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여성의 학력콤플렉스 극복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임선경(Seonkyeong Lim),김명찬(Myeungcha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한 중년 여성의 학력콤플렉스를 극복하는 과정을 주제로 하고 있다. 사회문화가 부여한 조건화된 학력 증명서가 없어서 겪은 패배감, 학력을 속이는 죄책감, 사회적 소외감과 차별, 개인적 소망과 진로에 방해되는 요인들을 자문화기술지로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학력콤플렉스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교육지원과 방안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연구자의 학력에 관한 경험, 기억자료, 부모님과 지인들과의 회상자료, 자녀와 남편과의 대화 자료, 공동연구자 및 석, 박사 동기의 피드백 등을 자료로 정리하였다. 이 자료를 검증하고자 과거에서 현재 순으로 분석한 후, 이를 다시 질적 자료 변화과정을 확인하는 장기코딩으로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과정은 삼각 검증 방법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이를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의 학력콤플렉스는 단계별로 형성과정, 경험과정, 극복과정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형성과정에서 가부장 문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험과정에서는 내외적 동기와 불일치한 자기를 느끼며 열등감을 상기하였다. 끝으로, 극복과정에서는 자신, 타인,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과 태도가 변화하고 성장하였다. 결론 학력(學力)은 ‘삶의 힘’이며 ‘진정한 자기됨’의 실현이다. 본 연구에서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한바 학력신장을 위한 교육적 패러다임에 새로운 방향이 제시되길 바란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overcoming a middle-aged woman’s academic complex. A sense of defeat, getting from having no a conditioned academic certificate defined by this society, a feeling of guilt to deceive academia, social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and factors that hinder personal wishes and career were analyzed by autoethnography.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hardships of those experiencing educational complex and to urge multi-dimensional education support and measures to resolve them.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educational experience, memory data, recollection data from parents and acquaintances, conversation data with children and husbands, feedback from co-researchers, masters, and doctoral colleagues were compiled. In order to verify this data, it was analyz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it was performed by long-term coding to check the process of qualitative data change.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has obtained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triangular verification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y educational complex was derived step by step, formation process, experience process, and overcoming process. First, I could see that patriarchal culture influences the formation process. Second, in the course of experience, I felt inferiority complexity because of feeling me there were inconsistent with internal and external motives. Finally,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it, the perspective and attitude of looking at oneself, others, and the world changed and grew. Conclusions Education is the power of life and the realization of truly being myself. Since this study confirm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 hope that a new direction will be presented to the educational paradigm for education attainment.

      • KCI등재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성소수자의 변화과정 경험

        김정숙(Kim Jungsuk),임선경(Lim Seonkyeong),김명찬(Kim Myeungch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가 만연한 사회적 환경 속에서 성소수자의 경험 과정, 경험의 변화요인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소수자 경험을 주제로 한 질적 연구를 2021년 7월까지 발표한 학술지 논문 21편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논문의 자료코딩 및 범주, 개별 연구간 상호비교, 분석, 결과도출, 종합적 결과 및 도식화, 변화과정과 최종해석까지 7단계로 수행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소수자의 경험은‘남과 다른 나’ 인식하는 경험,‘거부당하는 나’ 갈등하는 경험,‘저항하는 나’ 애쓰는 경험,‘이해받는 나’ 지지받는 경험,‘주체적인 나’ 사회기여 경험으로 분석되었다. 또한‘주체적인 나’사회기여 경험을 하더라도 다시‘남과 다른 나’ 인식하는 경험으로 돌아가는 순환과정으로 갈 수도 있었다. 둘째,‘남과 다른 나’ 인식하는 경험에서‘주체적인 나’ 사회기여 경험으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위험요인은 물리적 장벽과 심리적 장벽으로 나누어지며, 보호요인은 사회적 울타리와 개인의 노력이 있었다. 셋째, 성소수자 경험의 과정과 요인에 대한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탐색을 바탕으로 변화과정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소수자들의 경험과 경험의 변화 과정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미를 논의하여 연구의 의의, 상담을 위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여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LGBTQI people in a social environment where discrimination and hatred of LGBTQI people is rampant, focusing on factors that change experienc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21 papers in academic journals that had publishe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opic of sexual minority experiences by July 2021. Data coding and categories of the thesis to be analyzed, inter-comparison between individual studies, analysis, derivation of results, comprehensive results and schemata, change process and final interpretation were performed in 7 step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of LGBTQI people are the experience of recognizing I am different from others , the experience of conflicting with the rejected me , the experience of struggling with the resisting me , the experience of being supported by the understanding me , and the experience of contributing to society as an independent me . Also, even if one had an experience of contributing to society as an independent myself , one could go back to the cycle of recognizing myself as different from others . Second, in moving from the experience of recognizing a ‘me different from others’ to the experience of contributing to the ‘independent me’, the risk factors are divided in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barriers, and the protective factors were social barriers and individual efforts. Third, a model of the change process was presented based on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search for the process and factors of the LGBTQI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s of LGBTQI people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experiences were explained. Finally, by discussing the meaning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counseling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 KCI등재

        정서표현 양가성 관련변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송은화(Eunhwa Song),김명찬(Myeungchan Kim),임선경(Seonkyeong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하여 정서표현 양가성과 관련 변인 간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출간된 KCI등재지 중심으로 정서표현 양가성에 대한 연구논문은 총 77편이었다. 2007년부터 2020년 2월까지 출간된 논문으로 출판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정서표현 양가성 개념, 관련 변인군에 대해 메타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연구물에서 총 77편의 논문에서 644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국내 정서표현 양가성 관련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진 변인들을 5개의 주제(정서표현, 인지, 정서, 대인관계, 행동 및 태도)선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표현, 인지, 정서, 대인관계, 행동 및 태도에서 효과크기는 정서표현관련변인군이 .83, 큰효과크기로 5개의 주제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정서, 대인관계, 행동 및 태도에서 긍정은 중간효과크기이고 부정은 작은 효과크기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에서 수행되어 온 정서표현 양가성 관련 변인을 알아봄으로써 어떤 심리적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지 탐색할 수 있었고, 정서표현이 일치적이기보다 양가적일 수 밖에 없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re were a total of 77 research papers on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centered on the KCI-registere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This paper was published from 2007 to February 2020 and meta-analyzed on 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concept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related variable groups. 644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rom a total of 77 papers in the study to be analyzed. Five themes (emotional expression, cognition, emo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havior and attitude) were selected as variables mainly dealt with in studies related to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in Kore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emotional expression, cognition, emo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havior and attitude, the effect size of the emotional expression-related variable group was .83 and the largest effect siz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mong the five subjects. In cognition, emo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havior and attitude, positive had a medium effect size and negative had a small effect siz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by examin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that have been practiced in Korea, it was possible to explore which psychological problems they affect, and it was found that emotional expression is inevitably ambivalent rather than congru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