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김명찬(Myeungc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2 질적탐구 Vol.8 No.4

        나는 이혼한 중년의 상담자이자 대학 교수이다. 나의 이야기는 이혼에 대한 관념이 당사자와 주변 사람들에게 어떠한 심리사회적 경험을 유발하는지를 알아보고, 그 관념의 타당성을 검토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울러 이혼 관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나와 주변 사람들이 무엇을 경험하게 되는지 성찰하게 되었다. 나는 이혼 관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이혼이 ‘실패’나 ‘죄’라는 관념을 다르게 볼 수 있었고, 그 결과 지금-여기의 삶에 조금 더 충실해지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다른 표현으로 이혼 관념의 재구성 경험을 통해 나는 나의 선택을 좀 더 온전히 신뢰하게 되었고, 그것을 충분히 책임지는 삶을 살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나 자신이 이러한 삶의 태도를 분명히 할수록 아이, 아이 엄마 역시 더불어 편안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의 이야기가 이혼 관련 이해당사자들-본인, 전 배우자, 자녀, 부모, 상담자-에게 이혼에 대한 새롭고 기능적인 관점을 갖게 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 불안, 정서인식,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김정숙(Kim, Jungsuk),김명찬(Kim, Myeungch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의 집단프로그램 활동이 중년기 여성들의 우울, 불안, 정서 인식,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다. 이를 위해 K시에 소재한 공공기관과 상담소에 홍보하였고 참여를 희망하는 40세에서 60세의 중년여성 36명을 최종 모집하여 처치집단 18명, 통제집단 18명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처치집단에는 주 1회 180분씩 8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전·후, 프로그램 종료 4주 이후에는 추후검사를 하여 공변량(ANCOVA) 분석으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전-사후검사 결과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고 정서인식과 정서표현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였다. 둘째, 사전-추후 검사 결과 인간중심 표현예술 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우울과 불안의 감소 및 정서표현 향상에는 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지만 정서인식 향상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정서적 어려움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여성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research goal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based programs of person-centered expressive arts therapy and whether or not it could affect depression, anxiety,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of middle-aged women. 36 women aged 40 to 60 years of age in K City were recruited and 18 experimental groups and 18 control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ogram was, in total, 8 sessions a week for 3 hours once a week, and,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the effect was verified by analysis of covariate (ANCOVA). Summarizing the results, first, pre-post examinations showed that person-centered expressive arts therapy reduced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aged women and significantly improved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ex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pre-following tests, it was found that person-centered expressive arts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and improving emotional expression in middle-aged women,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awarenes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son-centered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motional difficulties of middle-aged women,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shoud be considered.

      • KCI등재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김동일(Kim, Dongil),이윤희(Lee, Yunhee),김명찬(Kim, Myeungchan),남지은(Nam, JeeEun),이예슬(Lee, Yeseul),이슬기(Lee, Seulk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다층메타분석을 통하여 국내에서 개발되어 사용된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크기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습에 미치는 전체평균 효과크기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2)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습전반과 학습 하위영역에 미치는 효과크기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총 2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학습이 미치는 효과크기는 0.978로 추정되었다. 다중지능 프로그램은 학습에 큰 효과크기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크기가 연구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 것인지를 설명하고자 하여 예측변인을 2수준 모형에 투입하였는데, 예측변인들 중 유아와 초등 대상의 프로그램 간, 유아와 중고등학생 프로그램 간에 유의한 효과 크기의 차이가 나타났고, 회기수에 따라서 효과 크기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일수록, 회기수가 증가할수록 프로그램의 효과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셋째,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학습전반에 미치는 효과 크기는 0.663으로 나타났고, 학습하위영역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1.099로 나타나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학습영역에 따라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의 학습전반은 학업에서의 태도와 동기 혹은 학습 결과로서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 등, 학습하위영역은 수개념, 어휘력, 과학탐구능력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한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ultiple intelligence programs on adolescent learning by looking at the effect sizes and affecting variables through multilevel meta-analysi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multiple intelligence programs on adolescent learning and what are the affecting variables? 2) What are the effects sizes and affecting variables of multiple intelligence programs on general learning as well as subdomains of lear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23 related studies, the effect size of multiple intelligence programs on learning was estimated to be 0.978,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Also, in observing differences in effect size by study, predictor variables were entered in the level 2 model to find out the causes of such differences. Significant effect siz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and elementary students, as well as between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program effect sizes appeared to chan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ssions. Lastly, the effect size of multiple intelligence programs on general learning was 0.663, and 1.099 for specific learning domains. Here, general learning refers to variables such as attitude or motivation for learning,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성소수자의 변화과정 경험

