respectively. The functional parameters of the skin barrier, epidermal differentiation markers, hyaluronic acid synthase 3 (HAS3), cytokines, and the lipid profiles in the SC were analyzed. Results: The barrier recovery rate, SC integrity, and SC hydra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test cream-applied site. Filaggrin and HAS3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terleukin-1α (IL-1α) levels were increased, and IL-2, IL-6, IL-10, and IL-13 levels decreased in the test cream-applied site. Lipid analysis showed that C18, C20, and total ceramide NP levels increased in the test cream-applied site. C16, C18, C20, C24, and total ceramide NP levels were elevated in the test cream-applied site after acute barrier disruption. Conclusion: A lipid mixture enriched by ceramide NP with fatty acids of diverse chain lengths could recover the barrier impaired by topical corticosteroid.

      • KCI등재후보

        지상레이저측량에 의한 갱내채굴광산(坑內採掘鑛山)의 입체적 분석과 활용

        임성하,박근표,이현기 한국국토정보공사 2012 지적과 국토정보 Vol.42 No.1

        In this thesis, we utilized terrestrial laser survey in order to analyze underground mines three-dimensionally. We selected a underground mine in Yeongweol, Gangwondo and have achieved three-dimensional survey data of a two kilometer area by utilizing traverse survey, as well as the routes and positions and data of the pillars with a fifty centimeter tripod. By overlapping the numerical map with a scale of 1:5000 and the cadastral map, the location and appearance of the pit was visible as a result and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for constructing a digital database for underground mines and abandoned mines. 본 연구에서는 지상레이저측량을 이용하여 갱내채굴광산의 입체적인 분석을 하였다. 강원 영월군의 갱내채굴 광산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약 2km구간을 트래버스 측량기법으로 3차원 측량 자료를 획득하였으며, 50Cm급 삼각망을 형성하여 갱내의 노선 방향, 광주(Pillar)의 위치 및 제원 등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1:5000 수치지도와 지적도를 중첩하여 갱내의 위치와 형상이 가시적으로 표현되었으며, 갱내채굴광산 및 폐광 등의 디지털 DB구축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드론항공사진측량을 활용한 지적측량 성과결정에 관한 연구

        임성하,김호종,이돈선,Lim, Seong-Ha,Kim, Ho-Jong,Lee, Don-Sun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21 지적과 국토정보 Vol.51 No.1

        본 연구는 지적측량 단계 중 가장 중요하지만, 객관적이지 못하고 주관에 의해 측량자의 오판이나 실수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이 큰 지적측량 성과결정 단계에서 드론사진측량을 기반으로 지적측량성과 결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드론사진측량 결과물에서 경계점 추출의 정확도를 판단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2D와 3D영상에서 추출한 22개 필지의 자표면적과 지상측량 좌표면적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2D영상은 RMSE가 1.44m<sup>2</sup>, 3D영상은 0.32m<sup>2</sup>로 정량화할 수 있었다. 또한, 정사영상을 기반으로 지적측량 성과결정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자료조사를 통한 기존 측량성과 결정량과 비교하여 RMSE가 N방향으로 0.346m, E방향으로 0.296m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로 미루어 볼 때 도해지역에서 정사영상기반의 성과 결정시 약 0.3m 내외의 정확도로 현지 측량없이 성과결정이 이루질 수 있으며, 이는 자료조사 및 지상측량과 더불어 정사영상이 활용된다면, 지적측량성과 결정 과정을 더 객관화하여 개인오차를 줄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determining cadastral surveying results using drone photogrammetry during the phase of determining cadastral surveying resul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stage of cadastral surveying, but known to be hardly objective and highly probable in causing a subjective misjudgment or mistake made by a surveyor. In the experiment to analyze the accuracy of boundary point extraction from drone photogrammetry results, by comparing the coordinate area of 22 parcels extracted from 2D and 3D images with the coordinate area measured from ground survey, the difference could be quantified as RMSE of 1.44m<sup>2</sup> for 2D and 0.32m<sup>2</sup> for 3D images. In addition, experiments to evaluate the determination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 based on drone photogrammetry survey showed the RMSE measure of 0.346m towards N direction and 0.296m towards Y direction in comparison to the existing surveying results through data investigation. Based on these experiments, it is judged that cadastral surveying result based on drone photogrammetry can be determined without needing to conduct a location survey with an accuracy of approximately 0.3m in the graphical area, which also leads to possibility of reducing individual errors if drones images are used along with ground survey by objectifying the process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 KCI등재

        드론기반 도심지 디지털트윈 3차원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임성하,최규명,조기성 한국국토정보공사 2020 지적과 국토정보 Vol.50 No.1

