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능형 AI기반의 미세먼지 저감 제어 시스템

        임상택(Sang-teak Lim),백순창(Soon-chang Baek),송용준(Yong-jun Song),백영태(Yeong-tae Baek),최차봉(Cha-bong Choi),송승인(Seung-in So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본 논문에서는 화력을 이용하는 대형 파워 플랜트 설비의 미세먼지 발생량을 저감시키고 능동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고정형으로 설계된 집진기 방식의 고정부하량 한계점과 극복하고 초미세먼지 PM2.5, 미세먼지 PM10의 발생량에 따라 IoT센서 감지에 의해 지능형 알고리즘으로 효율적으로 저감 제어 처리량을 극대화하고, 미세먼지 발생량을 최소화한다. 또한 이 시스템의 차별성은 기존의 집진기에서 잡혀지지 않는 초미세먼지를 새로운 형태의 물질인 FAA(Fine-dust Adsorption Agent)를 통해 연료 연소 시 발생되는 초미세먼지 미세입자 자체를 크게 만들어 기존 설비 집진기필터에 포집되게 하는 혁신적인 방식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350도~1000도 열원에서 작용할 수 있는 화학물질 FAA 용액(Agent)을 개발 하였으며 지능형 AI 분사장치를 통해 연료에 첨가되어 연소 시 미세먼지를 20배~50배까지 볼륨을 확대시켜 기존 집진필터에 포집될 수 있게 동작된다. 이때, 기존 설계된 집진기의 한계(부하)용량에 상관없이 미세먼지 발생량을 상황인식 반응형 알고리즘(AI제어) 통해 분사량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미세먼지 발생량을 저감하는 진보적 혁신성을 지닌다.

      • 이동 애드혹 망에서 QoS 지원을 위한 예약 방식의 MAC 프로토콜

        임상택(Sangtaeg Lim),조인휘(Inwhee Joe)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A

        본 논문에서는 이동 애드혹 망에서 멀티미디어 트래픽 처리를 위해 예약 방식의 매체 접근 제어(MAC)프로토콜을 설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예약 방식의 MAC 프로토콜은 두 개의 부분 계층으로 이루어진 계층적 접근법을 기반으로 한다. MAC의 하위 부분 계층은 이동 애드혹 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트래픽을 지원하기위해 CSMA/CA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그 위에 상위 부분 계층은 실제 데이터 전송에 앞서 슬롯(slot) 예약을 수행함으로써 실시간 주기적 트래픽을 지원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소프트웨어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는 예약 방식의 MAC 프로토콜이 IEEE 802.11 표준과 비교하여 실시간 트래픽 전송에 더 적합함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동·남해안 지역의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 양식

        임상택(Lim Sang Taek) 한국신석기학회 2012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4

        본고는 새로운 자료와 편년 연구 성과에 기초해 신석기시대 동해안과 남해안 지역조기 단계 토기 양상을 재검토하고 양식 차원에서 종합화한 것이다. 최근 조사된 울진죽변 유적의 토기상은 기존에 강원 영동지역과 남해안지역으로 양분되어 있던 신석기 조기 단계 토기상의 중간 지대를 공간적으로도, 형식학적으로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자료이다. 죽변의 토기상은 기존의 신석기시대 조기 중에서도 중엽 단계로 판단되었으며, 특징적인 내만구연옹과 내절구연옹의 검토를 통해 발과 옹의 세트관계가 정립된 양상임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발과 옹의 세트는 현재까지 동해안지역에서 가장 이른 유적으로 평가받는 오산리 C지구 최하층의 기종 조성에서 연원을 구할 수 있었으며, 오산리 C지구 최하층의 일상용 발과 적색마연 횡공 파수부발 세트가 기존의 오산리식 토기와 죽변유적 토기의 기종 조성으로 각각 이어진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동해안과 남해안 지역 조기 단계 토기를 양식(style) 차원에서 종합화하여 결론적으로 오산리 양식(하층 양식 및 중층 양식), 죽변 양식, 동삼동양식(융기문토기)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각 양식은 대체로 동해안 중부, 중남부, 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토기 양식이 의사소통의 기능을 가진다는 서구의 양식 논의 성과에 기초해 이와 같은 세 가지 양식은 서로 다른 집단의 정체성의 표현 결과일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양식의 표출은 토기, 석기 등 서로 다른 물질문화 영역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지적하였는데, 이는 생업이나 환경적 공통성에 기반한 석기상의 공통성과 집단의 정체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수단이 되는 토기상의 차별성을 서로 대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동해안과 남해안 지역 조기 단계의 토기상을 세 가지의 큰 양식으로 설정함으로써 향후 조기 단계 집단의 동태를 파악하는 기본적인 틀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existence of three different pottery styles during initial phase of Korean Neolithic period : mid-eastern, southeastern, southern region respectively. These three areas sh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 composition reflecting common subsistence patterns and environment: mainly toolkits of fishery. But pottery styl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Osanri pottery style, Jukbyeon potte1y style, Dongsamdong pottery style. Osarui style is characterized by bowls(발) and pots(옹) decorated in various design motifs of impression. Jukbyeon style also has bowls and pots, but there s little decoration on potteries. Instead, there are a lot of red slip pottery in Jukbyeon. Dongsamdong style is composed mainly by bowls and applique style of design. These differences of pottery style might be the result of expression of group identity. Common toolkits and different pottery style means that the expression of group identity is differentiated by the different domains of various material cultures.