        김정숙(Kim Jungsuk),임선경(Lim Seonkyeong),김명찬(Kim Myeungch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가 만연한 사회적 환경 속에서 성소수자의 경험 과정, 경험의 변화요인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소수자 경험을 주제로 한 질적 연구를 2021년 7월까지 발표한 학술지 논문 21편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논문의 자료코딩 및 범주, 개별 연구간 상호비교, 분석, 결과도출, 종합적 결과 및 도식화, 변화과정과 최종해석까지 7단계로 수행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소수자의 경험은‘남과 다른 나’ 인식하는 경험,‘거부당하는 나’ 갈등하는 경험,‘저항하는 나’ 애쓰는 경험,‘이해받는 나’ 지지받는 경험,‘주체적인 나’ 사회기여 경험으로 분석되었다. 또한‘주체적인 나’사회기여 경험을 하더라도 다시‘남과 다른 나’ 인식하는 경험으로 돌아가는 순환과정으로 갈 수도 있었다. 둘째,‘남과 다른 나’ 인식하는 경험에서‘주체적인 나’ 사회기여 경험으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위험요인은 물리적 장벽과 심리적 장벽으로 나누어지며, 보호요인은 사회적 울타리와 개인의 노력이 있었다. 셋째, 성소수자 경험의 과정과 요인에 대한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탐색을 바탕으로 변화과정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소수자들의 경험과 경험의 변화 과정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미를 논의하여 연구의 의의, 상담을 위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여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LGBTQI people in a social environment where discrimination and hatred of LGBTQI people is rampant, focusing on factors that change experienc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21 papers in academic journals that had publishe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opic of sexual minority experiences by July 2021. Data coding and categories of the thesis to be analyzed, inter-comparison between individual studies, analysis, derivation of results, comprehensive results and schemata, change process and final interpretation were performed in 7 step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of LGBTQI people are the experience of recognizing I am different from others , the experience of conflicting with the rejected me , the experience of struggling with the resisting me , the experience of being supported by the understanding me , and the experience of contributing to society as an independent me . Also, even if one had an experience of contributing to society as an independent myself , one could go back to the cycle of recognizing myself as different from others . Second, in moving from the experience of recognizing a ‘me different from others’ to the experience of contributing to the ‘independent me’, the risk factors are divided in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barriers, and the protective factors were social barriers and individual efforts. Third, a model of the change process was presented based on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search for the process and factors of the LGBTQI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s of LGBTQI people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experiences were explained. Finally, by discussing the meaning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counseling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 KCI등재

