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창의성 비교

        송효완(Xiaowan Song),이정화(Jeonghwa Lee),임미라(Mira Lim),박병기(Byunggee Ba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창의성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창의성 차이는 주효과로서 평균효과크기, 그리고 상호작용효과로서 조절변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의 차이를 포함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1년부터 2015년까지의 학위논문 38편, 학술지 논문 33편, 총 71편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를 활용하였다. 총 71편의 논문으로부터 105개의 표본수준 효과크기와 1,234개의 변수수준 효과크기가 추출되었다. 효과크기의 분석모형으로서 고정모형과 무선모형 중 본 연구에서는 무선모형을 선택하였다. 영재성의 영역이나 수준에서 매우 다양한 영재학생들을 동질적인 집단으로 판단하기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분석의 수준은 표본수준과 변수수준을 혼합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표본수준에서 .772로서 중간 이상의 크기를 나타냈다. 지역, 교육기관, 영재영역, 측정도구 등은 조절효과가 있었으나, 출판년도, 논문종류, 성별, 학교급 등에서는 조절효과가 없었다. 창의성의 하위변인인 창의성 능력과 성향에서 평균효과크기는 차이가 있었다. 창의적 능력은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출판년도, 논문종류, 지역과 성별을 제외하고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창의적 성향은 창의적 능력보다는 대체적으로 낮은 효과크기들을 산출하였고, 출판년도, 지역, 학교급, 교육기관, 영재영역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연구결과의 함의를 논의한 후 영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on creativity using a meta-analysis.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terms of overall mean effect size and by moderators. This study searched researches from 2001 to 2015 including 33 journal articles and 38 theses, 71 researches in total.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 was used to analysis the included studies. Analysis was done by sample-based or variable-based. The number of samplebased effect sizes was 105 and that of variable-based was 1,234. Random effects model was chosen as analysis model on account of the heterogeneity of the diverse gifted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772, above moderate effect. Thereinto, moderator effects of district, gifted educational institute, domain of giftedness, and measurement tool were significant, whereas publication year, publication type, gender, and school level were not. As the sub-variables of creativity, creative ability and disposition displayed different mean effect sizes. Effect size was large in creative ability and moderator effects of school level, measurement tool, gifted educational institute, and domain of giftedness were significant. Effect size of creative disposition was broadly lower than creative ability. Moderator effects of publication year, district, school level, gifted educational institute, and domain of giftedness were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gifted education after discussing research results in detail.

      • KCI등재

        적정기술 주제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활동, 과학적 태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유미현 ( Mi Hyun Yoo ),박기수 ( Gi-su Park ),최정진 ( Jung Jin Choi ),임미라 ( Mira Lim ),이진아 ( Jina Lee ),신민철 ( Minchul Shin ),이종섭 ( Chong-sup Lee ),이양은 ( Yang-eun Lee ),유화수 ( Hwasoo Yu ),정호근 ( Ho-keun Chu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科學敎育硏究誌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적정기술 주제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3학년 85명이 참여하였다. 40명은 실험집단으로, 45명은 비교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창의적 사고활동, 과학적 태도,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적정기술 주제의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창의적 사고활동 전체 점수 와 4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둘째, 적정기술 주 제의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과학적 태도 전체 점수와 호기심, 자진성, 끈 기성 3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셋째, 적정기술 주 제의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리더십 전체 점수와 개인 내 특성, 개인 간 특 성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 적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활동, 과학적 태도, 리더십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ppropriate Technology’ theme STEAM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reative thinking activity, scientific attitude and leadership. Participants were 3grade 85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ke the tests about creative thinking activity, scientific attitude and leadershi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creative thinking activity and all 4 sub-domains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p<.05). Second, the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scientific attitude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p<.05). Among 7 sub-domains, curiosity, voluntariness, perseverance were significantly developed. Third, total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leadershi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 after the STEAM program (p<.05). In the first factor, the score of inner and inter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