      • KCI등재

        부산지역 PCO 산업 활성화를 위한 영향변인

        임상택(Sang Taek Lim),김지은(Ji Eun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06 관광연구저널 Vol.20 No.2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 of the PCO in B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important factors leading the expansion of related industry and examine the vision of the PCO in Busan. This study, thus, focused on, first of all, what factors would influence the success of the PCO in Busan and, second of all, how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founded factors in related business sector.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two sectors asking the important factors and the present results of PCO in Busan and demographic information on respond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current study utilized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ertain factors would influence on the success of PCO in Busan. The detail discussion presented i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 KCI등재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 양식의 성립과 변동

        임상택(Lim Sang taek) 중부고고학회 2017 고고학 Vol.16 No.1

        본고는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를 ‘양식’ 개념 하에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양식 구조를 파악하며, 그 변동 과정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해방 이후 현재까지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 연구는 편년과 지역구분에서 상당한 성과가 있었지만 전체 토기를 일관된 개념 하에서 다루지 못해 연구자간 의사소통은 물론 신석기시대 사회 변동 연구를 거시적 차원에서 검토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고는 토기 양식 개념을 적용하여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 전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토기 양식은 특정 시공간 속에서 기종, 기형, 문양 등에서 내적 응집성을 갖는 단위로 규정하고, 현재 폭넓게 인정되고 있는 지역구분을 기초로 지역별 양식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서북지역은 미송리양식-반궁리양식-당산상층 양식-신암리양식, 동북지역은 서포항 하층양식-서포항 상층양식, 중서부지역은 궁산 양식, 중동부지역은 오산리양식-지경리 양식, 남부지역은 고산리양식-동삼동양식-영선동양식-수가리양식을 설정할 수 있었다. 각 양식 내 분기는 ‘O기’라는 용어를, 동일 양식 내 지역적 구별은 ‘OO유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구분하였다. 궁산 양식 3기의 금탄리 1유형과 암사동 유형이 그러한 예에 해당한다. 광역에 걸친 양식적 공통성에 대해서는 ‘전통’ 혹은 대양식의 개념을 사용하여 포괄하였다. 예를 들면 중서부 이남 첨저 즐문토기의 광범위한 분포는 침선계 첨저토기 전통이라는 개념으로 묶을 수 있다. 이상의 일관된 개념 규정 및 용어 구사를 통해 연구자 간 의사소통의 효과적 도구를 마련함은 물론,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 양식들의 내용과 변동, 관계에 대해서도 검토할 수 있었다. 양식의 변동과 관련해서는 대체, 융합, 절충, 병존, 분지라는 개념 규정을 통해 지역별 변동과정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예를 들면 오산리 양식에서 지경리 양식으로의 변화는 ‘대체’로, 영선동 양식에서 수가리 양식으로의 변화는 ‘융합’으로 특징을 규정지을 수 있다. 양식의 변동은 거시적 차원에서는 압날, 융기 시문 방식에서 침선 시문 방식으로의 변화가 가장 현저한데, 이는 동북아시아 전체 차원의 양식 변동과 연동하는 현상이다. 변동의 원인으로는 생업 변화와 교류 등을 상정할 수 있지만 외부적 요인의 개입 없는 자연스러운 변동 역시 고려해야 한다. 특히 지역 내 양식의 세부적 변화 과정에 대해서는 추후 생업이나 교류 이외에도 문화전승과정의 복제오류나 개인 혹은 집단의 창조성 등과 같은 자생적 요인을 다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iming at arranging Korean Neolithic potteries based on the concept of ‘style’ and understanding its structure and transition process. The study of Korean Neolithic pottery has had considerable success after the liberation, but there are sill a limitation that it can not cover the social transition of Neolithic society under a macroscopic perspective due to an absence of unifying concept as well as a lack of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s.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 try to arrange the entire pottery of the Neolithic period in Korean Peninsula by applying the concept of pottery style. I defined the pottery style as a unit that has internal cohesion in pottery ware, deformity, and decoration pattern within the specific time and space, and set the regional style based on widely recognized regional distribution. As a result, the northwestern area could be divided into four styles: Misongri-Bangoongri-Dangsan upper layer-Shinamri style. The northeast becomes two: Seopohang lower layer–Seopohang upper layer style, the midwest region is one: Goongsan, the mideast is two: Osanri-Jigeongri style, and the southern area is able to set by four styles: Gosanri-Dongsamdong-Yeongsundong-Sugari style. The divergence in each style was distinguished by ‘n phase’, and ‘OO type’ was used for regional distinguishment within the same style (e.g. Geumtanri 1 type and Amsadong type of Goongsan style). In terms of the stylistic commonality in a wide area, I used the concept of ‘tradition’ to cover the area. For instance,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conical Chulmun pottery in the sub-midwest can be tied to the ‘Tradition of Conical based pottery with incised decoration’. Based on the consistent conceptual rules and terminology, I could provide effective tools for communicating with researchers as well as examine the contents, transition, and relationship of the pottery style of the Neolithic period in Korea. When it comes to the transition of the style, I organized the characteristic of regional change through the concept of substitution, fusion, compromise, coexistence, and branch. For example, the transition for Osanri style to Jigeongri could be ‘usually’ defined as ‘fusion’. The transitions in the style are most noticeable from the stamp or applique pattern to incising on the macroscopic level, which is a phenomenon linked to the style transition of the entire Northeast Asia. The cause of the change can be the change of subsistence and exchange, but also in situ change without the intervention of external factor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 situ factors such as copying error of cultural tradition process and creativity of individual or group in addition to subsistence or exchange to examine detailed change process within a regional style.