        국내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 연구 동향

        김동일(Kim, Dongil),이윤희(Lee, yunhee),남지은(Nam, JeeEun),오지원(Oh, Jiwon),이예슬(Lee, Yeseul),이슬기(Lee, Seulki),김명찬(Kim, Myeungch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유아동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문헌분석을 통해 국내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동항을 살펴보았다. 총 29 건의 분석 대상 연구를 수집한 후, 일반 사항, 신뢰도 검증 관련, 타당도 검증 관련 등을 일차 분석하고. 15편의 유아동 관련 논문을 따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도구들은 2000년대에 이르러 집중적으로 개발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측정도구 중 절 반 이상인 15편이 유아동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이다. 셋째, 유아동 다중지능 측정도구 평가 차원은 대부분 성취 결과를 측정하고자 한다는 점이다. 넷째, 다중지능 측정도구들은 프로젝트 스펙트럼 방식에 의해 개발된 도구들까지 모두 신뢰도, 타당도의 방법을 통해 표준화 되었다. 다섯째, 유아동 다중지능 측정도구들은 7개 영역 혹은 8개 영역을 한꺼번에 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유아동 다중지능 측정도구의 주된 평가 참여자는 연구자로 나타났다. 일곱째‘ 유아동 다중지능 척도 개발시 가장 많이 사용된 평가방법은 관찰에 의한 방법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i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tools in Korea. as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tool for young children. A total of 29 articles were collected for analyses based on their tools' general features, as well as reliability and validity related information. Following this. 15 articles that dealt with assessment tools for young children were separately analyzed in greater detail. Significa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tools were predominantly developed in the 2000' s. Second, the majority of these tools were aimed at young children. Third, the tools for young children sought to measure children' s achievement results. Fourth, all of the assessment tools, including those tha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oject spectrum method were standardized through reliability and validity procedures, Fifth, the assessment tools for children were developed comprehensively for all seven or eight intelligence areas. Sixth, the main evaluators conducting the assessment were researchers themselves. Seventh, the most frequently used assessment method was observat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육아휴직 이후 주 양육자가 된 아버지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금선(Geumsun Kim),김명찬(Myeungc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육아휴직 이후 주 양육자가 된 아버지들의 인생이라는 맥락에서 육아휴직 과정 속에 경험된 것과 이후 주 양육자로의 지속된 삶이 가지는 의미를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휴직을 한 경험을 아버지가 어떻게 주 양육자로 양육을 지속하고 있는지 삶의 시간성을 고려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육아휴직 이후 주 양육자로 살아가고 있는 아버지 3명과의 심층면담자료를 최종연구 텍스트로 활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육아휴직 이후 주 양육자로 살아가는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경험의 의미는 <강에서 바다로 나아가다>, <폭포를 뛰어넘다>, <거슬러 올라 만난 강>, <다시 바다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육아휴직 이후 주 양육자가 된 아버지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육아휴직과 이후 양육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며, 가정이라는 공간 안에서 경험하게 되는 아버지의 양육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지 살피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육아휴직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일어나는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탐색함으로써 아버지 내면에 일어날 수 있는 어려움과 더불어 양육을 공동으로 담당함으로써 발생하는 부부갈등에 대한 심리 사회적 개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담았다. In this narrative expl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parental leave in the context of life as a father after taking parental leave, and the meaning of life afterwards as a main carer for his child. To this end, the researcher explored how the father continued his life as a main carer, after taking parental leave, taking into account of the temporality of life. In-depth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with three fathers who have been living as main carer after parental leave and the data was used for the final study. Based on this, the meaning was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living as a main carer after parental leav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consisted of <Going from the river to the sea>, <Jumping over the waterfall>, <Go up the river>, and <Back to the sea>. This study explores parenting leave and parenting experiences in details, through the story of the father’s life, who became the main carer after parental leave, and it is meaningful as i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father’s parenting experienced in the space of home. This is meaningful as it provided the basis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in marital conflict over joint responsibility for parenting as well as inner conflicts of fathers in exploring personal, relational, and social changes in the special environment of parental leave over time. Lastly, the study defin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mad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코로나 19에 따른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송은화(Eunhwa Song),김명찬(Myeungchan Kim),임선미(Seonmi 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전례 없는 사상 초유의 비대면 개강을 맞이한 상담학과 학부생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코로나 19 사태로 모든 수업이 전면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 된 A시 B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의 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총 2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인터뷰 자료는 녹취본을 전사하여 내용을 분석하고 범주화하였다. 결과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수업에 대한 수업 시작 전 학습자의 인식은 우려와 기대가 교차 되었다. 수업의 이해도와 집중력이 낮아질 것을 염려하여 휴학을 생각하기도 했지만 물리적 편안함도 생각하였다. 둘째,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습자 경험과 인식은 교수법의 중요성과 실습에 한계점에 있다고 인식하였다. 동영상 수업보다는 쌍방간의 상호작용으로 이뤄진 실시간 수업을 선호하였으며, 내성적인 성향의 학습자의 경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는 순기능이 우세했다. 셋째,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서 학생 중심형 수업으로의 전환을 기대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에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경험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향후 비대면 수업의 활용 방안과 교수자-학습자의 역할에 대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non-face-to-face classe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counseling department who have reached unprecedented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nd use them as reference materials for effective non-face-to-face classes. Methods A total of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t City A University B, where all classes were switched to non-face-to-face due to the COVID-19 outbreak, and the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contents.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 s perception of the non-face-to-face class before class was crossed between concern and expectation. I thought about taking a leave of absence because I was worri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of the class would be lowered, but I also thought about physical comfort.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learner 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had limitations in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video lessons, real-time lessons with interactive interaction were preferred, and the introverted learners ha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essons. Third, a shift from recognition and demand for non-face-to-face classes to student-centered classes was expected. Conclusions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on the future use of non-face-to-face classes and the role of instructor-learners by examining learn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untact era.