        In this study, to build a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which is a component of a smart city, a 3D digital twin model in the downtown area was built based on the latest spatial information acquisition technology, the drone. Several analysis models were implemented by utilizing. While the data processing time and quality of the three types of drone photogrammetry software are different, the accuracy of the construction model is ± 0.04 in the N direction and ± 0.03m in the E direction. In the m and Z directions, ± 0.02m was found to be less than 0.1m, which is defined as the allowable range of surveying performance and inspection performance for the boundary point in the area where the registration of the boundary point registration is executed. 1: 500 to 1 of the aerial survey work regulation: The standard deviation, which is the error limit of the photographic reference point of the 600 scale, appeared within 0.14 cm, and it was found that the error limit of the large scale specified in the cadastral and aerial survey was satisfied.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smart city realization using a drone-based 3D urban digital twin model, the model built in this study was used to implement Prospect right analysis, landscape analysis, Right of light analysis, patrol route analysis, and fire suppression simulation training. Compared to the existing aerial photographic survey method, it was judged that the accuracy of the naked eye reading point is more accurate (about 10cm) than the existing aerial photographic survey,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aerial photographic survey at a construction area of about 30㎢ or less.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 구성요소인 공간정보인프라 구축을 위해 최신 공간정보 취득 기술인 드론을 기반으로 도심지의 3차원 디지털트윈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모형 간의 처리시간・품질・정확도 분석과 스마트시티 응용시스템을 활용하여 몇 가지 분석 모델을 구현하였다. 3종의 드론 사진측량 소프트웨어의 데이터 처리시간・품질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 반면 구축 모델의 정확도는 8점의 검사점에 대한 평균제곱근 오차(RMSE)는 N방향으로 ±0.04m, E방향으로는 ±0.03m, Z방향으로 ±0.02m로 경계점좌표등록부시행지역의 경계점에 대한 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허용범위로 규정하고 있는 0.1m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의 1:500~1:600 축척의 사진기준점 오차 한계인 표준편차 0.14cm 이내로 나타나서 지적과 항공사진측량에서 규정하는 대축척의 오차 한계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드론기반의 3차원 도심지 디지털트윈 모형을 이용한 스마트시티 구현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형을 이용하여 조망권・경관분석, 일조권분석, 순찰경로분석, 화재 진압 모의 훈련 등을 구현하였으며, 기존 항공측량 방법과 비교해서 육안 판독지점에 대한 정확도는 기존 항공측량 보다 10cm 내외 더 정확하고, 약 30㎢ 이하의 구축 면적에서 기존항공측량 보다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할 수 있었다.

      • 문화재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지상 LiDAR와 UAV 정확도 비교 연구

        임성하(Seong-Ha Lim),조기성(Gi-Sung JO),이호진(Ho-Jin Le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0

        문화재의 현황 파악 및 복원을 위한 3차원 모델링에 있어서 지상 LiDAR와 UAV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대상 문화재에 대해 지상 LiDAR 측량을 실시하고 UAV 영상을 취득하였다. 이를 통해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의 정확도를 비교하고 3차원 모델의 중첩분석 및 융합 모델을 생성하였다. 그 결과, 문화재의 변위 및 변형을 감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3차원 모델링의 경우에는 지상 LiDAR를 이용한 정밀한 모델링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UAV 모델은 지상 LiDAR 모델에 비해 급격한 굴곡이 발생하는 부분을 상세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지만 UAV 모델은 모델링을 수행하는 범위가 넓으며 실물 문화재의 모델링이 가능한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지상 LiDAR 모델과 UAV 모델의 이점을 살린 융합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문화재의 기초자료 구축 분야에서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Effects of Isotherm Parameters on Simulated Moving Bed Simulation

        배윤상,이강만,임성하,이창하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1

        키랄의약품 광학분할을 위한 하나의 도구로서 사용되는 SMB 공정은 Batch chromatography의 단점인 많은 용매 소비와 그에 따른 용질의 희석, 컬럼의 낮은 효율을 보완할 수 있는 연속 분리공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SMB 공정에서 중요한 인자인 평형 파라미터가 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선형등온선을 가정하였을 때 헨리 상수가 변화됨에 따라 SMB 공정의 내부 프로파일과 순도, 회수율, 생산성 등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았다.

      • KCI등재

        UAS 기반 대형 폐기물 발생량 측정 가능성 모색

        손승우,유재진,전형진,임성하,강영은,윤정호,Son, Seung Woo,Yu, Jae Jin,Jeon, Hyung Jin,Lim, Seong Ha,Kang, Young Eun,Yoon, Jeong Ho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재난 등에서 발생하는 대형 폐기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은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대기질이나 수질, 생활 환경 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이 발생하면 임시적환장으로의 이동이나 처리 등을 위해서 발생량을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까지 위성영상이나 폐기물의 원단위를 이용하여 발생량을 추정하고 있지만 그 정확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AS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폐기물 측정 및 정확도 평가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UAS를 이용하여 폐기물 지역을 측정한 결과, 3차원 공간정보의 X, Y, Z RMSE 수치는 각각 0.022 m, 0.023 m, 0.14 m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측정한 폐기물량은 약 $4,273,400m^3$로 도출되었다. 또한 과거부터 지형, 문화재 등 정밀한 측량에 사용된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동일지역의 폐기물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값은 약 $4,274,188m^3$로 도출되었다. UAS 기반으로 도출한 폐기물량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UAS를 이용한 폐기물 발생량 측정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재해 폐기물이나 대형 폐기물 등의 환경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icient management of large-size wastes generated from disasters etc. is always in demand. Large-size waste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environment, producing adverse effects on the air quality, water quality, living environment and so on. When large-size wastes are generated, we must be able to estimate the generated amount in order to transfer them to a temporary trans-shipment site, or to properly treat them. Currently, we estimate the amount of generated large-size wastes by using satellite images or unit measure for wastes; however, the accuracy of such estimations have been constantly question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UAS, to measure the amount of waste, an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A measurement was made at a waste site by using UAS, and the X, Y, Z RMSE values of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were found to be 0.022 m, 0.023 m, and 0.14 m, all of which show relatively high accuracy. The amount of waste measured using these values was computed to be approximately $4,273,400m^3$. In addition, the amount of waste at the same site was measured by using Terrestrial LiDAR, which is used for the precise measurement of geographical features, cultural properties and the like. The resulting value was $4,274,188m^3$, whic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waste computed by using UAS. Thus,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the amount of waste using UAS was confirmed, and UAS-based measurement is believed to be useful for environmental control with respect to disaster wastes, large-size wastes, and the li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