      • KCI등재후보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 상대편년 형성과정 검토

        임상택(Lim, Sangtaek) 중부고고학회 2008 고고학 Vol.7 No.1

        이 글은 한반도 첨저 빗살무늬토기문화의 출발지이자 중심지라 할 수 있는 중서부지역의 상대편년 연구성과를 학사적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중서부지역의 상대편년 연구는 층위를 이룬 유적의 부재로 인해 주로 유적간 편년이나 토기의 문양분석에 입각한 편년의 주를 이루어왔다. 이로 인해 현재까지도 안정된 대별편년안이 도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편년의 형성과정을 학사적으로 검토하여 현재 제기되고 있는 논란들이 가지는 학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향후 편년연구의 진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 이글이 목적이다.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의 상대편년은 1950~ 60년대 북한 학계의 활발한 발굴조사와 연구를 통해 ‘궁산문화’ 의 4기 편년체제가 구축되면서 기본적인 틀이 갖추어진다. 궁산문화는 초기의 명명단계, 2기 편년단계를 거쳐 내용적으로는 60년대 중반에, 공식적으로는 70년대 중반 이후에 4기 편년체제를 완성한다 북한의 편년은 문화종태 또는 유물갖춤새의 차이 확인을 통한 유적간 편년, 유구별 편년이라는 특정을 가진다 남한에서는 6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편년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며 70년대 후반 및 80년대 전반을 거치면서 중서부지역 편년의 기본 틀이 만들어진다. 여기에는 북한의 60년대 연구성과들이 반영되기도 하며, 문양론적 접근을 통한 편년 및 절대연대자료의 사용이라는 북한과는 다른 접근방법이 구사된다. 이를 통해 남한 학계에서는 중서부지역을 크게 3 ~4단계로 편년하게 되었으며, 시문부위의 축소경향, 구분계토기에서 통일계토기로의 변화 등 기본적인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게 된다. 북한이 %년대 중반 이후 이렇다할 편년연구의 진척이 없는 것과 대조적으로 남한에서는 90년대 후반 이후 기존의 편년안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세분, 새로운 문제제기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중서부지역 상대편년 연구는한단계 진전하는상황을맞이하고 있다. 아직 중기설정의 문제,통일계토기의 변화과정 , 금탄리 1식토기의 계보 및 존속기간문제, 소위 변형빗살무늬토기의 편년적 위치문제 , 주변지역과의 병행관계 둥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으나 최근 서해안을 따라 양호한 취락유적이 속속 확인되고 있어 중서부지역의 상대편년 연구 전망을 밝게 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Neolithic pottery chronology at central-westem/CW) Korea with historical perspective, Lack of stratigraphic evidences lead to unstable situation of pottery chronology of study area. So it is helpful to review the past researches to paint out chronological controversies, Chronology of study area was established during 1950' s and 1960' s by North Korean researchers at first, They gave a name to material cultures of CW region with 'Gungsan Culture' , and divided it into four phases(Gungsan 1 - 4), TI1is chronological scheme is authorized fomally in the 1970' s, Their approaches is characterized by the comparison of whole material assemblages among sites and features to establish chronological order. In South Korea, they started to investigate chronology of this area in late 1960' s, and established basic chronological order through late 1970' s and early 1980' s, They divided whole CW neolithic period into three (or four) phases (early-middle-late), This chronological order was influenced by results of North Korean researches greatly, but