      • KCI등재

        인간중심접근 상담자들의 치료적 조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주인석(Inseok Joo),김명찬(Myeungchan Kim),김현정(Hyeonje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인간중심상담을 주요 이론으로 하는 상담자가 경험하는 3가지 치료적 조건의 실제적 적용과 어려움을 탐색하고자 진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9년 12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상담자 8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은 약 60분에 걸쳐 진행하였고, 전사한 축어록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62개의 개념과 13개의 하위범주,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범주는 3가지 조건의 적용, 3가지 조건의 효과, 3가지 조건 적용의 어려움과 개선방안이며 구체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가지 조건의 적용 범주의 공통 요인으로는 ‘관계 속에서 나를 관찰하기’, ‘행위가 아닌 존재의 수용’, ‘표면적 감정의 깊은 이면에 접속’, ‘진정성이 선행되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 적용’이 포함되었다. 2) 3가지 조건의 효과 범주의 공통 요인으로는 ‘내담자로서 경험한 치료적 효과’, ‘자기개방의 촉진’, ‘자기수용의 시작’, ‘자기개념의 변화’, ‘더욱 깊은 관계로 들어가기-현존’으로 나타났다. 3) 3가지 조건 적용의 어려움과 개선방안 범주에는 ‘내적 자각을 놓치고 있음’, ‘상담자가 가진 틀로 판단함’, ‘보조적 이론과 교육이 필요함’, ‘수퍼비전과 교육분석을 통한 개인적 성장’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진정성의 중요성이 강조 된다, 둘째, 인간중심상담 교육프로그램 개발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상담자의 진정성을 키우고 개인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음챙김을 도입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difficulties of the three therapeutic conditions experienced by counselors with human-centered counseling as their main theories. Method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8 counselors for about 4 month from December 2019 to March 2020.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ected for about 60minutes and analyzed using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Resul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methods, 62 concepts, 13 subcategories and 3 categories. The result was presented by Each category includes the application of three conditions, the effective of three conditions, the difficulty and the improvement plan of applying three conditions, 1) Common factors in the three categories of application of conditions included ‘observation of myself in a relationship’, ‘acceptance of being, not an act’, ‘access to deep surface emotions’, and ‘application of unconditional positive respect and empathic understanding with sincerity’. 2) Common factors in the three conditions effect categories were ‘the therapeutic effects experienced as a counsellor’, ‘promotion of self-openness’, ‘start of self-acceptance’, ‘change of self-concept’, and ‘existing’. 3) The three categories of difficulties in applying condi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missing internal awareness,” “judging by the framework of the counselor,” “requiring subsidiary theories and education,” and “personal growth through supervision and education analysis.” Conclusions First, the importance of sincerity is emphasised. Second, discussion need to be made on what should be most important in developing Person-Centered counseling education programs. Third, Mindfulness can be introduced as a way to foster the the authenticity of counselors and promote personal growth.

      • KCI등재

        정신화 연구 동향 및 메타분석 : 국내 상담 및 심리 분야 학술지 중심으로

        문혜리(Hearee Moon),김명찬(Myeungcha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상담 및 심리 분야의 학술지에서 정신화와 관련된 연구들의 동향을 탐색하여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정신화와 관련된 변인들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상담 및 심리 분야 학술지에 출간된 정신화 관련 논문 총 65편을 선정하여 출판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측정도구, 관련 변인 등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고, 그중 상관관계가 명시된 28편을 대상으로 정신화 관련 변인간의 효과크기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정신화 연구는 최근 연구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대상은 성인이 가장 비중이 높았고,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가, 연구주제는 가족 특성을 다루는 연구, 측정도구는 정신화 질문지(MZQ)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둘째, 메타분석 결과 정신화 관련 전체 연구사례는 정적으로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고, 정신화와 긍정정서는 정적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긍정 인지행동은 정적으로 작은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정신화와 불안정 애착은 부적으로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반면에 그 외 관련 변인들과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서의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mentalization and the correlation effect size of variables related to mentalization through meta-analysis in Korean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Methods A total of 65 articles related to mentalization were select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such as 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measurement tool, and related variables. 28 articles of them were to analyze the effect size of related variab5les by meta-analysi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on mentalization research is increasing recently, and the study subjects were adults the most. The research method was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topic was research dealing with family characteristics,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the mentalization questionnaire(MZQ) had the highest proportion. Second, as a result of meta-analysis, the entire study studies of mentalization showed a positively low effect size, mentalization and positive emotions showed a positively high effect size, mentalization and positive cognitive behavior showed a positively low effect. And mentalization and instability attachment showed a negatively low effect size.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size with other related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lu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follow-up studies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ere suggested.

      • KCI등재

        중년 여성의 성차별 경험과 분투(奮鬪)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차혜진(Hyejin Cha),김명찬(Myeungcha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한 중년여성의 성차별 경험인 ‘나’에 대한 성차별 경험과 분투에 대한 과정을 주제로 하였다. 이러한 ‘나’라는 한 개인이 경험한 성차별을 통해 성차별과 관련된 사회적인 문제를 조망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나’라는 연구 참여자가 가족의 변화 안에서 성차별을 극복하고 분투하는 과정을 자문화 기술지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비슷한 경험을 한 중년여성들의 성차별적인 삶을 이해하고 그 경험의 한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함을 목적으로 두었다.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연구자인 ‘나’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자문화기술지를 연구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의 성차별에 관한 경험과 기억자료, 공동연구자 및 박사과정 동기들의 피드백, 자녀와 남편과의 대화자료, 부모님과 지인들과의 회상자료 등을 자료로 정리하였다. 이 자료를 검증하고자 연구자가 성차별 속에서 분투하고 성찰하며 변화하는 과정을 분석한 후, 이를 다시 질적 자료로 변환하는 코딩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의 적합한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분석과정은 삼각검증 방법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이를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가부장적 문화에서 부당한 성차별을 경험함으로 도출된 ‘성차별 경험의 씨앗을 목격한 나’이다. 둘째는 가부장제 속에서 분투하며 인식 전환 과정에서 많은 고민과 갈등을 통해 성찰을 경험하는 ‘성차별과 대면하는 나’이다. 셋째는 변화와 성장을 통해 주체적인 삶을 향해 계속 도전과 노력을 하는 ‘삶의 연속선상에서 희망을 품음’이다. 결론 문제해결에 앞서 필요한 것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성들이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 경험을 하게 될 때 이에 대한 부당함을 알리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성찰과 사회 재인식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process of a middle-aged woman s experience of sexism and struggle with ‘I’, the experience of sexism. Through the sex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such as ‘I’, the social issues related to gender discrimination were reported and reported. In addition, Nara summarized the process of the study participants overcoming gender discrimination and struggles within the family change in a self-culture descriptive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exist lives of middle-aged women who had similar experiences and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that experience.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o-ethnobiograp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by using the researcher as the research subject. The researchers experiences and memories of sexism, feedback from co-researchers and doctoral students, conversations with children and husbands, and recollections of parents and acquaintances were summarized as data. In order to verify this data the researcher analyzed how the researcher changed by struggling with sexism and introspection and later converted this process into qualitative data by coding.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s validity and credibility was ensured by triangul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s ‘Witnessing the seed of sexism’, which is derived from the unfair experience of patriarchal culture. Second is ‘Facing sexism’ by struggling and having conflicts in patriarchy and having introspection in the process of changing perception. Third is ‘having hope in the continuum of life’ by changing and maturing through facing challenges and striving towards independent life. Conclusions The prerequisite of solving a problem is to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a problem. Therefore in order to expose and actively cope with the unjust discrimination due to gender, women must introspect themselves and change their perception of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