different approaches to North Korean researches was also adopted like pottery design analysis and active use of the data acquired from absolute dating, Owing to these researches, we acknowledged the tendency that design area of me pottery reduced and horizontal division of design area disappeared through time. There are many questions that answered like setting up me middle phase, genealogy and duration of Geumtanri 1 type pottery, parellel relation with surrounding regions and so forth, But owing to fine data recently acquired like settlement sites that seems to have short duration and accumulation of absolute dating data, advances in chronological study in study area can be achieved in me near future.

      • 무덤으로 본 新石器時代 漁撈民의 海洋景觀 構築

        임상택 ( Lim¸ Sangtaek ) 국립중앙박물관 2019 고고학지 Vol.25 No.-

        한반도 동해 중부와 남해안 지역 신석기시대 수렵채집어로민들은 조기 단계부터 본격적으로 해양자원을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해안과 도서지역을 자원 획득을 위한 경제적 패치로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해안과 도서지역에서 최근까지 확인된 무덤 유적들을 적극적으로 해석한다면, 대상 지역을 단순히 경제적 차원에서만 이해하던 기존의 연구 경향을 극복하고 다양한 해석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그러한 차원에서 해안 및 도서지역에서 확인된 무덤 유적을 대상으로 하여 해당 지역이 당시 개인 및 집단들에게 사회적, 상징적 의미를 지닌 일종의 기념물과 같은 장소성을 획득하였음을 경관고고학적 입장에서 검토하였다. 반복적 장례행위와 같은 공동체적 행위를 통해 개인과 집단은 해당 지역을 그들의 경관 속으로 재구성하였는데, 이는 조기 이래의 해양 적응 과정과 밀접히 관련되면서 진행된 것임을 추적 하였다. The coastal foragers of the Southern Korean Chulmun Period actively exploited marine resources from the Initial Phase (6000~4500 BCE), and they also maintained a complex network with contemporaneous communities of Japan’s Kyushu Island. Researchers have usually thought that the islands, with their large numbers of shell mounds, served as economic patches for coastal foragers. However, following the excavation of several recently excavated burial sites at islands such as Gadeok, Yeondae, and Yokji, it has become clear that we need to transform our traditional perception of islands as merely resource patches. In other words, the islands should not be regarded only in terms of their functional aspects; we must attempt a fundamental change in our understanding of islands, not as a materialistic ‘space’ for resource exploitation or burials but as an empirical ‘place’ for rituals, memories, living activities and so on for foragers. In doing so, islands acquired meanings of ‘spaceness’ of their own. This kind of ‘spaceness’ can be connected with the monu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s. Islands were monumental places for the coastal foragers of the Korean Chulmun period and economic and ritual practices (including resource exploitation and burial making, etc.) enhanced the ‘spaceness’ of these isl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